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45Y1 -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1845Y1 KR200451845Y1 KR2020080014424U KR20080014424U KR200451845Y1 KR 200451845 Y1 KR200451845 Y1 KR 200451845Y1 KR 2020080014424 U KR2020080014424 U KR 2020080014424U KR 20080014424 U KR20080014424 U KR 20080014424U KR 200451845 Y1 KR200451845 Y1 KR 20045184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truss
- protrusion
- hole
-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73—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 G09F2007/1891—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 mod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러스부재와 다면 결합체가 연결부재를 이용해 결합 고정되어 견고한 연결부를 가지는 안정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다면결합체, 상기 다면결합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트러스부재 및 상기 다면결합체에 상기 트러스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트러스부재는 통공이 형성된 트러스연결부와 상기 트러스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트러스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결합체의 표면에는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면결합체의 결합돌기가 상기 트러스부재의 트러스연결부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견고하고도 조립이 간편한 연결부위를 가져서 규모가 큰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매우 안정적이며 조립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조립체, 연결부, 고정부재, 트러스부재, 다면결합체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assembly for a stable prefabricated structure having a solid connection portion is fixed to the truss member and the multi-faceted combination using a connecting member. The composit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lti-faceted assembly, a plurality of truss members coupled to the polyhedral assembly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russ member to the multi-faceted assembly. The truss member includes a truss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truss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truss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of the,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The composite assembly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ong and easy to assemble the connection portion has a very stable and excellent assembly performance even when forming a large assembly.
Assembly, connecting part, fixing member, truss member, multi-faceted assembly
Description
본 고안은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부재와 다면 결합체가 연결부재를 이용해 결합 고정되어 견고한 연결부를 가지는 안정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assembly for a stable prefabricated structure having a rigid connection portion is fixed to the truss member and the multi-faced combination using a connecting member.
공연장이나 전시장과 같은 행사 현장에서 대형 플랙카드 또는 전시품을 설치하기 위한 시설물로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상호 조립성이 우수하고, 운반이 양호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omplex assemblies for prefabricated structures are widely used as facilities for installing large flag cards or exhibits at event sites such as concert halls and exhibition halls. Such a composit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spaces indoors or outdoors because of excellent interassembly and good transportation.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트러스부재와 상기 트러스부재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면결합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면결합체는 상기 트러스부재를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하여 그 설치 공간 또는 설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규모의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구성재로서, 일반적으로 육면체 또는 구형의 형상을 가진다. A composit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generally consists of a plurality of truss members and a polyhedral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the truss members. The polyhedron is an auxiliary component that connects the truss member in various directions so that assemblie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can be form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or the purpose of installation, and generally has a hexahedral or spherical shape.
보다 다양한 형태의 조립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트러스부재가 다면결합체에 다양한 각도에서 결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다면결합체가 다방향성 결합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이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할 것이다. In order to be able to form a more various types of assembly it is necessary to allow the truss member to be coupled to the multi-faceted assembly at various angles. Therefore, it will be said that it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composite assembly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that the polyhedron has a multidirectional coupling structure.
종래에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가 다방향성 결합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다면결합체의 면, 모서리 및 꼭지점 등에 트러스부재를 핀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경우가 있다. Conventionally, in order to have a composit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in order to have a multidirectional coupling structure, the truss member may be coupled to a face, a corner, and a vertex of the polyhedron using pins.
하지만 이러한 핀은 트러스부재와 다면결합체가 연결되는 부위에 충분한 강성을 제공하지 못하므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연결부의 핀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부위가 취약하여 조립체가 일정 규모 이상으로 형성되기 경우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such a pin does not provide sufficient rigidity at the portion where the truss member and the polyhedral assembly are connected, and thus the pin of the connection part is easily broken when the size of the composite assembly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increases. Therefore, the composite assembly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components to each other is not stable when the assembly is formed over a certain scale.
