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741Y1 -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0741Y1 KR200450741Y1 KR2020080001712U KR20080001712U KR200450741Y1 KR 200450741 Y1 KR200450741 Y1 KR 200450741Y1 KR 2020080001712 U KR2020080001712 U KR 2020080001712U KR 20080001712 U KR20080001712 U KR 20080001712U KR 200450741 Y1 KR200450741 Y1 KR 20045074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motor
- bracket
- connection
- hydraulic equip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9/00—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 E02D9/02—Removing sheet piles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or parts thereof by withdraw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061—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with fluid driv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빔의 양측을 클램핑하여 인출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개구된 둘레부에 연장돌출부가 구비된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장돌출부에 걸림으로써 연결하우징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단에 고정되며 이동식 유압장비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식 유압장비에 대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착탈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를 제공한다.
이동식 유압장비. 빔 인출기, 회전식
Description
본 고안은 지하에 매몰된 빔을 인출하기 위한 빔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실린더를 통해 빔의 양측을 강력하게 클램핑하며 빔을 인출토록 하는 빔 인출기에 있어서 이동식 유압장비를 빔 인출기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공사 현장에는 지반이나 측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 깊이 다수의 빔(beam)이 매설된다.
이러한 빔들 중 건축물과 관련없는 빔들은 건축공사가 완료된 이후에 재활용을 위하여 인출시켜 회수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인력으로는 지하 깊이 박혀있는 빔을 인출시킬 수 없으므로 소정의 장비를 이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빔 인출기로서, 본 출원인은 2006년 9월 29일에 출원하여 2006년 12월7일에 등록된 실용신안 제433931호와 같은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제안된 기술의 빔 인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연결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 인출기(1)는 전방 중앙에 형강파일인 빔(H)이 들어갈 수 있는 인입구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빔(H)을 클램핑하도록 신축되는 한 쌍의 메인실린더(20)와 보조실린더(30)를 구비한다. 그리고 메인실린더(20)에는 메인피스톤(21)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보조실린더(30)에는 보조피스톤(31)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들 각각의 메인피스톤(21)과 보조피스톤(31)은 일단이 클램프(35)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피스톤(21)과 보조피스톤(31)이 동시에 작동하면 빔(H)을 향해 마주보는 한 쌍의 클램프(35)가 이동하면서 빔(H)을 클램핑할 수 있게 동작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빔 인출기(1)가 빔(H)을 클램핑하게 되면, 크레인과 같은 이동식 유압장비(미도시)를 상기 빔 인출기(1)에 연결하여 클램핑된 빔(H)을 지면으로부터 인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빔 인출기(1)는 상기 이동식 유압장비의 작동암(미도시)에 걸릴 수 있도록 힌지연결부(83)가 형성된 연결프레임(80)이 빔 인출기(1) 상부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80)은 하우징(10)에 고정설치된 연결하우징(6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4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연결프레임(80)은 하우징(10)에 대해 화살표방향처럼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압장비의 작동암을 상기 빔 인출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만일 연결프레임(80) 그 위치가 올바르지 않더라도 상기 하우징(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프레임(80)을 도구 등을 통해 인위적으로 화살표처럼 회전시켜 그 연결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빔 인출기(1)는 도구 등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연결프레임(80)을 회전시키는 위치보정을 행함에 따라 인출 작업의 속도가 늦어질 뿐만 아니라 유압장비로 빔(H)을 인출시 유압장비의 작동암에 연결된 연결프레임(80)이 임의로 회전하게 되어 인출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클램핑을 위한 빔 인출기의 위치보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보정된 위치가 유지되도록 하여 빔의 인출작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회전식 빔 인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빔의 양측을 클램핑하여 인출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개구된 둘레부에 연장돌출부가 구비된 연결하우징; 상기 연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장돌출부에 걸림으로써 연결하우징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 회전브라켓; 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단에 고정되며 이동식 유압장비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프레 임;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식 유압장비에 대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착탈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회전브라켓의 하부 중앙영역에 형성된 내접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접기어와 1:1 대응되도록 맞물리는 외접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부는 상기 회전브라켓의 하부 중앙영역에 형성된 링기어; 그리고 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의 일측에 맞물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링기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유성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유압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브라켓을 자동으로 회전시켜 이동식 유압장비와 빔 인출기의 연결위치를 빠르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인출 작업 속도가 빨라진다.
