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75Y1 - 목재용 난로 - Google Patents
목재용 난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9475Y1 KR200449475Y1 KR2020090013904U KR20090013904U KR200449475Y1 KR 200449475 Y1 KR200449475 Y1 KR 200449475Y1 KR 2020090013904 U KR2020090013904 U KR 2020090013904U KR 20090013904 U KR20090013904 U KR 20090013904U KR 200449475 Y1 KR200449475 Y1 KR 20044947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bustion chamber
- wood
- combustion
- main body
- bl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85—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 F24B1/189—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with air-handling means, heat exchange means, or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Controlling combustion characterised by air-handling means, i.e. of combustion-air, heated-air, or flue-gases, e.g. draught control dampers
- F24B1/19—Supplying combustion-a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2—Doors; Screens; Fuel guar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0/00—Combustion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ility or trans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단부 및 후단부의 수직 벽체가 각각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호 형상의 구조로서, 전단부에 위치한 제1 연소실로부터 후단부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의 방향으로 본체의 평면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 단면 형상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폐목재 투입구 부분의 제1 연소실의 단면 직경보다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 부분의 전단부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의 평면 폭이 작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온돌방 아궁이의 연소원리에 의해 폐목재를 연소시켜 강한 화염을 발생시켜 난방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투입구 부분의 제1 연소실에서 연소된 1차 연소 배출가스가 배출부 부분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을 통과하면서 재연소 됨에 따라 폐목재의 연소율을 높여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본 고안은 연소율이 높기 때문에 폐목재를 비롯한 목재 폐기물 또는 톱밥 등과 같은 폐목재 연료 이외에도 종이, 골판지, 천연섬유 등의 연소도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목재용 난로, 연소실, 송풍장치, 호 형상, 배기관, 송풍관, 송풍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전단부 및 후단부의 수직 벽체가 각각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호(弧) 형상의 구조로서, 전단부에 위치한 제1 연소실로부터 후단부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의 방향으로 본체의 평면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원추형 단면 형상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연소실 내에 유입시켜 온돌방 아궁이의 연소 원리에 의해 폐목재를 연소시킴으로써 강한 화력에 의해 난방효과가 우수하고, 1차 연소가스를 재연소시켜 연소율을 높여 그을음과 분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를 취급하는 목재소나 가구공장 등과 같이 목재를 취급하는 산업체 등은 폐목재, 톱밥 등과 같은 목재 폐기물들이 다량 발생되고 있지만 이를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활용방안을 찾지 못하고, 주로 폐기물처리업체에 위탁처리하거나 또는 겨울철에는 목재 폐기물이 발생하는 산업현장 내에서 난방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산업 부산물인 목재 폐기물을 난방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재용 난로가 시중에는 시판되지 않고 있으며, 산업현장에서 주로 철판 소재의 드럼통 등을 이용하여 단순한 원통형 형상의 연소실 본체를 제작한 다음 이 연소실 본체 내부에 폐목재, 톱밥 등을 투입한 다음 연소시켜 난방용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투입되는 목재 폐기물의 양에 비해 연소효율이 낮고, 또한 불완전 연소에 의해 그을음 등의 발생으로 인해 작업장의 실내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종류의 목재용 난로들이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국내 특허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8-019425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외체(2a)(2b)사이에 공간부(8a)∼(8d)가 형성되도록 2중구조로 형성하고, 내체(2a)의 좌우측벽면 및 상부천정(9a)은 단열재(10c)를 부착시키고 하부바닥면(9b)은 주철재로서 공기유통구(110)가 뚫어지며, 상기 한 상측공간부(8a)에는 수납식의 망체형바구니(120)가 설치되어 식품을 구워먹을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가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목재용 난로는 연소실의 내체(2a)의 좌우측벽면 및 상부천정(9a)에 단열재(10c)를 부착시킨 구조로서 연소실 내부에서 목재 폐기물의 화력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열이 단열재(10c)의 방해로 인해 난로의 외벽에 전달되는 복사열의 효율이 낮아 사용하는 폐목재의 양에 비해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재용 난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7590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관을 갖는 목재용 난로로서, 그 내부구조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통(2)에 고정되고 그 연소통의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 설치된 방열판(3)과, 상기 연소통(2)의 상부와 상기 방열판(3)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연소통과 방열판 사이로 공기를 방출시키는 팬(200)과, 상기 연소통(2)의 후단부측에 형성되는 배기구(4)쪽에는 