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678Y1 - Steel beam using perpendicular plate member and tendon member - Google Patents
Steel beam using perpendicular plate member and tendon memb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9678Y1 KR200449678Y1 KR2020080000707U KR20080000707U KR200449678Y1 KR 200449678 Y1 KR200449678 Y1 KR 200449678Y1 KR 2020080000707 U KR2020080000707 U KR 2020080000707U KR 20080000707 U KR20080000707 U KR 20080000707U KR 200449678 Y1 KR200449678 Y1 KR 20044967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beam
- plate
- vertical plate
- steel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 E04C2003/044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beams, girders, or joists characterised by cross-sectional aspects characterised by substantial shape of the cross-section
- E04C2003/0452—H- or I-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판재를 상부 및/또는 하부플랜지에 돌출되도록 보강판을 이용하여 고정시킨 형태로 상기 보강판에는 긴장재가 긴장 후 정착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강재빔에 도입되도록 함으로서 그 제작의 용이성과 강성증대의 효과를 최적화 할 수 있어, 보다 장 지간으로 교량용 주형 및 건축용 들보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강재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tical plate is fixed by using a reinforcing plate to protrude to the upper and / or lower flanges in the form of the tension material is fix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after the tension to be introduced into the steel beam to increase the ease and rigidity of the fabrication This invention relates to steel beams that can be used to optimize the effects and to be used in bridge molds and building beams.
강성, 강재빔, 보강판, 긴장재 Rigidity, steel beam, reinforcement plate, tension material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직판재와 긴장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강재빔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된 강재빔에 있어 상부 및/또는 하부플랜지에 수직판재를 보강판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긴장재를 함께 장착시킴으로서 작용하중에 대한 강성을 최적화하여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강재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beam manufactured using a vertical plate and a tension member. More specifically, in the steel beam consisting of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by installing a vertical plate on the upper and / or lower flange by using a reinforcement plate, and by mounting the tension member together, the rigidity against the working load can be secured. It is about a steel beam.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강재빔의 제작에 있어 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작공종을 개략 도시한 것이다.1A to 1C schematically illustrate a manufacturing work for enhancing rigidity in manufacturing a conventional steel beam.
즉, 먼저 도 1a와 같이 상부플랜지(11), 복부(12) 및 하부플랜지(13)로 구성된 강재빔(10)을 양단 단순 지지형태로 거치시킨 상태에서, 유압잭 등을 이용하여 압축하중(P)을 상부플랜지에 하방으로 도입시켜 강재빔(10)이 하방으로 만곡 되도록 하게 된다.That is, first, the
다음으로는 도 1b와 같이 상부플랜지(11) 및 하부플랜지(13)에 각각 판재 형태의 수평보강판(20)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시켜 휘어진 상태가 구속 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 1B, the
다음으로는 도 1c와 같이 유압잭을 제거하여 수평보강판(20)에 의하여 구속된 강재빔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최종 상방으로 만곡되도록 하여 강재빔에 소정의 압축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한다.Next, as shown in FIG. 1C, the hydraulic jack is removed to allow the steel beams constrained by the horizontal reinforcing
이로서, 강재빔(10)은 압축프리스트레스가 추가로 도입됨으로서 작용하중에 대한 강성이 증가될 수 있어 보다 장지간의 교량용 주형 등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the
하지만 이러한 강재빔(10) 강성 증대 방법에 의하면, 강재빔(1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 단면적이 증가되는 만큼 단면력이 커질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보강판이 수평 판재이기 때문에 그 두께만큼의 높이 변화정도만 있을 뿐 강재빔의 전체 높이에는 그다지 변화가 없어 구조적으로 강성 증진효과가 미흡할 수 있으며,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수평보강판(20)을 강재빔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부착 고정시킬 때 그 연결부위가 커질 수밖에 없어 용접불량 등에 의한 하자 발생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된 바 있다.When the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강재빔의 강성증진 방법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강성증진 수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작도 용이한 강재빔 강성증진방법을 제공함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beam stiffness enhancement method that can provide a more effective stiffness enhancing means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creasing the stiffness of the steel beam, as well as its technical problem.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첫째, 강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될 수 있도록 강재빔의 상부 또는/및 플랜지에 수평판재 형태가 아닌 수직판재를 돌출되도록 고정시킴으로서, 강재빔의 단면높이가 커질 수 있도록 하여 단면력에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First, by fixing a vertical plate rather than a horizontal plate on the upper part of the steel beam or the flange so that the rigidity can be more effectively increased, the cross-sectional height of the steel beam can be increased so that it can work more effectively in the cross-sectional force. And
둘째, 상기 수직판재에 보강재를 추가로 더 형성시키되 이러한 보강재에는 길이방향으로 긴장재를 긴장 후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함으로서 강성보강이 최적화된 강재빔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Secondly, the reinforcing material is further formed in the vertical plate, but the reinforcing material is provided with a steel beam optimized for rigid reinforcement by introducing prestress by tensioning the tensioning materi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fixing it.
