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78Y1 - 파이프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78Y1
KR200451578Y1 KR2020080007529U KR20080007529U KR200451578Y1 KR 200451578 Y1 KR200451578 Y1 KR 200451578Y1 KR 2020080007529 U KR2020080007529 U KR 2020080007529U KR 20080007529 U KR20080007529 U KR 20080007529U KR 200451578 Y1 KR200451578 Y1 KR 2004515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inding
support
longitudin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10U (ko
Inventor
우성일
Original Assignee
우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일 filed Critical 우성일
Priority to KR2020080007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7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8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9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rods or for tubes without using the innerside thereof forming a crossed-over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16B2/18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u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횡관이 배치되어 지지되는 횡관지지부와, 상기 횡관에 대하여 교차되게 마련되는 종관이 배치되어 지지되는 종관지지부를 구비한 관지지체; 및 상기 관지지체에 결합되며, 상기 횡관과 상기 종관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관지지체를 결속시키는 결속편을 포함하는 파이프 결속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 그 상태에서도 횡관과 종관을 상호간 결속시킬 수 있어 결속 작업이 편리해짐은 물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무리하게 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면서도 요구되는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다.
파이프, 종관, 횡관, 체결, 결속

Description

파이프 결속장치{Pipe tier}
본 고안은 파이프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횡관과 종관을 손쉽게 상호 결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횡관과 종관을 용이하게 결속시키면서 강력한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파이프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나 혹은 공사장의 안전대 및 난간대 등을 설치하는 경우, 금속 재질의 파이프(pipe)를 사용하여 기초 골격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파이프(이하, 횡관과 종관의 표현을 함께 사용함)의 교차 영역을 단단히 결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파이프 결속장치가 사용된다.
파이프 결속장치의 가장 단순한 물품은 소위, 케이블 타이라 불리는 것으로, 이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제작된 띠 형상의 결속장치로서,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는 부분을 묶어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외에도, 통상적인 노끈이나 철사 등을 이용하여 횡관과 종관의 교차 영역을 결속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케이블 타이나 노끈, 혹은 철사 등을 이용하여 상호 교차 되는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는 경우, 작업이 불편하고 번거로울 수밖에 없으며, 특히 해당 물품을 재사용할 수 없어 비용 손실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94982호에는 종래의 케이블 타이나 노끈, 혹은 철사 등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타입의 파이프 결속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파이프 결속장치의 경우, 최종적으로 고정되는 부분이 스크루 타입이기 때문에 펜치와 같은 별도의 공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결속작업이 예상하는 만큼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파이프 결속장치가 개발되고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횡관과 종관을 따로따로 배치한 상태에서 횡관과 종관을 상호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며, 별도의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해야만 종국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이에, 본 출원인은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횡관과 종관을 상호간 결속시킬 수 있어 결속 작업이 편리해짐은 물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무리하게 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면서도 요구되는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파이프 결속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횡관과 종관을 상호간 결속시킬 수 있어 결속 작업이 편리해짐은 물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무리하게 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면서도 요구되는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파이프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횡관이 배치되어 지지되는 횡관지지부와, 상기 횡관에 대하여 교차되게 마련되는 종관이 배치되어 지지되는 종관지지부를 구비한 관지지체; 및 상기 관지지체에 결합되며, 상기 횡관과 상기 종관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관지지체를 결속시키는 결속편을 포함하는 파이프 결속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지지체는 강선의 절취 및 절곡 공정에 의해 제작된다.
또한 상기 관지지체는, 상기 횡관지지부를 형성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절곡부와는 다른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종관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의 양단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직선부; 및 상기 한 쌍의 직선부의 단부를 형성하며 상호간 분리 배치된 한 쌍의 고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편은, 상기 종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횡관에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본체부;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리부와 결합되는 결속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리부 중 제1 고리부는 상기 결속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2 고리부는 상기 결속봉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접촉지지부의 판면에는 상기 횡관이 부분적으로 삽입 안착되는 파이프 안착홈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횡관과 종관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횡관과 종관을 상호 결속시킬 수 있어 결속 작업이 편리해짐은 물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무리하게 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면서도 요구되는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는 작업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들이고, 도 7은 도 6을 A 방향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1)는, 크게 관지지체(10)와, 결속편(30)으로 이루어진다.
