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696Y1 -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696Y1
KR200451696Y1 KR2020100000455U KR20100000455U KR200451696Y1 KR 200451696 Y1 KR200451696 Y1 KR 200451696Y1 KR 2020100000455 U KR2020100000455 U KR 2020100000455U KR 20100000455 U KR20100000455 U KR 20100000455U KR 200451696 Y1 KR200451696 Y1 KR 2004516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ower supply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616U (ko
Inventor
서상준
김영태
김주용
김은경
서혜연
Original Assignee
서상준
김영태
서혜연
김은경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준, 김영태, 서혜연, 김은경, 김주용 filed Critical 서상준
Priority to KR2020100000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6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Abstract

본 고안은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외곽 가장자리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측부면을 따라 도선의 형태로 연속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패턴과, 상기 전원공급패턴에 인접되되, 일정거리 이격되며 본 전원공급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도선패턴과,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반전시키는 출력반전소자를 포함하는 반전패턴부,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반전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이 침수에 의해 단락될 경우, 상기 출력반전소자에 의해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에 수분이 침투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침수에 의한 내부회로의 이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에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침수확인부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UNDATION SENSING PRINTED CIRCUIT BOARD}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침수감지 기능을 부여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 수분이 침투할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 회로를 침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반도체, 전자분야 등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휴대가 가능한 각종 소형 전자기기들이 출시 및 보급되고 있다.
상기 소형 전자기기는, 대표적으로, 셀룰러 폰, PCS,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 단말기와,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이미 대중적으로 보급되었으며, 이러한 보급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들은 이제 현대인의 필수적인 휴대품이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일반적인 휴대는 장소와 시간을 구애받지 않으면서 사용이 가능하여 현대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있는 반면, 이는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다양한 환경에 노출될 수 있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 환경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가지 환경들 중에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명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대표적으로 침수에 의한 고장이다.
우천시,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거나, 바닷가 혹은 계속에서 휴대용 전자기기가 침수되는 경우는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으로, 대부분의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는 내부 회로에 파손이 생겨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 이르게 된다.
이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수분이라는 유전물질이 침투하면 내부회로에 단락이 발생하여 흐르는 전압이 변동되며, 심한 경우 회로소자들의 파손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조밀한 부품 배열로 이루어진 회로소자들은, 이상이나 파손이 생긴 회로소자를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 회로기판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며, 전원공급을 담당하는 배터리 역시 단락으로 인한 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도 한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양한 통신 디바이스와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기 위한 표시장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기본적인 로직 레벨의 전원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큰 구동 전압을 내부적으로 생성하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구동 전압의 수배에 달하게 된다.
따라서, 침수와 같이 유전물질이 순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높은 레벨의 전압이 약한 레벨의 전압으로 동작하는 소자에 제공되어 해당 소자를 파괴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전압을 제공하는 전극이 접지전극과 낮은 저항의 물을 통해 연결되면 순간적으로 높은 전류가 발생하여 미세하고 정교하게 마련된 회로의 선로 및 구동부에 충격을 줄 수도 있다.
만약,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상태라면 내부 회로부를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으로 대부분 재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의 특성 상, 항상 전원이 공급되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침수에 의한 영향을 쉽게 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수분이 침투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침수에 의한 내부회로의 이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침수감지 및 전원차단 기능을 부여하여 별개의 수분감지센서의 채택이 없이도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침수확인부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외곽 가장자리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측부면을 따라 도선의 형태로 연속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패턴과, 상기 전원공급패턴에 인접되되, 일정거리 이격되며 본 전원공급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도선패턴과,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반전시키는 출력반전소자를 포함하는 반전패턴부,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반전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이 침수에 의해 단락될 경우, 상기 출력반전소자에 의해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은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0.03~5(mm)의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선패턴은 전원공급패턴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은 0.05~0.1(mm)의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의 간격은 0.05~0.1(mm)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은 0.05~0.15(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은 금 또는 텅스텐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반전소자는 입력신호를 반전시키는 낫게이트(NOT GATE)와 본 낫게이트와 연결된 트랜지스터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용자에게 본 휴대용 전자기기의 침수여부를 확인시키는 침수확인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수확인부는 상기 도선패턴에 연결되며,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이 단락될 경우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수확인부는 LED 램프로 마련되며,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이 단락될 경우 점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해, 휴대용 전자기기에 수분이 침투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침수에 의한 내부회로의 이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침수감지 및 전원차단 기능을 부여하여 별개의 수분감지센서의 채택이 없이도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침수확인부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전술한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설명에 앞서, 도 1 에서는,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의 형성구조를 명확하게 인식시키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과장하여 도시하였지만, 실제 생산 제품 상에서는 인쇄회로기판의 외측에 미세한 형태로 가공 형성됨을 밝혀둔다.
