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96Y1 -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 Google Patents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96Y1
KR200451596Y1 KR2020090006835U KR20090006835U KR200451596Y1 KR 200451596 Y1 KR200451596 Y1 KR 200451596Y1 KR 2020090006835 U KR2020090006835 U KR 2020090006835U KR 20090006835 U KR20090006835 U KR 20090006835U KR 200451596 Y1 KR200451596 Y1 KR 200451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oil
cord
handset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094U (ko
Inventor
신석균
Original Assignee
신석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균 filed Critical 신석균
Priority to KR2020090006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96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0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5Protecting or guiding telephone co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꼬임방지 전화기코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전화기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전화기코드가 사용과정에서 꼬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으로 코일형태의 코일전화선 중앙에는 중심을 가로 질르는 탄성심선이 구비되어 송수화기를 사용 할 때 코일전화선이 늘거나 줄어들 때 함께 신축되며 코일전화선이 상호 넘어가서 꼬임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양단에 각기 송수화기잭과 전화기본체잭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송수화기잭과 전화기본체잭에는 코일전화선이 탄성심선과 함께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본 고안은 송수화기와 전화기를 상호 연결하는 코일전화선이 사용중에 탄성심선에의해 항상 제자리를 찾을 수 있어 코일전화선이 꼬이고, 엉키거나 또는 전화기코드의 변형, 코드 내의 전기선로인 심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전화기, 송수화기 , 전화기코드, 코일전화선, 잭

Description

꼬임방지 전화기코드{Non-twist Telephone cord}
본 고안은 꼬임방지 전화기코드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전화기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전화기코드가 사용과정에서 꼬임이 생기지 않아 코일전화선이 꼬이고, 엉키거나 또는 전화기코드의 변형, 코드 내의 전기선로인 심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화기와 송수화기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코일(트위스트)형 코일전화선이 사용되고 있고, 이 코일전화선은 송수화기를 사용할 때 신축가능하며, 송수화기 사용 이후 일정한 길이로 복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례로, 종래 전화기시스템(2)은 도3과 같이 전화기(21)와, 전화기코드(3), 송수화기(22)로 이뤄져 있고, 전화기코드(3)는 양단에 송수화기잭(34)과 전화기잭(33)이 코일전화선(31)을 매개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23,24는 상기 송수화기잭(34)과 전화기잭(33)에 대응하는 암놈잭 또는 숫놈잭이다.
상기 코일전화선(31)은 사용자가 송수화기(22)를 사용하면 일정길이 신축이 가능하고 송수화기(22) 사용 이후 일정길이로 유지되도록 늘여진 것은 제 위치로 돌아가고 축소된 것은 늘어져서 복귀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화기시스템(2)에서 송수화기(22)를 사용할 때 코일전화선이 꼬이거나 엉 킴 되어 코드선의 변형이 일어나고, 코드선내의 전기선을 이루는 심선이 단선도 되며, 꼬이고 엉킨 코드선은 원상복귀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65965 '전화기에 연결되는 송수화기의 꼬임방지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는 코일전화선내에 코일전화선보다 구경이 가는 꼬임방지용 코일선을 이중으로 설치하여 코일전화선이 꼬이거나 엉킴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상기 코일전화선에 내장되는 꼬임방지용 코일선이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적으로 충실하지 않으며, 꼬임방지용 코일선의 양단이 코일전화선의 트위스트 된 곳이 끝나는 양단에 각기 고정하여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나 제작과정의 사후 조작을 요한다는 번거로움이나 이러한 전화기코드의 가격저렴화를 추구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기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전화기코드의 코일전화선 중앙에는 중심을 가로 질르는 탄성심선이 구비되어 송수화기를 사용 할 때 코일전화선이 늘거나 줄어들 때 함께 신축되며 코일전화선이 상호 넘어가서 꼬임 되지 않 도록 한 꼬임방지 전화기코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화기와 송수화기를 연결하는 전화기코드가 사용과정에서 꼬임이 생기지 않도록 한 것으로 코일형태의 코일전화선 중앙에는 중심을 가로 질르는 탄성심선이 구비되어 송수화기를 사용 할 때 코일전화선이 늘거나 줄어들 때 함께 신축되며 코일전화선이 상호 넘어가서 꼬임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양단에 각기 송수화기잭과 전화기본체잭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송수화기잭과 전화기본체잭에는 코일전화선이 탄성심선과 함께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이러한 꼬임방지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사용할 때 코일전화선 중앙을 가로지르는 탄성심선이 코일전화선의 신축과 함께 같이 신축되고 코일전화선이 상호 꼬임되거나 엉키지 않도록 하여 코일전화선이 꼬이고, 엉키거나 또는 전화기코드의 변형, 코드 내의 전기선로인 심선이 끊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꼬임방지 전화기코드(1)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양단에 각기 송수화기잭(16)과 전화기본체잭(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송수화기잭(16)과 전화기본체잭(15)에는 코일전화선(12)이 이 코일전화선(12)의 중 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탄성심선(11)과 함께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심선(11)은 고무줄일 수 있고, 이와 대응하는 여하한 다른 재질도 될 수 있으며, 이것이 코일전화선(12)의 트위스트 된 끝 부위에서 지지부(13,14)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화기코드(1)를 연결할 때는 도2와 같이 통상의 방법과 같이 전화기(21)와 송수화기(22)에 형성된 암놈잭에 각기 전화기코드(1)의 송수화기잭(16)과 전화기본체잭(15)을 연결한다.
이후 사용자가 송수화기(22)를 사용할 때는 코일전화선(12)은 사용자의 의도데로 늘었다 줄었다 신축작용하면서 전화기코드(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탄성심선(11)은 탄성재질이면서 복원력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송수화기(22)를 사용할 때 코일전화선(12)이 신축작용 하면 함께 움직여서 코일전화선(12)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코일전화선(12)이 꼬임되거나 엉킴될 때는 코일전화선(12)이 상호 엇갈리더라도 넘어가지 않고 회전에 대한 원위치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코일전화선(12)은 송수화기(22) 사용에 따른 꼬임이나 엉킴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꼬임방지 전화기코드를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2는 도 1의 사용상태 참고도
도3은 종래 전화기 시스템의 일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11. 탄성심선
12. 코일전화선
13,14. 지지부
15. 전화기본체잭
16. 송수화기잭

