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201B1 -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 Google Patents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201B1
KR101059201B1 KR1020110041006A KR20110041006A KR101059201B1 KR 101059201 B1 KR101059201 B1 KR 101059201B1 KR 1020110041006 A KR1020110041006 A KR 1020110041006A KR 20110041006 A KR20110041006 A KR 20110041006A KR 101059201 B1 KR101059201 B1 KR 10105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lamp
artificial flower
stem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효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스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스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스큐브
Priority to KR1020110041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1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A41G1/005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luminous or luminesc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09Artificial gra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 및 유지보수하기에 용이한 꽃식물 형상의 조명등으로 화단을 구성하고, 더불어, 조명등의 받침구조를 조립식으로 하여 화단의 넓이에 구애받지 않으며 조성할 수 있으며, 꽃잎에서 은은한 빛을 발산시켜 인조화단을 화사하게 연출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 복수 개로 마련되며, 중공관 형상의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꽃받침 형상의 인조꽃받침(120)과 꽃잎 형상의 인조꽃잎(130)과 꽃술 형상의 인조꽃술(140)을 순차적으로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꽃식물 형상을 이루게 하며, 램프(160)와 램프점등수단(170)을 내재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 복수 개로 마련되어 평면상에 펼쳐진 후에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고정되고, 각각의 중앙에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줄기(110)를 꽂아 고정할 줄기지지체(210)를 구비하는 받침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꽃잎(130)은, 전체적으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꽃잎형상(132)을 판상 몸체(131)의 테두리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한 모양을 갖추며, 판상 몸체(131)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시켜 상기 램프(160)를 끼울 램프끼움구(133)를 조성하고, 상부의 상기 인조꽃술(140)과 하부의 상기 인조꽃받침(120) 사이에 배치되게 장착하되, 꽃잎형상(13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장착한다.

Description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ARTIFICIAL FLOWER GARDEN WITH ARTIFICIAL-PLANT-TYPE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립 및 유지보수하기에 용이한 꽃식물 형상의 조명등으로 화단을 구성하고, 더불어, 조명등의 받침구조를 조립식으로 하여 화단의 넓이에 구애받지 않으며 조성할 수 있으며, 꽃잎에서 은은한 빛을 발산시켜 인조화단을 화사하게 연출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에 조성되거나 건물 옥상에 조성되는 화단은 꽃식물을 심어 경관을 좋게 하고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는 데, 이러한 꽃식물은 계절에 따라 즐길 수 있는 기간이 제한되고 잘 관리해야만 그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어려움을 갖고 있어서, 최근에는 사시사철 꽃을 볼 수 있고 유지관리도 편리한 인조 꽃식물로 인조 화단을 조성하기도 하였다. 또한, 야간의 경관을 위해서 화단에 조명등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인조 꽃식물을 조명등으로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인조 꽃식물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6-0050507호, 공개특허 제10-2009-0095718호, 등록특허 제10-0939749호 등이 있었으며, 이에 따르면, 식물 형상처럼 조명등을 형성하여서 주변 경관을 좋게 하고 심미감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램프를 내장하지는 않지만 의사화단에 관한 것인 공개특허 제10-1999-013786호도 있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매우 작은 인조꽃들을 나무 줄기에 치장하듯이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멀리서 보면 꽃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램프로 치장된 인조나무로만 보이게 되었다. 더욱이, 인조꽃의 화사함을 꽃잎에서 보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꽃잎에서 빛이 집중되어 발산되는 구조를 갖추어야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을 응용 및 변형하더라도 이를 위한 기술을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기술들로는 인조화단에 설치되는 인조꽃의 본연 모습을 야간에 보여주지 못하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한편, 인조화단에는 다수의 인조 꽃식물들이 설치되므로 꽃잎에서만 빛이 발산되어도 꽃술에 빛이 반사되어 꽃잎에 어우러진 꽃술도 감상할 수 있으므로, 인조 꽃식물의 크기를 키우고 꽃잎에서만 빛이 발사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을 설치하기 위한 하부구조는 화단을 형성하기에도 편리해야 하고 바람이 불어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지만, 램프를 구비하지 않는 등록특허 제10-0939749호의 기술을 사용하더라도 편리성 및 견고성을 갖추지 못하여 조명등의 설치구조로 사용할 수 없었고, 의사화단 조각의 결합구조도 미약하여 낮은 높이의 인조화초에만 적용할 수 있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한편, 화단에 설치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은 그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관경이 가느다랗거나 아니면 굵은 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구조변경이나 추가 구성요소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간편하게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인조화단은 넓은 면적에 많은 수의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을 설치하여만 인조화단으로서 즐길 수 있어서 전력 소모가 크므로, 전력 공급 없이 태양광을 이용하여 야간에 점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관련된 공개특허 제10-2009-0095718호는 태양전지를 이용하고 있지만, 태양전지를 별도로 설치하고 별도의 배선작업을 해야만 하여서 설치하기 어려우므로, 태양전지모듈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꽃 모양을 유지하도록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의 구조를 갖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KR 10-1999-013786 A 1999.02.25. KR 10-2006-0050507 A 2006.05.19. KR 10-2009-0095718 A 2009.09.10. KR 10-0939794 B1 2010.01.2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화단을 구성함에 있어서 꽃잎의 크기를 