본 고안에 의한 강성이 보강된 강재빔은 강성증대를 위한 효과가 매우 크다는 장점에 의하여 보다 장지간으로 보다 슬림화된 단면을 가진 빔으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steel beam reinforced with stiffn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beam having a slimmer cross section over longer periods due to the advantage that the effect for increasing rigidity is very large.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 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고안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more clearly and easily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실시예1>Example 1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100)을 도시한 것이다.2 illustrates a
상기 강재빔(100)은 상부플랜지(110), 복부(120) 및 하부플랜지(1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강재빔(100)은 강판을 가공하여 상부, 하부플랜지 사이에 복부를 용접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나, 형강 빔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또한 상기 강재빔(1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지만, 운반 상의 문제점 때문에 다수의 분할된 세그먼트 강재빔을 서로 체결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 상태의 강재빔(100) 상부플랜지(110)에 본 고안의 수직판재1(140)을 고정시키게 된다.The vertical plate 1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이러한 수직판재1(140)은 강판으로서 판재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The vertical plate member 1 140 may be on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plate as a steel sheet.
상기 도 2에 의하면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110) 상부면 개략 중앙부에 수직판재1(140)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부착 고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al plate 1 140 protrudes upward and is fix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로서 상기 수직판재1(140)의 형성 높이만큼 강재빔(100)의 전체높이는 커지는 효과가 있으므로 강재빔(100)의 단면강성이 종래 수평보강판과 비교하여 훨씬 커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overall height of the
이러한 수직판재1(140)은 강재빔의 상부플랜지(110)에 용접에 의하여 부착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 높이 및 두께는 강재빔의 단면설계에 의하여 적의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The vertical plate 1 140 may be attached and fixed by welding to the
이때 상기 수직판재1(140)은 만곡된 상부플랜지의 만곡정도에 맞추어 인위적으로 만곡을 가지도록 미리 세팅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vertical plate 1 (140) may be used in advance to have an artificial curvature in accordance with the degree of curvature of the curved upper flange.
즉, 강재빔이 단순 지지되어 있을 때 발생하는 하방 만곡 형상을 고려하여 수직판재1(140)을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the vertical plate 1 140 may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downward curved shape generated when the steel beam is simply supported.
또한 강재빔에는 추가적으로 강재빔의 하부플랜지에 수직판재2(160)를 더 부착 고정시켜 최종 강재빔의 높이는 결국 당초 강재빔의 높이에 수직판재1(140) 및 수직판재2(160)의 추가 높이가 더해져 보다 효율적인 강성확보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즉 하부플랜지 하면의 중앙부에 하방으로 돌출되어 빔의 전체 단면높이가 더 커지도록 형성된 수직판재2(160)을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vertical beam 2 (160) is further attached to the lower beam of the steel beam to the steel beam, so that the height of the final steel beam eventually increases the height of the vertical plate 1 (140) and the vertical plate 2 (160) to the height of the original steel beam. Is added to enable more efficient rigidity.