또한, 상기 핀을 연결하기 위해서 트러스부재는 4개의 중공의 파이프와 이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아로 구성되며, 상기 다면결합체 또는 연결커넥터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4개의 핀을 일일히 상기 4개의 종공의 파이프에 결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립체의 조립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russ member for connecting the pin is composed of four hollow pipes and connecting bars interconnecting each other, and in order to be combined with the multi-faceted assembly or the connecting connector four pins to the four longitudinal pipes one by one. Must be combin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ssembly of the assembly is cumbersome.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견고하면서도 조립이 간단한 연결부위를 구비하여 더 안정적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ore stable assembly assembly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having a robust yet simple assemb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다면결합체, 상기 다면결합체에 결합되는 복수의 트러스부재 및 상기 다면결합체에 상기 트러스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트러스부재는 통공이 형성된 트러스연결부와 상기 트러스부재의 몸체를 이루는 트러스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면결합체의 표면에는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다면결합체의 결합돌기가 상기 트러스부재의 트러스연결부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결합돌기에 결합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mposite assembly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hedral body, a plurality of truss members coupled to the polyhedral body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russ member to the polyhedral body. The truss member includes a truss connecting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truss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truss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of the,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engaging projection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다면결합체는 복수의 단위결합판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다면결합체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polyhedron may be formed by coupling a plurality of unit bonding plates to each oth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hedron.
또한, 상기 단위결합판은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다면결합체는 6개의 상기 단위결합판이 상호 결합되어 정육면체를 이룰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nit bonding plate may have a square shape, and the polyhedron may form a cube by combining the six unit bonding plates with each other.
또한, 연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의 저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돌기가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위결 합판은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몸체부와 네 모서리부에 형성된 결합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경사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사면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사면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돌기가 상기 트러스부재의 트러스연결부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통공을 통해 돌출된 상기 연결돌기에 결합될 수도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connection body portion and a connection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ody portion so as to protrude in the same shape as the coupling protrusion. A coupling inclination portion formed, the coupling inclination portion has a slope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on member can be coupled, the connection member is coupled to the slope coupl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a truss connection portion of the truss memb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ng projection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통공과 상기 결합돌기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circular,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screw thread.