키울 수 있되 빛이 꽃잎에서 집중하여 발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견고성을 유지하면서 조성하려는 화단 크기에 맞게 받침구조를 조성할 수 있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인조 식물형 조명등을 설치하기에 적합하도록 서로 다른 굵기의 인조줄기를 구조변경 없이 설치하여 지지할 수 있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발광하도록 구성하되 태양광 발전, 충전 및 점등제어를 위한 수단을 꽃의 형상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조화단에 있어서, 복수 개로 마련되며, 꽃받침 형상의 인조꽃받침(120)과 꽃잎 형상의 인조꽃잎(130)과 꽃술 형상의 인조꽃술(140)을 중공관 형상의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꽃식물 형상을 이루게 하며, 램프(160)와 램프점등수단(170)을 내재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 복수 개로 마련되어 평면상에 펼쳐진 후에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고정되고, 각각의 중앙에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줄기(110)를 꽂아 고정할 줄기지지체(210)를 구비하는 받침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꽃잎(130)은, 전체적으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꽃잎형상(132)이 판상 몸체(131)의 테두리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한 모양을 갖추며, 판상 몸체(131)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시켜 상기 램프(160)를 끼울 램프끼움구(133)를 조성하고, 상부의 상기 인조꽃술(140)과 하부의 상기 인조꽃받침(120) 사이에 배치되게 장착하되, 꽃잎형상(13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장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꽃잎(130)은, 원호 부분이 테두리를 향하고 중심점이 상기 램프끼움구(133)를 향하는 부채꼴의 관통구(134)를 램프끼움구(133)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복수 개로 조성하고, 인접하는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가는 방향에 꽃잎형상(132)이 조성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꽃잎(13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꽃술(140)은 태양전지모듈(141)를 구비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램프점등수단(170)은,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173)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스위칭 동작하는 타이머(172)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41)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상기 축전지(173)에 충전시키고 타이머(172)의 스위칭 동작시에 상기 축전지(173)의 충전 전기로 상기 램프(160)를 점등시키게 제어하는 회로기판(17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꽃받침(120)의 내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꽃잎(130)의 판상 몸체(131)의 저면에는, 상기 램프(160)를 통과시킬 램프관통구(151), 및 상기 인조꽃잎(130)의 관통구(134)와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위치에 상하로 관통시킨 관통구(152)를 구비하는 판상의 보조판(150); 을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조꽃받침(120)은, 상기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끼움 고정할 중공의 삽입관(124)을 원판(121)의 저면 중심에 구비하고, 원판(12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한 후에 상부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플랜지(123)를 형성하여 플랜지(123)에 상기 인조꽃잎(130)을 올려놓고 고정되게 하며, 원판(121)과 인조꽃잎(13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램프점등수단(170)을 수용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램프(160)를 장착할 램프고정체(122)를 원판(121)의 상면 중심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줄기지지체(210)는, 상부를 개구한 원통형 홈을 갖추도록 형상되고, 인조줄기(110)의 하단에 닿는 원통형 홈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관형돌기(212)를 적어도 1개 이상 조성하여서 관형돌기(212)의 내경 값을 외경 값으로 갖는 서로 다른 굵기의 인조줄기(110)를 꽂아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중공의 보강재(240)를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내벽에 밀착되게 끼운 상태에서 상단을 인조줄기(110)에 밀착되게 외삽되는 캡(241)을 끼워 캡(241)을 보강재(240)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줄기지지체(210)를 중심으로 외곽을 두르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틀체(220), 및 틀체(220)와 줄기지지체(210)을 서로 이어지게 하는 연결구조체(230)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받침대(200)들의 틀체(220)끼리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양 틀체(220)를 클립 형태의 받침대 연결체(250)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내부 하부 중심에 관통구(213)를 구비하고, 틀체(220)의 하단 사방에 노치(notch) 형상의 전선인입홈(221)을 조성한 후에 줄기지지체(210)의 관통구(213)를 전선인입홈(221)과 이어지게 하여서, 인접하는 받침대(200)의 전선인입홈(221)끼리 서로 연통되게 하며, 램프를 내장하고 상기 인조줄기(110)와 동일한 인조줄기(310, 410)에 식물 형상을 갖추게 형성된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을 마련하여,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를 장착하지 아니한 받침대(200)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받침대(200)를 통해서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축전지(173)에 충전된 전기로 점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인조꽃받침(120), 인조꽃잎(130) 및 인조꽃술(14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추어서, 조립 설치 및 유지 관리하기에 유리하고, 광투과성 재질의 인조꽃잎(130)에서 빛을 집중 발산하므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의 크기를 키우더라도 화사한 인조화단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의 줄기 굵기에 맞게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인조화단을 실제 화단에 가깝게 조성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꽃잎(130)의 꽃잎형상(132)에 빛을 집중시키면서 인조꽃받침(120)과 인조꽃잎(13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큰 용량의 축전지를 설치할 수 있고, 그러면서도 꽃의 형상을 갖추며, 아울러, 인조꽃술(140)에 설치되는 태양전지모듈(141)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주간에는 꽃술처럼 보이게 하고 야간에는 꽃잎형상(132)에서 발산되는 빛을 반사시켜 꽃술도 화사하게 보이게 하므로, 전체적으로 꽃을 형상하는 데 적합한 구조를 갖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꽃 형상화 부분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꽃잎(130)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전기회로적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블록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받침대(200)의 