In other words, the vertical plate 2 (160) formed so as to protrude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lower flange lower surface height of the overall cross-section is larger.
물론 하부플랜지(130)에 수직판재2(160)를 먼저 설치하고, 상부플랜지(110)에 수직판재1(140)을 설치해도 상관은 없다.Of course, the vertical plate 2 (160) is first installed on the
나아가, 이러한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110)와 하부플랜지(130)에 설치된 수직판재1(140)과 수직판재2(160)에는 보강판1(150)과 보강판2(170)가 설치되도록 한다.Furthermore, the reinforcing plate 1 (150) and the reinforcing plate 2 (170) are provided on the vertical plate 1 (140) and the vertical plate 2 (160) installed on the
상기 보강판1(150)은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편 형태로 형성시키되 도 2와 같이 수직판재1(140)의 양 측면에 측면이 접하여 저면이 상부플랜지(110)의 상면에 접하도록 즉, 상기 수직판재1 양 측면과 상부플랜지 상면에 걸쳐 용접시켜 설치 하되, 이러한 보강판1(150)은 수직판재1(140)의 연장방향으로(길이방향) 서로 다수가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plate 1 (1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iangular piece as a whole, but the sides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1 (140) as shown in Figure 2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러한 보강판1(150)은 관통공이 적어도 1개가 설치되도록 하며 이러한 관통공에는 본 고안의 긴장재(200)가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1 (150) may be installed so that at least one through hole is installed and the
즉, 상기 관통공에는 긴장재(300)로서 예컨대 강봉이 삽입, 설치되도록 하여 강봉이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110) 상면에 상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teel rod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through-hole as the
이러한 긴장재(300)는 유압수단 등에 의한 긴장장치에 의하여 긴장되도록 한 후, 그 양단부가 보강판1(150)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The
이로서, 강재빔(100)에 긴장재 긴장 및 정착에 의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여 보다 강성이 증진된 강재빔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s a result, the prestress due to the tension and fixation of the tensio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상기 보강판2(170)도 역시 전체적인 형상이 삼각편 형태로 형성시키되 도 2와 같이 수직판재2(160)의 양 측면에 측면이 접하여 저면이 하부플랜지(130)의 저면에 접하도록 즉, 수직판재2 양 측면과 하부플랜지 하면에 걸쳐 용접시켜 설치하되, 이러한 보강판2(170)는 수직판재2(160)의 연장방향(길이방향)으로 다수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The reinforcing plate 2 (170) is also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as a whole, but the sides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the vertical plate 2 (160) as shown in Figure 2, that is,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이러한 보강판2(170)에도 관통공이 적어도 1개가 설치되도록 하며 이러한 관통공에는 본 고안의 긴장재(300)가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At least one through hole is also installed in the reinforcing plate 2 170, and the
즉, 상기 관통공에는 긴장재(300)로서 강봉이 삽입, 설치되도록 하여 강봉이 강재빔(100)의 하부플랜지(130) 저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teel rod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s the
이러한 긴장재(300)도 역시 유압수단 등에 의한 긴장장치에 의하여 긴장되도록 한 후, 그 양단부가 보강판2(170)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게 되며,This
이로서,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에는 긴장재 긴장 및 정착에 의한 프리스트레스가 상,하부로 도입되도록 하여 강재빔의 시공 위치에 따른 보다 강성이 증진된 강재빔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us,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적용예1><Application Example 1>
특히 도 3은 강재빔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에 수직판재1(140)과 수직판재2(160)가 보강판에 의하여 설치되며, 상기 보강판에 긴장재(200,300)가 장착된 강재빔(100)에 있어 그 상부 및 하부플랜지를 감싸는 피복콘크리트(180)가 합성된 강합성빔(400)으로 변형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In particular, Figure 3 is a vertical plate 1 (140) and vertical plate 2 (160)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flanges of the steel beam by the reinforcement plate, the
이때 상기 피복콘크리트(180)는 강재빔(100)에 있어 하부플랜지만, 하부플랜지와 복부 일부 또는 전부 등과 같이 강재빔의 전체가 아닌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ated
<적용예2><Application Example 2>
도 4에 의하면, 가시설로서 가교에 있어 주형으로 사용되는 예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4, the example used as a template in bridge | crosslinking as a temporary installation can be confirmed.