Claims (1)

  1. 꼬임방지 수단을 갖는 전화기코드에 있어서,
    코일전화선(12) 양단에 형성된 송수화기잭(16) 및 전화기본체잭(15)과, 이 송수화기잭(16)과 전화기본체잭(15) 사이에 연결된 코일전화선(12)과, 이 코일전화선(12)의 중심부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일정한 탄성력과 복원력을 갖는 탄성심선(11)으로 이뤄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KR2020090006835U 2009-06-02 2009-06-02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KR200451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835U KR200451596Y1 (ko) 2009-06-02 2009-06-02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835U KR200451596Y1 (ko) 2009-06-02 2009-06-02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94U KR20100012094U (ko) 2010-12-10
KR200451596Y1 true KR200451596Y1 (ko) 2010-12-23

Family

ID=4420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835U KR200451596Y1 (ko) 2009-06-02 2009-06-02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9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033Y1 (ko) 1994-09-27 2000-01-15 윤종용 전화기의 코드꼬임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033Y1 (ko) 1994-09-27 2000-01-15 윤종용 전화기의 코드꼬임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94U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24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 line such as a cable or cord
US7507908B1 (en) Cable of easy collection
US7622670B1 (en) Jewelry tool
KR200451596Y1 (ko) 꼬임방지 전화기코드
KR20130092772A (ko)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1142400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줄꼬임 방지용 이어폰
JP3585465B2 (ja) 伸縮性コード
KR20150069178A (ko) 이어폰 단선 방지 장치
US20040091128A1 (en) Fixable-wire earphone
KR100751806B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CN204104102U (zh) 耳机
CN208424695U (zh) 耳机
KR20090003868U (ko) 이어폰 전선의 보호를 위한 액세서리
KR200411793Y1 (ko) 신축성을 구비한 전선 케이블
CN201937799U (zh) 一种伸缩耳机
CN104376907B (zh) 一种耳机线及一种耳机线控器
CN202737291U (zh) 有线话机机线打拧解除器
KR20160040861A (ko) 블루투스용 헤드셋
JPH076635A (ja) 信号伝送ケーブル
JP2012198992A (ja) カールコードのカール成型部に生じるカールの変形や絡まりの低減構造
KR20200023776A (ko) 전화기용 전화선
CN204189488U (zh) 一种耳机线及一种耳机线控器
CN205195910U (zh) 一种耳机
CN214455912U (zh) 一种可收缩的线束
JPH0725648U (ja) 線体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