열기저류통(5)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판(3)이 연소통(2)의 상부를 감싸도록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연소통의 하부에 돌출 설치된 거치대를 형성하고, 연소통(2)과 방열판(3)이 고정핀을 통하여 서로 고정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난로가 알려져 있지만, 연소통(2) 내부의 연소열이 외벽에 직접 전달되는 효과는 있지만 연소된 배출가스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불완전연소에 의해 그을음과 분진 등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목재용 난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고안은, 폐목재를 비롯한 목재 폐기물 또는 톱밥 등을 연료로 사용하며, 전단부 및 후단부는 연소실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수직 벽체가 각각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호 형상의 구조의 본체를 갖는 목재용 난로로서, 투입구 부분의 제1 연소실 단면 폭보다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제2 연소실의 단면 폭이 좁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면 온돌방의 아궁이 연소 원리에 의해 폐목재가 연소되면서 강한 화염을 발생시켜 난방효과가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를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체의 구조를 갖는 목재용 난로에 있어서, 투입구 부분의 제1 연소실에서 연소된 1차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 부분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을 통과하면서 재연소 됨에 따라 폐목재의 연소율을 높아 폐목재를 비롯한 목재 폐기물 또는 톱밥 등과 같은 폐목재 연료 이외에도 종이, 골판지 상자, 천연섬유 등의 연소가 가능하고, 특히 그을음과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를 제공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하부에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전단부의 전면에 폐목재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와 본체의 후단부의 상부에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이 각각 설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는 전단부의 전면에 구비된 송풍실이 외부 송풍관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본체 내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장치;로 구성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는 연소실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수직 벽체가 각각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호 형상이고, 전단부에 위치한 제1 연소실로부터 후단부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의 방향으로 본체의 평면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를 과제 해결 수단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소실은 투입구가 구비된 전단부의 수직 벽체가 외벽과 내벽으로 이루어진 송풍실과, 제1 연소실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송풍관이 구비되어지고,
상기 송풍실은 내측 벽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송풍공들이 송풍실의 바닥으로부터 송풍실 높이의 2/3 높이까지 설치되어지며,
상기 수직 송풍관은 제1 연소실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직 송풍관 벽을 따라 복수 개의 송풍공들이 형성되고, 수직 송풍관의 높이는 본체 바닥면으로부터 본체 높이의 1/3~1/2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본 고안은 폐목재 투입구 부분의 제1 연소실의 단면 폭보다 연소가스가 배기되는 배기관 부분의 제2 연소실의 단면 폭이 작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온돌방 아궁이의 연소원리에 의해 폐목재를 연소시켜 강한 화염을 발생시켜 난방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전단부 부분에 위치한 제1 연소실에서 연소된 1차 연소 가스가 후단부 부분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을 통과하면서 재연소 됨에 따라 폐목재의 연소율을 높여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장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소율이 높기 때문에 폐목재를 비롯한 목재 폐기물 또는 톱밥 등과 같은 폐목재 연료 이외에도 종이, 골판지, 천연섬유 등의 연소도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인 도 4 내지 도 14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4 내지 도 14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또한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하고,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고안에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5의 목재용 난로의 상부 평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5의 목재용 난로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상기 도 4의 목재용 난로의 전단부 벽체에 형성된 송풍실 내벽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4의 목재용 난로의 제1 연소실 중앙부에 설치된 수직 송풍관의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투입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투입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개방구를 덮기 위한 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상기 도 11의 덮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3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연소실의 상부면에 개방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도 13b는 상기 도 13a에 도시된 개방구를 덮은 상부덮개에서 통풍구 덮개를 분리하여 통풍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상세 사시도이고, 도 13c는 상기 도 13b에서 상부덮개에 통풍구 덮개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내부에서 폐목재가 연소되고,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체(40)의 하부에 지지프레임(11)이 설치되고 전단부의 전면에 폐목재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20)와 본체의 후단부의 상부에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30)이 각각 설치된 본체(40)와;
