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07Y1 -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07Y1
KR200449407Y1 KR2020100000563U KR20100000563U KR200449407Y1 KR 200449407 Y1 KR200449407 Y1 KR 200449407Y1 KR 2020100000563 U KR2020100000563 U KR 2020100000563U KR 20100000563 U KR20100000563 U KR 20100000563U KR 200449407 Y1 KR200449407 Y1 KR 200449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socket
solder
mold
socke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Priority to KR2020100000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접속단자의 후방돌출을 최소화하여 실장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을 소켓몰드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게 구성하고,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은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보다 소켓몰드의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소켓몰드의 내측에 위치되고 보드 점유면적이 최소화되어 외부로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 내측에 위치되어 각 솔더단자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 솔더링이 용이하고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A socket connector for electronic-device}
본 고안은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단자의 후방돌출을 최소화하여 실장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는 휴대폰과 같은 전자기기에 있어서 주변기기와의 데이터의 송수신 및 전원의 공급을 위한 플러그 커넥터와 접속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는 전면에 접속단자가 상하로 구비된 단자부를 돌출형성한 소켓몰드와, 상기 소켓몰드를 감싸 결합되어 단자부를 보호하고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하는 소켓하우징 및 상기 소켓몰드의 단자부에 결합되는 접속단자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켓 커넥터의 접속단자는 플러그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게 소켓몰드의 단자부에 안착되는 접속단과 상기 접속단의 반대 측 후단에서 소켓몰드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보드에 실장되는 솔더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소켓 커넥터는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소켓몰드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성되어 있어 보드에 실장과정에 있어 점유면적이 넓어지고 제조 및 유통과정에 솔더단이 쉽게 변형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부 접속단자와 하부 접속단자 모두 동일한 위치에 솔더링되게 구성되어 솔더단과 솔더단 사이 공극이 적어 솔더링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솔더링 과정에 근접한 솔더단이 합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소켓 커넥터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드 점유면적이 넓게 형성되고 솔더단이 외부접촉에 의하여 쉽게 변형 손상되는 문제점과, 상부 접속단자와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동일 위치에서 근접 형성되어 솔더링이 용이하지 않고 합선과 같은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을 소켓몰드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게 구성하고,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은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보다 소켓몰드의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소켓몰드의 내측에 위치되고 보드 점유면적이 최소화되어 외부로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 내측에 위치되어 각 솔더단자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 솔더링이 용이하고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접속단자의 분해상태 측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상부 접속단자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접속단자의 분해상태 측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 접속단자의 결합상태 측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저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소켓 커넥터를 보드에 실장함에 있어 점유면적을 최소화하고 각 솔더단의 간격을 확보하여 솔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전면에 접속단자가 상하로 구비되는 단자부(110)를 돌출형성한 소켓몰드(100)와, 상기 소켓몰드(100)를 감싸 결합되어 단자부(110)를 보호하고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하는 소켓하우징(200) 및 상기 소켓몰드(100)의 단자부(110)에 상하로 결합되는 상, 하부 접속단자(320)로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 접속단자(310,320)는 플러그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게 소켓몰드(100)의 단자부(110)에 안착되는 접속단(311,321)과 상기 접속단(311,321)의 반대 측 후단에서 보드에 실장되는 솔더단(312,322)으로 형성된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을 소켓몰드(100)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가 보드에 접속되게 구성하고, 하부 접속단자(320)의 솔더단(322)은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보다 소켓몰드(100)의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가 보드에 접속되게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접속단자(310)는 소켓몰드(100)의 후방에서 끼워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부 접속단자(310)의 중앙부에는 소켓몰드(100)에 결합 후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결합쐐기(313)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솔더단(312)의 하단에서 견고한 솔더링을 위하여 후방으로 솔더결속부(314)를 돌출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접속단자(320)는 소켓몰드(100)의 후방에서 끼워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320)의 중앙부에는 소켓몰드(100)에 결합 후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결합쐐기(323)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하부로 돌출된 솔더단(322)의 중앙부에는 접속단(321) 측으로 돌출되어서 소켓몰드(100)에 끼워 결합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속바(325)를 돌출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소켓하우징(200)의 후단에는 하부로 절곡되어서 외력에 의한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단자 보호판(21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조립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을 소켓몰드(100)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가 보드에 접속되게 구성하고, 하부 접속단자(320)의 솔더단(322)은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보다 소켓몰드(100)의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가 보드에 접속되게 구성한 본 고안은 소켓몰드(100)의 후방에서 하부 접속단자(320)와 상부 접속단자(310)를 끼워 결합하여 조립한다.
이상과 같이 조립된 상, 하부 접속단자(310,320) 결합쐐기(313,323)에 의하여 소켓몰드(100)와의 결속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 접속단자(320)는 결속바(325)에 의하여 소켓몰드(100)와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조립이 완료된 본 고안을 보드에 실장하게 되면, 상, 하부 접속단자(310,320)의 솔더단(312,322)이 소켓몰드(100)의 내측에 위치되어 있어 보드에 실장시 점유면적이 최소화되어 실장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을 소켓하우징(200)에 구비되는 단자 보호판(210)에 의하여 보호되어 유통 및 조립과정에 있어서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소켓몰드의 내측에 위치되고 보드 점유면적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접속단자의 솔더단이 상부 접속단자의 솔더단 내측에 위치되어 각 솔더단자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어 솔더링이 용이하고 솔더링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소켓하우징에 단자 보호판을 구비함으로써 유통 및 조립과정에 있어 솔더단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100 : 소켓몰드 110 : 단자부
200 : 소켓하우징 210 : 단자 보호판
310 : 상부 접속단자
320 : 하부 접속단자
311,321: 접속단 312,322: 솔더단
313,323: 결속쐐기
314: 솔더결속부
325: 결속바

