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23Y1 - 거품기 - Google Patents

거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23Y1
KR200451823Y1 KR2020090005614U KR20090005614U KR200451823Y1 KR 200451823 Y1 KR200451823 Y1 KR 200451823Y1 KR 2020090005614 U KR2020090005614 U KR 2020090005614U KR 20090005614 U KR20090005614 U KR 20090005614U KR 200451823 Y1 KR200451823 Y1 KR 2004518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handle
bubbler
ring
r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6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251U (ko
Inventor
박정주
Original Assignee
박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주 filed Critical 박정주
Priority to KR20200900056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23Y1/ko
Publication of KR20100011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10Egg-whisks; Cream-beaters, i.e. hand implements or hand-driven devices
    • A47J43/1087Whisks or similar tools comprising mixing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잡이의 거품기를 구성하는 교반체의 흐트러짐이 없도록 하여 교반할 때에 교반체가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희석이나 반죽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특히 교반할 때 반죽물이 넓게 퍼짐으로써 혼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손잡이(2)와, 상기 손잡이(2)에 결합되며 반죽물을 교반하는 교반체(3)를 가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한 교반체(3)는 상기 손잡이(2)에 인셔트되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5)와, 상기 고정부(5)에서 분기되되 각각의 종단들이 상기 고정부(5)에 연결되는 다수의 교반링(4)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링(4)들 중 최소한 하나의 교반링(4)에는 다른 교반링(4)들의 일 부위가 내입되어 고정되는 절곡요부(6)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교반링(4)들과 고정부(5)는 판체에 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을 벌려서 형성시키어 일체로 구성된 거품기를 제공한다.
거품기, 교반기, 조리용구, 반죽기, 조리구.

Description

거품기{A Whisk for cooking use}
본 고안은 계란이나 밀가루 등을 휘저어서 희석시키거나 반죽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거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의 거품기를 구성하는 교반체의 흐트러짐이 없도록 하여 교반할 때에 교반체가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희석이나 반죽이 원활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특히 교반할 때 반죽물이 넓게 퍼짐으로써 혼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거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에 계란이나 밀가루를 교반하여 희석시키거나 반죽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거품기는 소정 길이의 철사를 절곡 구성하여 수 개의 교반체의 상단부를 모아서 손잡이에 인서트 된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거품기는 사용 중 교반체를 잡아줄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거품기를 사용할 시 각 교반체가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희석이나 반죽 등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근자에는 상기와 같이 거품기를 이용하여 교반할 때에 교반체들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반체를 잡아줄 수 있도록 각각의 교반체가 서로 묶여진 거품기가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교반체를 묶어줄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거품기로는 한국등록특허제10-500743호 및 한국등록실용신안제20-26804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교반체의 종단을 서로 꼬아서 묶는 수단과, 별도로 교반체들을 묶어주는 결합링을 구비하여 교반체들이 서로 묶여 있어 한쪽으로 쏠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품기들은 다수의 철사를 손잡이에 인서트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결합링이 구성되거나 교반체를 꼬는 등의 작업이 수반되는 등 제조작업이 어려워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후에 결합링과 교반체가 꼬이는 곳에 남은 반죽물이 끼어 씻기에 불편하고 철사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을 교반을 할 때에 반죽물이 넓게 퍼지지 않아 교반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교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작이 쉬워 생산성이 증대됨은 물론 각각의 교반체의 소정부위를 결합하여 교반할 때에 교반체들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으며, 특히 교반할 때 반죽물이 넓게 퍼짐으로써 혼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거품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거품기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며 반죽물을 교반하는 교반체를 가진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한 교반체는 상기 손잡이에 인셔트되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분기되되 각각의 종단들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교반링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교반링 중 최소한 하나의 교반링에는 다른 교반링의 일 부위가 내입되어 고정되는 절곡요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교반링의 외주면은 다각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거품기는 교반체가 단일의 판체에서 분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그 구성 및 제작이 용이하고, 교반체와 손잡이의 결합이 단순히 단일의 고정부를 손잡이에 용접 혹은 인서트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이 쉬워 생산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교반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교반링들의 소정부위가 묶음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서 교반할 때에 교반링들이 일측으로 쏠리지 않으며, 특히 교반링의 외주면이 다각형의 직선부를 가져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할 때 반죽물이 넓게 퍼짐으로써 혼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거품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거품기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의 거품기(1)는 사람이 손으로 취부하는 봉상의 손잡이(2)와, 상기 손잡이(2)의 하부에 결합되어 반죽물을 교반하는 교반체(3)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교반체(3)는 봉상의 교반링(4)을 가지고 있다.
즉 다수의 교반링(4)들이 다양한 각도로 겹쳐진 것으로 이루어져 반죽물이 상기 교반링들(4)들의 사이공간을 통과하면서 교반된다.
본 실시예의 거품기(1)는 상기한 교반체(3)가 상기 손잡이(2)에 인셔트되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5)와, 상기 고정부(5)에서 분기되되 각각의 종단들이 상기 고정부(5)에 연결되는 다수의 교반링(4)들로 이루어진다.
상게에서 상기 교반링(4)들과 고정부(5)는 판체에 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을 벌려서 형성시킴으로서 일체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5)와 교반링(4)은 단일 체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순한 프레스공정과 인장작업을 통해 교반체(3)가 제조됨으로서, 생산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한 교반링(4) 중 최소한 하나의 교반링(4)에는 다른 교반링(4)의 일 부위가 내입되어 고정되는 절곡요부(6)가 형성된다.
즉 다수의 교반링(4)이 절곡요부(6)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반죽물을 교반할 때,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교반링(4)의 외주면은 다각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반죽물이 교반될 때 다각형상을 가진 교반링(4)의 외주면(직선부로이루어진)과 맞물리어 종래의 원형상의 교반체들 보다 더욱 넓은 범위로 펴지면서 교반된다.
즉 반죽물의 교반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거품기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에 대한 확대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의 거품기의 일 부위가 발취된 작용상태 예시도,
도 4는 종래의 거품기의 일 부위가 발취된 작용상태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거품기, 2 : 손잡이,
3 : 교반체, 4 : 교반링,
5 : 고정부, 6 : 절곡요부.

