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096Y1 - 등기구 - Google Patents

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096Y1
KR200449096Y1 KR2020090008880U KR20090008880U KR200449096Y1 KR 200449096 Y1 KR200449096 Y1 KR 200449096Y1 KR 2020090008880 U KR2020090008880 U KR 2020090008880U KR 20090008880 U KR20090008880 U KR 20090008880U KR 200449096 Y1 KR200449096 Y1 KR 200449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shape
led substrate
housing
sculp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KR2020090008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096Y1/ko
Priority to JP2009005032U priority patent/JP3154164U/ja
Priority to CN200920168647XU priority patent/CN201844217U/zh
Priority to US12/507,181 priority patent/US8172422B2/en
Priority to PCT/KR2009/004086 priority patent/WO201009851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0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7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means for 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e.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6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기구에 있어서, 상면부에 열 방출을 위한 다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는 LED 기판과, 상기 LED 기판에서 발생된 조명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LED 기판의 하면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LED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가로등, 등기구, LED, 조형물, 형상

Description

등기구{LAMP DEVICE}
본 고안은 LED(Light Emitting Diode)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열부위를 분산시켜 방열이 잘되고, 균일한 면광원이 발생되며, 디자인이 미려한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용으로 사용되는 등기구 즉, 대표적으로 가로등은 통상 상용전력을 전력 공급원으로 하여 가로등 지주를 통해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등기구를 점등 또는 소등함으로써, 야간시나, 우천시 등에 가로등 주변 지역을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가로등은 여러 종류가 있는데, 차로의 외측에 설치되어 야간에 차로를 조명하기 위한 차로용 가로등과, 좁은 골목길에 설치되어 길의 조명 및 방범을 위한 방범용 가로등과, 공원 또는 정원에 설치되어 조명은 물론 주변 조경을 위한 조경용 가로등 등이 있을 수 있다.
등기구의 광원으로는 고압수은등, 형광등, 나트륨등과 같은 다양한 광원이 사용되는데, 최근에는 발열문제 및 제품의 수명시간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전력이 낮고, 발열양이 적으면서도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는 LED를 이용한 가로 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해당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그 내측에 안정기가 설치되고 더불어 누전차단기, 전원 컨트롤러 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전원 컨트롤러는 타이머와 조도감지센서 등을 구비하여 야간시 등에 일정한 조도 이상으로 발광하도록 광원에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그리고 종래의 LED를 이용한 등기구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좁은 공간의 하우징에 광원을 집중배치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좁은 공간에 광원이 집중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눈부심이 심하였고, 균일한 면광원을 얻기 어려웠다.
또한 많은 열이 발생되어 이를 방열시키기 위한 별도의 방열부가 필요하였다.
그런데 이 방열부의 크기가 등기구의 크기보다 큰 경우가 많고 또한 그 모양이 미려하지 못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로등의 역할 이외 다른 기능을 갖도록 활용하는 경우가 없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송수신장치(중계기를 포함)는 무선 단말기와의 접속을 취합하여 교환망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송수신장치 본체 내에 위치한 고출력 증폭기를 통해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증폭한 후, 안테나 장치로 송신 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 장치에서 송신 신호를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 장치는 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통신용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여 신호처리를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테나 장치는 서비스 목적상 건물 옥상 또는 타워 등의 높은 위치에 포설되고, 무선통신용 송수신 장치는 건물 내 또는 타워 밑의 지상에 설치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안테나 장치는 무선 신호의 전파 도달거리를 최대한 연장하기 위해 높게 설치하게 되는데, 도심지역에서는 통상 건물의 옥상에 기둥을 세워 장착하고 그 기둥의 상측에는 고정대를 장착하며 고정대에 통신용 안테나를 장착하는 것이 보편적인 예이다.
