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669Y1 -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669Y1
KR200450669Y1 KR2020090000689U KR20090000689U KR200450669Y1 KR 200450669 Y1 KR200450669 Y1 KR 200450669Y1 KR 2020090000689 U KR2020090000689 U KR 2020090000689U KR 20090000689 U KR20090000689 U KR 20090000689U KR 200450669 Y1 KR200450669 Y1 KR 200450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fixing body
digital door
prevention device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48U (ko
Inventor
김상철
Original Assignee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철 filed Critical 김상철
Priority to KR2020090000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66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6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0Mean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pening, e.g. for securing the bolt in the fastening position
    • E05B17/2003Preventing opening by insertion of a tool, e.g. flexible, between door and jamb to withdraw the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지털 도어록의 열림 버튼과 대응하게 고정체를 돌출형성하고 그 배면에는 결합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체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체의 전면 가이드 홈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간격조절바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전면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면서 상기 열림 버튼과 대응하는 끝단에 회전작동이 가능한 회전칸막이를 장착하되, 상기 회전칸막이는 간격조절바의 끝단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에 의해 상부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외부 침입자의 의한 디지털 도어록의 열림 버튼이 무단으로 열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단작동방지장치, 고정체, 결합부재, 간격조절바, 회전칸막이.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An operation prevention device unauthorized an opening button.}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침입자가 공구를 이용해 도어를 천공한 후 철사와 같은 부품으로 열림 버튼을 눌러 무단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또는 상점 등에서는 방범 및 보안을 위하여 기계식 도어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범죄자들의 수법이 고도화되어 기계식 도어록의 보안성이 위협받게 됨에 따라 보안성 뿐만 아니라 편리성도 뛰어난 디지털 도어록으로 교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디지털 도어록을 채용한 경우라도 도어에 우유 투입구가 있는 경우라면 우유 투입구를 통해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도어록을 무단 해정할 수 있게 되자 우유 투입구에 잠금 장치 등을 설치하거나 우유 투입구 열림 감지 센서를 이용한 무단 해정 방지용 디지털 도어록을 설치하는 등 고도화되는 범죄 수법에 대응하여 더욱 보안성을 강화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디지털 도어록의 보안성 강화로 인해 외부 침입자가 외부에서 무단 해정하는 것이 어려워지자 최근에는 공구 등을 이용하여 도어를 뚫어 구멍을 내고 이 구멍을 통해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한 철사 또는 기계 장치를 투입하여 도어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록의 내측 조작부에 구비된 열림 버튼이나 수동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도어록을 무단 해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부 침입자가 공구를 이용해 도어를 천공한 후 철사와 같은 부품으로 열림 버튼을 눌러 무단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출입 통제를 위하여 도어에 장착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열림 버튼 무단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열림 버튼과 대응하게 고정체를 돌출형성하고 그 배면에는 결합부재를 장착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체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체의 전면 가이드 홈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간격조절바의 끝단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한 회전칸막이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칸막이는 간격조절바의 끝단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에 의해 상부로만 회동이 가능하였다가 무게에 의해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침입자가 공구를 이용해 도어를 천공한 후 철사와 같은 부품으로 열림 버튼을 눌러 무단으로 디지털 도어록을 해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는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디지털 도어록의 위치에 따라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는 위치조절이 가능한 고정체와 간격조절바를 통해 어떠한 디지털 도어록의 위치에도 손쉽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이다.
