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461B1 -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 Google Patents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461B1
KR102017461B1 KR1020190071301A KR20190071301A KR102017461B1 KR 102017461 B1 KR102017461 B1 KR 102017461B1 KR 1020190071301 A KR1020190071301 A KR 1020190071301A KR 20190071301 A KR20190071301 A KR 20190071301A KR 102017461 B1 KR102017461 B1 KR 102017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toilet
bowl
infrared generator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규
Original Assignee
이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규 filed Critical 이준규
Priority to KR102019007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461B1/ko
Priority to US17/299,525 priority patent/US11511004B2/en
Priority to JP2020502216A priority patent/JP6903814B1/ja
Priority to CN201980003721.9A priority patent/CN111344463B/zh
Priority to ES19933009T priority patent/ES2948814T3/es
Priority to EP19933009.3A priority patent/EP3882409B1/en
Priority to PCT/KR2019/010602 priority patent/WO2020251114A1/ko
Priority to HUE19933009A priority patent/HUE062679T2/hu
Priority to PL19933009.3T priority patent/PL3882409T3/pl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5Infrared radi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 몸체, 적외선 발생기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울 및 림 도수관을 각각 성형하여, 양변기 몸체에 보울과 림 도수관을 각각 결합시킬 수 있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양변기 몸체(100);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천공하지 않고 형성되는 보울(200); 및 상기 보울(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림 도수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양변기 몸체(100), 보울(200) 및 림 도수관(300)은 각각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Toilet bowl with infrared generator}
본 발명은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변기 몸체, 적외선 발생기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적외선 투과영역을 천공하지 않고 형성되는 보울 및 림 도수관을 각각 성형하여, 양변기 몸체에 보울과 림 도수관을 결합시킬 수 있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는 사용자의 생식기 및 항문부위를 살균 및 치료하여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내측 상단에 걸림편이 형성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내부에 적외선램프를 장착할 수 있는 소켓이 형성되는 소켓커버; 상기 케이싱 내측상단의 걸림편과 체결되는 결합편을 가지며, 양변기 몸체 내부를 향하여 상기 적외선램프의 적외선을 조사시키는 방열렌즈가 설치되는 방열렌즈커버; 및 상기 방열렌즈와 상기 케이싱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변기 몸체 내부와 수밀하게 하는 누수방지패킹을 포함하는 적외선 램프 고정장치가 양변기 몸체 일측에 형성된 설치홀에 설치되는 양변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원적외선 양변기의 원적외선램프 고정구조에 있어서, 양변기(100)와, 상기 양변기(100)의 전면 하부로 돌출되어 원적외선이 삽입되는 "U"자형의 원적외선램프삽입부(110)와, 상기 원적외선램프삽입부(110)에 내장되는 원적외선램프의 고정장치와, 상기 양변기(100)의 전면 하부로 일측면에 내장되어 설치된 센서(80)와, 상기 원적외선램프삽입부(110)에 삽입되며 원적외선램프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된 원적외선램프(6)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양변기의 원적외선램프 고정구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양변기 본체 내벽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 원적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양변기 본체 내부로 원적외선이 조사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멍 형성 과정이 어렵고 복잡하여 제조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구멍과 원적외선 램프 사이에 패킹이 설치되지만, 계절에 따른 패킹의 신축으로 인해 패킹이 쉽게 손상됨으로써 그 틈새 사이로 대소변이 누설되고, 이로 인해 적외선 램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5084호(2007.08.28.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5176호(2006.08.24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양변기 몸체 및 트랩의 상부에 적외선 발생기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울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결합시키고, 보울 상부에 림 도수관을 결합시킴으로써, 보울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적외선 발생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변 등의 배설물이 적외선 발생기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보울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적외선발생물질을 코팅하거나 또는 보울 성형 시 적외선발생물질을 첨가하여 성형함으로써 보울 내면으로 방출되는 적외선 방출량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적외선 방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는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양변기 몸체(100);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천공하지 않고 형성되는 보울(200); 및 상기 보울(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림 도수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양변기 몸체(100), 보울(200) 및 림 도수관(300)은 각각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트랩(110)의 상단 내면에는 단차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의 상단 둘레에는 양변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절곡돌기(201)가 형성되고, 상기 보울(200)의 하단 둘레에는 트랩(110)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1)에 결합되는 제2 절곡돌기(2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은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발생된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에 형성된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상기 보울(2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적외선발생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에 형성된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상기 보울(200) 성형 시 적외선발생물질을 첨가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의 내부면 중 적외선 투과영역(220)이 형성된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의 내부면 중 적외선 투과영역(220)이 형성된 영역은 볼록렌즈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울(200)은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외부 일측에는 적외선 발생기(4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0)에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5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1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20)에는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5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돌기(5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5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개구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홈(5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개구부(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자석부재(5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상기 개구부(120)의 내면에 구비되는 금속부재(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581)과, 상기 삽입홈(581)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형의 케이스(582)와, 상기 케이스(582)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돌기(583)와, 상기 가압돌기(583)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탄성작용을 