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151Y1 - 조경용 대나무휀스 - Google Patents

조경용 대나무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151Y1
KR200449151Y1 KR2020080002065U KR20080002065U KR200449151Y1 KR 200449151 Y1 KR200449151 Y1 KR 200449151Y1 KR 2020080002065 U KR2020080002065 U KR 2020080002065U KR 20080002065 U KR20080002065 U KR 20080002065U KR 200449151 Y1 KR200449151 Y1 KR 200449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insertion groove
lamp
horizontal support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0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8377U (ko
Inventor
박헌조
Original Assignee
박헌조
담양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헌조, 담양군 filed Critical 박헌조
Priority to KR20200800020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15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83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3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1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등기구의 설치로 여러종류의 빛을 조사시켜 자연경관과 어울려 다양한 연출을 기획할 수 있도록 한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화단 및 주변경관의 조성을 위해 다수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고, 지면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조명등삽입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연통되게 상기 수평지지대(15)의 내측에는 대나무의 마디를 관통하여 전선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는 상기 전선삽입홈(22)에 유입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조명등(25)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10)에는 대나무의 수축에 따른 갈라짐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지지대, 수평지지대, 조명등삽입홈, 전선삽입홈, 조명등, 식재홈

Description

조경용 대나무휀스{THE BAMBOO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본 고안은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등기구의 설치로 여러종류의 빛을 조사시켜 자연경관과 어울려 다양한 연출을 기획할 수 있도록 한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경용 휀스는 각종 건축물이나 공원 및 정원 등에 조성되는 화단의 경계와 방호 및 조형미감 증대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휀스는 설치하고자 하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목재나 합성수지 및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 지게 되며, 지면에 일정간격으로 매입 고정시킨 포스트에 연결되는 가로재 또는 울타리가 일체로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으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휀스는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재질이 휀스를 사용하거나 질감이 좋고 외관이 미려한 원목재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금속재질이 휀스는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제작 및 설치가 난해함은 물론, 설치시 용접기와 같은 과중한 설치장치가 필요하고 일일이 개별 용접하여 야 함에 따라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장기간 사용시 수분에 의해 특정 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전체적인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또한, 원목재질의 휀스는 나무의 질감을 그대로 살려 자연적인 외관의 아름다움을 연출할 수 있고 금속재질보다 경량이어서 설치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원목 단가가 너무 비싸 고가품이므로 널리 보급되지 못하여 사용이 한정적일 수밖에 없으며, 수분에 대한 부식성이 좋지 않아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기후변화에 강하고,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를 이용한 훼스가 개시되어 자연경관 및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빛의 조사 등 다양한 연출이 불가능하여 단순한 휀스에 그치고 있으며, 주변경관과의 조화면에서도 단순히 시늉만 취하는데 불과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시공간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연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특히 등기구의 설치로 여러 종류의 빛을 조사시킴으로써 자연경관과 어울려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외관이 미려한 조경용 대나무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대나무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여러 종류의 식물을 식재함으로써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꾀할 수 있는 조경용 대나무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화단 및 주변경관의 조성을 위해 다수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고, 지면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조명등삽입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연통되게 상기 수평지지대(15)의 내측에는 대나무의 마디를 관통하여 전선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는 상기 전선삽입홈(22)에 유입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조명등(25)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간격으로 식재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으로 일정 면적의 식재홈(30)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홈(30)에 여러 종류의 식물이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지지대(10)에는 대나무의 수축에 따른 갈라짐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등기구의 설치로 여러 종류의 빛을 조사시킴으로써 자연경관과 어울려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며, 미려한 외관을 갖는 휀스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나무의 내부공간을 활용하여 주변경관과 어울리는 식물을 식재하도록 하여 장소에 따라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조경용 대나무휀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대나무휀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이 장착된 대나무휀스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식재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경용 대나무휀스는 화단 및 주변경관의 조성을 위하여 지면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지지대(10)와, 상기 수직지지대(10)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수직지지대(10)에 별도의 브라켓 또는 경첩에 의해 교차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고안의 주요 기술은 대나무 휀스에 등기구를 설치하여 빛의 조사 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별도로 식재공간을 마련하여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 데 있는 것으로서, 휀스의 매설상태 등에 대해서는 통상의 휀스와 동일 또는 유사함에 따라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고안의 주요 특징부 구성으로서,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조명등삽입홈(2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연통되게 상기 수평지지대(15)의 내측에는 대나무의 마디를 관통하여 전선삽입홈(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는 상기 전선삽입홈(22)을 통해 유입된 전선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전선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조명등(25)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조명등(25)은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매입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별도의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백열등이나 형광등 또는 엘이디 등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모든 조명기구임은 당연하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간격으로 식재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으로 일정 면적의 식재홈(30)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홈(30)에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여러 종류의 식물이 식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소에 따라 다른 환경을 갖을지라도 각각의 주변환경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식물을 식재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조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직지지대(10)는 대나무의 특성상 미가공된 대나무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수축되면서 갈라짐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이러한 갈라짐을 방지하도 록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조명등(25)을 설치하기 위해 해당 수평지지대(15)의 일측면에 원하는 길이 및 폭을 갖도록 조명등삽입홈(20)을 형성하고,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연통되게 상기 수평지지대(15)의 내측 대나무 마디를 관통시켜 상기 조명등(2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선을 설비한다.
이후, 상기 전선을 조명등(25)에 연결시킨 후 조명등(25)을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끼워 넣고, 상기 조명등(25)과 조명등삽입홈(20)의 사이공간은 실리콘 등의 마감재로 마무리하여 누수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명등(25)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시키게 되면, 상기 조명등(25)으로부터 빛이 발산되어 지고, 이때 상기 조명등(25)을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발산되도록 구비하여 원하는 색상으로 연출함과 아울러 주변경관과도 조화를 이루도록 조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대(15)에 조명등(25)을 구비한 상태에서 주변환경을 조화를 이루도록 별도로 식재공간을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주변환경과의 조화를 한층 더 꾀할 수 있어 더욱 미려한 외관을 갖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대나무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명등이 장착된 대나무휀스의 단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물의 식재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수직지지대 12: 절개부
15: 수평지지대 20: 조명등삽입홈
22: 전선삽입홈 25: 조명등
30: 식재홈

