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61Y1 -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261Y1
KR200451261Y1 KR2020080014544U KR20080014544U KR200451261Y1 KR 200451261 Y1 KR200451261 Y1 KR 200451261Y1 KR 2020080014544 U KR2020080014544 U KR 2020080014544U KR 20080014544 U KR20080014544 U KR 20080014544U KR 200451261 Y1 KR200451261 Y1 KR 200451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leg
support piece
support
shaf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791U (ko
Inventor
노영철
Original Assignee
노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영철 filed Critical 노영철
Priority to KR2020080014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7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7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1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manually actuated loc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2003/0821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leg holder being mounted to underside of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2003/0824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the table legs being individually collapsible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를 개량하여 상다리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펼쳐진 상다리의 상부로 과중한 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상다리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상다리는 상다리(3)에 스프링(5)이 탄지된 지지편(4)을 결합시킬 때 지지편(4)의 축(41)이 상다리(3)에 형성된 축홈(302)에 삽입결합되더라도 스프링(5)의 반발력에 의해 축(41)을 중심으로 지지편(4)이 회동되면서 지지편(4)의 하부가 상다리(3)의 개방부(301) 외측으로 벗어나게 되어 스프링(5)이 그 설치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다리(3)의 내부가 중공부(300)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다리(3)의 일측면 상부에 개방부(301)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01)에 상다리(3)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편(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편(4)의 양측에 축(41)이 형성되며, 개방부(301)의 양측 벽체에 상기 축(41)이 설치되는 축홈(30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4)의 내측면에 스프링(5)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편(4)의 상단이 위치되는 브라켓(2)에 지지편(4)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20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4)의 하단에 개방부(301)의 내측면에 걸리어지지는 걸림돌기(45)를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상다리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 킬 수 있으며, 펼쳐진 상다리의 상부로 과중한 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상다리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다리, 지지편, 브라켓, 걸림돌기