즉, 먼저 가설벤트(500)를 설치하고, 그 상부면에 본 고안의 실시예 1,2에 따른 강재빔(100)을 병렬로 다수 이격 설치하고, 그 상부면에 복공판을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first, the
이때, 상기 복공판은 통상적인 직육면체 형태의 복공판이 아니라, 강재빔(100)의 상부플랜지(110)에 형성된 수직판재1(140) 사이에 H형강(600)인 복공판이 서로 접하여 설치되도록 하되,At this time, the perforated plate is not a normal rectangular parallelepiped plate, but between the vertical plate 1 (140) formed in the
긴장재(300)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각 H형강(600)의 복부에는 삽입공이 형성되도록 하여 긴장재(200)에 의한 위치 세팅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abdomen of each H-
이때, 상기 복공판은 H형강(600)을 다수 일체로 하여 한꺼번에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때는 다수의 H형강(600)이 서로 병렬로 접하여 일체로 제작된 것을 이용해도 되고, H형강(600)을 1개씩 설치해도 상관은 없다.At this time, the perforated plate may be installed at a time by integrally a plurality of H-
<적용예3><Application Example 3>
도 5에 의하면, 본 고안의 적용예1에 의한 강재빔(100)에 있어 피복콘크리트(180)가 더 형성된 강합성빔(400)을 영구교량용 주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According to Figure 5, in the
<적용예4><Application Example 4>
마지막으로 도 6a에 의하면 도 2에 의한 강재빔(100)에 있어서 특히 상부플랜지에만 긴장재(200)를 설치한 것을 건축구조물인 빌딩 기둥부재(70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건물 바닥판 콘크리트(800)를 타설, 양생시킨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Lastly, according to FIG. 6a, in the
도 6b에 의하면 도 2에 의한 강재빔(100)에 있어서,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 모두에 긴장재(200,300)를 설치한 것을 건축구조물인 빌딩 기둥부재(70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건물 바닥판 콘크리트(800)를 타설, 양생시킨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6B, in the
결국, 본 고안의 강재빔(100) 및 강합성빔(400)은 도 4,5,6과 같이 가설교량, 영구교량 및 건축용 들보 등에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의 강성 증진용 강재 빔 제작방법을 개략 도시한 것이다.1a, 1b and 1c schematically illustrate a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beam for stiffness enhancement.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을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을 이용한 강합성빔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a steel composite beam using a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을 가설교량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temporary bridge.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을 영구교량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manent bridge.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을 건축용 들보(빔)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6A and 6B show an example of applying the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building beam (beam).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본 고안에 의한 강재빔100: steel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0:강재빔의 상부플랜지110: upper flange of the steel beam
120:강재빔의 복부 130:강재빔의 하부플랜지120: abdomen of the steel beam 130: lower flange of the steel beam
140,160:수직판재1,2140,160: Vertical plate 1,2
150,170:보강판1,2 180:피복콘크리트150, 170: reinforcement board 1,2 180: coated concrete
200,300:긴장재200,300: Tension material
400:강재빔에 의한 강합성빔400: steel composite beam by steel beam
500:가설벤트500: temporary vent
600:복공판 700:기둥부재600: return plate 700: pillar member
800:건물 바닥판 콘크리트800: building deck concret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0707U KR200449678Y1 (en) | 2008-01-17 | 2008-01-17 | Steel beam using perpendicular plate member and tendon memb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0707U KR200449678Y1 (en) | 2008-01-17 | 2008-01-17 | Steel beam using perpendicular plate member and tendon memb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365U KR20090007365U (en) | 2009-07-22 |
KR200449678Y1 true KR200449678Y1 (en) | 2010-07-30 |
Family
ID=4129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0707U KR200449678Y1 (en) | 2008-01-17 | 2008-01-17 | Steel beam using perpendicular plate member and tendon memb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678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8088B1 (en) * | 2014-06-18 | 2014-11-05 | 이경표 | Construction method for rahmen bridge using transverse prestressed girder |
KR101492078B1 (en) | 2014-10-28 | 2015-02-10 | 이경표 |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girder |
KR20180133758A (en) * | 2017-06-07 | 2018-12-17 | 김명한 | Frame structure for outsized vinyl house |