관지지체(10)는 실질적으로 제1 파이프인 횡관(P1)과 제1 파이프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 제2 파이프인 종관(P2)의 교차 영역에 배치되어 횡관(P1)과 종관(P2)이 함께 한번에 지지되는 부분이며, 결속편(30)은 관지지체(10)에 배치된 횡관(P1)과 종관(P2)의 고정을 위해 관지지체(10)를 결속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횡관(P1)이 종관(P2)의 하부에 배치되고 있으나, 횡관(P1)이 종관(P2)의 상부에 배치된다 하더라도 파이프 결속장치(1)의 방향만이 서로 상이할 뿐 그 동작은 동일함을 밝혀 둔다.
관지지체(10)에 대해 설명하면, 관지지체(10)는 제1 절곡부(11)와, 제1 절곡부(11)와는 다른 각도로 절곡된 제2 절곡부(12)와, 제2 절곡부(12)의 양단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직선부(13a,13b)와, 한 쌍의 직선부(13a,13b)의 단부를 형성하며 상호간 분리 배치된 한 쌍의 고리부(14a,14b)를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관지지체(10)는 통상적인 철사보다는 그 직경이 굵고 일정한 강성을 보유한 강선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강선의 절취 및 절곡 공정을 통해 관지지체(10)를 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관지지체(10)를 이루는 제1 절곡부(11), 제2 절곡부(12), 한 쌍의 직선부(13a,13b) 및 한 쌍의 고리부(14a,14b)는 일체로 형성된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제1 절곡부(11), 제2 절곡부(12), 한 쌍의 직선부(13a,13b) 및 한 쌍의 고리부(14a,14b)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상호간 용접되어도 좋다.
제1 절곡부(11)는 횡관(P1)을 지지하는 횡관지지부(11)이다. 따라서 제1 절곡부와 횡관지지부에는 모두 동일한 참조부호인 ‘11’로 지시된다. 마찬가지로, 제2 절곡부(12)는 종관(P2)을 지지하는 종관지지부(12)이므로 제2 절곡부와 종관지지부에도 모두 동일한 참조부호 ‘12’가 부여된다.
이들 제1 및 제2 절곡부(11,12)의 절곡 정도, 즉 곡률 반경은 횡관(P1)과 종 관(P2)의 파이프 지름 사이즈(size)에 맞게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다만, 통상적으로 파이프의 지름 사이즈(size)는 규격화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고, 시방서 등에 보면 건축물의 축조 시 안전대 및 난간대에 사용되는 파이프의 지름도 규격화된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 및 제2 절곡부(11,12) 역시 미리 정해진 규격대로 여러 종류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횡관지지부(11)와 종관지지부(12)는 강선의 절곡 공정에 의해 관지지체(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데, 횡관지지부(11)는 횡관(P1)이 한 쌍의 직선부(13a,13b) 및 한 쌍의 고리부(14a,14b) 사이를 통과하면서 횡관지지부(11)에 접촉지지되도록 관지지체(10)에 형성되고, 종관지지부(12)는 종관(P2)이 관지지체(10)에 접촉지지되도록 횡관지지부(11)로부터 연장되어 관지지체(10)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한 쌍의 직선부(13a,13b) 및 한 쌍의 고리부(14a,14b) 사이로 횡관(P1)을 삽입하여 제1 절곡부(11)인 횡관지지부(11)에 횡관(P1)을 배치시켜 지지한 후에, 한 쌍의 고리부(14a,14b)를 일정한 각도로 들어올려 제2 절곡부(12)인 종관지지부(12)에 종관(P2)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횡관(P1)과 종관(P2)을 용이하게 해당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작업은 횡관(P1)과 종관(P2)이 미리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더욱 편리한 결속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횡관(P1)과 종관(P2)의 고정을 위해 관지지체(10)를 결속시키는 결속편(30)은, 횡관(P1)에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32)와, 접촉지지부(32)의 양단에서 접촉지지부(32)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33)를 구비한 본체부(31)와, 양단이 한 쌍의 플랜지부(33)에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고리부(14a,14b)와 결합되는 결속봉(35)을 구비한다.