Description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lock equipment of folding table leg}
본 고안은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장치를 개량하여 상다리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펼쳐진 상다리의 상부로 과중한 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상다리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다리는 상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을 지지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고정식과 접철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식은 서재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 상과 상다리를 일체로 형성하여 무거운 물건 등을 올려놓아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절첩식은 음식 등을 차려 놓는 식사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상의 저면에 상다리를 접첩되게 장착하여 사용 후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상다리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상다리 에서 상다리를 펼쳐을 때 그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상다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종래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는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다리(3)의 내부를 중공부(300)를 가지는 사각형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상다리(3)의 일측면 상부에 개방부(301)를 형성시키며, 상기 개방부(301)에 상다리(3)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편(4)을 형성시키되, 상기 지지편(4)의 양측에 축(41)을 형성시키고, 개방부(301)의 양측 벽체에 상기 축(41)이 설치되는 축홈(302)을 형성시켜 지지편(4)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시키며, 상기 지지편(4)의 내측면에 스프링(5)을 설치시키고, 상기 지지편(4)의 상단이 위치되는 브라켓(2)에 지지편(200)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200)를 형성시키고, 지지부의 내측에 지지편의 회동을 저지하는 스톱퍼(201)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의 조립과정과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다리를 조립하기 위하여는 제일 먼저 지지편(4)의 이면에 스프링(5)을 설치시켜야 한다. 이어 스프링(5)이 설치된 지지편(4)을 상다리(3)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301)의 내부로 삽입시켜 지지편(4) 양측에 형성된 축(41)을 축홈(302)의 내부에 삽입시켜 지지편(4)과 상다리(3)를 결합한다.
이어 지지편(4)이 설치된 상다리(3)의 상부를 브라켓(2)의 하부로 삽입시켜 상다리에 형성된 회동축(35)이 브라켓(2)에 형성되는 축공(25)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다리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렇게 조립이 완료된 상다리는 브라켓(2)을 상의 저면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상다리는 상다리(3)에 스프링(5)이 탄지된 지지편(4)을 결합시킬 때 지지편(4)의 축(41)이 상다리(3)에 형성된 축홈(302)에 삽입결합되더라도 스프링(5)의 반발력에 의해 축(41)을 중심으로 지지편(4)이 회동되면서 지지편(4)의 하부가 상다리(3)의 개방부(301) 외측으로 벗어나게 되어 스프링(5)이 그 설치위치를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편의 상부는 축을 중심으로 개방부의 내측으로 회동되면서 브라켓에 형성된 지지부로부터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작업자가 항상 한쪽 손으로 지지편(4)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다리(3)와 브라켓(2)을 결합시켜야 한다.
이는 상다리를 조립동작을 어렵게 하고, 정확한 조립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어 생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상다리는 지지편(4)의 상부가 지지되는 지지부(200)가 단순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다리(3)에 큰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지지편(4)이 역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임으로 절첩되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다리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고, 펼쳐진 상다리의 상부로 과중한 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상다리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다리의 내부가 중공부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다리의 일측면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에 상다리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편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편의 양측에 축이 형성되고, 개방부의 양측 벽체에 상기 축이 설치되는 축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편의 내측면에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편의 상단이 위치되는 브라켓에 지지편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의 하단에 개방부의 내측면에 걸리어지지는 걸림돌기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다리를 구성하는 구성부품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펼쳐진 상다리의 상부로 과중한 하중이 전가되더라도 상다리가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를 분리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 도 5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의 절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다리(3)의 내부가 중공부(300)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다리(3)의 일측면 상부에 개방부(301)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01)에 상다리(3)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편(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편(4)의 양측에 축(41)이 형성되며, 개방부(301)의 양측 벽체에 상기 축(41)이 설치되는 축홈(30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4)의 내측면에 스프링(5)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편(4)의 상단이 위치되는 브라켓(2)에 지지편(4)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20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4)의 하단에 개방부(301)의 내측면에 걸리어지지는 걸림돌기(45)를 형성시키고, 지지편(4)의 상단부가 접축되는 지지부(200)의 외측에 지지편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210)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다리의 고정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편(4)의 이면에 스프링(5)을 설치시킨 상태에서 지지편(4)의 하단부를 먼저 개방부(301)의 내부로 삽입시켜 지지편(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5)가 개방부(301)의 내측면에 걸리어지게 한다. 이어 지지편(4) 양측에 형성된 축(41)을 상다리의 양측벽에 형성된 축홈(302)의 내부에 삽입시켜 지지편(4)과 상다리(3)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지지편(4)은 스프링(5)의 반발력에 의해 축(4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개방부(301)로부터 이탈되려고 하나, 지지편(4)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5)가 개방부(301)의 내측면에 걸리어 벗어나지 못함에 따라 지지편(4)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더라도 지지편(4)이 상다리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지지편(4)은 상다리(3)에 한번 결합되면 그 결합된 위치 가 변화되지 않아 브라켓(2)과의 결합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지지편(4)을 파지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편(4)과 상다리(3)의 결합과, 지지편(4)이 결합된 상다리(3)와 브라켓(2)과의 결합을 시차를 두고 작업할 수 있으며, 지지편(4)과 상다리(3)와의 결합은 다른 작업자가 하고, 지지편(4)이 결합된 상다리(3)와 브라켓(2)과의 결합은 다른 작업자가 하는 것과 같은 분업화도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지지편(4)이 설치된 상다리(3)의 상부를 브라켓(2)의 하부로 삽입시켜 상다리에 형성된 회동축(35)이 브라켓(2)에 형성되는 축공(25)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다리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지지편(4)의 상단부는 지지부(200)의 외측에 형성된 단턱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절첩식 상다리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펼쳐진 상다리를 절첩시키기 위하여는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편(4)의 하부를 손으로 눌려주는 것에 의해 지지편(4)이 축(41)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지지편(4)의 상단부가 단턱(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상다리(3)를 펼치거나 절첩시킬 때에는 상에 하중이 전가되는 않는 상태에서 하기 때문에 지지편(4)과 지지부(200)의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고, 지지편(4)의 상단부가 곡선으로 형성되어 지지편(4)이 쉽게 단턱(210)을 타고 넘을 수 있게 된다.
지지편(4)이 단턱(210)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통상의 방법으로 상다리(3)를 잡고 선회시키게 되면 상다리(3)가 회동축(35)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절첩되기 시작하고 결국에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의 저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절첩동작이 완료된다.
이어 상다리를 펼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다리(3)를 잡고 상다리를 선회시키게 되면 상다리(3)가 회동축(35)을 중심으로 선회되면서 펼쳐지게 되고, 상다리(3)의 펼침동작이 거의 완료되는 시점에서 지지편(4)의 상단부가 단턱(210)을 타고 넘어 지지부(200)와 접촉되는 시점에서 펼침동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에 음식을 차리게 되면 그 하중에 의해 지지편(4)의 상부가 지지부(200)에 긴밀하게 접촉되면서 상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에 과중한 하중이 전가되는 경우 상다리(3)가 역방향 또는 정 방향으로 임의 선회되려고 하나, 역방향으로는 단턱(210)에 의해 지지편(4)의 선회동작이 저지되고, 정 방향으로는 걸림돌기(45)가 개방부(301)의 내측에 걸리어진 상태임에 따라 상다리가 임의로 절첩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조립작업의 단순화와 작업의 편리성은 제품의 생산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여 조립을 하게 되는 경우 한사람의 작업자의 생산성이 그 사업의 성폐를 가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본 고안은 결합되는 지지편은 상다리에 한번 결합되면 그 결합된 위치가 변화되지 않아 브라켓과의 결합시 작업자가 한손으로 지지편을 파지하지 않아도 되어 조립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편과 상다리의 결합과, 지지편이 결합된 상다리와 브라켓과의 결합을 시차를 두고 작업할 수 있으며, 지지편과 상다리와의 결합은 다른 작업자가 하고, 지지편이 결합된 상다리와 브라켓과의 결합은 다른 작업자가 하는 것과 같은 분업화도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에 따라 빠른 기간 내에 상다리 업계에 전파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절첩식 상다리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를 분리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4 내지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상다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브라켓 3. 상다리 4. 지지편
5. 스프링 41. 축 45. 걸림돌기

