KR200452257Y1 -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257Y1
KR200452257Y1 KR2020080008132U KR20080008132U KR200452257Y1 KR 200452257 Y1 KR200452257 Y1 KR 200452257Y1 KR 2020080008132 U KR2020080008132 U KR 2020080008132U KR 20080008132 U KR20080008132 U KR 20080008132U KR 200452257 Y1 KR200452257 Y1 KR 200452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adjustment device
electric
height
full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064U (ko
Inventor
김선웅
김용일
Original Assignee
김용일
호성산업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일, 호성산업개발(주) filed Critical 김용일
Priority to KR2020080008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25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장폼의 연결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장폼(1)의 하부 프레임(12)에 형성되어 상,하 관통되며,내주면에 나선을 형성한 원통형 암합부재(5); 및 상기 암합부재(5)의 저부에서 나사맞춤 관통되도록 레벨파이프(2)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숫합부재(3)를 포함하며, 상기 숫합부재(3)의 공회전은 하단으로 광폭의 헤드(31)을 이루고, 스템상에는 나선을 형성한 숫합부재(3)를, 관공(22a)이 형성된 브릿지형의 브라켓(22)저부에서 상방으로 관통시킨 뒤 상기 브라켓(22)을 레벨파이프(2)에 고정하여서 되는 것으로, 다수 전장폼들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경우 그 높낮이 편차(L)로 인하여 전장폼의 측면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전장폼,높이조절,

Description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Horizontality adjustment device for joining the full length foam}
본 고안은 유로폼 또는 알루미늄폼등으로 채워진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천정과 바닥사이를 받쳐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에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 공사를 공법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공법, 슬라이딩폼 공법, 트래블링폼 공법, 대형판넬 공법, 터널 공법, 클라이밍폼 공법 등이 있다. 상기한 일반공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래공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유사 단위 판넬을 조립하여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틀을 형성하게 되는데, 대표적인 일반공법으로서는 유로폼(euro foam)과 알루미늄폼, 합판 거푸집등이 있다.
전장폼(Long form)은 건축현장에서 주로 벽체용 거푸집으로 사용되는 거푸집의 일종으로, 일반 유로폼에 비해 폭을 줄이고, 2배의 길이로 제작된 강재 프레임을 갖는 것으로, 기본 규격은 450(W)*2400(H)로 구성된다.
외부 프레임(프로파일)은 기본적으로 웨지핀과 알폼핀 모두 사용가능하도록 나비형(Φ)으로 홀가공되어 있으나, 고객의 요청이나 설계에 맞춰 사각형 또는 원 형으로 홀가공 처리가 가능하다.
전장폼은 강재 프레임틀에 거푸집용 합판인 유로폼이나 태고합판을 판넬로 부착시킨 구조를 갖는 것으로 특히, 천정과 바닥사이를 받치는 유로폼 일체의 프레임전체를 일컫는다.
종래에는 첨부 도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벽체시공용 벽체거푸집을 지지하여 바닥면과의 높이 편차를 조절하는 거푸집으로, 벽체의 시공에 있어서 배부름 등과 같은 시공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벽체거푸집을 지지하여 바닥면과의 사이의 높이 편차를 조절할 수 있게 상기 바닥면에 설치되는 좌대틀과, 상기 좌대틀의 상측에 구비되어 벽체거푸집을 지지하는 거푸집 지지틀 및 상기 거푸집 지지틀의 좌대틀에 결속시키며 높이조절되게 하는 높이조절수단으로 구성되는 거푸집 지지구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턴버클 조절구로 구성하고, 벽체거푸집의 하중을 직접지지할 수 있게 거푸집 지지틀의 거푸집지지판 수직하부에 설치 구비하고, 상기 좌대틀의 바닥안착판에 넘어짐 방지를 위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며 바형상으로 이루어진 두 개 이상의 버팀지지판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턴버클 조절구는 거푸집지지틀의 거푸집지지판 하부와 좌대틀의 바닥안착판 상면에 각기 구비되는 조절너트관과, 상 하부로 상기 조절너트관과 나사 결합되는 조절볼트를 형성한 높이조절구와, 상기 높이조절구의 중앙부위에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지지판과, 상기 회전지지판에 회전을 위한 공구를 결합할 수 있게 관체로 이루어져 등 간격으로 설치 구비되는 공구결합관을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거푸집 지지구조는 전장폼의 시공 전,후에 전장폼들의 연속 연결시의 각각의 높낮이가 편차를 갖는 일이 비일비재하였다.
