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77Y1 - 카메라끈 패드 - Google Patents

카메라끈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77Y1
KR200451077Y1 KR20080007348U KR20080007348U KR200451077Y1 KR 200451077 Y1 KR200451077 Y1 KR 200451077Y1 KR 20080007348 U KR20080007348 U KR 20080007348U KR 20080007348 U KR20080007348 U KR 20080007348U KR 200451077 Y1 KR200451077 Y1 KR 200451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strap
pad
camera
strap p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7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492U (ko
Inventor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임채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환 filed Critical 임채환
Priority to KR20080007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77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8Camera cases, e.g. of ever-ready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45C13/103Arrangement of zip-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2Shoulder-pad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메라끈 패드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에 부착되어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이부와 걸이부의 양측에 연결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카메라끈의 양끝을 카메라끈 패드의 일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를 통하여 편리하게 배출부 쪽으로 끼워서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나 길이방향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배출부의 구조로 인하여 카메라끈 걸이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이러한 배출부의 외주면에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카메라끈 패드를 카메라끈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카메라끈 패드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촬영시 카메라끈에 가해지는 장력을 흡수하여 보다 안정적인 촬영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카메라끈 패드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끈, 카메라끈 패드, 목, 어깨

Description

카메라끈 패드{Pad for carema string}
본 고안은 카메라끈 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메라에 부착되어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이부와 걸이부의 양측에 연결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카메라끈의 양끝을 카메라끈 패드의 일면 중앙에 형성된 삽입부를 통하여 편리하게 배출부 쪽으로 끼워서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부에 형성된 탄성밴드나, 길이방향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배출부의 구조로 인하여 카메라끈 걸이부의 이동을 제한하고, 이러한 배출부의 외주면에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카메라끈 패드를 카메라끈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카메라끈 패드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촬영시 카메라끈에 가해지는 장력을 흡수하여 보다 안정적인 촬영과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카메라끈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끈 패드는 카메라를 목에 걸거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한 카메라끈에 끼워져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카메라끈 은 대개 폭이 넓은 걸이부의 양측단부에 폭이 좁은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폭이 좁은 연결부가 카메라의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런 종래의 카메라끈 패드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0237702호의 가방용 어깨패드와 같은 선행기술을 비롯해 기타 유사한 명칭으로 다양한 형태의 카메라끈 패드가 개진되어 있다.
위 선행기술은 도 1의 a, b에서와 같이, 가방용 어깨패드(1)의 배면에 미끄럼방지부(3)를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형성하고, 이 미끄럼방지구(3)의 양단에 일정한 넓이를 갖는 긴 홈(4)을 형성하고, 이 홈(4)과 미끄럼방지부(3) 사이에 다수개의 리브(5)를 설치하고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의 구조 만으로는 어깨끈을 삽입하기 위해 어깨패드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삽입해야하는 불편함과, 삽입된 어깨끈이 어깨패드에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없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어깨패드가 사용자의 등이나 가슴쪽으로 이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끈 패드의 일면 중앙으로 카메라끈을 편리하게 삽입하고, 카메라끈에 카메라끈 패드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카메라끈 패드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어깨나 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촬영시 카메라끈에 가해지는 장력을 흡수하여 보다 안정적인 촬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로부터 카메라끈을 보호할 수 있는 카메라끈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카메라끈 패드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 카메라끈 패드는 걸이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진 카메라끈의 걸이부를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끈 패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끈 패드는 일면에 서로 분리되어 개폐되는 삽입부와; 상기 카메라끈 패드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로 끼워진 연결부를 인출시키는 배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카메라끈 패드는 걸이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진 카메라끈의 걸이부를 길이 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끈 패드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끈 패드는 일면에 서로 분리되어 개폐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로 끼워진 연결부를 인출시키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밴드와; 상기 배출부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 카메라끈 패드는 카메라끈을 한층 더 편리하고 쉽게 카메라끈 패드에 삽입하고, 카메라끈에 카메라끈 패드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카메라끈 패드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어깨나 목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의 피로감을 감소시키고, 촬영시 카메라끈에 가해지는 장력을 흡수하여 보다 안정적인 촬영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로부터 카메라끈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가 카메라끈에 적용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끈 패드(100)는 카메라끈(10)에 설치된다.
