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751Y1 -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751Y1
KR200451751Y1 KR2020080011167U KR20080011167U KR200451751Y1 KR 200451751 Y1 KR200451751 Y1 KR 200451751Y1 KR 2020080011167 U KR2020080011167 U KR 2020080011167U KR 20080011167 U KR20080011167 U KR 20080011167U KR 200451751 Y1 KR200451751 Y1 KR 200451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oilet
far
lamp
infrared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208U (ko
Inventor
이희덕
이화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정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정기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정기획
Priority to KR2020080011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75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2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양변기 본체와 원적외선 램프가 장착되는 램프장착공간이 밀봉되어 구획되도록 구비되는 커버의 고정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은 램프장착공간을 향하는 커버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부재가 구비된다. 이 클립부재는 커버가 고정되도록 램프장착공간의 하단에 고정된 클램프부재의 상단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의하면, 양변기 본체와 램프장착공간의 경계부에 구비되는 커버가 클립부재와 연결부재를 매개로 클램프부재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커버의 연결부위에 대한 취약성이 클립부재에 의해 보완되어 클램프부재의 당김력에 의한 균열 및 손상이 방지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커버의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연결부위가 클립부재로 보완되어 클램프부재로 커버를 강하게 당겨 고정할 수 있다.
양변기, 원적외선 램프, 커버, 고정

Description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FIXING STRUCTURE FOR COVER OF INSTALLING-LAMP IN A TOILET STOOL}
본 고안은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변기 본체에 사용자의 생식기와 항문부위의 살균,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원적외선 램프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램프장착공간과 양변기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커버의 고정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람이 걸터앉아서 용변을 보기 위한 좌변기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양변기는 사용에 따른 위생상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시로 세척 및 살균해야 했고, 또한 양변기 고유의 기능 이외에는 다른 어떠한 기능도 구비하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양변기의 고급화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근래에는 양변기 내에 사용자의 생식기 및 항문부위에 원적외선 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원적외선에 의한 살균 및 각종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361957호의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가 개시되 어 있다.
상기한 양변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 본체(100)의 전방측 하부면에는 램프장착공간(102)이 형성되고, 램프장착공간(102) 내에는 적외선 램프(104)가 배치되어 양변기 본체(100)의 후단에 구비된 브라켓트(106)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커버(108)의 램프소켓(109)에 고정되며, 양변기 본체(100)의 선단에는 램프장착공간(102)이 밀봉되도록 렌즈커버(110)가 배치되어 브라켓트(106)와 연결되는 클램프부재(120)에 의해 고정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양변기는 양변기 본체의 내부와 램프장착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렌즈커버가 클램프부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커버를 밀봉시키기 위한 클램프부재의 당김력에 의해 렌즈커버의 연결부위에 균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균열의 누적에 의해 연결부위가 손상되어 클램프부재의 당김력에 의한 밀봉력이 저하됨으로써 교체가 불가피하여 렌즈커버를 장기간 사용할 수 없으며, 렌즈커버의 잦은 교체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렌즈커버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클램프부재는 금속제로 형성되기 때문에 렌즈커버와 클램프부재의 재질에 따른 렌즈커버의 취약성으로 장기간의 사용시 클램프부재의 당김력에 의해 렌즈커버의 연결부위에 균열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 본체 내에 원적외선 램프가 장착되도록 형성된 램프장착공간과 양변기 본체의 내부를 구획하기 위한 커버의 고정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여 커버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양변기 본체의 형성된 램프장착공간 내에 장착되는 원적외선 램프; 상기 원적외선 램프가 고정되는 램프소켓이 구비되어 램프장착공간의 하단부에 브라켓트를 매개로 고정되는 하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와 대응되도록 램프장착공간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양변기 본체와 램프장착공간이 밀봉되도록 구획하기 위한 커버; 및 상기 커버가 고정되도록 상단이 커버와 연결되고 하단은 브라켓트와 연결되는 다수의 클램프부재;를 구비한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램프장착공간을 향하는 커버의 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클램프부재의 상단에 힌지부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 에는 걸림홈과 대응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는 걸림홈에 걸림되도록 돌출부에 끼움 결합되어 돌출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 상기 클립부재는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탄성 걸림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립부재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의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자유단에는 