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83Y1 - 톤백마대 거치대 - Google Patents

톤백마대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83Y1
KR200450683Y1 KR2020080010224U KR20080010224U KR200450683Y1 KR 200450683 Y1 KR200450683 Y1 KR 200450683Y1 KR 2020080010224 U KR2020080010224 U KR 2020080010224U KR 20080010224 U KR20080010224 U KR 20080010224U KR 200450683 Y1 KR200450683 Y1 KR 200450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support
white horse
horse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2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453U (ko
Inventor
신형순
Original Assignee
신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순 filed Critical 신형순
Priority to KR20200800102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8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톤백마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건이 투입된 상태의 톤백마대의 높이보다 높게 제작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톤백마대의 운반끈을 걸어 상기 톤백마대에 물건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톤백마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1걸이부; 상기 톤백마대의 투입구를 걸어둘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톤백마대를 거치한 상태로 탈곡한 곡물을 담을 수 있어, 작업자가 톤백마대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인건비가 현저히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톤백마대, 거치, 운반, 투입, 곡물

Description

톤백마대 거치대{SUPPORTER OF GUNNY BAG}
본 고안은 곡물을 담는 톤백마대를 거치한 상태로 탈곡한 곡물을 담을 수 있는 톤백마대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톤백마대는 직물로 이루어져 있어 내부에 아무것도 담겨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지만, 자체적으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없다. 따라서 톤백마대의 내부에 탈곡한 곡물을 담기 위해서는 두 사람 정도가 양쪽에서 톤백마대의 운반끈을 잡고 있어야 한다. 이때 톤백마대는 내부에 곡물을 완전히 채웠을 때의 높이가 대략 1.2~1.5m 정도가 되고 톤백마대의 운반끈을 들어 올리면 운반끈까지의 높이는 톤백마대의 높이에서 대략 0.2~0.3m가 추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톤백마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은 작업자에게 상당히 많은 피로를 유발하였다.
또한 톤백마대의 투입구는 곡물을 톤백마대에 담기 위한 통로이고 곡물을 완전히 담으면 상기 투입구를 묶게 된다. 그런데 상기 투입구 또한 사람이 일일이 잡아준 상태에서 곡물을 투입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번거로웠고, 인건비의 낭비가 심하였다.
더구나, 곡물 등을 콤바인으로 톤백마대에 주입할 때 먼지가 날리게 되므로 톤백마대를 잡고 있는 작업자는 비산되는 먼지를 마시면서 작업을 해야 했다. 따라서 작업자의 건강면에서도 톤백마대를 작업자가 지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톤백마대를 거치한 상태로 탈곡한 곡물을 담을 수 있는 톤백마대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톤백마대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제1고안은 톤백마대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물건이 투입된 상태의 톤백마대의 높이보다 높게 제작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톤백마대의 운반끈을 걸어 상기 톤백마대에 물건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톤백마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1걸이부; 상기 톤백마대의 투입구를 걸어둘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2고안은, 제1고안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고안은, 제1고안에서, 상기 지지부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결합편과 승강편에 의해 각 조각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승강편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고안은, 제2고안 또는 제3고안에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위하여 바퀴부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는, 톤백마대를 거치한 상태로 탈곡한 곡물을 담을 수 있어, 작업자가 톤백마대를 잡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인건비가 현저히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여 운반 및 보관에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잇점이 있다. 특히, 지지부가 다수개의 조각으로 분해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보관에 필요한 공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르면, 톤백마대의 높이에 따라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크기의 톤백마대에도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리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에 톤백마대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는, 한 쌍의 지지부(10), 제1걸이부(20), 제2걸이부(30), 연결부(40)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부(10)는, 내부에 내용물, 예를 들면 탈곡한 곡물이 투입된 상태의 톤백마대(60)의 높이보다 높게 제작되고,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10)의 이동을 위한 바퀴부(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이부(20)는, 도 2와 같이, 상기 톤백마대(60)의 운반끈(61)을 걸어 상기 톤백마대(60)에 물건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톤백마대(60)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1걸이부(20)는 상기 운반끈(61)에 걸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톤백마대(60)에 물건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도 상기 운반끈(61)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재질은 스프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2걸이부(30)는 도 2와 같이, 상기 