또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연결돌기와 체결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트러스연결부의 통공과 상기 연결돌기의 단면은 원형이며, 상기 연결돌기 및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ng projection,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through-hol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is circular, the thread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트러스연결부는 상기 트러스부재의 양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russ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truss member.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는 견고하고도 조립이 간편한 연결부위를 가진다. 따라서, 규모가 큰 조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매우 안정적이며 조립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The composite assembly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nection that is robust and easy to assemble.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ven in the case of forming a large scale assembly is very stable and excellent assembly.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 되지 않는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described as one embodiment, where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는 상호 결합되어 다면결합체(10)를 형성하는 복수의 단위결합판(100), 단위결합판(100)에 결합되는 트러스부재(200) 및 단위결합판(100)에 트러스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is a plurality of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결합판(100)은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동일한 형상의 단위결합판(100) 6개가 서로 결합하여 정육면체 형상의 다면결합체(10)를 형성한다. 단위결합판(100)은 그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몸체부(110)와, 결합몸체부(110)의 주위에 즉, 단위결합판(10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경사부(120)를 가진다. 결합경사부(120)는 결합몸체부(110)와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수직벽(122)과, 수직벽(122)의 단부로부터 단위결합판(100)의 모서리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벽(121)을 구비한다. 다면결합체(10)는 반드시 복수의 단위결합판(100)이 결합되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위결합판(100)의 형상은 반드시 정육면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면결합체(10)의 형상 또한 반드시 정육면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200)가 다면결합체(10)에 형성된 결합돌기(111)에 결합되고,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라도 채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다면결합체(10)를 형성하는 6개의 단위결합판(100)은 그 형상이 모두 동일하 므로, 결합시 인접하는 단위결합판(100)에 형성된 경사벽(121)이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경사벽(121)의 경사각도는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six
결합몸체부(110)와 결합경사부(120)의 수직벽(122)의 연결부에는 복수의 보강리브(130)가 형성된다. 결합경사부(120)가 수직벽(122)과 경사벽(121)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보강리브(130)가 더 형성됨으로써, 단위결합판(100)의 전체 중량이 감소되면서도, 강도는 크게 감소되지 않는 이점이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plurality of reinforcing
결합몸체부(110)의 중앙에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의 원통형의 결합돌기(111)가 형성된다. 결합돌기(111)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200)의 트러스연결부(210)의 통공(211)에 삽입되고, 결합부재(300)가 결합되어 견고한 연결 부위를 형성하는데 이용된다. 결합돌기(111)가 중공축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단위결합판(100)의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으나, 그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이 관통되지 않은 원통형의 돌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e center of the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다면결합체(10)를 형성하는 단위결합판(1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결합체(1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결합판(100)은 그 배면의 모서리 부근에 가운데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 제1결합부(101)와 제2결합부(102)를 구비한다. 제1결합부(101)는 단위결합판(100)의 배면에서 정면으로 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제2 결합부(102)는 단위결합판(100)의 배면과 수직되게 연장된 돌기의 중앙에 통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결합부(102)에 형성된 통공은 제1결합부(101)를 형성하는 통공과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가진다. As shown in FIG. 2, the
제1결합부(101)와 제2결합부(102)의 중심은 단위결합판(100)의 모서리 중앙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단위결합판(100)이 수직으로 배치되면, 제1결합부(101)는 인접한 단위결합판(100)의 제2결합부(102)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제2결합부(102)는 인접한 단위결합판(100)의 제1결합부(101)와 접하도록 배치된다. 제1결합부(101)와 제2결합부(102)의 형상에 의해서 단위결합판(100)이 상호 인접되어 배치되면 다면결합체(10)의 외부에서 내부를 볼 때 제1결합부(101)와 제2결합부(102)의 통공이 동일선상에 놓이게 된다.The center of the
6개의 단위결합판(100)이 수직으로 인접하여 모두 배치되면 단위결합판(100)의 제1결합부(101)에 의해 형성된 통공을 통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볼트를 삽입하여 각각의 단위결합판(100)을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결합판(100)을 상호결합시키기 위해서 제1결합부(10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된 볼트의 끝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2결합부(101)의 배면에는 너트(103)가 견고히 고정되어 설치된다. 6개의 단위결합판(100)이 상기와 같이 서로 인접하여 고정 설치됨으로써, 정육면체 형상의 다면결합체(10)가 형성된다. When the six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는 트러스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200)는 길이방 향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트러스몸체부(220)와, 트러스몸체부(22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트러스연결부(210)를 구비한다. 도 1에서 트러스부재(200)는 일단부만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러스연결부(210)는 정사각형 형상의 판 구조이며, 중앙에 통공(211)이 형성된다. 