Claims (2)

  1. 상의 저면에 설치되는 브라켓(2)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다리(3)의 내부가 중공부(300)를 가지는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다리(3)의 일측면 상부에 개방부(301)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301)에 상다리(3)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하는 지지편(4)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편(4)의 양측에 축(41)이 형성되며, 개방부(301)의 양측 벽체에 상기 축(41)이 설치되는 축홈(30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편(4)의 내측면에 스프링(5)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편(4)의 상단이 위치되는 브라켓(2)에 지지편(4)이 접촉 지지되는 지지부(200)가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4)의 하단에 개방부(301)의 내측면에 걸리어지지는 걸림돌기(45)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4)의 상단부가 접축되는 지지부(200)의 외측에 지지편의 이탈을 방지하는 단턱(210)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KR2020080014544U 2008-10-30 2008-10-30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KR200451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44U KR200451261Y1 (ko) 2008-10-30 2008-10-30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544U KR200451261Y1 (ko) 2008-10-30 2008-10-30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91U KR20100004791U (ko) 2010-05-11
KR200451261Y1 true KR200451261Y1 (ko) 2010-12-06

Family

ID=4445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544U KR200451261Y1 (ko) 2008-10-30 2008-10-30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78A (ko) * 2014-08-19 2016-02-29 김경태 상다리 절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823B1 (ko) * 2011-01-25 2013-08-16 김이태 버튼식 절첩 가능한 테이블 다리
EP2881007B1 (en) 2013-12-03 2017-11-22 S. Hansen Produktion ApS Locking mechanis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78A (ko) * 2014-08-19 2016-02-29 김경태 상다리 절첩장치
KR101695516B1 (ko) * 2014-08-19 2017-01-11 김경태 상다리 절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791U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0298B1 (en) Zero play hinge for a stroller
JP6209100B2 (ja) 折畳式乳母車
KR200451261Y1 (ko) 절첩식 상다리 고정장치
WO2017129140A1 (zh) 一种折叠伸展机构
JP7446749B2 (ja) プレイヤード
JP7477818B2 (ja) 折り畳み継手及び折り畳みフレーム
CN102348607B (zh) 折叠盒
KR101805797B1 (ko) 받침다리 절첩장치
US5810382A (en) Grip bar for baby carriage
JP2001224439A (ja) 折畳み作業台
JP3211244U (ja) 折畳み式テーブル脚
KR101292823B1 (ko) 버튼식 절첩 가능한 테이블 다리
JP5901187B2 (ja) 担架
JP2017128355A (ja) 収納カゴ
JP3215553U (ja) 連結組立体及び折り畳み組立体
KR940003936Y1 (ko) 절첩이 용이한 탁자
US1917916A (en) Table leg construction
KR200481904Y1 (ko) 절첩식 다리구조
JP3185630U (ja) 袋支持フレーム
JP6153102B2 (ja) 折り畳み式テーブル
CN220586561U (zh) 一种具有折叠把手的盖体结构
KR200468863Y1 (ko) 사다리 전복 방지 장치
JP6240024B2 (ja) ロック装置
WO2016185588A1 (ja)
JPH10310091A (ja) 折り畳み自転車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