따라서 이를 단지 못으로 고정된 버팀지지판을 통하여 일일이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버팀지지판의 설치는 물론 높낮이 조절의 유리함은 있으나, 분리 해체 작업시 작업자로 하여금 고정부분에 못으로 고정하거나 제거과정에서 전장폼을 지탱하는 수단이 없어 넘어짐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전장폼 전도사고로 이어져 작업현장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전장폼의 연속 설치시에 전장폼이 전체적으로 수평 설치가 가능하도록 편차 조절장치를 강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는,
상기 전장폼의 하부 프레임에 상,하 관통되게 설치되며,내주면에 나선을 형성한 원통형 암합부재와, 하단으로 광폭의 헤드를 이루고, 스템상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일자홈을 형성한 숫합부재 및 관공이 형성된 브릿지형의 브라켓을 형성한 레벨파이프를 포함하여,
상기 숫합부재를 브라켓의 저부에서 관통됨과 동시에 암합부재를 관통하여 그 상단이 노출된 상태에서 나사맞춤으로 전장폼 높낮이가 조절되는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의 상기 숫합부재는 상단에 나사맞춤 조절용 일자홈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종래 전장폼의 설치시에 다수 전장폼들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경우 그 높낮이 편차(L)로 인하여 전장폼의 측면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장폼들의 측면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는 크게 전장폼(1)과,이 전장폼(1)의 하부 프레임(12)내에 수직 고정된 원통부재(52)와, 원통부재(52)에 결합됨과 아울러 전장폼(1)과의 높이가 조절되는 숫합부재(3)와, 이 숫합부재(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벨파이프(2)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전장폼(1)은 이미 전술한 바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 다. 다만, 이 전장폼(1)의 하부 프레임(12)에 상,하 관통되게 설치되며,내주면에 나선(52a)을 형성한 원통부재(52)를 하부 프레임(12) 적당한 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원통부재(52)의 하방은 관통되어 후술하는 숫합부재(3)가 하부에서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숫합부재(3)는 하단으로 광폭의 헤드(31)을 이루고, 스템상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일자홈(33)을 형성한 대략 장볼트형을 이루며, 그 상단은 일자홈(33)을 형성하여 나사맞춤 작동시 간단하게 드라이버등의 도구로서 일자홈(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레벨파이프(2)에는 전술한 관공(22a)이 형성된 브릿지형의 브라켓(22)이 설치되어 양측이 개방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전장폼의 하부 프레임(12)하부에는 킥커(4)가 더 부착되어 있다. 이 킥커(4)는 하부 프레임과의 사이에 볼팅 체결되어 결합된다.
<실시예2>
첨부 도면중 도 4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는 크게 전장폼(1)과,이 전장폼(1)의 하부 프레임(12)내에 설치된 암합부재(5)와, 이 암합부재(5)에 결합됨과 아울러 전장폼(1)과의 높이가 조절되는 숫합부재(3)와, 이 숫합부재(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레벨파이프(2)로 이루어진다.
암합부재(5)는 평판상의 플레이트(51)와 이 플레이트(51)상에 수직하여 세워진 원통부재(52)로 이루어진다. 원통부재(52)내에는 나사(52a)가 형성되고, 플레이트(51)의 상면에는 체결공(54)가 형성되며, 볼트(53)들로 전장폼 하부프레임(12)내측에 볼팅 고정된다. 이때 암합부재(5)의 하방은 관통되어 후술하는 숫합부재(3)가 하부에서 관통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숫합부재(3)는 하단으로 광폭의 헤드(31)을 이루고, 스템상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일자홈(33)을 형성한 대략 장볼트형을 이루며, 그 상단은 일자홈(33)을 형성하여 나사맞춤 작동시 간단하게 드라이버등의 도구로서 일자홈(3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레벨파이프(2)에는 전술한 관공(22a)이 형성된 브릿지형의 브라켓(22)이 설치되어 양측이 개방되어 있다.