연결홈에 끼움 연결된 후 클램프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되기 위한 걸림단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은 양변기 본체와 원적외선 램프가 장착되는 램프장착공간이 밀봉되게 구획되도록 구비되는 커버가 클립부재와 연결부재를 매개로 클램프부재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커버의 연결부위에 대한 취약성이 클립부재에 의해 보완되어 클램프부재의 당김력에 의한 균열 및 손상이 방지되므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고 커버의 교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커버의 연결부위가 클립부재에 의해 보완되어 클램프부재로 커버를 강하게 당겨 고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양수기 본체와 램프장착공간 사이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 양변기 본체(10)를 구비한다, 양변기 본체(10)의 전방측 하부면에는 램프장착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램프장착공간(12) 내에는 용변시 사용자의 생식기와 항문부위의 살균,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원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원적외선 램프(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원적외선 램프(14)는 양변기 본체(10)의 후방측 하부면에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원적외선 램프(14)는 램프장착공간(12)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링 형상의 브라켓트(16)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하부커버(18)에 고정되게 된다.
즉, 하부커버(18)에는 램프장착공간(12)을 향하는 램프소켓(19)이 구비되어 있고, 원적외선 램프(14)는 램프소켓(19)에 교환 가능하도록 장착되게 된다.
여기서 원적외선 램프(14)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점,소등되도록 구성되고, 점등시 원적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또한, 램프장착공간(12)의 상단부에는 양변기 본체(10)와 램프장착공간(12)이 밀봉되도록 구획하기 위한 커버(2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커버(20)는 원적외선 램프(14)의 원적외선이 원활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커버(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 본체(10)와 램프장착공간(12)이 밀봉되게 구획되도록 램프장착공간(12)의 상단부에 위치된 후 별도의 고정구조물에 의해 고정되게 되며, 이를 위해서 커버(20)의 일측면에는 링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의 외주연에 는 다수의 걸림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홈(22)은 돌출부(2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다.
또한, 돌출부(2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클립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클립부재(24)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 클립부재(24)에는 걸림홈(22)과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클립부재(24)는 돌출부(21)의 걸림홈(22)에 걸림돌기(26)가 탄성 걸림되도록 끼움 결합되어 돌출부(21)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 클립부재(24)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의 연결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홈(28)에는 후술할 연결부재(36)가 연결되게 된다. 이때, 연결부재(36)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20)와 브라켓트(16) 사이에는 상단이 커버(20)와 연결되고 하단은 브라켓트(16)와 연결되어 커버(20)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프부재(30)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클램프부재(30)는 클립부재(24) 및 연결부재(36)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클램프부재(30)는 커버(20)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 1 부재(32), 및 제 1 부재(32)와 탄성부재(33)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브라켓트(16)와 연결되는 제 2 부재(34)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부재(32)와 제 2 부재(34)는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평판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탄성부재(33)로부터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제 1 부재의 상단에는 힌지부(37)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부재(36)의 자유단에는 클립부재(24)의 연결홈(28)에 끼움 연결된 후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걸림되도록 대략 티자(T)자 형상을 갖는 걸림단(38)이 형성되어 있다.
즉, 클립부재(24)와 연결부재(36)의 연결시 걸림단(38)은 연결부재(36)가 힌지부(37)를 중심으로 제 1 부재(32)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연결홈(28)에 끼움되고 연결홈(28)에 끼움된 후에는 제 1 부재(32)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연결부재(36)에 의해 연결홈(28)에 걸림되는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연결부재(36)는 클립부재(24)와 연결된 후 걸림단(38)과 연결홈(28)의 걸림구조에 의해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연결부재(36)는 제 1 부재(3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연결부재(36) 없이 걸림단(38)이 제 1 부재(32)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제 2 부재(34)의 하단에는 외향으로 굴절 형성되는 고정단(34A)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단(34A)에는 브라켓트(16)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7)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34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프부재(30)는 제 1 부재(32)의 상단이 연결부재(36)를 매개로 커버(20)에 구비된 클립부재(24)와 연결되고 제 1 부재(32)와 탄성부재(33)로 연결되는 제 2 부재(34)의 하단이 브라켓트(16)에 고정된 후 제 1,2 부재(32,34)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한 신축성으로 커버(20)를 고정하는 구조로 된 것이다.