그런데, 무선통신 시스템용 안테나 장치는 원활한 무선통신의 제공을 위하여 적정한 위치에 안테나 장비가 설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변 환경의 경관을 해치는 기피시설로 인식되어 해당 안테나 장치의 설치를 꺼리고 있어, 설치장소의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무선통신의 사용빈도가 높은 도심지역의 경우에는 높은 비용으로 인해 용지취득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감시카메라의 경우에는 더욱 싫어하여 설치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도심 등에서는 거리를 조명하기 위한 가로등 및 방범을 위한 방범용 카메라 등이 별도의 기둥에 각기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안테나 장치, 가로등 및 방범용 카메라 등은 기둥에 설치되어야 하고, 전원이 필요하며 통신기능이 필요하다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기 별도의 기둥에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도심 등에는 다소 낭비적이며 미관을 저해하는 다수의 기둥들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균일한 면광원을 발생시킬 수 있어 눈부심이 적은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열효과가 우수한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보기에 아름다운 친환경적인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빛의 조사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을 거리의 명칭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로등을 기관이나 단체 또는 회사의 상징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통신용 안테나 장치 및 감시용 카메라 등을 보이지 않게 위장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등기구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날개를 가진 동물 또는 사물을 나타내는 조형물의 형태를 가지며, 날개의 바깥쪽에 해당하는 상면부에 열 방출을 위한 다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날개의 안쪽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부에 설치되며,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는 LED 기판과,
상기 LED 기판에서 발생된 조명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LED 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LED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을 평면의 넓은 면적에 분산 배치함으로써 발열부위를 분산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방열을 좋게 할 수 있고, 또한 균일한 면광원을 발생시킬 수 있어 눈부심이 적은 효과가 있고,
또한 광원이 배치되는 평면 하우징의 일면을 방열핀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하여 이를 방열부로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방열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방열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광원이 배치되는 평면 하우징을 사람에게 친숙한 동물 또는 곤충의 날개형상으로 디자인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보기에 아름다운 효과가 있다.
또한 날개형상의 외주면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는 그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의해 발생되는 조명광과 다른 휘도 또는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등기구 형상의 외관이 뚜렷이 구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이 날개형상으로 디자인되어 있어 날개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빛의 조사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리의 명칭을 나비가로등길 등으로 함으로서 특정 지역에 개성(Identity)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관이나 단체 또는 회사의 상징도안이 나비인 경우 해당 기관이나 단체 또는 회사앞의 가로등을 나비가로등으로 설치함으로써 회사의 상징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통신용 안테나 장치 및 감시용 카메라 등을 보이지 않게 위장할 수 있어 설치 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 중 A-A'부분의 절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저면 구조도, 도 6은 도 1의 지주에 대한 설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0)는 평면적으로 적어도 한쌍의 날개 형상을 가지며, 상면부에 열 방출을 위한 다수의 방열핀(102a)을 구비하는 하우징(102)을 가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02)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측면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하우징(102)의 하면부에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상기 날개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되며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는 LED 기판(108)(도 4 참조)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LED 기판(108)에서 발생된 조명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LED 기판(108)의 하부에서 하우징(102)과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LED 기판(108)을 보호하는 커버(104)를 구비한다. 이러한 커버(104)는 LED 기판(108)에서 발생된 조명광을 보다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 구조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2)의 측면부의 내주면과 커버(104)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LED 기판(108)을 밀봉하기 위한 개스킷(10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설치된 커버(104)와 하우징(108)의 측면부 사이의 공간에 별도의 밀봉제를 추가로 더 주입하여 밀봉 및 커버(104)의 고정이 보다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외에도 개스킷(106)을 구비하지 않고서 커버(104)와 하우징(102)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커버(104)와 하우징(102)의 결합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등기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용 지주(1)의 상부에 적절한 형상의 연결부재를 통해 설치되어 거리 등을 조명하게 된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우징(102)(및 이를 포함한 등기구 전체의 형상)은 나비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는 등, 평면적으로 볼 때 날개 형상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방열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발열의 주체인 광원을 분산배치 시켜야 하고, 광원을 분산배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면적의 하우징이 필요한데, 이때 단순히 면적만 넓으면 미관상 좋지 않기 때문에, 사람에게 친숙하면서도 보기에도 아름다운 면적의 형상으로 동물이나 곤충 또는 사물의 날개모양의 형상을 가지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 하우징(102)을 날개모양의 형상으로 가지도록 함으로 써 광원을 넓은 간격으로 배열할 수 있어, 발열부위를 분산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열방출이 높으며, 또한 광원이 분산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균일한 면광원을 얻을 수 있어 눈부심을 적다.