수행하는 스프링(58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120)에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5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구(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600)는 상기 개구부(120) 둘레에 결합되는 단턱(611)을 갖는 걸림부(612)가 형성된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보울(200)의 하부면에 면 접촉되는 지지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60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외장커버(500)에는 상기 고정수단에 대응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외장커버(500)는 상기 고정구(600)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는 양변기 몸체에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보울을 결합시키고, 보울의 상부에 림 도수관을 차례대로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보울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적외선 발생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변 등의 배설물이 적외선 발생기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울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적외선발생물질을 코팅하거나 또는 보울 성형 시 적외선발생물질을 첨가하여 성형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적외선의 방출량을 증대시키고, 적외선 방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질병 치료와 예방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의 분리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장커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커버와 적외선 발생기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C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는 양변기 몸체(100),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보울(200), 상기 보울(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림 도수관(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양변기 몸체(100), 보울(200) 및 림 도수관(300)은 각각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된다.
통상의 양변기는 변기커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도기로 제조되며, 양변기 몸체에 트랩, 보울 및 림 도수관 등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양변기에 적외선 발생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양변기 몸체와 보울에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구멍 형성 과정이 어렵고 복잡하며, 구멍과 적외선 발생기 사이의 틈새 사이로 대소변 등의 배설물이 누설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변기 몸체(100) 내부에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천공하지 않고 형성되는 보울(200)이 결합되고, 상기 보울(200)의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림 도수관(300)이 보울(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울의 결합구조에 의해 보울(200)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고도 적외선 발생기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소변 등의 배설물이 적외선 발생기(400)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보울(200)은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 특히 적외선의 광선 및 열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의 광선 및 열이 투과되는 것을 육안 및 피부로 확인할 수 있는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수정 등 다양한 재질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울(200)의 적외선 투과영역(220)만을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의 광선 및 열이 투과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고,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보울(200)의 배수공(210)과 상호 연결되는 트랩(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변기 몸체(100)에는 물이 담수되는 수조(130)가 구비되며, 상기 보울(200)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물은 트랩(110)을 통해 배수구(140)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울(200)의 상단 둘레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1 절곡돌기(201)가 형성되고, 상기 보울(200)의 하단 둘레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 절곡된 제2 절곡돌기(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절곡돌기(201)는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절곡돌기(202)는 트랩(110)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1)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절곡돌기(202)는 트랩(110)의 상부 내면과 동일한 수직면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절곡돌기(202)의 두께는 단차부(111) 넓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트랩(110)의 상단 내면에는 보울(200)의 제2 절곡돌기(202)가 결합되는 단차부(111)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단차부(111)의 형성으로 상기 보울(200)의 하단이 트랩(110)의 상단에 정확하게 결합되게 함으로써, 보울(200)이 트랩(110)에 대해 밀착력을 더욱 긴밀하고 보울(200)과 트랩(110) 간의 평활도를 균일하게 한다.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상부면과 제1 절곡돌기(201) 및 상기 단차부(111)와 제2 절곡돌기(202)의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으로 상기 제1 절곡돌기(201)를 양변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절곡돌기(202)를 단차부(1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접착력을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림 도수관(300)의 하부는 외측이 하부 방향으로 더 돌출된 단차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에 의해 림 도수관(300)의 하부 외측에는 안착돌기(301)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림 도수관(300)의 안착돌기(301) 외측면은 양변기 몸체(100)의 외측면과 동일한 외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림 도수관(300)의 안착돌기(301)는 하부면이 상기 양변기 몸체(100)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림 도수관(300)의 안착돌기(301)의 내측에 형성된 수직면(302)은 보울(200)의 제1 절곡돌기(201) 외측면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림 도수관(300)의 안착돌기(301) 이외의 하부면은 보울(200)의 제1 절곡돌기(201)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면(310)이 형성되고, 안착면의 내측에는 림 도수관(300)에 연통된 배출공(3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림 도수관(300)의 안착돌기(301)는 양변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기 림 도수관(300)의 안착면(310)은 보울(200)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림 도수관(300)의 안착돌기(301) 및 안착면(310)에 의해 보울(200)의 제1 절곡돌기(201)가 감싸지는 형태로 서로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결합된 부분의 강도가 높아지고, 국부적으로 발생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림 도수관(300)에 형성된 배출공(320)은 안착면(310)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배출공(32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가 보울(200)의 내면을 따라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림 도수관(300)의 수직면(302)과 보울(200)의 제1 절곡돌기(201) 상부면 사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를 통해 림 도수관(300)을 제1 절곡돌기(201)의 외면에 결합하는 경우 밀착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밀착력의 향상은 물이 양변기 몸체(100)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단차부(111)와 보울(200)의 제2 절곡돌기(202)의 사이에도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수팽창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팽창고무는 일반적으로 물과 접촉될 때 이온 이동이 발생되어 침투압 및 밀도가 감소되는 특성과 아울러 흡수하면 이온들의 배척에 의해 그것의 용적이 팽창하고 건조된 후에는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는 성질을 갖는다.