트러스몸체부(220)는 4개의 중공 파이프(221)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원형 보강구조물(222)로 구성되며, 각각의 파이프(221)는 트러스연결부(210)의 네 꼭지점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가볍고도 튼튼한 트러스부재(200)가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트러스연결부(210)에 형성된 통공(211)은 트러스부재(200)가 단위결합판(100)에 결합될 때 결합돌기(111)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결합돌기(111)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rough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는 고정부재(3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0)는 그 저면에 결합부(301)가 형성되며, 결합부(301)는 결합돌기(111)와 꼭 맞게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도 1에는 고정부재(300)가 저면에서 상면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ing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결합체(10), 트러스부재(200) 및 고정부재(3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다면결합체(10), 트러스부재(200) 및 고정부재(3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트러스부재(2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트러스연결 부(210)의 통공(211)에, 다면결합체(10)를 형성한 단위결합판(100)의 결합돌기(111)가 삽입된다. 결합돌기(111)의 높이는 트러스연결부(210)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결합돌기(111)가 트러스부재(200)의 통공(211)에 삽입되면 결합돌기(111)의 일부분이 통공(211)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트러스부재(200)를 단위결합판(100)에 결합하고 난 후에 고정부재(300)의 결합부(301)(도 1 참조)를, 상기 통공(211)을 관통하여 돌출된 결합돌기(111)의 일단부에 결합시킨다. 고정부재(300)는 트러스부재(200)의 측면에서 보강구조물(222)의 사이로 트러스부재(200)의 내부에 위치되고, 결합돌기(111)에 결합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3,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결합돌기(111)의 일단부와 결합홈(301)은 서로 억지끼움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체(1)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결합돌기(111)의 외주면과, 결합홈(301)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도 1 참조)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트러스연결부(210)의 통공(211)과 단위결합판(100)의 결합돌기(111)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는 매우 견고한 연결부를 가지게 된다. 또한, 트러스부재(200)와 단위결합판(100)을 고정부재(300) 하나만을 이용해 간단히 연결할 수 있으므로 네 개의 핀을 이용해 연결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매우 간편하게 조립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By such a coupling structure,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very solid connection. In addition, since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통형의 결합돌기(111)가 단위결합판(100)의 중앙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트러스부재(200)가 단위결합판(100)에 결합된 후 트러스부재(200)가 고정되지 못하고 축을 중심으로 조금씩 회전될 수 있다. 트러스부재(200)가 회전하면 나사산으로 체결되어 있는 고정부재(300)와 결합돌기(111)의 연결이 헐거워질 수 있어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결합판(100)의 결합돌기(111) 주위에 복수의 연결보조돌기(112)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nly one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보조돌기(112)가 단위결합판(100)의 결합몸체부(110)의 네 꼭지점 부근에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보조돌기(112)는 트러스부재(110)의 파이프(221)의 통공과 체결 가능한 위치와 형상을 가진다. 이 때 파이프(221)의 통공은 연결보조돌기(112)와 체결가능한 연결보조통공(223)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며, 연결보조돌기(112)와 연결보조통공(223)는 트러스부재(200)가 단위결합판(100)에 연결된 후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준다. Referring to FIG. 3, a connecting
본 실시예에서 트러스부재(20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보조돌기(112)와 연결보조통공(223)으로서, 파이프(221)의 통공 및 이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보조돌기(112)를 이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200)의 트러스연결부(210)의 통공(211) 주위에 별도의 복수의 통공(212)을 형성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단위결합판(100)의 결합몸체부(110)의 한 위치(131)에 상기 통공(212)에 대응되는 별도의 복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연결보조돌기와 연결보조통공으로서의 역할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connecting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분 리 사시도이다. 도 4에서 트러스부재(200)는 일 단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only one end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는 다면결합체(10)의 모서리부에 트러스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재(400)는 다면결합체(10)의 모서리부에 결합되는 연결몸체부(420)와, 연결몸체부(420)의 저면에서 결합돌기(1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돌기(410)로 이루어진다. 연결몸체부(420)는 연장돌기(410)와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판(421)과, 연결몸체판(421)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423)와, 연결몸체판(421)과 연결몸체(423)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보강리브(422)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the prefabricated structure further includes a