상면 사시도(a), 부분 절개 상면 사시도(b), 상면도(c) 및 저면 사시도(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받침대(200)들간의 결합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과 받침대(200) 간의 결합부분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작은 굵기의 인조줄기를 갖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과 받침대(200) 간의 결합부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 또는 작용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 또는 작용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A)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은, 관을 꽂기 위한 홈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받침대(200)를 평면상에 펼쳐놓고 인접하는 받침대(200)들끼리 서로 붙어있도록 클립 형태의 받침대 연결체(250)로 고정하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을 받침대(200)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받침대(200)들에 각각 하나씩 심듯이 꽂고 고정하여서, 인조화단(A) 형태로 조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태양전지모듈(141)이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장착되어 있어 전기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기를 주간에 축전하여 야간에 점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와 같이 조성된 인조화단(A)의 상면, 즉, 받침대(200)들의 상면에는 인조잔디(미도시)를 깔거나 아니면 흙으로 덮을 수도 있다.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은, 받침대(200)에 세우듯이 꽂을 수 있는 중공관 형상의 인조줄기(110)에 외형상으로 꽃식물 형상을 갖추도록 형성된 조명등으로서, 주간에 태양전지모듈(141)로 축전(蓄電)하고 축전한 전기로 야간에 점등하며, 꽃잎형상에서 은은한 빛이 발산되어 인조화단을 화사하게 연출할 수 있고, 꽃모양을 형상화 부분을 얇은 두께 값을 갖으면서 전체적으로 해바라기꽃 모양에 가깝게 형성되어 주간에 보더라도 꽃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꽃 형상화 부분의 단면도이고, 상기 도 3을 도시함에 있어서, 내부 공간을 보여주기 위해 램프점등수단(170) 및 장방형의 돌기(126)를 도시하지 아니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꽃잎(130)의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전기회로적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블록구성도이다.
상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은, 중공관 형상의 인조줄기(110)와, 꽃받침 형상의 인조꽃받침(120)과, 꽃잎 형상의 인조꽃잎(130)과, 꽃술 형상의 인조꽃술(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조꽃받침(120), 인조꽃잎(130) 및 인조꽃술(140)은 상기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적층 고정되어서, 꽃 모양을 형상화한다. 이와 같은 외형을 갖는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은, 램프(160)와 램프(160)를 점등하기 위한 램프점등수단(170)을 내재하고, 인조꽃잎(130)에서 은은한 빛이 발산되게 하고,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141)을 상기 인조꽃술(140)에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조줄기(110)는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을 후술하는 받침대(200)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에 형상화한 인조 꽃을 지지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인조줄기(110)는 인조 잎사귀를 외주면에 구비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태양전지모듈(141)을 구비할 경우에는 태양 빛을 많이 받도록 하기 위해서 중간 부분을 약간 기울듯이 꺾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인조꽃받침(120)은,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원판(121)으로 전체적인 모양을 갖추게 하고, 원판(121)의 저면 중심에 하부로 돌출되는 중공의 삽입관(124)을 구비하여서 삽입관(124)을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끼움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판(121)의 테두리에 상부로 연장된 부분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23)를 형성하여서 상기 인조꽃잎(130)을 플랜지(123)에 올려놓고 고정할 수 있고, 원판(121)과 인조꽃잎(130)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램프점등수단(17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판(121)의 상면 중심에는, 상기 램프(160)를 지지하는 램프고정체(122)를 구비한다. 상기 램프고정체(122)는, 램프(160)의 설치 높이에 맞게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를 측면 방향으로 연통되게 하며, 구체적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평평한 판재의 중심부를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서 하부 공간이 측면 방향으로 연통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 램프고정체(122)의 하부측에 해당되는 원판(121)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125)시켜서 하부의 삽입관(124)에도 연통되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전선 또는 제어선을 인조줄기(110) 및 삽입관(124)을 통해서 인조꽃받침(120)의 내부로 인입할 수도 있다. 상기 도 2를 살펴보면, 원판(121)의 상면에 장방형의 돌기(126)가 방사상으로 길게 조성되는 데, 이는 인조꽃받침(120)을 더욱 견고하게 제작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조꽃잎(130)은, 전체적으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판상 몸체(131)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꽃잎형상(132)을 조성하되 외측의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게 한 모양을 갖추도록 조성하여서, 꽃잎형상(132)들이 판상 몸체(131)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조성된 형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꽃잎이 사방으로 벌려진 실제 꽃을 연상시킨다. 여기서, 상기 꽃잎형상(132)이 조성되는 부분은 상기 인조꽃잎(130)을 중심점에 맞추어 상기 인조꽃받침(120)의 상부에 올려놓았을 때에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또한, 판상 몸체(131)의 중심점을 상하로 관통시켜 상기 램프(160)를 끼울 램프끼움구(133)를 조성함으로써, 상기 인조꽃잎(130)를 인조꽃받침(120)에 올려놓으면 상기 인조꽃받침(120)의 램프고정체(122)의 상면에 고정되는 램프(160)가 상기 램프끼움구(133)에 끼워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램프(160)는 발광효율 및 장수명을 갖는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상 몸체(131)에는, 부채꼴의 관통구(134)를 복수 개로 조성하되 상기 램프끼움구(133)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조성되며, 이때 상기 관통구(134)는 부채꼴의 원호 부분이 판상 몸체(131)의 테두리를 향하게 하고 부채꼴의 중심점이 램프끼움구(133)를 향하는 부채꼴로 형성되며, 인접하는 관통구(134) 사이의 면이 절개되지 아니하여서 빗살처럼 방사상으로 테두리측에 이어지는 형태를 갖춘다.