카메라끈 패드(100)를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삽입부(110), 배출부(120), 충격완충부재(150) 및 미끄럼방지부(160)로 이루어진 것에 고정부재(13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카메라끈 패드(100)는 걸이부(11)와 연결부(12)로 이루어진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카메라끈 패드(100)의 일면에 서로 분리 개폐되어 카메라끈(10)이 인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메라끈 패드(10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형성되고, 길이방향 측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상기 삽입부(110)로 끼워진 연결부(12)를 인출시키는 배출부(120)를 구비하며; 상기 배출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11)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130)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의 내부에는 충격완충부재(150)가 구비되고,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0)는 폭이 넓어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걸수 있는 걸이부(11)와, 이 걸이부(11)의 양측단부에 폭이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 카메라에 결합되는 연결부(12)로 이루어진 카메라끈(10)이 편리하게 카메라끈 패드(100)에 끼워 질 수 있도록, 카메라끈 패드(100)의 일면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고, 이곳을 통하여 카메라끈(10)의 양측 연결부(12)가 편리하게 끼워져 후술할 배출부(120) 쪽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삽입부(110)는 도 2에서와 같이, 일면에 관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공지된 단추, 고리, 끈 등이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의 삽입부가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4a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의 삽입부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인 도 4b와 같이, 상기 삽입부(110)는 지퍼(111) 또는 벨크로 테이프(112)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배출부(120)는 삽입부(110)를 통해 삽입된 카메라끈(10)의 연결부(12)가 인출되는 공간으로, 카메라끈 패드(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측 단부의 형태가 배출부(120)의 형태와 유사한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가 안정적으로 배출부(120)의 내부에서 걸리도록 하여 카메라끈 패드(1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배출부(120)의 외주면에는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가 인출되는 것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제한함과 동시에 카메라끈 패드(100) 상에 걸이부(11)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130)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사용자와의 접촉면에 설치될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아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거나, 착용감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배출부(120) 의 측면에서 형성되어 접촉면의 이면에서 고정되도록 형성함으로써 걸이부(11)가 인출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부(120) 상에 걸이부(11)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로는 상기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라면, 종래 공지된 단추, 고리, 끈 등 다양한 것들이 광범위하게 설치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벨크로 테이프가 사용된다.
상기 충격완충부재(150)는 사용자와의 접촉면 내부에 내장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상기 미끄럼방지부(160)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카메라끈 패드(100)와 사용자와의 접촉면 접촉부위에 다수개 설치되되, 미끄럼방지부(160)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해도 무방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며, 카메라끈 패드(100)가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60)의 형상 및 배열상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샤무드, 털실 등의 섬유재질이 접촉면에 덧대어 진다.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b)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끈 패드(100')는 삽입부(110), 배출부(120'), 고정부재(130), 탄성밴드(140), 충격완충부재(150) 및 미끄럼방지부(160)를 포함한다.
즉, 카메라끈 패드(100')는 걸이부(11)와 연결부(12)로 이루어진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에 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서, 상기 카메라끈 패드(100')의 일면에 서로 분리 개폐되어 카메라끈(10)이 인입되는 삽입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110)로 끼워진 연결부(12)를 인출시키는 배출부(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부(12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이부(11)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밴드(1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11)가 인출되는 것을 제한하는 고정부재(130)가 형성되어 있고;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의 내부에는 충격완충부재(150)가 구비되고, 사용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미끄럼 방지부(1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카메라끈 패드(100')는 도 2a의 배출부(120)가 길이방향 양측단부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지 않는 경우, 배출부(120') 내부에 탄성밴드(140)를 추가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배출부(120')가 길이방향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지 않도록 형성된 내주면에 일정한 탄성력을 가진 탄성밴드(140)를 구비함으로써,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가 배출부(120')로 인출되지 않고, 카메라끈 패드(10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기타 삽입부(110), 고정부재(130), 충격완충부재(150) 및 미끄럼방지부(160)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카메라끈 패드(100')의 양측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지 않는 배출부(120')와 탄성밴드(1401)에 도 4a, b의 일실시예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 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술될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가방용 어깨패드의 사시도(a)와 저면도(b),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a),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b),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가 카메라끈에 적용된 상태의 상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의 삽입부가 지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일실시예의 삽입부가 벨크로 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a),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메라끈 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b).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끈 11 : 걸이부
12 : 연결부 100, 100' : 카메라끈 패드
110 : 삽입부 111 : 지퍼
112 : 벨크로 테이프 120, 120' : 배출부
130 : 고정부재 140 : 탄성밴드
150 : 충격완충부재 160 : 미끄럼 방지부