그리고 하우징(102)의 윗면에 다수개의 방열핀(102a)을 형성하도록 하여 방열판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방열부를 구비하지 않고도 방열효과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날개 형상의 하우징은 방열효과가 우수하고, 균일한 면광원 따른 눈부심이 적으며, 동시에 보기에도 아름다우므로, 종래의 문제점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형상이다.
이때 상기 날개 형상 각각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별도의 구동기구 등을 구비하여 추가적으로 날개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그럴 경우에는 조명광의 조사각도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종래의 가로등 중에서도 어떠한 형상의 조형물을 추가로 더 설치하여 미관상 더 뛰어나도록 하거나, 해당 조형물을 통해 어떠한 정보를 주고자 하는 기술이 있었다. 예로 들어 해당 도시의 특징을 대표하는 동, 식물 등의 형상을 가로등에 추가로 더 설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로등에 어떠한 형상의 조형물을 추가로 더 설치하는 구조는 원래의 가로등 등기구의 구조와 더불어 별도의 추가적인 조형물을 설치하여야하므로, 설치 작업이 번거로우며, 추가적인 비용이 더 요구된다.
또한 해당 조형물은 통상적으로 가로등 등기구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가로등 지주에 설치될 수 있는데, 상측에 설치될 경우에는 가로등 등기구의 조명이 비추어지지 않아서 야간시에 그 형상을 명확히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하측에 설치될 경우에는 가로등 등기구의 조명에 방해를 주게 된다.
이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10)는 그 자체만으로서 미관상 뛰어날 수 있는 어떠한 조형물의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종래의 가로등에 어떠한 조형물을 설치할 때에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10)는 나비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나, 이외에도 날개 형상을 가지는 다른 곤충 또는 새 등의 동물 형상이나, 나아가 천사 또는 비행기 등의 사물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LED 기판(108)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대한 본 고안의 다른 특징적인 구조가 보다 상세히 도시되고 있는데, LED 기판(108)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 중 적어도 전체적인 날개 형상의 가장자리측에 배열된 다수의 LED(108a)는 그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의해 발생되는 조명광의 대표적인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LED 기판(108)은 조명광의 색상을 대표적으로 백색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때 날개 형상의 가장자리측에 배열된 LED들(108a)들은 적색을 갖도록 구성하며, 그 내측에 배열되는 나머지 LED들을(물론 이들 중 일부는 여타의 다른 색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상기 대표적인 색상인 백색을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LED 기판(108)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 중 적어도 전체적인 날개 형상의 외주면에 배열된 다수의 LED(108a)는 그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의해 발생되는 조명광의 휘도와 다른 휘도를 갖도록(예를 들어 보다 밝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10)의 형상의 외관이 뚜렷이 구분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형상에 대한 시인성을 높이며, 미관상 더욱 뛰어나게 한다.
한편, 가로등은 거리에 무수히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 거리의 명칭은 일반적으로 (가로등과는 상관없는) 인위적으로 작명된 이름으로 부여되고 있다.
따라서 운전자나 보행자의 경우 본인이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명칭이 기재되어 있는 표지판 등을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그러한 명칭이 기재된 표지판은 표지판 자체도 잘 찾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그 명칭이 글자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일정거리 이상 근접해야만 확인할 수 있어서, 그 명칭의 확인이 쉽지 않았다. 더구나 야간의 경우에는 표지판의 글자를 식별하기가 더욱 어려웠다.