도 1 내지 도 2 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외곽 가장자리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측부면(S)을 따라 도선의 형태로 연속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패턴(11)과, 상기 전원공급패턴(11)에 인접되되, 일정거리 이격되며 본 전원공급패턴(11)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도선패턴(13)과,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반전시키는 출력반전소자(15)를 포함하는 반전패턴부(17),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반전패턴부(17)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침수에 의해 단락될 경우, 상기 출력반전소자(15)에 의해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패턴(11)은 배터리(B)와 직렬로 연결되어 본 배터리(B)에서 공급된 전원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된 각종 소자들의 구동전원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상기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도선패턴(13)은 상기 전원공급패턴(11)에 인접하여 형성되되, 본 전원공급패턴(11)과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며, 후술할 침수확인부(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은 도선의 형태로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써, 전기적으로 상호 분리 배치되어 침수에 의한 수분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은, 도 1 에서와 같이, 3 개의 전원공급패턴(11)과 2 개의 도선패턴(13)으로 마련될 수 있지만, 단일의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전원공급패턴(11)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도선패턴(13)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은,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측부면(S)에 형성되어 수분침투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에 침입하는 수분을 우선적으로 감지하기 위하여 하우징(미도시)과 가장 가까운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가장자리로부터 0.03~5(mm)의 범위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에 장착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크기는 본 기기의 크기 및 성능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범위의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는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침수감지 범위를 결정하는 요소로써, 0.03mm 미만의 범위로 형성되면, 실제 가공시,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을 형성시키기 어려우며 , 5mm 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타 소자의 실장영역에 제한을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은 0.05~0.1(mm)의 폭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동일한 폭으로 마련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실제 도선 형성에 있어서 가공오차 내의 동일한 폭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의 간격은 0.05~0.1(mm)의 범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간격 범위는,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을 평상시(침수발생이 없을 경우)에 상호 단락이 발생할 수 없도록 분리시키기 위한 범위로써,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의 폭과 동일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은 0.05~0.15(m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높이는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도선 높이의 대략 2~3배 정도의 높이로써, 내부로 침투하는 수분에 대해 민감한 감지를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 사이에 잔존하는 수분이 완전 증발될 때(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이 전기적으로 분리)까지 수분감지역할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의 형성범위를 조절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의 침수감지범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도선의 폭, 도선의 간격, 도선의 높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작은 수분입자의 침투에도 민감한 감지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은, 전도성이 있는 모든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수분에 의한 화학반응이 없는 금 또는 텅스텐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출력반전소자(15)는, 도 1 내지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를 반전시키는 낫게이트(NOT GATE)(14)와 본 낫게이트(14)와 연결된 트랜지스터(16)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낫게이트(14)는 입력되는 신호를 반전시키는 논리 게이트의 일종으로써, "low(0)" 신호가 입력될 경우 "high(1)" 신호를 출력시키고, "high(1)" 신호가 입력될 경우 "low(0)" 신호를 출력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16)는 상기 낫게이트(1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소자로써, PNP 형 또는 NPN 형 트랜지스터(16)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낫게이트(14)와 트랜지스터(16)는, 전원공급수단인 배터리(B)와 도 2 에서와 같이 연결될 수 있으며, 도선패턴(13)의 상부에 도시되는 점선은 배터리(B)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패턴(11)은 배터리(B)와 직렬로 연결된 상태이므로, 평상시(인쇄회로기판에 침수가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 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배터리(B)의 전압에 의해 전류가 공급되어 전자기기가 켜지게 된다.
반면, 침수가 발생하여 수분이 침투하여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단락되게 되면, 도 2 에서 점선부분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낫게이트(14)에 입력되는 전류가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낫게이트(14)에 전류가 흐르면(high) 낫게이트(14)의 특성에 의해 출력값이 0(low)으로 나오며, 상기 트랜지스터(16)의 베이스로 입력되는 전류가 없으므로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공급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이 off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용자에게 본 휴대용 전자기기의 침수여부를 확인시키는 침수확인부(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수확인부(30)는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에 수분이 침투한 것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단락될 경우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침수확인부(30)는,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도선패턴(13)에 연결되며,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이 단락될 경우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수확인부(30)는 LED 램프로 마련되어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이 단락될 경우 점등되며, 상기 도선패턴(13)과 전원공급패턴(11)이 전기적으로 분리될 경우 점등이 해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상기 침수확인부(30)가 점등되면, 휴대용 전자기기와 배터리를 분리시키고, 내부가 건조될 수 있도록 일정시간을 경과시킨 후, 휴대용 전자기기와 배터리를 재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의 단락이 된 상태에서는, 이용자가 전원공급스위치를 작동시키더라도,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며, 상기 침수확인부(30)가 재 점등되어 전자기기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의 건조가 완료되지 않음을 알린다.
또한, 수분이 건조됨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전기적으로 분리되면, 상기 침수확인부(30)는 점등되지 않으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이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의 동작과정에 대해서 도 3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원이 공급됨(S10)에 따라,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의 수분감지(S20)가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서 수분이 감지되지 않으면 연속적으로 침수를 센싱하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단락되어 수분이 감지될 경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을 보호하기 위한 다음 단계로 전환된다.
다음,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수분 침투가 감지되면, 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S30)되며, 침수확인부(30)가 구동(S40)된다.
여기서,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전원이 차단되는 것은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단락되는 순간 회로패턴이 변하므로, 동시에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다음,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은 상기 S30, S40 단계가 실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침수감지를 연속적으로 수행(S50)한다.
여기서,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 상에 수분이 센싱될 경우, 상기 S30, S40 단계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시간의 경과로 수분이 증발하여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전기적으로 분리되면 다음 단계로 전환된다.
다음, 상기 전원공급패턴(11)과 도선패턴(13)이 전기적으로 분리되면,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10)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S60)되며, 상기 침수확인부(30)의 구동이 정지(S70)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내부에 침투한 수분이 건조되었음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킨다.
다음, 전술한 단계들이 연속적으로 반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수분이 침투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침수에 의한 내부회로의 이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 자체에 침수감지 및 전원차단 기능을 부여하여 별개의 수분감지센서의 채택이 없이도 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침수가 발생했을 경우, 이를 이용자에게 인식시키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부의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침수확인부를 구성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 11 : 전원공급패턴
13 : 도선패턴 15 : 출력반전소자
17 : 반전패턴부 30 : 침수확인부
B : 배터리