연결부재(400)는 다면결합체(10)의 각 모서리에 사면결합부(123)를 통해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결합판(100)에 형성된 결합경사부(120)의 중앙에는 반원의 단면을 가지는 사면결합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위결합판(100)이 결합되는 경우에 사면결합부(123)는 서로 연결되어 원형의 통공을 형성한다. The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00)의 연결몸체부(420)의 상단에도 통공(4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400)의 통공(424)과 사면결합부(123)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을 볼트 등으로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조립의 편의를 위해서 연결부재(400)의 연결돌기(410)는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중공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연결부재(400)는 중공축 형상의 연결돌기(410)와 통공(424)에 의해 상단과 하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연결부재(400)의 연결돌기(410)를 중공축 형 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재(400)의 중량이 감소되는 이점도 더불어 발생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through
이하에서는, 다면결합체(10), 트러스부재(200), 고정부재(300) 및 연결부재(4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연결부재(400)의 연결몸체부(420)가 다면결합체(10)의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면결합부(123)에 결합된다. 그리고 트러스부재(200)의 일 단부에 형성된 트러스연결부(210)의 통공(211)에 연결부재(400)의 연결돌기(410)가 삽입된다. 이 때, 트러스연결부(210)는 연결몸체판(421)에 의해서 지지되며, 연결돌기(410)의 높이는 트러스연결부(210)의 두께보다 높게 형성되어서 연결돌기(410)가 트러스부재(200)의 통공(211)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돌기(410)의 일부분이 통공(211)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트러스부재(200)와 연결부재(400)를 결합하고 난 후에 고정부재(300)의 결합부(301)를 상기 통공(211)을 관통하여 돌출된 연결돌기(410)의 일단부에 결합시킨다. 고정부재(300)는 트러스부재(200)의 측면에서 보강구조물(222)의 사이로 트러스부재(200)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결돌기(410)에 결합된다. Hereinafter,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연결돌기(410)의 일단부와 결합홈(301)은 서로 억지끼움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연결돌기(410)의 외주면과, 결합홈(301)의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서로 체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트러스연결부(210)의 통공(211)과 연결부재(400)의 연결돌기(410)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end of the
원통형의 연결돌기(410)가 연결부재(400)의 배면 중앙에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트러스부재(200)가 결합된 후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트러스부재(200)가 결합된 후에 회전되면 전체적인 구조물의 안정성을 미치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돌기(410) 주위에 복수의 연결보조돌기(426)를 형성한다. 연결보조돌기(426)는 트러스부재(200)의 트러스연결부(210)의 통공(211) 주위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212)과 체결되어 트러스부재(200)가 연결부재(400)에 연결된 후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해준다.Since only one cylindrical connecting
또한, 연결부재(400)와 다면결합체(10)가 연결부재(400)의 통공(424)과 사면결합부(123)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만으로 결합되는 경우 연결부재(400)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 없으므로, 연결부재(400) 역시 다면결합체(10)에 연결된 후 회전될 수 있다. 연결부재(400)가 회전되면 그와 결합된 다른 구성요소가 같이 회전되므로 역시 구조물의 안정성을 안좋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연결보조돌기(426)와 같은 회전 방지 지지 수단이 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the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결합체(10)와 연결부재(400)의 분리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재(400)의 연결몸체(423)의 상면에 절개홈(425)이 형성된다. 절개홈(425)의 단면은 포니테일(pony tail) 형상이다. 사면결합부(123) 양단에는 회전방지돌기(124)가 형성된다. 회전방지돌기(124)는 절개홈(425)의 포니테일 형상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재(400)를 다면결합체(10)에 결합할 때에, 연결부재(400)의 연결몸체(423)를 다면결합체(10)의 모서리에 밀착시키고, 절개홈(425)에 회전방지돌기(1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밀어넣어 결합시킨다. 회전방지돌기(124)와 절개홈(425)에 의해서 연결부재(400)가 다면결합체(10)에 연결된 후에도 회전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회전방지 수단의 구조와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s shown in FIG. 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결합사시도이다.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러스부재(200)가 다면결합체(10)의 12개의 모서리와 6개의 면에 결합가능하다. 즉, 총 18방향에서 트러스부재(200)가 연결 가능하다. 다면결합체(10)의 각 면 즉, 단위결합판(100)의 결합몸체부(110)와 트러스부재(200)의 결합관계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18방향에서 트러스부재(200)가 연결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결합 사시도이다.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러스부재(200)는 양 단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트러스연결부(210)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결합체(10)에 결합된 트러스부재(200)의 끝단에 또 다른 트러스부재(200)가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트러스부재(200)는 상술한 실시예의 고정부재(300)과 연결부재(400)를 이용해 결합된다. 먼저 두 트러스부재(200)의 트러스연결부(210)를 맞닿도록 하여 서로 길이방향으로 배치하고, 두 개의 트러스부재(200)에 형성된 두 통공(211)에 연결부 재(400)의 연결돌기(410)를 삽입한다. 