하지만 가로등을 본 고안에 따라 쉽게 구별가능한 조형물 형태, 예를 들어 "나비" 형태로 제작하고, 그 조형물의 명칭을 거리의 명칭으로 사용하게 되면, 예를 들어 "나비가로등길" 이라고 명칭을 주면 거리마다 개성(Identity)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나비같은 형상은 글자가 아니기 때문에 비교적 먼 거리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형상의 외주면에는 다른 색상의 조명이 발생하기 때문에 야간에도 쉽게 식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기관이나 단체 또는 회사마다 특정한 도안을 만들어 상징물로 활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새의 형상 그 중에서 독수리형상을 상징물로 하는 기관의 경우에는 그 기관앞에 독수리형상의 가로등을 설치함으로서 가로등의 역할 뿐만 아니라 기관의 상징물로도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등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배면도, 도 10은 도 7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7의 저면 구조도, 도 12는 도 7의 등기구용 지주에 대한 설치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0)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한쌍의 날개 형상을 가지며, 상면부에 열 방출을 위한 다수의 방열핀(202a)을 구비하는 하우징(202)을 가지며, 하우징(202)의 하부에 설치되는 LED 기판(208) 및 상기 LED 기판(208)을 보호하는 커버 등을 구비한다.
이때, 도 7 내지 도 13에 도시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0)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하우징(202)(및 이를 포함한 등기구 전체의 형상)은 나비 형상이 아니라 새(도 7의 예에서는 독수리)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새 형상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0)는 새 형태의 날개 부위뿐만 아니라 꼬리 부분에서도 LED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머리 부분은 외부 형태가 새의 머리를 닮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새 형태의 머리 부분의 내부에는 별도의 LED를 추가로 구비하여, 머리 부분을 별도로 조명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새 형상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0)에서도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새 형태의 날개 형상(또는 꼬리 형상) 중 가장자리측에 배열된 다수의 LED는 그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의해 발생되는 조명광의 대표적인 색상과 다른 색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성된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20)는 등기구용 지주의 상부에 적절한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거리 등을 조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용 지주(1)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형물 예를 들어 구 형태의 조형물(22)을 통해 설치되어 거리 등을 조명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 형태의 조형물(22)은 상측 및 하측면 부위에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 소재 등을 이용하여 하측의 등기구용 지주(1)에 고정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측의 새 형태의 등기구(20)의 발 부분과 고정되게 부착됨으로써, 등기구(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구 형태의 조형물(22)은 옆면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별도의 조명용 LED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 형태의 조형물(22)의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용 LED들은 전체적으로 7각 기둥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각 7각 기둥 형태의 각 면에 설치되는 LED들은 각기 서로 다른 색상(예를 들어 7가지 무지개 색상)을 발생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 형태의 조형물(22)의 내부에는 LED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주변 지역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구 형태의 조형물(22)은 그 상측에 부착되는 새 형태의 등기구(20)에 (발 부분의 형상 내부를 통해) 동작 전원 등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새 형태의 등기구(20)의 부속 모듈로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구 형태의 조형물(22)은 사각기둥 형태, 원기둥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조형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4는 도 6 또는 도 12의 등기구용 지주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지주(1)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기둥 형태의 등기구용 지주(1)는 그 내부에 무선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안테나 장치(112)를 그 내부에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구성을 가지는 등기구용 지주(1)는 해당 기둥 형태의 상측부에 형성되는 안테나 장치(112)를 설치하기 위한 안테나 설치단(11)과, 기둥 형태의 하측부에 형성되는, 해당 기둥 형태의 안테나 장치가 지반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단(12)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안테나 설치단(11)의 외관의 적어도 일부는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방해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대응되는 부위가 통상의 안테나 장치의 레이돔과 동일한 재질인 FRP(Fiber Reinforced Plastic), ASA(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PVC(Poly Vinyl Chloride)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단(12)의 외관은 금속제 또는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s)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지반에서 세로로 길게 세워질 수 있도록 지반 지지 부재(122)가 하측부에 형성되는데, 지반 지지 부재(122)는 지반에 미리 형성된 콘크리트기초의 앵커볼트(미도시)에 끼워질 수 있는 홀 구조가 적소에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반 지지 부재(122)를 가지는 기둥 형태의 지지단(12)의 외관 형태는 전신주나 가로등 지주의 외관과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단(12)의 외관 내부에는 해당 안테나 