또, 제 1 부재(32)와 제 2 부재(34)의 일측에는 이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도록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굴절부(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굴절부(35)에는 이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나사(3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간격조절나사(39)에 의한 굴절부(35) 간의 간격조절을 통해 제 1,2 부재(32,34)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신축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커버(20)를 고정하기 위해 작용하는 탄성부재(33)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커버(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물을 구성하는 클립부재(24), 연결부재(36) 및 클램프부재(30)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23”는 양수기 본체(10)와 램프장착공간(12)이 밀봉되도록 커버(20)에 구비되는 패킹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변기 본체(10)와 램프장착공간(12)이 밀봉되어 구획되도록 구비되는 커버(20)가 클램프부재(3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지 않고 돌출부(21)에 구비되는 클립부재(24)를 매개로 클램프부재(30)와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탄성부재(33)의 탄성에 의한 클램프부재(30)의 당김력으로 고정되는 커버(20)의 연결부위에 대한 균열 및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커버(20)의 돌출부(21)에는 클립부재(24)가 구비되고 클램프부재(30)에 는 연결부재(36)가 구비되어 클립부재(24)와 연결부재(36)의 연결에 의해 커버(20)가 클램프부재(30)에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커버(20)의 재질에 따른 취약성이 금속으로 형성된 클립부재(24)에 의해 보완됨으로써, 클램프부재(30)와 연결되는 커버(20)에 대한 균열 및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20)의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커버(20)가 클립부재(24)를 매개로 클램프부재(30)와 연결되어 고정되므로, 간격조절나사(39)에 의한 클램프부재(30)의 탄성력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20)를 강한 탄성으로 당겨 고정할 수 있으므로 양수기 본체(100)와 램프장착공간(12) 사이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커버(20)에 구비된 클립부재(24)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6)는 연결홈(28)에 걸림단(38) 끼움되어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걸림되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20)의 고정시 클립부재(24)와 연결되는 연결부재(36)가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클립부재(24)와 연결부재(36)의 연결시 걸림단(38)은 연결부재(36)가 힌지부(37)를 중심으로 제 1 부재(32)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동된 상태에서 연결홈(28)에 끼움되고 연결홈(28)에 끼움된 후에는 제 1 부재(32)와 수직을 이루도록 회동되는 연결부재(36)에 의해 연결홈(28)에 걸림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36)는 클립부재(24)와 연결된 후 연결홈(28)에 걸림되는 걸림단(38)에 의해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게 걸림되므로 클립부재(24)와 연결된 연결부 재(36)가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램프가 장착된 양변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따른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원적외선 램프가 장착된 양변기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양변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양수기 본체 12 : 램프장착공간
14 : 원적원선램프 20 : 커버
21 : 돌출부 22 : 걸림홈
24 : 클립부재 26 : 걸림돌기
28 : 연결홈 30 : 클램프부재
36 : 연결부재 38 : 걸림단

Claims (4)

  1. 양변기 본체(10)의 형성된 램프장착공간(12) 내에 장착되는 원적외선 램프(14); 상기 원적외선 램프(14)가 고정되는 램프소켓(19)이 구비되어 램프장착공간(12)의 하단부에 브라켓트(16)를 매개로 고정되는 하부커버(18); 상기 하부커버(18)와 대응되도록 램프장착공간(1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양변기 본체(10)와 램프장착공간(12)이 밀봉되도록 구획하기 위한 커버(20); 및 상기 커버(20)가 고정되도록 상단이 커버(20)와 연결되고 하단은 브라켓트(16)와 연결되는 다수의 클램프부재(30);를 구비한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램프장착공간(12)을 향하는 커버(20)의 일면에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클립부재(24)가 구비되고, 상기 클립부재(24)는 클램프부재(30)의 상단에 힌지부(37)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재(36)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걸림홈(22)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24)에는 걸림홈(22)과 대응되는 걸림돌기(26)가 형성되며, 상기 클립부재(24)는 걸림홈(22)에 걸림되도록 돌출부(21)에 끼움 결합되어 