상기 본체(40)는 전단부의 전면에 구비된 송풍실(50)이 외부 송풍관(61)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본체 내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장치(60);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는 연소실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수직 벽체가 각각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호 형상이고, 전단부에 위치한 제1 연소실(A)로부터 후단부에 위치한 제2 연소실(B)의 방향으로 본체의 평면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1 연소실(A)이라 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0)의 전단부에 위치하여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도록 호 형상을 이루는 직경이 갖는 원 면적의 넓이를 차지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제2 연소실(B)이라 함은 제1 연소실(A)과의 경계면으로부터 본체(40)의 후단부까지 차지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실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40)가 폐목재가 1차 연소되는 제1 연소실(A)의 폭보다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제2 연소실(B)의 폭이 좁기 때문에 외부의 공기를 연소실 내부에 유입시키면 제2 연소실(B)을 통과하는 연소가스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온돌방 아궁이의 연소원리와 같이 외기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력이 높아지면서 강한 화력을 발생시키므로 난방효과가 우수하고, 또한 제1 연소실(A)에서 연소된 1차 연소가스가 제2 연소실(B)을 통과하면서 재연소됨에 따라 폐목재의 연소율을 높아 폐목재를 비롯한 목재 폐기물 또는 톱밥 등과 같은 폐목재 연료 이외에도 종이, 골판지 상자, 천연섬유 등의 연소가 가능하고, 특히 그을음과 분진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기술적 구성을 각 부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서 제1 연소실(A)은 투입구(20)가 구비된 전단부의 수직 벽체가 외벽과 내벽으로 이루어지고 내측 벽에 관통된 복수 개의 송풍공(51)들이 형성된 송풍실(50)과, 제1 연소실(A)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직 송풍관 벽을 따라 관통되게 복수 개의 송풍공(51)들이 형성되어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송풍관(70)이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제1 연소실(A) 내부에서 연소되는 폐목재는 송풍실(50)과 수직 송풍관(70)에 형성된 송풍공(51)으로부터 송풍되는 외부의 공기에 의해 화력이 세어지면서 연소율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송풍실(50)은 내측 벽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복수 개의 송풍공(51)들이 송풍실(50)의 바닥으로부터 송풍실 높이의 2/3 높이까지 형성되어지고, 상기 송풍실(50)의 일측에 송풍장치(60)로부터 송풍되는 외기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외부 송풍관(61)이 연결되어진다.
상기 송풍실(50)에서 송풍공(51)이 형성되는 높이가 송풍실(50) 높이의 2/3 높이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폐목재가 연소되는 화염의 상부 면으로 외기의 공기가 공급되어 도리어 폐목재의 연소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연소실은 도 8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앙부에 관 벽을 따라 관통되게 복수 개의 송풍공(51)들이 형성된 수직 송풍관(70)이 본체 바닥면으로부터 본체 높이의 1/3~1/2 높이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수직 송풍관(70)은 송풍실(50)의 하부로 연결된 연결 송풍관(71)과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송풍관(70)의 경우에도 수직 송풍관(70)의 높이가 본체(40) 높이의 1/3 미만 될 경우에는 송풍 효과가 높지 않으며, 수직 송풍관(70)의 높이가 본체(40) 높이의 1/2을 초과할 경우에는 폐목재가 연소되는 화염의 상부 면으로 외기의 공기가 공급되어 도리어 폐목재의 연소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수직 송풍관(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실(50)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연결된 연결 송풍관(71)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제1 연소실 내부로 송풍되어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는 도 9 내지 도 13c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연소실 내부의 연소 과정을 관찰하거나 또는 연소 상태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연소실(A) 상부에 연소실의 연소를 조정하기 위해 개방 가능한 개방구(80)와, 이 개방구를 덮는 상부덮개(90)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90)는 도 1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중앙부에 통풍구(91)가 형성되고,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 통풍구(91)의 직경보다 큰 원추형 구조의 단면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풍구(91)를 개폐하기 위한 통풍구 덮개(92)가 구비되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폐목재를 투입하는 투입구는 폐목재를 투입한 다음 폐목재에 불을 지핀 다음, 잠금부재에 의해 투입구(20)를 닫을 수 있도록 투입구 덮개(21)가 구비되어진다. 본 고안에서 잠금부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 덮개(21)에 부착된 잠금고리(22)를 이용하여 본체(40)에 부착된 잠금돌기(23)에 건 다음 잠금손잡이(24)를 누르면 투입구 덮개(21)가 투입구를 닫게 된다. 본 고안에서 잠금부재는 본 고안의 특징이 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작용이 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본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의 하부에 지지프레임(11)이 설치되고, 이 지지프레임(11)의 하단부에는 바퀴(12)와 같은 이동수단을 장착하여 작업장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에서 폐목재가 연소되어지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인 도 14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의 내용과 같다.