이와 같이 수팽창고무는 물 흡수 후 용적이 팽창하므로, 틈새 등에 사용하면 틈새가 충분히 충전되어 그로부터 침투되는 물을 차단시켜 누수방지 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수팽창고무는 천연고무 및/또는 BR(Butadien Rubber), SBR(Styrene Butadien Rubber) 등의 합성고무, 가황제, 백카본, 황산바륨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울(200)은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의 투과는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의 광선 및 열이 투과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사용자가 육안 및 피부로 확인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또한,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적외선 발생기에서 발생된 적외선의 광선 및 열이 보울(200)의 내부공간로 투과될 수 있는 색상이면 충분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적외선의 광선 및 열이 보다 잘 투과될 수 있는 색상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의 재료에 적외선이 투과되는 색상을 혼합하여 보울을 제조하거나, 제조된 보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외선이 투과되는 색상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보울(200)을 제외한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모든 영역은 반투명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으로 형성되며, 재질은 보울(200)과 동일하게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보울(200)과 다른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도기 등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보울(200)의 내부에 일시 수용되는 배설물이 양변기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을 정도의 색상을 의미하며, 적외선의 투과가 가능한 색상일 수도 있고, 적외선의 투과를 제한하는 색상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반투명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인해 양변기의 외관이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색상으로 형성된 양변기의 외관으로 인해 미적 효과가 다양해 질 수 있으며, 또한 보울(200)의 내부에 일시 수용되는 배설물이 양변기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울(200)의 반투명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상기 보울(200)의 내면 또는 외면에는 적외선발생물질을 코팅함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울(200)의 내면 또는 외면 상에 적외선발생물질 분말을 고르게 분포시킨 상태에서 코팅도료를 도포하여 적외선발생물질 분말을 보울(200)의 내면 또는 외면 상에 고정시키거나, 코팅도료에 적외선발생물질 분말을 첨가 혼합하여 보울의 내면 또는 외면 상에 코팅시킬 수 있다. 이때, 적외선발생물질 코팅 방법으로는 딥 코팅, 스프레이 코팅, 롤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보울(200)의 반투명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상기 보울(200)은 사출 성형 시 적외선발생물질을 첨가하여 성형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즉, 제작된 몰드를 이용하여 보울(200)을 성형하는 과정에서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료와 함께 인체에 유익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발생물질을 추가로 첨가하여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발생물질은 토르말린, 일라이트, 석영, 규사, 금강석, 화산석, 적철석, 방해석, 세리사이트, 흑운모, 황토, 맥반석, 옥 및 숯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원료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이면 충분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보울(200)에 코팅되거나 또는 첨가되는 적외선발생물질을 통해 적외선 발생기(400)와 더불어 다량의 적외선을 지속적으로 방출시켜 변기 주변의 세균의 번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적외선의 방출량을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보울(200)의 일측에는 보울(200)을 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외선 투과영역(220)이 형성된다.