장치(112)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1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지주(1)의 안테나 설치단(11)과 지지단(12)은 별도로 재작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전체적인 외관의 모습은 하나의 기 둥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지주(1)는 마치 통상적인 기둥과 유사한 형상의 기둥을 구비하고, 그 기둥 내에 무선통신 시스템용 안테나를 내장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한편, 무선통신용 송수신 장치는 종래와 유사하도록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상기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지주(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기둥 형태의 등기구용 지주(1)의 내부, 예를 들어 지지단(12)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에 무선통신용 송수신 장치는 파손 및 침수에 의한 손상에 보다 안전하게 대응하도록 기둥 형태의 지지단(12)의 내부에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통신용 송수신 장치가 기둥 형태의 등기구용 지주(1)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에는 안테나 장치와 무선통신용 송수신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워서, 신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로등 등기구(20)를 구비한 등기구용 지주(1) 내부에 안테나 장치(112)가 설치될 경우에, 안테나 장치(112)가 외관적으로 기존에 익숙한 형태인 가로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에 비해 거부감이 없고 친근감을 주도록 할 수 있으며 주변 환경과 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 형태의 조형물(22) 내부에 감시 카메라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등 감시 카메라도 외부에서 잘 드러나지 않고 환경친화적으로 또는 위장형으로 설치될 수 있어서, 마찬가지로 거부감이 없고 주변 환경과 조화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종래의 안테나 장치나 감시 카메라 등은 원활한 무선통신의 제공 및 감시를 위하여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변 환경의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해당 안테나 장비의 설치를 기피하고 있고, 감시용 카메라의 경우에는 더욱 꺼리고 있어, 설치장소의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더욱이, 도심 등에서는 거리를 조명하기 위한 가로등 및 방범을 위한 방범용 카메라 등이 별도의 기둥에 각기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므로, 현재의 도심 등에는 다소 낭비적이며 미관을 저해하는 다수의 기둥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에 비해,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는 무선통신용 안테나 및 감시용 카메라를 보이지 않게 위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기에 아름다운 형상이어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설치시에 거부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용 지주(1)는 해당 안테나 장치(112) 자체를 내장하면서 그대로 지반에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도시근교나 농촌지역 등을 비롯하여 평지에서 해당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여 할 경우에 작업이 매우 용이할 수 있으며, 설치 용지의 확보가 용이하며, 또한 기존 가로등이 설치된 지역에 대체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전원의 확보가 용이하고 또 통신케이블과의 접속도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용 지주(1)에는 등기구용 지주(1)의 기둥에 움직임 감지 센서, 기상 감지 센서 및 조도 감지 센서 등을 구비하는 감지 센서 모듈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해당 설치된 지역의 상황을 감지함으로서 주변 지역의 감시기능을 추가로 더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기구가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가, 나비 또는 새(독수리) 형태인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도 날개 형상을 가진 다양한 동물 또는 사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러한 형상에 감시 카메라 등이 위장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등기구의 형태가 잠자리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잠자리 형태의 머리 부분에 감시 카메라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5 및 16은 각각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 및 저면 구조도이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등기구(30)는 그 형태가 잠자리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때 잠자리 형태의 머리 부분에는 감시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7 및 18은 각각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 및 저면 구조도이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등기구(40)는 그 형태가 갈매기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는 날개 형상을 가지는 다양한 동물 또는 사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 형태의 조형물(22)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 형태의 조형물(22)은 상기 도 1 내지 도 6 및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 은 제1, 제3, 제4 실시예에서도 등기구의 하부 및 등기구용 지주(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그 형상도 구 형태뿐만 아니라 꽃봉오리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가 주로 가로등과 같이 옥외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에도 옥내용으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 중 A-A'부분의 절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저면 구조도,
도 6은 도 1의 등기구용 지주에 대한 설치 예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는 도 7의 배면도,
도 10은 도 7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7의 저면 구조도,
도 12는 도 7의 등기구용 지주에 대한 설치 예시도,
도 13은 도 12의 정면도,
도 14는 도 6 또는 도 12의 등기구용 지주의 개략적인 외관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저면 구조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저면 구조도.