이에 따라, 인조꽃받침(120), 인조꽃잎(130) 및 인조꽃술(140)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하듯이 결합하였을 때에, 상기 관통구(134)에 관통시킬 수 있는 물체라면 인조꽃받침(120)의 원판(121)의 상면과 인조꽃술(140)의 저면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크기의 물체를 내부로 수용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조꽃받침(120)의 내부에 축전지(173)를 수용할 때에 용량이 큰 축전지(173)를 수용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램프끼움구(133)에 끼워지는 램프(160)로부터 발산되는 빛의 경로를 살펴보면, 인접하는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는 방향의 빛은 굴절 없이 발산되고, 관통구(134)를 향하는 빛은 부채꼴의 반경에 해당하는 면에서 전반사되어 인접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는 방향에 근접한 방향으로 향하거나 아니면 굴절되어 관통구(134)를 통과한 후에 인접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는 방향에 근접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이는, 고체인 인조꽃잎(130)과 관통구(134)에 채워지는 공기 간의 굴절률의 차이에 의한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램프(160)의 빛이 인접하는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는 방향으로 모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판상 몸체(131)의 테두리에 연장되게 조성되는 꽃잎형상(132)은, 인접하는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는 방향에 조성된다. 이에 따라, 램프(160)에서 발산되는 빛은 인접하는 꽃잎형상(132)의 사이보다 꽃잎형상(132)을 더욱 밝게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인조꽃잎(130)은 상부의 상기 인조꽃술(140)과 하부의 상기 인조꽃받침(120) 사이에 배치되게 장착하되, 꽃잎형상(13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장착되고, 상기 관통구(134)들이 상기 인조꽃술(140)과 상기 인조꽃받침(120)에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조꽃잎(130)은 인조꽃받침(120)의 플랜지(123)의 위치에 맞추어 볼트(135)를 관통시켜 상기 플랜지(123)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상기 인조꽃잎(13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사출성형으로 쉽게 가공할 수 있고, 내열성, 내한성 및 내충격성을 갖고 있어 실외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적합하며, 더욱이 광학적 특성에 의해 투명하여 빛을 통과시키도록 사용되는 인조꽃잎(130)의 재질로서 좋다.
한편, 상기 인조꽃잎(130)의 판상 몸체(131)의 저면에는 판상의 보조판(150)이 밀착되게 구비된다.
상기 보조판(150)은 인조꽃받침(120)의 원판(121)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추고 있어서, 상기 인조꽃잎(130)을 상기 인조꽃받침(120)의 상부에 올려놓으면, 인조꽃받침(120)의 내부 공간(플랜지(123)의 안쪽)에 있게 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보조판(150)은 중심을 상하로 관통시켜 형성되는 램프관통구(151)를 구비하여서, 상기 인조꽃잎(130)의 램프끼움구(133)와 동일 위치에 있게 하므로, 램프(160)를 관통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판(150)은 상기 인조꽃잎(130)의 관통구(134)와 동일한 크기를 갖고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152)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보조판(150)은 램프(160)의 빛이 인조꽃받침(120)의 내부로 향하지 못하게 반사하며, 바람직하게는 빛반사율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판(150)은 램프(160)를 램프관통구(151)로 관통되게 한 상태에서 인조꽃받침(120)의 램프고정체(122)에 걸쳐지게 하여서, 상기 인조꽃잎(130)의 중심부분을 지지하기도 한다.