상기 적외선 투과영역(220)은 보울(200)을 천공하지 않고 형성되는데, 이는 적외선 발생기(400)를 구비하기 위해 보울(200)을 천공함으로써 발생되는 보울(200) 내부에 수용되는 배설물이 보울(200)에 형성된 구멍의 틈새를 통해 누설되어 양변기가 오염되는 비위생적인 문제점과 배설물 누설로 인해 발생되는 적외선 발생기(400)의 고장 및 오작동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울(200)을 천공하지 않고 적외선 발생기를 양변기에 구비하므로 인해 보울(200) 내부에 수용되는 배설물이 누설되어 양변기를 오염시키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배설물 누설로 인해 적외선 발생기의 고장 및 오작동 등의 문제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적외선 투과영역(220)은 보울(2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보울(200)의 일측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외선 투과영역(220)은 보울(200) 성형과정에서 보울(200)과 함께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적외선 투과영역(220)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배설물을 일시 수용하는 보울(200)의 내부면이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적외선 발생기에서 발생된 적외선이 보울(200)의 내부로 조사될 때, 적외선이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통과할 때 발산하게 된다. 이러한 적외선 발산을 방지하고, 적외선이 사용자의 사용부위(항문, 엉덩이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평면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적외선 투과영역(220)은 볼록렌즈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적외선 투과영역(220)이 형성된 보울(200)의 내부면을 볼록렌즈와 같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발생되는 적외선이 사용자의 사용부위(항문, 엉덩이 등)에 집중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외부 일측에는 적외선 발생기(4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1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 적외선 발생기(400)를 삽입하여 양변기 몸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에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500)가 결합되며, 외장커버(500)에 의해 적외선 발생기(4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종래의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는 대부분 브라켓 또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적외선 발생기를 보호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적외선 발생기는 물론 이를 보호하는 브라켓 또는 케이스가 양변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노출 부분으로 예기치 못한 외력이 빈번하게 가해질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파손 가능성이 크고, 전원공급 단락에 의한 고장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변기 몸체(100)의 외부로 적외선 발생기(400)가 노출되지 않도록 외장커버(500)에 의해 수용 보호됨으로써, 외부 요인으로부터 적외선 발생기(400)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고급스럽고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커버(500)는 적외선 발생기(400)의 램프(410)가 안착되는 반구형의 램프안착홈(511a), 상기 램프안착홈(511a) 일측에 연통 형성되어 적외선 발생기(400)의 소켓(420)이 결합되는 소켓결합홈(511b) 및 상기 소켓결합홈(511b) 일측에 연통 형성되어 전선(430)이 인출되는 전선인출공(511c)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적외선 발생기를 설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브라켓, 방열캡, 고정리브 등이 사용되며, 이를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설치방법이 복잡하고, 설치 이후에는 브라켓이 양변기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외장커버(500)에 의해 적외선 발생기(400)의 결합구조를 단순화시켜 부품수를 줄이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1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530)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개구부(120)에 외장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외장커버(5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8은 결합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돌기(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돌출돌기(540)가 형성되어 있어 외장커버(500)를 상기 개구부(120)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개구부(120)에는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은 상기 개구부(12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돌기(1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장커버(500)에 형성된 돌출돌기(540)는 제품 설계 또는 제조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를 대체하여 상기 개구부(120)의 내면에 돌출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0a는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5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개구부(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20) 내면에 형성된 체결나사(122)에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나사(550)가 체결됨으로써 외장커버(50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개구부(120)에 형성된 체결나사(122)와 외장커버(500)에 형성된 체결나사(550)는 제품 설계 또는 제조 조건에 따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b는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홈(5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개구부(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20) 내면에 복수개로 형성된 체결돌기(123)에 외장커버(500)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된 체결홈(560)이 결합됨으로써 외장커버(50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개구부(120)에 형성된 체결돌기(123)와 외장커버(500)에 형성된 체결홈(560)은 제품 설계 또는 제조 조건에 따라 서로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자석부재(5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상기 개구부(120)의 내면에 구비되는 금속부재(12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개구부(120) 내면에 금속부재(124)가 구비되고,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자석부재(570)가 구비되어 있어, 외장커버(500)를 상기 개구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자석부재(570)가 금속부재(124)에 자력으로 부착되면서 외장커버(50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한다.