Claims (18)

  1. 등기구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날개를 가진 동물 또는 사물을 나타내는 조형물의 형태를 가지며, 상면부에 열 방출을 위한 다수의 방열핀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며,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는 LED 기판과,
    상기 LED 기판에서 발생된 조명광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LED 기판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LED 기판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에서 다수의 LED 중 상기 전체적인 날개 형상의 가장자리측에 배열된 다수의 LED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전체적으로 그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의해 발생되는 조명광의 대표적인 색상과 다른 색상의 조명광을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에서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 중 일부는 상기 대표적인 색상과 다른 색상의 조명광을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에서 다수의 LED 중 상기 전체적인 날개 형상의 가장자리측에 배열된 다수의 LED의 일부 또는 전부는 전체적으로 그 내측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에 의해 발생되는 조명광의 대표적인 휘도와 다른 휘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ED 기판은 상기 하우징의 날개부분에서 상기 날개 부분과 대응되는 범위를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날개부분은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는 구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조형물을 통해 등기구용 지주의 상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조형물은 옆면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별도의 조명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조형물은 내부에 주변 지역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의 내주면과 상기 커버 측면의 맞닿는 면 사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LED 기판을 밀봉하기 위한 개스킷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를 상부에 설치하는 등기구용 지주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기둥 형태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안테나 설치단과,
    상기 기둥 형태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해당 기둥 형태의 등기구용 지주가 지반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테나 부품 설치단의 외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송수신 무선 신호를 통과시키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단의 외관은 지반에서 세로로 길게 세워질 수 있도록 지반 지지 부재가 하측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의 형태는 나비, 갈매기, 잠자리, 독수리 형태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형물의 형태는 새를 나타내며,
    상기 LED 기판은 상기 새를 나타내는 조형물 형태에서 머리 부분 또는 꼬리 부분에도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를 나타내는 조형물 형태에서 머리 부분은 외부 형태가 새의 머리를 닮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머리 부분이 결합되는 하우징에는 별도의 LED를 추가로 구비하여, 해당 머리 부분을 별도로 조명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새를 나타내는 조형물 형태를 가지는 등기구는 구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조형물을 통해 등기구용 지주의 상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조형물은 옆면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별도의 조명을 추가로 구비하는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의 조형물은 내부에 주변 지역을 촬영하는 감시 카메라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18.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를 상부에 설치하는 등기구용 지주는,
    전체적으로 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기둥 형태의 상측부에 형성되어 안테나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안테나 설치단과,
    상기 기둥 형태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해당 기둥 형태의 등기구용 지주가 지반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지지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안테나 부품 설치단의 외관의 일부 또는 전부는 송수신 무선 신호를 통과시키는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단의 외관은 지반에서 세로로 길게 세워질 수 있도록 지반 지지 부재가 하측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KR2020090008880U 2009-02-27 2009-07-09 등기구 KR200449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880U KR200449096Y1 (ko) 2009-02-27 2009-07-09 등기구