둘째, 빔 인출기를 이동식 유압장비에 연결하여 빔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빔 인출기의 연결프레임이 보정된 위치에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출 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빔을 인출할 수 있다.
셋째, 이동식 유압장비와 빔 인출기의 연결위치를 인위적으로 보정하지 않게되므로 보다 정밀하게 위치보정을 할 수 있으며 위치보정 도구를 구비해야 하는 불 편함이 개선된다.
넷째, 연결유닛을 구동하는 모터로서 유압모터를 사용함에 따라 유압실린더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장비를 간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 측면도이다.
먼저,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100)는 크게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빔의 양측을 클램핑하는 유압실린더와, 클램핑된 빔을 인출시키는 이동식 유압장비에 연결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땅에 박혀 있는 빔(H)이 들어갈 수 있도록 인입구를 중앙에 형성시키는 한 쌍의 지지블록(115)이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메인 플레이트(170)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플레이트(170)에는 클램핑한 빔(H)을 인출하기 위한 이동식 유압장비가 연결되어지는 후술할 연결유닛이 설치된다.
유압실린더는 빔(H)의 양측을 클램핑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유압실린더는 한 쌍의 메인실린더(120)와 보조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메인실린더(120)는 메인 플레이트(170)의 양측 상부로 각각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실린더(120)와 메인 플레이트(170)는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실린더(120)에는 각각 메인피스톤(121)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며, 이때 상기 메인피스톤(121)은 유압방식에 의하여 상기 메인실린더(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플레이트(170) 양측으로는 수직하향으로 지지블록(115)이 위치되는데, 상기 지지블록(115)의 하부에는 보조피스톤(131) 및 보조실린더(13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지지블록(115)의 내부를 향해 노출된 상기 한 쌍의 보조피스톤(131)의 일단에는 한 쌍의 클램프(135)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클램프(135)의 상측에는 힌지연결부(138)가 구비되고 상기 힌지연결부(138)에 메인피스톤(121)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피스톤(121)과 보조피스톤(131)이 동시에 작동되면서 한 쌍의 클램프(135)가 빔(H)을 향해 마주보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135)가 서로 마주보는 면, 즉 빔(H)을 가압하게 되는 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져 빔(H)을 가압하여 인출시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인실린더(120) 및 보조실린더(130)는 전부 유압식으로 작동하여 메인피스톤(121)과 보조피스톤(131)을 가동시키는 방식으로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인실린더(120)만 유압식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피스톤(131) 및 보조실린더(130)는 상기 클램프(135)가 상기 보조실린더(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조피스톤(131)과 함께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만 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100)는 포크레인과 같은 이동식 유압장비의 암(미도시)에 설치되어 상부로 이동되면서 빔(H)을 인출하게 동작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회전식 빔 인출기(100)는 상기와 같은 이동식 유압장비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유닛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되는 연결하우징(160)과, 상기 연결하우징(160)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40)과, 상기 회전브라켓(140)의 상단에 고정되며 이동식 유압장비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80)과, 상기 하우징(110)에 고정설치되는 모터(190)와, 상기 모터(190)를 통해 상기 연결프레임(180)을 회전시켜 연결위치를 보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연결하우징(160)은 빔 인출기(100)의 상부에 상부가 개구된 구조로 형성된 중공부(169)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된 둘레부에는 연장돌출부(161)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하우징(160)은 상기 빔 인출기(100)의 상부로 즉 상기 메인 플 레이트(170)의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하우징(160)과 메인 플레이트(170)는 볼트(108) 및 볼트공(163)에 의한 볼트결합에 의하여 결합된다.