본 고안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이하 '무단작동방지장치'라 함)(1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체(20)와, 상기 고정체(20)를 도어(1)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30)와, 상기 고정체(20)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간격조절바(40)와, 상기 간격조절바(40)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열림 버튼(5)을 보호하는 회전칸막이(50)로 구성된다.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고정체(20)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일체형으 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도 3과 같이 분리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분리형성되는 고정체(20)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체(20)는 디지털 도어록(3)의 열림 버튼(5)과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분리형성되는 고정체(20)는 상기 도어(1)에 장착되는 배면 고정체(22)와,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전면에 나사 체결을 통해 전, 후 작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 고정체(24)와,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측면에 관통장착되고 전면 고정체(24)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6)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전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2a)에 전면 고정체(24)의 체결볼트(24a)를 체결한 후 상기 전면 고정체(24)의 높이를 조절한 다음 체결볼트(24a)와 맞닿는 고정볼트(26)를 조임으로써 전면 고정체(2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체(20)는 도시된 도 7과 같이 나사 결합이 아닌 끼움 결합을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도어(1)에 결합부재(30)를 통해 장착되고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공(22b)이 형성되는 배면 고정체(22)와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끼움공(22b)에 끼움돌기(24c)가 끼움결합되는 전면 고정체(24)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배면에 형성되는 끼움공(22b)에 전면 고정체(24)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끼움돌기(24c)를 끼움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면 고정체(24)의 전면 중앙에는 가이드 홈(24b)이 함몰형성되는데, 즉 상기 가이드 홈(24b)은 내면에 안착되는 상기 간격조절바(40)의 위치안내와 고정지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20)를 상기 도어(1)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30)는 상기 도어(1)의 재질에 따라 양면테이프나 자석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도어(1)가 유리 또는 목재로 형성될 경우에 양면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도어(1)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체(20)의 전면 가이드 홈(24b)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는 간격조절바(40)는 소정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간격조절바(40)의 길이는 끝단에 장착되는 회전칸막이(50)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3)의 열림 버튼(5)에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조절바(40)의 형상은 도시된 도 1과 같이 내면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내면에 소정구간 가이드 공(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내면에 가이드 공(42)이 형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간격조절바(40)의 가이드 공(42)은 상기 디지털 도어록(3)의 열림 버튼(5) 위치에 따라 회전칸막이(50) 위치를 조절하고 간격조절볼트(44)에 의해 전면 고정체(22)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바(40)의 끝단 하부에는 스토퍼(4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데, 즉 상기 스토퍼(46)는 끝단 측면에 장착되는 회전칸막이(50)의 처짐을 방지하면서 일방향으로만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간격조절바(40)의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칸막이(50)는 간격조절바(40)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회전칸막이(50)를 고정하는 체결구(60)를 중심으로 회동작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칸막이(50)는 평상시 상기 스토퍼(46)의 지지에 의해 열림 버튼(5)을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상기 체결구(60)를 중심으로 회동작동하여 상부로 회동함으로써 열림 버튼(5)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칸막이(50)는 도시된 도 8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회전칸막이(50)는 상기 간격조절바(40)의 연장형성되는 연결부(48)의 체결공(48a)에 상부 힌지(52a)를 더 형성하여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회전칸막이(50)는 상부 힌지(52a)가 상기 연결부(48)의 체결공(48a)에 매달리면서 열림 버튼(5)를 보호하고, 상기 회전칸막이(50)의 회동작동시에는 상부로만 회동이 가능하였다가 무게에 의해 원위치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무단작동방지장치(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이다.
먼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배면 고정체(22)와,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전 면에 나사 체결을 통해 전, 후 작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 고정체(24)와,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측면에 관통장착되고 전면 고정체(24)를 고정하는 고정볼트(26)로 구성되는 고정체(20)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배면에 결합부재(30)를 장착하되,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도어(1)가 유리 또는 목재로 형성될 경우에 양면테이프로 형성하고, 상기 도어(1)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자석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내면에 가이드 공(42)이 소정구간 형성되며 끝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46)가 형성되는 간격조절바(40)를 형성한 후 상기 간격조절바(40)의 끝단에 체결구(60)를 이용해서 회전칸막이(50)를 회동가능하게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간격조절바(40)를 상기 전면 고정체(24)의 가이드 홈(24b)에 장착하면 무단작동방지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바(40)는 가이드 공(42)의 체결되는 간격조절볼트(44)를 통해 전면 고정체(24)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무단작동방지장치(10)를 디지털 도어록(3)이 위치한 도어(1)의 일측면에 장착한다.
즉, 상기 무단작동방지장치(10)는 상기 간격조절바(40)의 위치가 열림 버튼(5)의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체(20)의 배면에 장착되는 결합부재(30)를 이용해서 도어(1)에 고정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무단작동방지장치(10)는 배면 고정체(22)에 체결된 고정볼 트(26)를 풀어 전면 고정체(24)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 홈(24b)에 장착된 간격조절바(40)의 높이가 디지털 도어록(3)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고정볼트(26)를 조여 전면 고정체(24)를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무단작동방지장치(10)는 상기 간격조절볼트(44)를 풀어 간격조절바(40)의 수평방향으로 간격으로 조정하면서 끝단에 위치한 회전칸막이(50)가 열림 버튼(5)의 전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간격조절볼트(44)를 조여서 간격조절바(40)를 전면 고정체(24)에 고정하면 설치작업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무단작동방지장치(10)는 회전칸막이(50)의 자중과 상기 간격조절바(40)의 끝단에 위치한 스토퍼(46)에 의해서 열림 버튼(5)의 전면을 차단함으로써 외부 침입자의 도어(1) 천공 후 철사 또는 기계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도어록(3)의 열림 버튼(5)이 무단으로 열리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도면.