돌출부(21)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24)는 걸림돌기(26)가 걸림홈(22)에 탄성 걸림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재(24)에는 길이방향으로 장공형의 연결홈(28)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36)의 자유단에는 연결홈(28)에 끼움 연결된 후 클램프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되도록 걸림되기 위한 걸림단(3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KR2020080011167U 2008-08-21 2008-08-21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KR200451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167U KR200451751Y1 (ko) 2008-08-21 2008-08-21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167U KR200451751Y1 (ko) 2008-08-21 2008-08-21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08U KR20100002208U (ko) 2010-03-04
KR200451751Y1 true KR200451751Y1 (ko) 2011-01-10

Family

ID=44197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167U KR200451751Y1 (ko) 2008-08-21 2008-08-21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0160A1 (en) * 2018-02-27 2021-05-13 Jun Gue LEE Toilet bowl with an infrared gen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453B1 (ko) * 2019-03-13 2019-09-02 이준규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009U (ja) 1983-07-25 1985-02-19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S62167306U (ko) 1986-04-14 1987-10-23
KR100361957B1 (en) 2002-05-23 2002-11-23 Alphatechbill Co Ltd Toilet for medical treatment with infrared lamp
KR20040025176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이금속이 담지된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산화분해 반응용촉매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유기화합물의 제거방법
KR200425176Y1 (ko) 2006-04-12 2006-09-01 이금훈 원적외선 양변기의 원적외선램프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009U (ja) 1983-07-25 1985-02-19 松下電工株式会社 照明器具
JPS62167306U (ko) 1986-04-14 1987-10-23
KR100361957B1 (en) 2002-05-23 2002-11-23 Alphatechbill Co Ltd Toilet for medical treatment with infrared lamp
KR20040025176A (ko) * 2002-09-18 2004-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이금속이 담지된 염소계 유기화합물의 산화분해 반응용촉매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소계유기화합물의 제거방법
KR200425176Y1 (ko) 2006-04-12 2006-09-01 이금훈 원적외선 양변기의 원적외선램프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140160A1 (en) * 2018-02-27 2021-05-13 Jun Gue LEE Toilet bowl with an infrared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208U (ko)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084B1 (ko)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KR200451751Y1 (ko)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KR20090098644A (ko) 비데 노즐부 살균장치
US20150354189A1 (en) Sanitary toilet
KR200196447Y1 (ko) 원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KR200464353Y1 (ko) 변기커버 자동 올림장치
KR100398536B1 (ko) 원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KR20110002665U (ko) 탈부착 가능한 원적외선 조사장치
KR102017458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7457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0204252Y1 (ko) 가요성 젖병
KR102017461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8029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7453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120094993A (ko) 소변용 신발커버
KR101400070B1 (ko) 살균 램프를 구비한 가습기 구조
KR102041444B1 (ko) 탈부착형 위생 변기시트 덮개 장치
CN105768999A (zh) 一种带挡水屏的浴缸
KR100823088B1 (ko) 원적외선 발생장치가 구비된 좌변기
US20110203679A1 (en) Bidet conversion kit
CN205568833U (zh) 一种带挡水屏的浴缸
KR102018031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CN215829565U (zh) 一种显示呼吸灯效果的马桶
KR101685688B1 (ko) 좌변기용 램프장치
CN214574393U (zh) 一种具有紫外线消毒功能的马桶陶瓷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