먼저, 본체(40)의 전단부에 구비된 투입구 덮개(21)를 개방시킨 다음 투입구(20)를 통해 폐목재를 본체(40)의 내부에 투입한다. 이때 투입되는 폐목재는 거의 대부분 제1 연소실(A) 부근에 위치하게 되며, 폐목재에 불을 붙인 다음 투입구 덮개(21)를 잠근다.
그리고 송풍장치(60)로부터 외부 송풍관(61)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송풍실(50) 내부로 송풍시키면, 송풍실(50)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송풍실(50)에 형성된 송풍공(51)을 통과하여 제1 연소실(A) 내부로 공급되면서 폐목재의 연소율을 높이게 된다. 이때 송풍실(50)과 연결된 수직 송풍관(70)으로부터도 외부의 공기가 연소실 내부로 공급됨에 따라 폐목재의 화염이 살아나면서 연소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제1 연소실(A)에서 폐목재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화염과 열은 제2 연소실(B) 상부에 구비된 배기관의 흡인력에 의해 제1 연소실(A)의 화염과 열이 제2 연소실(B)까지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1 연소실(A)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제1 연소실(A)보다 폭이 좁은 제2 연소실(B)을 통과할 때 연소가스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제2 연소실(B)까지 도달하는 화염과 열이 의해 재연소됨에 따라 연소가스 내에 그을음이나 분진 등이 완전 연소되어배기관을 통해 공기중으로 배기되어진다.
본 고안은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소실(A)의 상부면에 상부덮개(90)로 덮을 수 있는 구조의 개방구(80)가 형성되어 있고, 폐목재의 연소과정 중에 폐목재의 연소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개방구(80)를 열거나 또는 폐목재의 연소율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구(80)를 덮은 상부덮개(90)에서 통풍구 덮개(92)를 분리하여 통풍구(91)만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평상시나 또는 폐목재의 연소시에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90)를 사용하여 개방구(80)를 덮어두면 되는 구조인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온돌방 아궁이의 연소원리에 의해 폐목재를 연소시켜 강한 화염을 발생시킴으로써 난방효과가 우수하며, 또한 투입구 부분의 제1 연소실(A)에서 연소된 1차 연소 배출가스가 배출부 부분에 위치한 제2 연소실(B)을 통과하면서 재연소됨에 따라 폐목재의 연소율을 높여 그을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연소율이 높기 때문에 폐목재를 비롯한 목재 폐기물 또는 톱밥 등과 같은 폐목재 연료 이외에도 종이, 골판지, 천연섬유 등의 연소 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목재용 난로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목재용 난로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목재용 난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의 상기 도 2의 목재용 난로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외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의 목재용 난로의 상부 평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상기 도 4의 목재용 난로의 본체 내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4의 목재용 난로의 전단부 벽체에 형성된 송풍실 내벽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상기 도 4의 목재용 난로의 제1 연소실 중앙부에 설치된 수직 송풍관의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투입구를 열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투입구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개방구를 덮기 위한 덮개의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11의 덮개의 분리사시도,
도 13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연소실의 상부면에 개방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13b는 상기 도 13a에 도시된 개방구를 덮은 상부덮개에서 통풍구 덮개를분리하여 통풍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상세 사시도,
도 13c는 상기 도 13b에서 상부덮개에 통풍구 덮개를 덮은 상태를 나타낸 상세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목재용 난로의 내부에서 폐목재가 연소되고, 열이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에 관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지지프레임 12 : 바퀴
20 : 투입구 21 : 투입구 덮개
22 : 잠금고리 23 : 잠금돌기
24 : 잠금손잡이 30 : 배기관
40 : 본체 50 : 송풍실
51 : 송풍공 60 : 송풍장치
61 : 외부 송풍관 70 : 수직 송풍관
71 : 연결 송풍관 80 : 개방구
90 : 상부 덮개 91 : 통풍구
92 : 통풍구 덮개
A : 제1 연소실 B : 제2 연소실