상기 인조꽃술(140)은, 태양전지모듈(141)를 구비한 판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크기는 상기 인조꽃잎(130)의 관통구(134)를 덮을 수 있되, 인조꽃잎(130)의 꽃잎형상(132)을 덮지 아니하면 만족한다. 여기서, 상기 인조꽃술(140)은 실제 꽃술처럼 보이게 형상화할 수도 있으나, 태양전지모듈(141)이 꽃술처럼 보이고, 더욱이 태양전지모듈(141)의 설치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꽃술모양을 갖는 구성을 조성하지 아니하였다. 한편, 상기 인조꽃술(140)은 스테인레스처럼 빛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저면에 빛반사율이 높은 재질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램프점등수단(1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를 충전 및 방전하며 사용할 수 있는 축전지(173)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스위칭 동작하는 타이머(172)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41)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상기 축전지(173)에 충전시키고 타이머(172)의 스위칭 동작에 맞추어 상기 축전지(173)의 충전 전기로 상기 램프(160)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회로기판(17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꽃받침(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즉, 회로기판(171)은 주간에 일사량에 의해 태양전지모듈(141)에서 전기가 생성되면 축전지(173)를 충전하고, 미리 설정된 점등 시간 및 소등 시간을 알려주는 타이머(172)로부터 스위칭 동작 신호를 받고, 점등 시간으로부터 소등 시간에 이르는 동안 축전지(173)에 충전한 전기로 상기 램프(160)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받침대(200)의 상면 사시도(a), 부분 절개 상면 사시도(b), 상면도(c) 및 저면 사시도(d)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받침대(200)들간의 결합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대(200)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줄기(110) 하부를 꽂을 수 있게 한 줄기지지체(210)와; 줄기지지체(210)를 에워싸고 평단면상으로 정사각형에 가깝게 형성되는 틀체(220)와, 줄기지지체(210)와 틀체(220) 사이를 이어지게 하는 연결구조체(2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줄기지지체(210)는, 상부를 개구하고 하단 중앙에 관통구(213)를 형성한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다른 관경의 인조줄기(110)를 사용하더라도 인조줄기(110)의 하단을 움직이지 아니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며,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구(213)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관형돌기(212)를 내부의 바닥면에 돌출되게 조성한다. 즉, 줄기지지체(210)의 내주면과 관형돌기(212)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원통형 관이나 아니면 관통돌기(212)의 안쪽에 밀착되게 끼워지는 중공관 형상의 인조줄기(110)를 꽂을 수 있게 하여서, 다양한 굵기의 인조줄기(110)를 사용하게 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꽃잎을 형상화한 부분의 크기가 클 경우에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굵은 굵기의 인조줄기(110)를 사용하지만, 꽃잎을 형상화한 부분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는 바람의 영향을 덜 받아 가는 굵기의 인조줄기(110)를 사용하여도 되므므로, 인조줄기(110)의 굵기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어느 위치의 받침대(200) 든지 간에 원하는 곳에 꽂아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하나의 관형돌기(212)만 조성하였으나, 서로 다른 관경의 관형돌기(212)를 2개 이상 관통구(213)를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도록 조성하여서, 관형돌기(212)의 내경 값을 외경 값으로 갖는 인조줄기들을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내주면에는 하부에 가까운 내주면에 단턱(211)을 형성하였는데, 이는 후술하는 보강재(240)를 꽂기 위한 것으로서, 단턱(211)을 기준으로 상부측 내주면에 맞는 중공관 형상의 보강재(240)를 끼워 보강재(240)의 하단이 상기 단턱(211)에 닿게 하여 보강재(240)의 하단을 지지시킨다.
상기 틀체(220)는, 일정한 높이 값을 갖추고 평단면상으로 정사각형에 가깝게 형성되어 상기 줄기지지체(210)를 에워싸며, 상기 연결구조체(230)에 의해서 상기 줄기지지체(210)와 이어진다.
상기 연결구조체(230)는 틀체(220)와 줄기지지체(210) 사이를 서로 이어지게 하는 부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칸막이하는 형태, 상하를 구획하는 형태, 구획된 상하 사이를 일부분에서 서로 연통되게 하는 형태 등을 갖추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적은 재료를 사용하더라도 줄기지지체(210)를 틀체(220)에 견고하게 이어지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양광을 이용해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모듈(141)을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구비하여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지 아니하여도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도록 하여서 일조량이 부족할 때에도 장시간 점등 가능하게 하거나, 아니면, 본 발명에 따른 인조화단(A) 내에 별도의 전기사용기기를 설치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상기 받침대(200)를 통해 전선을 배선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줄기지지체(210)에 관통구(213)를 조성하여서 전선을 통과시켜 인조줄기(110)의 내부로 배선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지면상에 놓았을 때에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저면(214)이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높이 값을 갖추어서,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관통구(213)를 통해 인조줄기(110)의 내부 중공으로 전선 또는 제어선을 배선할 수 있게 하며, 하단 사방 중앙에 노치(notch) 형상의 전선인입홈(221)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인입홈(221)은 반원에 가깝게 형성하여 전선 및 제어선의 배선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비한 전선인입홈(221)은 틀체(220)를 지면상에 놓았을 때에 상기 관통구(213)와 연통될 수 있는 통로(231)를 연결구조체(230)에 갖추도록 한다. 이러한 통로(231)는 사방에 구비되는 전선인입홈(221) 간의 통로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받침대(200)들은, 인접하는 받침대(200)들의 틀체(220)끼리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양 틀체(220)를 클립 형태의 받침대 연결체(250)로 고정하여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인조화단(A)을 조성한다. 여기서, 인접하는 틀체(220)들에 조성된 하단의 전선인입홈(221)은 서로 맞닿게 되므로, 복수의 받침대(200)들로 조성된 도 1의 인조화단(A)은 받침대(200)들 하부측에 서로 연통되는 통로가 형성되어서 전선 및 또는 제어선을 배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머(172)를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어느 하나의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만 타이머(172)를 설치하고 제어선을 상기 받침대(200)를 통해 배선하여 다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들에게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타이머(172)로 인조화단 내에 설치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을 점등하게 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을 상기 받침대(200)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아울러, 서로 다른 굵기의 인조줄기(110 : 110A, 110B)를 받침대(200)에 결합한 상태도임을 보여준다. 즉, 도 8에 도시된 인조줄기(110A)가 도 9에 도시된 인조줄기(110B)보다 더 큰 관경을 갖는다.