통공(211)을 관통하여 돌출된 연결돌기(410)의 일부분에 고정부재(300)를 결합시킨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트러스부재(200)의 양 단에 동일한 형상의 트러스연결부(210)를 형성하면 트러스부재(200) 조립 시에 다면결합체(10)의 체결부와 서로 체결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특정한 단부를 찾아내어 결합시킬 필요가 없이, 어느 단부 방향으로도 모두 체결이 가능하므로,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트러스부재(200)를 고정부재(300)와 연결부재(400)를 이용해 길이방향으로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연결가능하므로 다양한 규모의 안정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게된다. When th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결합체(10)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결합체(10), 트러스부재(200) 및 고정부재(3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분리 사시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면결합체(10)와 연결부재(400)의 분리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결합사시도이다.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용 복합 조립체(1)의 결합 사시도이다. 7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site assembly 1 for a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4424U KR200451845Y1 (en) | 2008-10-29 | 2008-10-29 |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14424U KR200451845Y1 (en) | 2008-10-29 | 2008-10-29 |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4725U KR20100004725U (en) | 2010-05-10 |
KR200451845Y1 true KR200451845Y1 (en) | 2011-01-13 |
Family
ID=44243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14424U KR200451845Y1 (en) | 2008-10-29 | 2008-10-29 |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1845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1877B1 (en) * | 2015-08-04 | 2015-12-31 | 이상길 | Assembly block set |
WO2018105922A1 (en) * | 2016-12-05 | 2018-06-14 | 김부성 | Construction teaching set for education |
KR102039022B1 (en) * | 2017-11-17 | 2019-10-31 | 김부성 | Assembly Teaching Aids for Education |
KR101808964B1 (en) | 2016-12-05 | 2017-12-22 | 박수진 | Assembly Teaching Aids for Education |
KR200497289Y1 (en) * | 2022-05-13 | 2023-09-26 | 최용수 | Connection unit of assembly toy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7699A (en) * | 2000-12-07 | 2003-08-14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Multipath communications receiver |
US20040065890A1 (en) * | 2002-09-27 | 2004-04-08 | Gerard Alphonse | Narrow spectral width light emitting devices |
KR200367699Y1 (en) * | 2004-08-16 | 2004-11-12 | 김인태 | 26th direction connection possibility composition structure |
-
2008
- 2008-10-29 KR KR2020080014424U patent/KR20045184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7699A (en) * | 2000-12-07 | 2003-08-14 |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 Multipath communications receiver |
US20040065890A1 (en) * | 2002-09-27 | 2004-04-08 | Gerard Alphonse | Narrow spectral width light emitting devices |
KR200367699Y1 (en) * | 2004-08-16 | 2004-11-12 | 김인태 | 26th direction connection possibility composition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4725U (en) | 2010-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51845Y1 (en) | Complex assembly for composition structure | |
US10883265B2 (en) | Connector for precast concrete structures | |
US20110280649A1 (en) | Construction joints and related connectors | |
AU2006312798B2 (en) | Connection node for a three-dimensional framework, in particular for a geodesic structure | |
KR101517119B1 (en) | Lower support of sectional dome structure | |
KR20110001689U (en) | Temporary truss construct | |
KR20180000163U (en) | Block assembly for exhibition structure | |
US9903107B1 (en) | Beam connector | |
KR200168537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partition | |
EP1291470B1 (en) | Truss construction and coupling part, basic element and coupling element for application therein | |
JP3238991U (en) | Assembled storage rack | |
KR101921633B1 (en) | structure of geodesic dome-shaped house | |
JP2008031826A (en) | Assembling type pedestal for placing object | |
KR20160084205A (en) | Structure assembly | |
JP2017115429A (en) | Joint structure, framework structure, and tent structure | |
KR101517114B1 (en) | Lower support of sectional cube structure | |
JP2006219974A (en) | Joint for wooden building | |
AU2020312071A1 (en) | Coupling device for the modular construction of structures or objects | |
JP4594807B2 (en) | Frame structure | |
JP6837798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of ceiling panel and ceiling | |
KR20050016727A (en) | 26th direction connection possibility composition structure | |
JP2005213891A (en) | Joint metal | |
KR101900054B1 (en) | Frame system for furniture | |
JP3119545U (en) | Stone monument | |
KR20090042358A (en) | Frame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