도 12는 결합수단 및 고정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581)과, 상기 삽입홈(581)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형의 케이스(582)와, 상기 케이스(582)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돌기(583)와, 상기 가압돌기(583)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탄성작용을 수행하는 스프링(58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외장커버(500)를 상기 개구부(120) 내면에 탄성결합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582)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돌기(583)를 스프링(584)이 탄성 지지하고 있어 외장커버(500)를 상기 개구부(120)에 결합시키는 경우 스프링(584)이 가압돌기(583)에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외장커버(500)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이탈을 방지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된 결합수단(삽입홈, 케이스, 가압돌기 및 스프링)은 제품 설계 또는 제조 조건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이를 대체하여 상기 개구부(120) 내면에 삽입홈, 케이스, 가압돌기 및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지지체(125)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외장커버(500)의 다양한 결합방식을 통해 외장커버(500)의 결합 및 분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외장커버(500)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해 별도의 도구가 필요없고,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20)에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5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구(60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양변기 몸체(100)의 개구부(120)에 고정구(600) 일측이 걸리도록 삽입되고, 타측이 양변기 몸체(100) 내부에 결합되는 보울(200)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고정구(600)를 양변기 몸체(100)에 결합할 수 있고, 고정구(600)의 위치도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구(600)는 상기 개구부(120) 둘레에 결합되는 단턱(611)을 갖는 걸림부(612)가 형성된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보울(200)의 하부면에 면 접촉되는 지지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600)는 단턱(611)을 갖는 걸림부(612)가 형성되는 구조로 인해 양변기 몸체(100)의 개구부(120)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결합력이 다소 부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고정구(600)의 타측이 보울(200)의 하부면에 면 접촉되어 보울(200)을 지지하면서 그 지지력으로 인해 양변기 몸체(100)와의 결합력과 결합 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몸체부(610)는 적외선 발생기(400)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보울(200)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부(610)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610)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보울(200)의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투과하여 양변기에 착석한 사용자의 사용부위(항문, 엉덩이 등)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외장커버(50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620)는 상기 몸체부(610)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울(200)의 외면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구(600)에는 앞에서 설명한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외장커버(500)에는 상기 고정수단에 대응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외장커버(500)는 상기 고정구(600)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고정구(600)에 외장커버(500)를 결합하는 경우 외장커버(5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외부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양변기 몸체 110 : 트랩
111 : 단차부 120 : 개구부
121 : 돌출돌기 122 : 체결나사
123 : 체결돌기 124 : 금속부재
125 : 탄성지지체 130 : 수조
140 : 배수구 200 : 보울
201 : 제1 절곡돌기 202 : 제2 절곡돌기
210 : 배수공 220 : 적외선 투과영역
300 : 림 도수관 301 : 안착돌기
302 : 수직면 310 : 안착면
320 : 배출공 400 : 적외선 발생기
410 : 램프 420 : 소켓
430 : 전선 500 : 외장커버
511a : 램프안착홈 511b : 소켓결합홈
511c : 전선인출공 530 : 패킹
540 : 돌출돌기 550 : 체결나사
560 : 체결홈 570 : 자석부재
581 : 삽입홈 582 : 케이스
583 : 가압돌기 584 : 스프링
600 : 고정구 610 : 몸체부
611 : 단턱 612 : 걸림부
620 : 지지부

Claims (20)

  1.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양변기 몸체(100);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며,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되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투과되는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천공하지 않고 형성되는 보울(200); 및
    상기 보울(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림 도수관(300);을 포함하며,
    상기 양변기 몸체(100), 보울(200) 및 림 도수관(300)은 각각 성형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트랩(110)의 상단 내면에는 단차부(1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의 상단 둘레에는 양변기 몸체(1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제1 절곡돌기(201)가 형성되고, 상기 보울(200)의 하단 둘레에는 트랩(110)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단차부(111)에 결합되는 제2 절곡돌기(2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은 적외선 발생기(400)에서 발생된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에 형성된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상기 보울(20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적외선발생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에 형성된 반투명의 유색 또는 불투명의 유색은 상기 보울(200) 사출 성형 시 첨가되는 적외선발생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의 내부면 중 적외선 투과영역(220)이 형성된 영역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의 내부면 중 적외선 투과영역(220)이 형성된 영역은 볼록렌즈와 같이 볼록하게 형성되고, 적외선 투과영역(220)을 제외한 영역은 오목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울(200)은 유리, 플라스틱, 세라믹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몸체(100)의 외부 일측에는 적외선 