첨부 도면중 도 6a,6b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는 도 6a에서 도시하는 바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두개 인접하는 전장폼(1)끼리 연속 연결할 경우 레벨파이프(2)들이 위치한 지면의 편차(L)로 인하여 전장폼(1)의 맞닿는 양측면을 웨지핀등으로 체결하기 불가능하므로 이때에 도 6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 전장폼(1)의 암합부재(5)를 관통하는 숫합부재(3)의 일자홈(33)을 드라이버등으로 회전시키면 숫합부재(3)의 나사가 암합부재(5)내부 나사에 맞추어 져 일측 전장폼의 높이가 타측 전장폼의 높이와 같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가 원하는 두 전장폼(1)의 양측면이 같은 높이로 유치하게 되므로 양측 전장폼의 측면 연결이 가능하게끔 웨지핀,볼팅등의 연속 연결작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바닥면과의 높이 편차를 조절하는 거푸집 지지구와 버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a,6b는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가 구현된 전장폼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의 시공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3)

  1. 삭제
  2.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장폼(1)의 하부 프레임(12)에 상,하 관통되게 설치되며,
    평판상의 플레이트(51)를 이루고, 이 플레이트(51)의 중심부에 나선(52a)를 형성한 원통부재(52)를 수직 형성하고, 볼트(53)로서 하부 프레임(12)에 체결되도록 체결공(54)을 형성하여서 되는 원통형 암합부재(5);
    하단으로 광폭의 헤드(31)을 이루고, 스템(32)상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단에는 일자홈(33)을 형성한 숫합부재(3); 및
    관공(22a)이 형성된 브릿지형의 브라켓(22)을 형성한 레벨파이프(2)를 포함하여,
    상기 숫합부재(3)를 브라켓(22)의 저부에서 암합부재(5)를 관통하여 그 상단이 노출된 상태에서 나사맞춤으로 전장폼 높낮이가 조절되는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3. 삭제
KR2020080008132U 2008-06-18 2008-06-18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KR200452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132U KR200452257Y1 (ko) 2008-06-18 2008-06-18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132U KR200452257Y1 (ko) 2008-06-18 2008-06-18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64U KR20090013064U (ko) 2009-12-29
KR200452257Y1 true KR200452257Y1 (ko) 2011-02-15

Family

ID=44244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132U KR200452257Y1 (ko) 2008-06-18 2008-06-18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25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014A (ja) * 2001-04-03 2002-10-09 Takeo Tanahashi コンクリート仮枠の水平調節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5014A (ja) * 2001-04-03 2002-10-09 Takeo Tanahashi コンクリート仮枠の水平調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064U (ko) 200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24381A1 (en) Support bracket apparatus
US88266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olumn
JP4732915B2 (ja) 基礎の構築方法と装置及び構築用アンカーボルト支持装置
US9217248B2 (en) Column assembly for use in building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ing same
US20090025309A1 (en) Seismic support and reinforcement systems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US11162265B2 (en) Support bracket assembly and method
US20180058082A1 (en) Ground anchor bracket for multiple wall braces
US20130333318A1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US8919060B1 (en) Connector and foundation for manufactured building
US20210340751A1 (en) Ground anchor bracket with simulated slab support for concrete wall braces
JP6971681B2 (ja) 横架材設置方法
KR200452257Y1 (ko) 연속 연결되는 전장폼의 수평 조절장치
CA2888404A1 (en) Support bracket apparatus
KR100877495B1 (ko) 확장형 발코니 안전난간대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JP6181000B2 (ja) 鉄骨土台を備えた建築物の基礎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022713B1 (ko) 전장폼의 전도 방지장치
JP2000073561A (ja) 外部支柱の設置方法
WO2004029379A1 (en) A device for mounting objects to a wall
KR200362839Y1 (ko) 지하옹벽용 대형거푸집 고정구조
KR200285281Y1 (ko) 콘크리트 합벽 지지대
CN212773411U (zh) 一种新型建筑外脚手架连墙装置
KR200320198Y1 (ko) 지하옹벽용 거푸집 고정구
US20240125127A1 (en) Toggle bolt connector system for hollow jo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