Claims (11)

  1.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외곽 가장자리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측부면을 따라 도선의 형태로 연속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패턴과,
    상기 전원공급패턴에 인접되되, 일정거리 이격되며 본 전원공급패턴과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도선패턴과,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에 연결되며, 입력전원을 반전시키는 출력반전소자를 포함하는 반전패턴부,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반전패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이 침수에 의해 단락될 경우, 상기 출력반전소자에 의해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은 상기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0.03~5(mm)의 범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패턴은 전원공급패턴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은 0.05~0.1(mm)의 폭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의 간격은 0.05~0.1(mm)의 범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패턴과 도선패턴은 0.05~0.15(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은 금 또는 텅스텐 합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반전소자는 입력신호를 반전시키는 낫게이트(NOT GATE)와 본 낫게이트와 연결된 트랜지스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용자에게 본 휴대용 전자기기의 침수여부를 확인시키는 침수확인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확인부는 상기 도선패턴에 연결되며,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이 단락될 경우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침수확인부는 LED 램프로 마련되며, 상기 도선패턴과 전원공급패턴이 단락될 경우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20100000455U 2010-01-15 2010-01-15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200451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55U KR200451696Y1 (ko) 2010-01-15 2010-01-15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455U KR200451696Y1 (ko) 2010-01-15 2010-01-15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120 Division 2008-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16U KR20100006616U (ko) 2010-06-29
KR200451696Y1 true KR200451696Y1 (ko) 2011-01-04

Family

ID=4424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455U KR200451696Y1 (ko) 2010-01-15 2010-01-15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6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6253A1 (en) 2012-01-10 2013-07-18 Hzo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for exposure of electronic devices to moisture and reacting to exposure of electronic devices to moisture
US9146207B2 (en) 2012-01-10 2015-09-29 Hzo, Inc.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sensing exposure of electronic devices to moisture
KR102307439B1 (ko) 2019-07-11 2021-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을 이용한 이동 로봇 및 이동 로봇의 제어방법
KR102370209B1 (ko) * 2020-12-23 2022-03-03 윤응식 무선 충전식 가열 및 보온 용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789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이동단말기의 물에 의한 손상 방지 장치
KR200296376Y1 (ko) 2002-09-10 2002-11-23 김승호 전자기기의 침수 보호장치
KR20020096376A (ko) * 2001-06-19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2차 고조파 발생을 위한 고체 레이저
KR20040110179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보호 장치
KR20050078582A (ko) *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침수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2789A (ko) * 1998-12-26 2000-07-15 윤종용 이동단말기의 물에 의한 손상 방지 장치
KR20020096376A (ko) * 2001-06-19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2차 고조파 발생을 위한 고체 레이저
KR200296376Y1 (ko) 2002-09-10 2002-11-23 김승호 전자기기의 침수 보호장치
KR20040110179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 보호 장치
KR20050078582A (ko) * 2004-02-02 2005-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침수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616U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334B2 (en) Charging system having circuit for delaying power supply
US7205900B2 (en) Water detec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portable electric device
KR200451696Y1 (ko) 침수감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844604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ally power supplying
TWI388248B (zh) 電子裝置
JP6532175B2 (ja) 装置からの情報の読み取りを可能にする装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10215927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nti-theft protection and mercury connector thereof
US9921697B2 (en) Touch sens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7184796A (ja) 水濡れ検出機能付き携帯端末機器
US105542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ory detec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4265758A (ja) El素子
US7990670B2 (en) Protective circuitry for electronic device
US9337158B2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thereof
US9148014B2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KR2012006773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입력패드
JP2009259937A (ja) 電子回路基板
US20140313038A1 (en) Detection device
CN101925250A (zh) 印刷电路板
EP4072251A1 (en)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JP2006203261A (ja) 半導体装置
JP2007128870A (ja) センサ
CN108199351B (zh) 一种终端
US8072775B2 (en) Printed circuit board
KR20040110271A (ko) 휴대 단말기의 침수 감지 전원 차단 장치
JP2006208219A (ja) 水滴浸入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