KR101962788B1 (en) | 2018-05-30 | 2019-03-27 | (주)비에스씨코리아 |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girder and composite deck-plate and temporary bridge therewith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7258A (en) * | 2002-04-25 | 2003-05-12 | 박대열 | Continuous Prestress Expanding Girder Beam |
KR20030069766A (en) * | 2002-08-30 | 2003-08-27 | 박대열 | Prestressed Continuous Girder with Bended Tendon |
-
2008
- 2008-01-17 KR KR2020080000707U patent/KR200449678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37258A (en) * | 2002-04-25 | 2003-05-12 | 박대열 | Continuous Prestress Expanding Girder Beam |
KR20030069766A (en) * | 2002-08-30 | 2003-08-27 | 박대열 | Prestressed Continuous Girder with Bended Tendo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8088B1 (en) * | 2014-06-18 | 2014-11-05 | 이경표 | Construction method for rahmen bridge using transverse prestressed girder |
KR101492078B1 (en) | 2014-10-28 | 2015-02-10 | 이경표 | Construction method for temporary bridge using prestressed girder |
KR20180133758A (en) * | 2017-06-07 | 2018-12-17 | 김명한 | Frame structure for outsized vinyl house |
KR102038009B1 (en) * | 2017-06-07 | 2019-10-30 | 김명한 | Frame structure for outsized vinyl house |
KR101962788B1 (en) | 2018-05-30 | 2019-03-27 | (주)비에스씨코리아 | Temporary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eel girder and composite deck-plate and temporary bridge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7365U (en) | 2009-07-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3872B1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with a blocked out | |
KR200449678Y1 (en) | Steel beam using perpendicular plate member and tendon member | |
KR100758994B1 (en) | Reinforced beam with vertical h-steel or i-steel for stiffness,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US10301833B1 (en) | Highly durable textile reinforcing panel used as concrete form, and method of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101243777B1 (en) | Rahmen bridge using composite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and concrete memb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889857B1 (en) | Steel beam stiffness reinforcing method | |
KR100593664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mposite slab | |
KR100871831B1 (en) | Prestressed temporary bridge preloaded by cable-tie and method thereof | |
KR100719957B1 (en) |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deck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formed spacer and the connection details | |
JP2009084908A (en) | Floor plate unit with void forms, and composite hollow floor plate | |
KR100634344B1 (en) | Composite slab and the joint structure | |
KR100559764B1 (en) | Steel girder adhered arch rib | |
KR101350797B1 (en) | a precast slab with a pc strand holding apparatu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30629B1 (en) | Cable bridge with cranked concrete edge girders | |
KR100989153B1 (en) | Psc girder connection structure with strength connector detail for substitution of rebar placement in deck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18585B1 (en) | Punching-shear strengthening method with externally bonded prestressed frp strips | |
KR20060053030A (en) | Net type external prestress strengthe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lab bridges | |
KR101912422B1 (en) | Composite beam fabricating method with pre-load process and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 |
KR100580223B1 (en) | Prestressed steel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various shaped steel plates to the upper and lower flang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using the beam | |
KR101192038B1 (en) | Composite deck having steel plate with two dirctional corrugational members | |
KR101819326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020031603A (en) | Preflex Beam Bridge Structures Using Fiber Reinforced Concrete | |
KR100697041B1 (en) | Platetype girder bridge which platetype girder and parapet are in one body,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the platetype girder bridge | |
KR100601097B1 (en) | plate girder | |
KR100416217B1 (en) |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