본체부(31)를 이루는 접촉지지부(32)와 한 쌍의 플랜지부(33)는 단일 재료에 의해 일체로 제작된다. 이 때, 한 쌍의 플랜지부(33)는 평평한 판상체로 제작되어 있는 반면 접촉지지부(32)의 표면에는 파이프 안착홈(32a)이 형성된다.
파이프 안착홈(32a)은 도 6과 같이 횡관(P1) 및 종관(P2)에 대한 결속 작업이 완료되었을 경우, 횡관(P1)의 하부 영역 일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안착지지되는 부분으로 활용된다. 이러한 파이프 안착홈(32a)이 형성되는 경우, 특히 횡관(P1)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또한 접촉지지부(32)에는 통공(32b)이 형성되어 결합 후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봉(35)에는 관지지체(10)의 단부를 이루는 한 쌍의 고리부(14a,14b)가 결합된다. 이 때, 한 쌍의 고리부(14a,14b) 중에서 제1 고리부(14a)는 결속봉(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제1 고리부(14a)에 형성된 고리가 결속봉(35)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결속봉(35)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고정식으로 마련되나, 제2 고리부(14b)는 제2 고리부(14b)에 형성된 고리가 결속봉(35)에 걸쳐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결속봉(35)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식으로 마련된다.
즉 고정식인 제1 고리부(14a)는 제1 고리부(14a)에 형성된 고리가 결속봉(35)의 둘레를 거의 한바퀴 감쌀 정도로 마련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결속봉(35)으 로부터 분리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관지지체(10)와 결속편(30)은 항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착탈식인 제2 고리부(14b)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관(P1)과 종관(P2)을 상호 결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만 작업자의 간단한 조작으로 결속봉(35)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작업자는 별도의 공구 없이도 제2 고리부(14b)를 결속봉(35)에 결합시켜 횡관(P1)과 종관(P2)의 결속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파이프 결속장치(1)를 이용하여 교차 배치된 횡관(P1)과 종관(P2)을 결속시키는 작업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관(P2)의 하부로 횡관(P1)이 배치되었다고 가정하고, 횡관(P1)을 한 쌍의 직선부(13a,13b) 및 한 쌍의 고리부(14a,14b)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제1 절곡부(11)인 횡관지지부(11)에 횡관(P1)을 배치시켜 지지시킨다.
다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지지체(10)를 횡관(P1)과 종관(P2)의 교차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물론, 도 1과 도 2의 동작은 한번에 진행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하여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관(P2)을 지지하기 위해 관지지체(10)의 한 쌍의 고리부(14a,14b)를 일정한 각도로 들어올린다. 그리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리부(14a,14b)를 다시 내려 제2 절곡부(12)인 종관지지부(12)에 종관(P2)이 배치되면서 안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인 제2 고리부(14b)를 결속봉(35)에 걸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를 회전시켜 파이프 안착홈(32a)에 횡관(P1)의 하부 영역이 안착지지되도록 함으로써(도 7 참조), 횡관(P1)과 종관(P2)이 강력하게 결속되도록 하여 결속 작업을 마무리하게 된다. 또한 결속이 완료된 이후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 등을 접촉지지부(32)에 형성된 통공(32b)에 끼운 후 결속봉(35)에 지지한 채로 누르면, 결속편(30)의 결속이 해제되면서 쉽게 분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는 일회적 사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6의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의도적으로 단계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도 2 내지 도 6의 순서를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해, 작업자의 임의대로 도 2 내지 도 6의 작업 순서를 서로 바꿀 수도 있고 혹은 도 2 내지 도 6의 동작이 동시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횡관(P1)과 종관(P2)이 상호 교차되게 배치된 상태에서도 횡관(P1)과 종관(P2)을 상호간 결속시킬 수 있어 결속 작업이 편리해짐은 물론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나사, 볼트 등을 이용하거나 혹은 무리하게 강한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횡관(P1)과 종관(P2)을 결속시키면서도 요구되는 결속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 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횡관과 종관을 결속시키는 작업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들,