톤백마대(60)의 투입구(63)를 걸어둘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2걸이부(30)도 제1걸이부(20)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부(40)는 상기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10)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연결부(40)는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그 중 하나를 예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40)를 통하여 톤백마대 거치를 위하여 사용될 때는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넓히고(도 1 참조), 운반 및 보관을 위해 서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도 3 참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40)는 연결바(41)와 슬라이드홈(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바(41)는 지지부와 지지부 간을 x자 형태로 연결하고 서로 겹치는 연결바(41) 간은 핀 등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홈(43)은 상기 지지부(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바(41)의 각단이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는 운반 및 보관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간 간격을 연결부(40)에 의해 좁힌다. 즉, 연결부(40)의 연결바(41)가 슬라이드홈(43)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하여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다. 따라서 톤백마대 거치대를 운반이나 보관할 때 부피가 현저히 작아지므로,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부담없이 톤백마대 거치대를 사용할 수 있다.
톤백마대 거치대를 사용할 때에는, 반대로 연결부(40)에 의해 지지부(10)간의 간격을 넓힌다. 즉, 연결부(40)의 연결바(41)가 슬라이드홈(43)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넓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톤백마대를 지지부(10) 사이에 위치시키고, 톤백마대(60)의 운반끈(61)을 제1걸이부(20)에 체결하여 톤백마대(60) 내부가 비어 있더라도 톤백마대가 형태를 갖추도록 한다. 그리고 톤백마대(60)의 투입구(63)는 제2걸이부(30)에 체결하여 투입구(63)가 상부로 개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톤백마대(60)의 거치가 완료되면, 콤바인으로 수확한 곡물을 투입 구(63)를 통해 톤백마대에 주입한다. 이때 톤백마대(60)는 톤백마대 거치대에 의해 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투입구(63)도 개방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톤백마대를 작업자가 잡고 있을 필요없이 곡물 투입작업을 할 수 있다.
톤백마대(60)에 곡물이 투입되면, 톤백마대로부터 거치대를 분리한다. 이때 톤백마대 거치대의 제1 및 제2걸이부(20, 3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제1 및 제2걸이부(20, 30)를 잡아당겨 운반끈(61)으로부터 제1걸이부(20)를 해체하고, 투입구(63)로부터 제2걸이부(30)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
톤백마대로부터 해체된 톤백마대 거치대는 보관 및 이동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 간의 간격을 좁히거나, 다른 톤백마대에 곡물을 채우기 위하여 이동된다. 이때 지지부(10)의 하부에는 바퀴부(50)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톤백마대 거치대를 밀면서 다른 작업장소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이후의 작업방식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내부에 곡물을 가득 채운 톤백마대(60)는 투입구(63)를 묶고 운반끈(61)을 이용하여 보관장소로 운반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를 사용하면, 보관 및 운반에 대한 부담없이 톤백마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톤백마대를 지지하기 위하여 별도로 작업자를 고용할 필요가 없어 저비용 및 고효율로 톤백마대에 곡물 등의 내용물을 채울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톤백마대 거치대의 지지부(10)가 연결부(40)에 의해 접혀지는 구성이 아니라, 지지부(10)로부터 연결부(40)가 분리되고 다시 지지부(10)도 다수개의 조각(10a, 10b, 10c, 10d)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지지부 조각(10a, 10b, 10c, 10d)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연결부재, 즉 결합편(11)과 승강편(13)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편(11)은 지지부 조각(10a, 10b, 10c, 10d) 중 상단 2개의 지지부 조각(10a, 10b)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결합편(11)의 내부로 지지부 조각(10a, 10b)이 각각 삽입되고 체결공(11b)에 체결볼트(11a)가 삽입되어 조임으로써 결합편(11) 내에서 2개의 지지부 조각(10a, 10b)이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편(13)은 하단의 지지부 조각(10c, 10d)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승강편(13)의 상부로 상단 지지부 조각(10a 또는 10b)이 삽입되고 체결공(13b)에 체결볼트(13a)가 삽입되어 조임으로써 승강편(13) 내에서 상단 지지부 조각(10a 또는 10b)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편(13)에는 다수개의 체결공(13b)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체결공 중 하나와 상부 지지부 조각(10a, 10b)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14)을 연통시킨 후 체결볼트(13a)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상단 지지부 조각(10a, 10b)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하단 지지부 조각(10c, 10d)에는 바퀴부(50)가 착탈 가능하게 마련된다. 따라서 해체시에는 바퀴부(50)를 지지부 조각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40)는 연결바(41)로 구성되고 연결바(41)의 양단은 관통되어 있어 연결볼트(41a)를 통하여 연결바(41)를 각 지지부 조각(10a, 10b, 10c, 10d)에 형성된 결합공(15)에 체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톤백마대 거치대의 결합 및 해체 작업이 제1실시예에 비해 다소 복잡하지만, 제1실시예에서보다 해체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에 톤백마대를 거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를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톤백마대 거치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지부 20 : 제1걸이부
30 : 제2걸이부 40 : 연결부
50 : 바퀴부 60 : 톤백마대