Claims (2)

  1. 전면에 접속단자가 상하로 구비되는 단자부를 돌출형성한 소켓몰드와, 상기 소켓몰드를 감싸 결합되어 단자부를 보호하고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하는 소켓하우징 및 상기 소켓몰드의 단자부에 상하로 결합되는 상, 하부 접속단자로 구성되고, 상기 상, 하부 접속단자는 플러그커넥터의 접속단자와 접속되게 소켓몰드의 단자부에 안착되는 접속단과 상기 접속단의 반대 측 후단에서 보드에 실장되는 솔더단으로 형성된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을 소켓몰드(100)의 후단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가 보드에 접속되게 구성하고, 하부 접속단자(320)의 솔더단(322)은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보다 소켓몰드(100)의 내측에서 하부로 돌출형성되어 그 단부가 보드에 접속되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접속단자(310)는 소켓몰드(100)의 후방에서 끼워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하며, 상기 상부 접속단자(310)의 중앙부에는 소켓몰드(100)에 결합 후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결합쐐기(313)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솔더단(312)의 하단에서 견고한 솔더링을 위하여 후방으로 솔더결속부(314)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320)는 소켓몰드(100)의 후방에서 끼워 결합되어 조립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 접속단자(320)의 중앙부에는 소켓몰드(100)에 결합 후 이탈이 방지되게 결합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한 결합쐐기(323)를 구비하여 형성하고, 하부로 돌출된 솔더단(322)의 중앙부에는 접속단(321) 측으로 돌출되어서 소켓몰드(100)에 끼워 결합되어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결속바(325)를 돌출형성하고,
    소켓하우징(200)의 후단에는 하부로 절곡되어서 외력에 의한 상부 접속단자(310)의 솔더단(312)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단자 보호판(21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2. 삭제
KR2020100000563U 2010-01-19 2010-01-19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KR200449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63U KR200449407Y1 (ko) 2010-01-19 2010-01-19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563U KR200449407Y1 (ko) 2010-01-19 2010-01-19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407Y1 true KR200449407Y1 (ko) 2010-07-07

Family

ID=4424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563U KR200449407Y1 (ko) 2010-01-19 2010-01-19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0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597Y1 (ko) * 2001-07-10 2001-11-17 거영산업 주식회사 전자회로용 컨넥터
KR20020052597A (ko) * 2000-12-26 2002-07-04 류정열 차량 조향장치의 스톱퍼
KR20060049350A (ko) * 2004-11-05 2006-05-1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JP2006147372A (ja) * 2004-11-19 2006-06-08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2597A (ko) * 2000-12-26 2002-07-04 류정열 차량 조향장치의 스톱퍼
KR200252597Y1 (ko) * 2001-07-10 2001-11-17 거영산업 주식회사 전자회로용 컨넥터
KR20060049350A (ko) * 2004-11-05 2006-05-1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JP2006147372A (ja) * 2004-11-19 2006-06-08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148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1009694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device assembled with the same therein
US982540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metal shell
US8262414B1 (en) Connector
JP4157572B2 (ja)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4222617B2 (ja) コネクタ
CN100576657C (zh) 电转接器及其组件
US7628619B2 (en) Video display connector having protection circuit
JP2010282964A (ja) コネクタ装置
JP2006164946A (ja) 電気コネクタ
US821087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826255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CN107318270B (zh) 充电用连接器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KR101113591B1 (ko) 마이크로 usb 소켓
US7670173B2 (en) Modular jack with improved grounding member
US20150017836A1 (en) Active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20100227506A1 (en) Attachment Member Surface-Mount Component Compris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Attachment Member
JP486622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組立方法
US66199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ing
CN102570211A (zh) 用于跨装式连接器的安装特征
US7955129B2 (en) Camera socket having fold-back contact terminals arranged in high density
KR101324656B1 (ko) 쉘의 구조가 개선된 인터페이스 커넥터
KR200449407Y1 (ko) 전자기기용 소켓 커넥터
KR101265665B1 (ko) 기판 실장 구조가 개선된 리셉터클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