발생기(4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20)에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50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120)에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20)에는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대응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패킹(5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돌기(5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55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개구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나사(1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홈(56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개구부(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1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된 자석부재(57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120)에 구비된 고정수단은 상기 개구부(120)의 내면에 구비되는 금속부재(12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결합수단은 상기 외장커버(500)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홈(581)과, 상기 삽입홈(581)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원통형의 케이스(582)와, 상기 케이스(582)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압돌기(583)와, 상기 가압돌기(583)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탄성작용을 수행하는 스프링(58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0)에는 적외선 발생기(400)가 내측에 구비된 외장커버(50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구(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0)는 상기 개구부(120) 둘레에 결합되는 단턱(611)을 갖는 걸림부(612)가 형성된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보울(200)의 하부면에 면 접촉되는 지지부(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600)에는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외장커버(500)에는 상기 고정수단에 대응되는 결합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외장커버(500)는 상기 고정구(600)에 삽입되어 결합되되,
    상기 고정수단과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90071301A 2019-06-12 2019-06-17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7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301A KR102017461B1 (ko) 2019-06-17 2019-06-17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US17/299,525 US11511004B2 (en) 2019-06-12 2019-08-20 Toilet equipped with infrared generator
JP2020502216A JP6903814B1 (ja) 2019-06-12 2019-08-20 赤外線発生器付き洋便器
CN201980003721.9A CN111344463B (zh) 2019-06-12 2019-08-20 具备红外线产生装置的座便器
ES19933009T ES2948814T3 (es) 2019-06-12 2019-08-20 Taza de inodoro con generador de infrarrojos
EP19933009.3A EP3882409B1 (en) 2019-06-12 2019-08-20 Toilet bowl with infrared generator
PCT/KR2019/010602 WO2020251114A1 (ko) 2019-06-12 2019-08-20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HUE19933009A HUE062679T2 (hu) 2019-06-12 2019-08-20 Vécécsésze infravörös generátorral
PL19933009.3T PL3882409T3 (pl) 2019-06-12 2019-08-20 Muszla klozetowa z generatorem podczerwien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301A KR102017461B1 (ko) 2019-06-17 2019-06-17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461B1 true KR102017461B1 (ko) 2019-09-02

Family

ID=67951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301A KR102017461B1 (ko) 2019-06-12 2019-06-17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4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69B1 (ko) * 2019-08-20 2020-03-03 이준규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6A (ko) * 2001-01-16 2001-04-06 이금훈 원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KR200262727Y1 (ko) * 2001-09-28 2002-03-20 권순재 치료용 좌변기
KR200425176Y1 (ko) 2006-04-12 2006-09-01 이금훈 원적외선 양변기의 원적외선램프 고정구조
KR100755084B1 (ko) 2006-08-16 2007-09-06 동서산업주식회사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CN108589869A (zh) * 2018-05-06 2018-09-28 王振兴 一种全自动消毒马桶
KR101899759B1 (ko) * 2018-02-27 2018-10-31 이준규 적외선 발생기를 구비한 양변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66A (ko) * 2001-01-16 2001-04-06 이금훈 원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KR200262727Y1 (ko) * 2001-09-28 2002-03-20 권순재 치료용 좌변기
KR200425176Y1 (ko) 2006-04-12 2006-09-01 이금훈 원적외선 양변기의 원적외선램프 고정구조
KR100755084B1 (ko) 2006-08-16 2007-09-06 동서산업주식회사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KR101899759B1 (ko) * 2018-02-27 2018-10-31 이준규 적외선 발생기를 구비한 양변기
CN108589869A (zh) * 2018-05-06 2018-09-28 王振兴 一种全自动消毒马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69B1 (ko) * 2019-08-20 2020-03-03 이준규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761B1 (ko) 적외선 발생기를 구비한 양변기
KR102017461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PE27698A1 (es) Dispositivo para la sujecion de un componente para fluido
KR20170046265A (ko)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2017458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7457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US10222053B2 (en) Bathtub having at least one window and method of making a window in a bathtub
KR102018031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7460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0196447Y1 (ko) 원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양변기
EP3882409B1 (en) Toilet bowl with infrared generator
CN111344463B (zh) 具备红外线产生装置的座便器
KR102018029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102017453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PT941780E (pt) Processo e dispositivo de fabricacao de um corpo oco de forma tubular com protuberancias abauladas distanciadas umas das outras
KR102017459B1 (ko) 적외선 발생기가 구비된 양변기
KR200451751Y1 (ko) 양변기용 원적외선 램프의 커버 고정구조물
CN207672953U (zh) 一种具有净化空气功能的踢脚线结构及墙板结构
CN215829565U (zh) 一种显示呼吸灯效果的马桶
CN212913938U (zh) 一种新型紫外线消毒容器
CN206928828U (zh) 一种建筑市政工程门框的结构
KR20230076037A (ko) 자외선램프와 원적외선램프가 함께 또는 따로 내장된 물통
KR102547673B1 (ko) 비데
KR200236438Y1 (ko) 적외선 램프가 부착된 좌변기 커버
CN206829277U (zh) 一种带有发光装置的水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