Claims (4)

  1. 내부에 물건이 투입된 상태의 톤백마대의 높이보다 높게 제작되는 한 쌍의 지지부;
    상기 톤백마대의 운반끈을 걸어 상기 톤백마대에 물건을 투입하기 전에 상기 톤백마대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1걸이부;
    상기 톤백마대의 투입구를 걸어둘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는 제2걸이부; 및
    상기 지지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마대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다수개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결합편과 승강편에 의해 각 조각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는 상기 승강편에 의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마대 거치대.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을 위하여 바퀴부가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톤백마대 거치대.
KR2020080010224U 2008-07-31 2008-07-31 톤백마대 거치대 KR200450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24U KR200450683Y1 (ko) 2008-07-31 2008-07-31 톤백마대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224U KR200450683Y1 (ko) 2008-07-31 2008-07-31 톤백마대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53U KR20100001453U (ko) 2010-02-10
KR200450683Y1 true KR200450683Y1 (ko) 2010-10-21

Family

ID=4419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224U KR200450683Y1 (ko) 2008-07-31 2008-07-31 톤백마대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73Y1 (ko) 2011-09-30 2012-03-07 박종병 톤백 마대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64B1 (ko) * 2010-07-13 2013-07-31 명성테크 주식회사 톤백 마대 거치대
CN112707182A (zh) * 2019-10-24 2021-04-27 重庆锦旗碳素有限公司 一种放灰用清灰小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888A (ja) * 1995-12-02 1997-06-10 Sanyo:Kk トラック搭載用粉粒体搬送容器、およびそれ用の組立式骨格体ならびに吊下げベルト
JP2004033512A (ja) * 2002-07-04 2004-02-05 Nagase Tekko:Kk 衣服かけ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888A (ja) * 1995-12-02 1997-06-10 Sanyo:Kk トラック搭載用粉粒体搬送容器、およびそれ用の組立式骨格体ならびに吊下げベルト
JP2004033512A (ja) * 2002-07-04 2004-02-05 Nagase Tekko:Kk 衣服かけ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73Y1 (ko) 2011-09-30 2012-03-07 박종병 톤백 마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453U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476B2 (en) Horse tack cart
CN201647803U (zh) 一种组合式袋装物料吊装货架
US6695688B1 (en) “Tree winch” portable game hoist
US8459710B1 (en) Mattress carrier
KR200450683Y1 (ko) 톤백마대 거치대
US7886948B2 (en) Hitch carrier device
US20110241397A1 (en) Portable swing seat
US20150097091A1 (en) Gravity hamper laundry center
US20060213011A1 (en) Patient restraining apparatus
KR101280564B1 (ko) 톤백 마대 거치대
WO2020124126A1 (en) Improved pet leash
KR100959664B1 (ko) 화물적재용 조립형 팔레트
US8047554B2 (en) Strap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100140970A1 (en) Support means for assisting in hauling an item
KR101609339B1 (ko) 자립형 고리를 구비한 벌크백
KR200458225Y1 (ko) 톤백마대 거치대
KR200452435Y1 (ko) 운송수단용 화물용기 지지장치
US10464806B1 (en) Portable saddle rack
KR20150092728A (ko) 톤백 마대 거치대가 구비된 톤백
KR200458773Y1 (ko) 톤백 마대 거치대
KR100822845B1 (ko) 다용도 운반용 지게
KR200473674Y1 (ko) 톤백마대 거치대
CN210416612U (zh) 一种轻型运秧架
CN209776500U (zh) 一种避免货物掉落的地牛
JP2013091566A (ja) 手荷物運搬用腰ベルト補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