회전브라켓(140)은 상기 연장돌출부(161)에 의하여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연결하우징(160)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169)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브라켓(140)은 중공부(169)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전되는 주회전브라켓(142)과 상기 연결하우징(160)의 연장돌출부(161)에 인접한 개구부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보조 회전브라켓(141)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포크레인과 같은 이동식 유압장비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140)의 상단 즉 보조 회전브라켓(141)에는 연결프레임(180)이 설치된다. 연결프레임(180)에는 이동식 유압장비의 작동암(arm)부(미도시)가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연결부(183, 184)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프레임(180)은 상기 회전브라켓(140)에 용접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프레임(180)과 상기 연결하우징(160) 사이에는 상기 연결하우징(160) 상부의 개구된 부위를 통하여 상기 중공부(169)로 빔(H)의 인출 작업 중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폐용 브라켓(150)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을 차폐하기 위해 설치되는 차폐용 브라켓(150)은 반원판 형태의 브라켓(151,152) 두 개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반원판 형태의 브라켓은 결합브라켓(155)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브라켓(155)의 일단은 일측 반원판 형태의 브라켓(151)에 용접결합되고, 결합브라켓(155)의 타측은 다른 반원판 형태의 브라켓(152)에 나사(158)에 의한 나사결합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모터(190)는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70)의 하부 중앙영역에 브라켓(195)과 볼트(197)를 통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유압모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메인실린더(120) 또는 보조실린더(130)로부터 제공된 유압을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모터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동력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장치의 간소화를 아울러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90)의 축(191)이 메인 플레이트(17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메인 플레이트(170)에는 관통공(171)이 형성된다.
위치조정부는 연결하우징(16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40)을 상기 모터(190)를 통해 회전시켜 연결프레임(180)의 위치를 자동으로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조정부는 상기 회전브라켓(14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내접기어(143)와, 상기 모터(190)의 축(191)에 결합되어 상기 내접기어(143)와 1:1 대응되도록 맞물리는 외접기어(19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접기어(143)는 상기 회전브라켓(140) 중 주회전브라켓(142)의 중앙에만 형성되고, 보조 회전브라켓(141)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조 회전브라 켓(141)에 상기 연결프레임(18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플레이트(170)에 고정되는 모터(190)의 축(191)에는 상기 내접기어(143)와 1:1로 맞물리는 외접기어(193)가 장착된다. 이때, 메인 플레이트(170)의 중앙에 설치된 모터(190)의 축(191)이 메인 플레이트(170)의 관통공(171)을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접기어(193)는 연결하우징(160)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브라켓(140)의 내접기어(143)와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연결유닛은, 모터(190)의 축(191)이 회전함에 따라 외접기어(193)는 내접기어(143)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회전브라켓(140)과 회전브라켓(140)에 고정된 연결프레임(18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모터(190)의 회전을 기어의 이빨수만큼 정밀하게 조절하면 그 보정위치를 종래보다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정된 위치에서 모터(190)의 축을 고정시키면 보정된 위치가 임의로 변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장비의 작동암(미도시)을 상기 빔 인출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만일 연결프레임(180)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더라도 상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프레임(180)을 상기 모터(190)를 통해 회전시켜 그 연결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빔 인출기(1)가 도구 등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연결프레임(80)을 회전시키는 위치보정을 행함에 따라 인출 작업의 속도가 늦어지는 문제점을 본 고안은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위치가 보정된 후 모터(190)의 회 전축을 고정시키도록 동작함으로써 종래 유압장비로 빔(H)을 인출시 유압장비의 작동암에 연결된 연결프레임(80)이 임의로 회전하게 되어 인출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도 1 참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위치조정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브라켓(14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링기어(144)와, 상기 모터(190)의 축(191)에 결합되어 상기 링기어(144)의 일측에 