Claims (7)
- 본체의 하부에 지지프레임이 설치되고 본체의 전단부의 전면에 폐목재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와 본체의 후단부의 상부에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관이 각각 설치된 본체와;상기 본체는 전단부의 전면에 구비된 송풍실이 외부 송풍관에 의해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본체 내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장치;로 구성되어지고,그리고 상기 전단부 및 후단부는 연소실이 형성되도록 설치된 수직 벽체가 각각 일정 길이의 원주면을 형성하는 호 형상이고, 전단부에 위치한 제1 연소실로부터 후단부에 위치한 제2 연소실의 방향으로 본체의 평면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연소실은 투입구가 구비된 전단부의 수직 벽체가 외벽과 내벽으로 이루어진 송풍실과, 제1 연소실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 송풍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송풍실은 내측 벽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송풍공들이 송풍실의 바닥으로부터 송풍실 높이의 2/3 높이까지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송풍관은 제1 연소실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직 송풍관 벽을 따라 복수 개의 송풍공들이 형성되며, 수직 송풍관의 높이는 본체 바닥면으로부터 본체 높이의 1/3~1/2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수직 송풍관은 송풍실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연결된 연결 송풍관과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외부 공기가 제1 연소실 내부로 송풍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목재용 난로는 제1 연소실 상부에 형성된 개방구와, 이 개방구를 덮는 상부덮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상부덮개는 중앙부에 통풍구가 형성되고, 상단부의 직경이 하단부 통풍구의 직경보다 큰 원추형 구조의 단면 벽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풍구를 개폐하기 위한 통풍구 덮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용 난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3904U KR200449475Y1 (ko) | 2009-10-26 | 2009-10-26 | 목재용 난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90013904U KR200449475Y1 (ko) | 2009-10-26 | 2009-10-26 | 목재용 난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9475Y1 true KR200449475Y1 (ko) | 2010-07-13 |
Family
ID=44242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13904U KR200449475Y1 (ko) | 2009-10-26 | 2009-10-26 | 목재용 난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9475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9060Y1 (ko) * | 1992-11-17 | 1995-10-19 | 정상호 | 온수보일러의 2차연소장치 |
-
2009
- 2009-10-26 KR KR2020090013904U patent/KR20044947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09060Y1 (ko) * | 1992-11-17 | 1995-10-19 | 정상호 | 온수보일러의 2차연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16084950A (ja) | 薪ストーブ | |
KR100938555B1 (ko) | 소각장치 | |
KR200449475Y1 (ko) | 목재용 난로 | |
KR20120086850A (ko) | 장작 스토브 | |
JP2004180684A (ja) | 木材燃焼型オーブン | |
WO2010070275A3 (en) | A fuel-burning stove | |
JP4415087B2 (ja) | 焼却炉 | |
JP4608636B2 (ja) | 焼却炉 | |
JP3157839U (ja) | 薪ストーブ | |
CN201858761U (zh) | 一种水暖锅炉 | |
CN201740031U (zh) | 燃气灶的内套、燃气灶头及燃气灶 | |
KR101700336B1 (ko) | 화목보일러용 화구조립체 | |
KR20180080055A (ko) | 화목보일러 | |
KR101324723B1 (ko) | 화목보일러용 연소실 | |
KR101525069B1 (ko) | 화재진압이 가능한 화목보일러 | |
KR101129359B1 (ko) | 건조기 | |
KR102412513B1 (ko) | 자동 반복 연소 난로 | |
US6325060B1 (en) | Stack-equipped far infrared space heater | |
WO2017080374A1 (zh) | 一种烘干炉 | |
JP6178633B2 (ja) | 薪ストーブ | |
JP5797039B2 (ja) | 燃焼装置 | |
KR102265830B1 (ko) | 대류유도형 화목난로 | |
JP5489847B2 (ja) | 燃焼装置 | |
WO2008096931A2 (en) | Hot blast heater for industry | |
CN109945239A (zh) | 小型木柴环保水暖锅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