상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인조식물형 조명등(100)은, 상기 받침대(200)의 줄기지지체(210)에 중공관 형상의 보강재(240)를 꽂아 볼트 체결로 고정하고, 인조줄기(110)에 캡(241)을 끼운 후에 인조줄기(110)를 보강재(240)에 내삽하는 순서에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캡(241)은 상하를 개구한 형태이지만 상부의 개구(242)를 인조줄기(110)의 외경에 맞게 형성하고 하부 개구를 보강재(240)의 외경에 맞게 형성하여서, 인조줄기(110)의 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보강재(240)의 상단에 끼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받침대(200)에 꽂혀지는 인조줄기(110:110A)의 굵기를 줄기지지체(210)의 내부 단턱(211)과 관형돌기(212) 사이에 끼워지는 굵기 값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캡(241)의 상단 개구(242)의 직경을 인조줄기(110:110A)의 외경에 맞춘 캡(241:241A)을 사용하였다. 이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줄기지지체(210)에 꽂을 수 있는 최대 굵기의 인조줄기(110:110A)를 사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재(240)가 단턱(211)에 걸쳐진 상태에서 보강재(2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인조줄기(110)는 하단을 줄기기지체(210)의 단턱(211) 하부측 내주면에 맞게 끼워져 요동하지 아니하고, 상기 캡(241:241A)에 의해서 기울어짐 없이 세워지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비해 가는 굵기의 인조줄기(110:110B)를 사용하며, 이러한 인조줄기(110:110B)의 관경은 관형돌기(212)의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질 수 있는 굵기의 관경을 갖는다. 또한, 이때 사용되는 보강재(240)의 관경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지마, 캡(241)의 경우는 상단 개구(242)의 직경이 인조줄기(110:110B)의 관경에 맞게 형성된 캡(241:241B)이 사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인조줄기(110:110B)는 줄기지지체(210)에 꽂아 설치하면, 인조줄기(110:110B)의 하단이 관형돌기(212)에 내삽되어 요동 없이 하단을 지지받고, 인조줄기(110:110B)의 주면을 보강재(240)의 상단에 고정되는 캡(241:241B)의 상단 개구(242)에 밀착되어서 기울어짐 없이 지지받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을 살펴보면, 복수의 받침대(200)들을 바닥에 펼쳐서 인접하는 받침대(200)끼리 받침대 연결체(250)로 서로 연결되게 한 상태에서, 일부 받침대(200)들에는 상술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을 설치하고, 다음 일부 받침대(200)들에는 다른 형태의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들을 설치하였음을 볼 수 있다.