맞물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링기어(144)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유성기어(19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링기어(144)는 전술한 실시예처럼 상기 회전브라켓(140) 중 주회전브라켓(142)의 중앙에만 형성되고, 보조 회전브라켓(141)에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보조 회전브라켓(141)에 상기 연결프레임(18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모터(1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좌측 또는 우측영역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모터(190)의 축(191)에 결합되는 유성기어(194)는 링기어(144)에 대해 편심된 위치에서 회전하면서 링기어(14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연결유닛은, 모터(190)의 축(191)이 회전함 에 따라 유성기어(194)는 링기어(144)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회전브라켓(140)과 회전브라켓(140)에 고정된 연결프레임(180)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빔 인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연결프레임과 회전프레임 영역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빔 인출기 110... 하우징 115...지지블록
120...메인실린더 121...메인피스톤 130...보조실린더
131...보조피스톤 135...클램프 138...힌지연결부
140...회전브라켓 150...차폐용 플레이트
160...연결하우징 170...메인 플레이트
180...연결프레임 183...힌지연결부
190...모터
Claims (4)
- 빔의 양측을 클램핑하여 인출시키는 유압실린더가 설치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며, 그 내부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개구된 둘레부에 연장돌출부가 구비된 연결하우징;상기 연결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장돌출부에 걸림으로써 연결하우징의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 회전브라켓;상기 회전브라켓의 상단에 고정되며 이동식 유압장비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모터; 그리고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식 유압장비에 대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착탈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조정부는,상기 회전브라켓의 하부 중앙영역에 형성된 내접기어; 그리고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며 상기 내접기어와 1:1 대응되도록 맞물리는 외접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조정부는,상기 회전브라켓의 하부 중앙영역에 형성된 링기어; 그리고상기 모터축에 결합되며 상기 링기어의 일측에 맞물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링기어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유성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모터는 유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1712U KR200450741Y1 (ko) | 2008-02-05 | 2008-02-05 |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1712U KR200450741Y1 (ko) | 2008-02-05 | 2008-02-05 |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107U KR20090008107U (ko) | 2009-08-10 |
KR200450741Y1 true KR200450741Y1 (ko) | 2010-10-26 |
Family
ID=4130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1712U KR200450741Y1 (ko) | 2008-02-05 | 2008-02-05 |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0741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931Y1 (ko) | 2006-09-29 | 2006-12-13 | 김영만 | 이동식 유압장비용 빔 인출기 연결유닛 |
-
2008
- 2008-02-05 KR KR2020080001712U patent/KR20045074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3931Y1 (ko) | 2006-09-29 | 2006-12-13 | 김영만 | 이동식 유압장비용 빔 인출기 연결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8107U (ko) | 2009-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1196B1 (ko) | 케이블 철거장치 | |
CN102713130A (zh) | 用于钻井设备的杆安装设备 | |
KR20150145556A (ko) |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 | |
KR200433931Y1 (ko) | 이동식 유압장비용 빔 인출기 연결유닛 | |
KR200450741Y1 (ko) | 이동식 유압장비용 회전식 빔 인출기 | |
CN206318506U (zh) | 一种装载机快换头装置 | |
CN108104740B (zh) | 一种钻杆加接夹持装置 | |
JP4044875B2 (ja) | 鋼管杭圧入引抜機 | |
CN115506619B (zh) | 一种房建用钢结构加固施工设备及其施工方法 | |
CN213562246U (zh) | 一种自动纠正位置的人防门安装设备 | |
CN214363719U (zh) | 一种用于市政管道铺设的基坑挖掘机 | |
CN115821922A (zh) | 一种基于土木工程桩基的拔桩方法 | |
CN109898588B (zh) | 一种市政道路施工用沟槽开挖设备 | |
CN210369288U (zh) | 一种新型下水道水泥浆固化物的疏通设备 | |
CN208991640U (zh) | 一种钢筋弯头机 | |
CN220746954U (zh) | 一种沟槽开挖支护装置 | |
CN108506655A (zh) | 一种重型机械支撑架 | |
CN205084253U (zh) | 起缝与支护一体的属具 | |
KR20100002245U (ko) | 자동 에이치빔 인발기 | |
JP4719041B2 (ja) | 杭圧入工法及び杭圧入引抜機 | |
CN220814900U (zh) | 一种斜柱子斜拼模板交接v字、a字板缝一体加固件 | |
CN215332647U (zh) | 一种旋挖机动力头连接结构 | |
CN214538964U (zh) | 一种建筑施工用夹具 | |
CN105127812B (zh) | 一种闸板两侧3度倾斜密封面加工设备 | |
KR101575675B1 (ko) | 신축로드 유압 클램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