도 7은 도 6을 A 방향에서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파이프 결속장치 10 : 관지지체
11 : 제1 절곡부 12 : 제2 절곡부
13a,13b : 직선부 14a,14b : 고리부
30 : 결속편 31 : 본체부
32 : 접촉지지부 32a : 파이프 안착홈
33 : 플랜지부 35 : 결속봉

Claims (6)

  1. 횡관이 배치되어 지지되는 횡관지지부와, 상기 횡관에 대하여 교차되게 마련되는 종관이 배치되어 지지되는 종관지지부를 구비한 관지지체; 및
    상기 관지지체에 결합되며, 상기 횡관과 상기 종관의 교차 영역에서 상기 관지지체를 결속시키는 결속편을 포함하며,
    상기 관지지체는,
    상기 횡관지지부를 형성하는 제1 절곡부;
    상기 제1 절곡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절곡부와는 다른 각도로 절곡되어 상기 종관지지부를 형성하는 제2 절곡부;
    상기 제2 절곡부의 양단에서 상호간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직선부; 및
    상기 한 쌍의 직선부의 단부를 형성하며 상호간 분리 배치된 한 쌍의 고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편은,
    상기 종관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횡관에 접촉지지되는 접촉지지부와, 상기 접촉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접촉지지부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를 구비한 본체부; 및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고리부와 결합되는 결속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체는 강선의 절취 및 절곡 공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리부 중 제1 고리부는 상기 결속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2 고리부는 상기 결속봉에 착탈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지지부의 판면에는 상기 횡관이 부분적으로 삽입 안착되는 파이프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결속장치.
KR2020080007529U 2008-06-05 2008-06-05 파이프 결속장치 KR2004515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29U KR200451578Y1 (ko) 2008-06-05 2008-06-05 파이프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29U KR200451578Y1 (ko) 2008-06-05 2008-06-05 파이프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0U KR20090012610U (ko) 2009-12-09
KR200451578Y1 true KR200451578Y1 (ko) 2010-12-22

Family

ID=4447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529U KR200451578Y1 (ko) 2008-06-05 2008-06-05 파이프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7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518A (ja) 2001-09-26 2003-04-03 Matsumoto Michiko 締付固定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7518A (ja) 2001-09-26 2003-04-03 Matsumoto Michiko 締付固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10U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532B1 (en) Hand applicator for reinforcement bar clips
KR20140056009A (ko) 링 고정 타입 철근 커플러
US9404258B2 (en) Reinforcing bar connector
US8881348B2 (en) Tension tool
JP2015068037A (ja) アングル鉄塔用の支線取付金具
JP2019218790A (ja) 鉄筋ホルダー、それを利用した鉄筋吊上げ装置および鉄筋継手の施工方法
KR200451578Y1 (ko) 파이프 결속장치
KR20160045330A (ko) 배전용 일체형 긴선장치
KR101498662B1 (ko) 철근 이음새 커플링
US2015035419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ulling pipe
JP2009180010A (ja) 鉄筋の結束方法及び装置
JP6195810B2 (ja) シートの折畳み方法、及び鳩目引掛け具
KR20180001036U (ko) 파이프 고정용 밴드
KR101697010B1 (ko) 보-기둥 접합부 횡보강 철근 구조
CN105401591B (zh) 预埋螺栓波纹套筒安装方法
TWI599697B (zh) Steep slope stabilization method of steel pull set method
JP2007284984A (ja) 落石防止用ネット及び落石防止装置
KR20130138100A (ko) 철근 결합구
KR100867690B1 (ko) 이중결합되는 배관결속용 밴드클립
KR101767417B1 (ko) 가설용 발끝막이판 고정구
CN210819329U (zh) 软管标准化捆绑专用工具
JP3111227U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における親綱取り付け装置
JP2009089562A (ja) 平行クレビス
JP3204746U (ja) 結束タッカー
JP2010144442A (ja) 支圧板、斜面安定化構造体及び斜面安定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