상기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들은, 상술한 인조줄기(110)와 동일한 인조줄기(310, 410)를 갖추어서 인조줄기(310, 410)를 받침대(200)의 줄기지지체(210)에 꽂아 장착할 수 있으며, 인조줄기(310, 410)의 상단에 고정되는 부분 또는 인조줄기(310, 4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잎사귀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들은,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꽃식물의 형상을 갖추지만 상술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과는 다른 꽃식물 형상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또는 갈대 형상의 갖춘 갈대 형상 인조 식물형 조명등(40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들은 램프를 내장하고 있어 점등할 수 있지만, 상기 도 10에 도시된 형상으로 보면 상술한 축전지(173)를 내장하기에 충분한 내부공간을 갖추지 못하고, 내부공간에 축전지(173)를 내장하더라도 적은 용량의 축전지(173)만 내장할 수 있으며, 상술한 태양전지모듈(141)을 설치할 만한 외부 표면도 갖추지 못하므로, 외부 전원을 이용해 점등해야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은, 설치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들에 내장된 축전지(173)의 충전 전기로 상기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들을 점등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마다 근접한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들과 짝을 이루게 하여 서로 전기 공급선(미도시)으로 연결되게 하며, 이때 전기 공급선(미도시)은 인조꽃받침(120)의 원판(121) 관통구(125), 삽입관(125), 인조줄기(110), 받침대(200)의 관통구(213) 및 전선인입홈(221)을 통해 통해서,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이 장착된 받침대(200)에 배선될 수 있고, 다음으로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의 인조줄기(300, 400)를 통해서 인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전기 공급선(미도시)으로 연결되는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의 개수는 축전지(173)의 용량을 감안하여 결정하면 되고,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의 점등을 위한 전기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내장된 타이머(172)의 스위칭 동작에 맞추어 공급되게 하여서,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점등 시에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도 점등되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은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에 충분히 형성된 내부 공간에 용량이 큰 축전지(173)를 설치하여서,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지 아니하더라도 운영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용량이 큰 태양전지모듈(141)과 용량이 큰 축전지(173)를 설치할 수 있기에 가능하다 하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110 : 인조줄기
120 : 인조꽃받침 121 : 원판 122 : 램프고정체
123 : 플랜지 124 : 삽입관
130 : 인조꽃잎 131 : 판상 몸체 132 : 꽃잎형상
133 : 램프끼움구 134 : 관통구
140 : 인조꽃술 141 : 태양전지모듈
150 : 보조판 151 : 램프관통구 152 : 관통구
160 : 램프
170 : 램프점등수단 171 : 회로기판 172 : 타이머
173 : 축전지
200 : 받침대 210 : 줄기지지체 211 : 단턱
212 : 관형돌기 213 : 관통구 220 : 틀체
221 : 전선인입홈 230 : 연결구조체 231 : 전선통과홈
240 : 보강재 241,241A,241B : 캡 250 : 받침대 연결체
300,400 : 인조 식물형 조명등

Claims (9)

  1. 복수 개로 마련되며, 꽃받침 형상의 인조꽃받침(120)과 꽃잎 형상의 인조꽃잎(130)과 꽃술 형상의 인조꽃술(140)을 중공관 형상의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순차적으로 고정하여 전체적으로 꽃식물 형상을 이루게 하며, 램프(160)와 램프점등수단(170)을 내재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
    복수 개로 마련되어 평면상에 펼쳐진 후에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 고정되고, 각각의 중앙에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줄기(110)를 꽂아 고정할 줄기지지체(210)를 구비하는 받침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인조꽃잎(130)은,
    전체적으로 광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꽃잎형상(132)이 판상 몸체(131)의 테두리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한 모양을 갖추며, 판상 몸체(131)의 중심을 상하로 관통시켜 상기 램프(160)를 끼울 램프끼움구(133)를 조성하고, 상부의 상기 인조꽃술(140)과 하부의 상기 인조꽃받침(120) 사이에 배치되게 장착하되, 꽃잎형상(13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꽃잎(130)은,
    원호 부분이 테두리를 향하고 중심점이 상기 램프끼움구(133)를 향하는 부채꼴의 관통구(134)를 램프끼움구(133)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복수 개로 조성하고, 인접하는 관통구(134) 사이를 지나가는 방향에 꽃잎형상(132)이 조성되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꽃잎(130)의 재질은, 폴리카보네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꽃술(140)은 태양전지모듈(141)를 구비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램프점등수단(170)은,
    전기를 충전하는 축전지(173)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스위칭 동작하는 타이머(172)와, 상기 태양전지모듈(141)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상기 축전지(173)에 충전시키고 타이머(172)의 스위칭 동작시에 상기 축전지(173)의 충전 전기로 상기 램프(160)를 점등시키게 제어하는 회로기판(17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인조꽃받침(120)의 내부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꽃잎(130)의 판상 몸체(131)의 저면에는,
    상기 램프(160)를 통과시킬 램프관통구(151), 및 상기 인조꽃잎(130)의 관통구(134)와 동일한 크기로 동일한 위치에 상하로 관통시킨 관통구(152)를 구비하는 판상의 보조판(150); 을 밀착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꽃받침(120)은,