Claims (5)

  1. 걸이부(11)와 연결부(12)로 이루어진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를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끈 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끈 패드(100)는 일면에 서로 분리되어 개폐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카메라끈 패드(1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고, 길이방향측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110)로 끼워진 연결부(12)를 인출시키는 배출부(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끈 패드.
  2. 걸이부(11)와 연결부(12)로 이루어진 카메라끈(10)의 걸이부(11)를 길이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끈 패드(100')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끈 패드(100')는 일면에 서로 분리되어 개폐되는 삽입부(110)와; 상기 삽입부(110)로 끼워진 연결부(12)를 인출시키는 배출부(120')와; 상기 배출부(120')의 내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11)의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밴드(140)와; 상기 배출부(120')의 외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걸이부(1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끈 패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는 지퍼(11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끈 패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10)는 벨크로 테이프(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끈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이부(11)의 이동을 제한하고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끈 패드.
KR20080007348U 2008-06-03 2008-06-03 카메라끈 패드 KR200451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348U KR200451077Y1 (ko) 2008-06-03 2008-06-03 카메라끈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7348U KR200451077Y1 (ko) 2008-06-03 2008-06-03 카메라끈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92U KR20090012492U (ko) 2009-12-08
KR200451077Y1 true KR200451077Y1 (ko) 2010-11-23

Family

ID=4587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7348U KR200451077Y1 (ko) 2008-06-03 2008-06-03 카메라끈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7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910A (ja) 1998-12-24 2000-07-04 Shinji Takeuchi 電気音響機器用ヘッドホーンコードの保持バンド
JP2007110994A (ja) 2005-10-21 2007-05-10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4910A (ja) 1998-12-24 2000-07-04 Shinji Takeuchi 電気音響機器用ヘッドホーンコードの保持バンド
JP2007110994A (ja) 2005-10-21 2007-05-10 Daiwa Seiko Inc 釣り用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492U (ko)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UB20154957A1 (it) Casco.
KR200459939Y1 (ko) 끈 길이 조절형 마스크
US5522592A (en) Protective device for golf clubs
US6178553B1 (en) Boxing glove
KR100849675B1 (ko) 바지 밑단의 끌림 방지장치
KR200451077Y1 (ko) 카메라끈 패드
TWM511888U (zh) 多功能綁帶
KR200457029Y1 (ko) 삽입형 포켓타올
KR200470311Y1 (ko) 무릎 보호대
KR200433525Y1 (ko) 가방용 어깨패드
KR101042665B1 (ko) 전투복
KR101124655B1 (ko) 신체단련용 중량밴드
KR20120005141U (ko) 무릎보호대
CN212368457U (zh) 一种防滑鞋垫
CN217657646U (zh) 一种防滑落的宠物毛巾
US20230148687A1 (en) Adjustable Length Garment Device
CN219815214U (zh) 高尔夫球袋挂钩保护装置
KR102557276B1 (ko) 마스크의 위생보관을 위한 마스크 고정수단
JP6824518B2 (ja) パンツ型サポーター保持具
KR100830182B1 (ko) 의료용보호대
KR101378146B1 (ko) 미끄럼 방지 기능성 속옷
CN208446670U (zh) 挂钩式便戴型护具
KR20110002075U (ko) 애완동물 신발
KR20130000011U (ko) 액세서리패드
WO2015093779A1 (ko) 화학보호복용 보호장화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