Claims (3)

  1. 화단 및 주변경관의 조성을 위해 다수의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고, 지면에 직교되게 설치되는 조경용 대나무휀스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면적을 갖는 조명등삽입홈(20)이 형성되고,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 연통되게 상기 수평지지대(15)의 내측에는 대나무의 마디를 관통하여 전선삽입홈(22)이 형성되며,
    상기 조명등삽입홈(20)에는 상기 전선삽입홈(22)에 유입된 전선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조명등(25)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지지대(10)에는 대나무의 수축에 따른 갈라짐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대나무휀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에는 일정 간격으로 식재공간을 형성하도록 상측으로 일정 면적의 식재홈(30)이 형성되고, 상기 식재홈(30)에 여러 종류의 식물이 식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대나무휀스.
  3. 삭제
KR2020080002065U 2008-02-15 2008-02-15 조경용 대나무휀스 KR200449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065U KR200449151Y1 (ko) 2008-02-15 2008-02-15 조경용 대나무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065U KR200449151Y1 (ko) 2008-02-15 2008-02-15 조경용 대나무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77U KR20090008377U (ko) 2009-08-20
KR200449151Y1 true KR200449151Y1 (ko) 2010-06-17

Family

ID=41300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065U KR200449151Y1 (ko) 2008-02-15 2008-02-15 조경용 대나무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1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4593A (zh) * 2014-01-26 2014-05-07 浙江农林大学 一种仿藤护栏
WO2018126348A1 (zh) * 2017-01-05 2018-07-12 宁波瑞明电器有限公司 一种栏杆结构、发光栏杆及发光围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688Y1 (ko) 2006-06-16 2006-08-28 김연득 화분이 구비된 울타리
KR200426514Y1 (ko) 2006-06-20 2006-09-19 심구일 등을 내장한 화분대 겸 옥상조형물 겸 핸드레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688Y1 (ko) 2006-06-16 2006-08-28 김연득 화분이 구비된 울타리
KR200426514Y1 (ko) 2006-06-20 2006-09-19 심구일 등을 내장한 화분대 겸 옥상조형물 겸 핸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377U (ko) 200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1670B2 (en) Quick secure connection system for outdoor lighting systems
US8113696B2 (en) Universal light ball and tube light system
US7473006B1 (en) Illuminated landscape edging system
CN204026424U (zh) 防水的公园灯
KR200449151Y1 (ko) 조경용 대나무휀스
US6439744B1 (en) Decorative ground lighting stake assembly and system
US9901036B2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US20050213316A1 (en) Illuminated post system
KR101403646B1 (ko) 환경미화용 꽃 꽂이관
KR102320001B1 (ko) Led를 이용한 발광조화
KR101059201B1 (ko)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KR20090036307A (ko) 경관조명 가로등 지주
KR100878997B1 (ko) 연결식 가로등 장주
KR200381716Y1 (ko) 화단 및 광고수단이 구비된 도로용 난간
CN202125826U (zh) 栅栏灯
US20120212961A1 (en) Light emitting diode string lamp apparatus
CN202091911U (zh) 一种led栅栏装饰景观灯
KR20220105309A (ko) 다양한 형상의 램프체 교체가 가능한 경관등
US20090086471A1 (en) Illuminated landscape module for existing edging system
KR101250488B1 (ko) 가변형 고정브라켓이 구비된 데크등
KR200378034Y1 (ko) 광고 및 장식용 나무 조형물
KR20110088713A (ko) 수평 및 수직 설치가 용이한 엘이디 바 램프
KR20050069243A (ko) 조명 기능을 가지는 휀스지주
CN211952514U (zh) 一种灯具
CN205782213U (zh) 一种仿真椰树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