Claims (2)

  1.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며 반죽물을 교반하는 다수의 교반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체들의 최선단이 서로 결속된 통상의 거품기에 있어서;
    상기한 교반체는 상기 손잡이에 인셔트되어 고정되는 판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분기되되 각각의 종단들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교반링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교반링들 중 최외측에 위치된 교반링의 최선단에는 다른 교반링들의 일 부위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절곡요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교반링들과 고정부는 판체에 일방향으로 다수의 절개선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선을 벌려서 형성시키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기.
  2. 삭제
KR2020090005614U 2009-05-09 2009-05-09 거품기 KR2004518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14U KR200451823Y1 (ko) 2009-05-09 2009-05-09 거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614U KR200451823Y1 (ko) 2009-05-09 2009-05-09 거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51U KR20100011251U (ko) 2010-11-18
KR200451823Y1 true KR200451823Y1 (ko) 2011-01-13

Family

ID=44203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614U KR200451823Y1 (ko) 2009-05-09 2009-05-09 거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2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4208A (zh) * 2015-06-11 2017-01-04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搅打结构及发泡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1960A (ko) 1973-09-29 1975-05-27
JPS5660435U (ko) 1979-10-17 1981-05-22
KR200268047Y1 (ko) * 2001-11-28 2002-03-15 한성균 거품기
KR20020068047A (ko) * 2000-09-29 2002-08-24 칭화대학교 상호연결된 다 자유도 연동 슈를 갖는 드럼식 브레이크
US20050083777A1 (en) * 2002-03-12 2005-04-21 Browne & Co. Ltd. Covered kitchen utensil and a covering for a kitchen utensi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1960A (ko) 1973-09-29 1975-05-27
JPS5660435U (ko) 1979-10-17 1981-05-22
KR20020068047A (ko) * 2000-09-29 2002-08-24 칭화대학교 상호연결된 다 자유도 연동 슈를 갖는 드럼식 브레이크
KR200268047Y1 (ko) * 2001-11-28 2002-03-15 한성균 거품기
US20050083777A1 (en) * 2002-03-12 2005-04-21 Browne & Co. Ltd. Covered kitchen utensil and a covering for a kitchen utens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251U (ko)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65785A1 (en) Whisk attachment
US20070014187A1 (en) Whisk-a-bowl
EP2505071A3 (en) Torque limiting disposable agitator for a food mixer
KR200451823Y1 (ko) 거품기
US8851738B2 (en) Dough blender with scraper
EP1695646B1 (en) Culinary whisk
US7677879B1 (en) Apparatus for docking dough
EP3123866A3 (en) Food product containing hemp
EP2554051A1 (en) Dough kneader machine and related method of making an alimentary dough
KR20110122584A (ko) 거품기 및 그 제조방법
US9028213B2 (en) Culinary whisk
KR10123079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거품기
KR200275656Y1 (ko) 거품기
JP3149886U (ja) 草刈り用ナイロンコード
KR200268047Y1 (ko) 거품기
RU189095U1 (ru) Венчик
CN204091797U (zh) 一种新型打蛋器
JP7426009B2 (ja) 食品撹拌具
JP2011156334A (ja) 調理器具
KR200497839Y1 (ko) 편의성이 개선된 전동식 거품기
US1720361A (en) Mixing device
CN211832629U (zh) 一种花形s型和面棒
CN211299653U (zh) 一种搅拌棒及打蛋机
JP2012223550A (ja) 組み合わせ式フライパン
JP3198630U (ja) 泡立て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428

Effective date: 201012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