JP2009005032U JP3154164U (ja) 2009-02-27 2009-07-17 ランプ装置
CN200920168647XU CN201844217U (zh) 2009-02-27 2009-07-17 灯具装置
US12/507,181 US8172422B2 (en) 2009-02-27 2009-07-22 Lamp device
PCT/KR2009/004086 WO2010098517A1 (en) 2009-02-27 2009-07-22 Lamp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2270 2009-02-27
KR2020090002673 2009-03-09
KR2020090005382 2009-05-04
KR2020090008880U KR200449096Y1 (ko) 2009-02-27 2009-07-09 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096Y1 true KR200449096Y1 (ko) 2010-06-17

Family

ID=4424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880U KR200449096Y1 (ko) 2009-02-27 2009-07-09 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09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602A2 (en) * 2009-02-27 2010-09-02 Kmw Inc. Antenna with lighting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2099432A2 (ko) * 2011-01-21 2012-07-26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KR200461624Y1 (ko) 2010-12-17 2012-07-30 주식회사 에이필 가로등 경관 조경 시스템
KR101805876B1 (ko) * 2017-02-27 2018-01-10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조형물 보안등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213B1 (ko) 2005-11-30 2007-07-13 조중일 가로등의 반사판 구조
US20080062691A1 (en) 2006-09-12 2008-03-13 Russell George Villard LED lighting fix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213B1 (ko) 2005-11-30 2007-07-13 조중일 가로등의 반사판 구조
US20080062691A1 (en) 2006-09-12 2008-03-13 Russell George Villard LED lighting fixtur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8602A2 (en) * 2009-02-27 2010-09-02 Kmw Inc. Antenna with lighting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0098602A3 (en) * 2009-02-27 2010-12-23 Kmw Inc. Antenna with lighting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789994B2 (en) 2009-02-27 2014-07-29 Kmw Inc. Antenna with lighting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61624Y1 (ko) 2010-12-17 2012-07-30 주식회사 에이필 가로등 경관 조경 시스템
WO2012099432A2 (ko) * 2011-01-21 2012-07-26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WO2012099432A3 (ko) * 2011-01-21 2012-11-22 주성엔지니어링(주) 조명 장치
KR101805876B1 (ko) * 2017-02-27 2018-01-10 주식회사 케이지테크 조형물 보안등기구
WO2018155889A1 (ko) * 2017-02-27 2018-08-30 (주)케이지테크 조형물 보안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4164U (ja) ランプ装置
JP4839447B2 (ja) 街路灯
US8267541B2 (en) Outdoor illuminating device and illuminating method
KR100998247B1 (ko)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한 조명장치
US8783906B2 (en) Solid state outdoor overhead lamp assembly
JP6903350B2 (ja) 隠し構造の通信アンテナ及び照明構成
KR200449096Y1 (ko) 등기구
KR101153836B1 (ko) 엘이디 등기구를 위한 다기능 스마트 어댑터
JP5389192B2 (ja) 照明機能を有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用アンテナ
KR101590071B1 (ko) 감시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
KR10198501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명모듈을 구비한 가로등용 등기구
KR100921633B1 (ko) 엘이디 가로등
KR101071417B1 (ko) 카메라 일체형 led 보안등기구
CN211875809U (zh) 一种带有驱虫效果的园林专用地埋灯
KR100789318B1 (ko) 가로등
KR101922616B1 (ko) 문양의 교체가 가능한 엘이디 조명 장치
CN109210466B (zh) 地埋灯
CN210398676U (zh) 一种led庭院灯
CN108289360A (zh) 一种用于园林景观的防尘步道灯
KR102475047B1 (ko) 네온 플렉스 led 디스플레이 장치
US11649949B2 (en) Luminaires having multiple lighting distributions
KR200290414Y1 (ko) 보행등 겸용 가로등주
JP6258539B2 (ja) 照明器具
KR200259288Y1 (ko) 자립형 수목조명장치
KR20090101607A (ko) 난반사 방지용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