    상기 인조줄기(110)의 상단에 끼움 고정할 중공의 삽입관(124)을 원판(121)의 저면 중심에 구비하고, 원판(121)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로 연장되게 한 후에 상부로 연장된 부분의 끝단에 플랜지(123)를 형성하여 플랜지(123)에 상기 인조꽃잎(130)을 올려놓고 고정되게 하며, 원판(121)과 인조꽃잎(130) 사이의 공간에 상기 램프점등수단(170)을 수용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램프(160)를 장착할 램프고정체(122)를 원판(121)의 상면 중심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지지체(210)는,
    상부를 개구한 원통형 홈을 갖추도록 형상되고, 인조줄기(110)의 하단에 닿는 원통형 홈의 바닥면에는 바닥면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을 이루는 관형돌기(212)를 적어도 1개 이상 조성하여서 관형돌기(212)의 내경 값을 외경 값으로 갖는 서로 다른 굵기의 인조줄기(110)를 꽂아 지지할 수 있게 하며,
    중공의 보강재(240)를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내벽에 밀착되게 끼운 상태에서 상단을 인조줄기(110)에 밀착되게 외삽되는 캡(241)을 끼워 캡(241)을 보강재(240)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줄기지지체(210)를 중심으로 외곽을 두르는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틀체(220), 및 틀체(220)와 줄기지지체(210)을 서로 이어지게 하는 연결구조체(230)를 구비하고,
    인접하는 받침대(200)들의 틀체(220)끼리 접촉되게 한 상태에서 양 틀체(220)를 클립 형태의 받침대 연결체(250)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줄기지지체(210)의 내부 하부 중심에 관통구(213)를 구비하고, 틀체(220)의 하단 사방에 노치(notch) 형상의 전선인입홈(221)을 조성한 후에 줄기지지체(210)의 관통구(213)를 전선인입홈(221)과 이어지게 하여서, 인접하는 받침대(200)의 전선인입홈(221)끼리 서로 연통되게 하며,
    램프를 내장하고 상기 인조줄기(110)와 동일한 인조줄기(310, 410)에 식물 형상을 갖추게 형성된 인조 식물형 조명등(300, 400)을 마련하여,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를 장착하지 아니한 받침대(200)에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받침대(200)를 통해서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100)의 축전지(173)에 충전된 전기로 점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KR1020110041006A 2011-04-29 2011-04-29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KR10105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06A KR101059201B1 (ko) 2011-04-29 2011-04-29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006A KR101059201B1 (ko) 2011-04-29 2011-04-29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9201B1 true KR101059201B1 (ko) 2011-08-25

Family

ID=4493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006A KR101059201B1 (ko) 2011-04-29 2011-04-29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2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6403A (en) * 2014-12-12 2016-09-21 Patel Sharada Artificial floral decoration
CN106539170A (zh) * 2016-10-04 2017-03-29 孙永锋 一种仿真含羞草盆栽
WO2018010278A1 (zh) * 2016-07-12 2018-01-18 浙江明筑新材料有限公司 绿化型壁挂
KR102352379B1 (ko) * 2021-09-03 2022-01-18 (주)큐엘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경계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540Y1 (ko) 1999-08-10 2000-02-15 윤중민 점등용 조화 장치
JP2000231803A (ja) 1999-02-09 2000-08-22 Nobuyuki Higuchi 太陽光発電を利用した照明装置
KR200353080Y1 (ko) 2004-03-11 2004-06-29 정세균 등기구 본체 장착용 장식구 조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1803A (ja) 1999-02-09 2000-08-22 Nobuyuki Higuchi 太陽光発電を利用した照明装置
KR200169540Y1 (ko) 1999-08-10 2000-02-15 윤중민 점등용 조화 장치
KR200353080Y1 (ko) 2004-03-11 2004-06-29 정세균 등기구 본체 장착용 장식구 조립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6403A (en) * 2014-12-12 2016-09-21 Patel Sharada Artificial floral decoration
GB2536403B (en) * 2014-12-12 2018-06-27 Patel Sharada Artificial floral decoration
WO2018010278A1 (zh) * 2016-07-12 2018-01-18 浙江明筑新材料有限公司 绿化型壁挂
CN106539170A (zh) * 2016-10-04 2017-03-29 孙永锋 一种仿真含羞草盆栽
KR102352379B1 (ko) * 2021-09-03 2022-01-18 (주)큐엘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경계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1342B2 (en) Colored lens LED simulated wick flameless candle
US8002427B2 (en) Solar recharge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US20100141156A1 (en) Flower pot incorporating lights for illuminating plants
US8262245B1 (en) Solar pathway light
KR101059201B1 (ko) 인조 꽃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US20200173618A1 (en) Decorative solar-powered lighting system, a decorative solar module overlay, and a decorative solar module assembly for a decorative solar-powered lighting system
KR100853029B1 (ko) 가로용 화분
JP3203766U (ja) シーン変化機能を備える植物成長灯
CN214745385U (zh) 一种插地式装饰灯串
KR101409049B1 (ko) 조경용 화분
US7033045B1 (en) Gravesite marking device
CN204704755U (zh) 智能双能源太阳能花盆及基于该花盆的盆景灯饰
US5313377A (en) Lighting unit
KR101033849B1 (ko) 인조식물형 조명등 설치구조 인조화단
CN202140958U (zh) 太阳能led聚光装饰灯
KR20220105309A (ko) 다양한 형상의 램프체 교체가 가능한 경관등
CN202182344U (zh) 植物灯
JP2017188377A (ja) フラワーイルミネーション、及びフラワーイルミネーション用の造花
KR20210112831A (ko) Led를 이용한 발광조화
CN202281160U (zh) 一种节能灯具
CN215112392U (zh) 一种庭院照明灯
CN109928506A (zh) 一种具有彩灯照明景观的双层生态浮岛
CN216158943U (zh) 一种显像效果高的人造花灯盆景
CN217559714U (zh) 一种户外太阳能灯
CN216591463U (zh) 一种太阳能草坪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