도 7 및 8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단작동방지장치,
20 : 고정체, 22 : 배면 고정체,
24 : 전면 고정체, 26 : 고정볼트,
30 : 결합부재, 40 : 간격조절바,
42 : 가이드 공, 44 : 간격조절볼트,
46 : 스토퍼, 50 : 회전칸막이.

Claims (5)

  1. 출입 통제를 위하여 도어(1)에 장착되는 디지털 도어록의 열림 버튼 무단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3)의 열림 버튼(5)과 대응하게 고정체(20)를 돌출형성하고 그 배면에는 결합부재(30)를 장착하여 상기 도어(1)에 고정체(20)를 장착하고,
    상기 고정체(20)의 전면 가이드 홈(24b)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간격조절바(40)가 상기 디지털 도어록(3)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열림 버튼(5)과 대응하는 간격조절바(40)의 끝단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한 회전칸막이(50)를 장착하고,
    상기 회전칸막이(50)는 간격조절바(40)의 끝단 하부에 위치한 스토퍼(46)에 의해 상부로만 회동이 가능하였다가 무게에 의해 원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도어(1)에 결합부재(30)를 통해 장착되는 배면 고정체(22)와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전면에 나사 체결을 통해 전, 후 작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면 고정체(24)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전면 고정체(24)는 위치조절 후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측면에 관통체결되는 고정볼트(26)에 의해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30)는 상기 도어(1)가 유리 또는 목재로 형성될 경우에 양면테이프로 형성하고, 상기 도어(1)가 금속재질로 형성될 경우에는 자석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바(40)는 상기 디지털 도어록(3)의 열림 버튼(5) 위치에 따라 회전칸막이(50)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가이드 공(44)을 소정구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공(44)에는 회전칸막이(50) 위치 조정 후 간격조절바(40)를 상기 고정체(20)에 고정하기 위해 간격조절볼트(44)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도어(1)에 결합부재(30)를 통해 장착되고 배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끼움공(22b)이 형성되는 배면 고정체(22)와 상기 배면 고정 체(22)의 끼움공(22b)에 끼움돌기(24c)가 끼움결합되는 전면 고정체(24)로 분리형성하고, 상기 전면 고정체(24)는 위치조절 후 상기 배면 고정체(22)의 측면에 관통체결되는 고정볼트(26)에 의해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KR2020090000689U 2009-01-20 2009-01-20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KR200450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689U KR200450669Y1 (ko) 2009-01-20 2009-01-20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689U KR200450669Y1 (ko) 2009-01-20 2009-01-20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48U KR20100007648U (ko) 2010-07-29
KR200450669Y1 true KR200450669Y1 (ko) 2010-10-21

Family

ID=4445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689U KR200450669Y1 (ko) 2009-01-20 2009-01-20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66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303U (ko) * 2007-05-08 2008-11-12 인영식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303U (ko) * 2007-05-08 2008-11-12 인영식 실내측에도 다양한 전자식 키입력수단을 갖는 디지털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48U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011A (en) Child and pet safety gate
US20070000293A1 (en) Security system for entrance barriers
EP2418343B1 (en) Opening restrictor
US20020067046A1 (en) Drop lock-outward opening door retaining device
US9033378B2 (en) Security door lock device
US5129693A (en) Doorjamb anti-separation device
KR200450669Y1 (ko) 디지털 도어록 열림 버튼 무단작동방지장치
KR100924433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자석식 문짝 고정 구조물
JP2009030275A (ja) 電気錠システム
US6866309B1 (en) Security bolt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20060179905A1 (en) Latch protector
KR101024304B1 (ko) 출입문용 안전 고리
US11473349B2 (en) Door lock assembly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17202850B2 (en) Lockable bolt assembly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JP2006097360A (ja) 両面シリンダー面付け錠のシリンダーと錠ケース取り付け機構。
KR101733112B1 (ko) 현관문용 힌지장치
KR20090046755A (ko) 여닫이형 목재 도어 및 문틀의 잠금구 결합부위 훼손방지장치
JP2004190326A (ja) 掛金式シャッター固定具
JP7343165B2 (ja) 補助錠
JP5016366B2 (ja) ストライク穴調整機構
KR100737824B1 (ko) 보안형 상부 피봇힌지
US20120043769A1 (en) Door security device
KR200223981Y1 (ko) 문의 방범용 보조 잠굼장치
KR200223956Y1 (ko) 창문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