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989Y1 - 프리즘홀더 - Google Patents

프리즘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989Y1
KR200448989Y1 KR20080004101U KR20080004101U KR200448989Y1 KR 200448989 Y1 KR200448989 Y1 KR 200448989Y1 KR 20080004101 U KR20080004101 U KR 20080004101U KR 20080004101 U KR20080004101 U KR 20080004101U KR 200448989 Y1 KR200448989 Y1 KR 200448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rism
connecting member
pivot
prism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4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958U (ko
Inventor
최영락
Original Assignee
대한지적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지적공사 filed Critical 대한지적공사
Priority to KR20080004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8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9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 G01B1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radiation, e.g. by the use of microwaves, X-rays, gamma rays or electron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Abstract

본 고안은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 측량시 타겟으로 사용되는 프리즘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프리즘본체(100)의 후방면에 나사결합되는 원추형의 홀더(200); 상기 홀더(200)에 용접결합되는 회동부재(300); 및, 상기 회동부재(300)의 하단부에 회동핀(44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핀폴(11)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리즘본체(100)가 상기 홀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즘본체(100)의 중심축과 상기 연결부재(400)의 중심축이 직각을 이루게 되면 상기 홀더(200)의 후방단부 꼭지점(210)이 상기 연결부재(4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리즘본체, 홀더, 회동부재, 연결부재, 꼭지점, 다각면, 지지편, 중앙절개부, 회동핀, 기포관

Description

프리즘홀더{Prism Holder}
본 고안은 토탈스테이션(Total Station)이라는 측량기를 이용하여 지적 측량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함께 사용되어 타겟(Target) 역할을 하는 프리즘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핀폴(pin pole)에 결합되어 일반적인 기준점 관측뿐만 아니라 건물의 코너나 모서리 부분의 정밀 측량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이한 구조의 프리즘홀더를 제공한다.
토탈스테이션과 함께 사용되는 프리즘을 지지하는 종래의 홀더(200)의 경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기포관(500)이 구비되어 있으며, 프리즘본체(100)의 후방단부가 나사결합되고, 핀폴(11)에 삽입되어 핀폴 프리즘 셋트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핀폴 프리즘 셋트는 토탈스테이션 장비의 구성품으로 공시지가가 높고 관측거리가 가까운 대축척지역의 시가지 지역에서 정확한 기준점 관측 및 고정물관측 등에 활용되고 있다.
또한 지적확정측량 업무처리시 구조물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거나, 정확한 측량이 요구되는 시가지 지역의 담장 중심점이나 건축물코너, 모서리 등 정밀측정용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핀폴 프리즘 셋트의 경우 일반적인 기준점 관측시에는 핀폴(11)의 하단부를 기준점에 삽입하고 기포관(500)을 주시하면서 핀폴(11)의 수직도를 맞추어서 측량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바, 특단의 어려움이 없다.
그러나, 지적확정측량 및 시가지 기준점 관측시 담장 중앙의 중심점, 구조(건축)물 코너, 또는 모서리(┝,┏, ┼) 거리측정시에는 핀폴 프리즘 셋트가 건축물 등의 코너 벽멱에 저촉되어 핀폴(11)의 수직도를 유지하면서 핀폴(11)의 중심축을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위치시킬 수 없어 거리측정시 약 3.5cm의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작업자가 프리즘본체(100)만을 분리하여 프리즘본체(100)의 후방단부에 원추형의 코너홀더(22)를 별도로 결합하고, 작업자가 원추형의 코너홀더 꼭지점을 측정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직접 접촉시킨 상태에서 측량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거리 측정의 정확성에 정확성이 떨어지고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높이)에 따라 현장 작업자의 불편함이 가중됨은 물론 사다리와 같은 보조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였다. 아울러 핀폴(11)에서 분리된 프리즘본체(100)나 코너홀더(22)는 분실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핀폴(11)의 상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준점 관측 및 건축물의 코너나 모서리 관측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프리즘홀더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측정하고자 하는 용도(기준점 관측, 건축물 코너 또는 모서리 측량)에 따라 프리즘상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는 프리즘홀더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홀더(200)의 꼭지점을 정확하게 코너 모서리 등과 같은 측정점의 위치에 밀착시키고 프리즘본체(100)의 시선이 토탈스테이션의 관측방향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는 프리즘홀더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 향상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리즘홀더를 제공함을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 측량시 타겟으로 사용되는 프리즘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프리즘본체(100)의 후방면에 나사결합되는 원추형의 홀더(200); 상기 홀더(200)에 용접결합되는 회동부재(300); 및, 상기 회동부재(300)의 하단부에 회동핀(44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핀폴(11)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리즘본체(100)가 상기 홀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즘본체(100)의 중심축과 상기 연결부재(400)의 중심축이 직각을 이루게 되면 상기 홀더(200)의 후방단부 꼭지점(210)이 상기 연결부재(4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폴(11)의 상단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준점 관측 및 건축물의 코너나 모서리 관측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준점 관측시에는 프리즘본체(100)의 시선방향이 핀폴(11)과 수직이 된 상태에서 측량을 실시하면 되고, 건축물의 코너 등을 관측할 경우에는 프리즘본체(100)를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고 핀폴(11)을 이용하여 홀더(200)의 꼭지점(210)을 관측할 지점에 접촉시킨 후 측량을 실시하면 된다.
둘째, 측정하고자 하는 용도(기준점 관측, 건축물 코너 또는 모서리 측량)에 따라 프리즘상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기준점 관측의 경우 프리즘본체(100)를 핀폴(11)에 수직이 된 상태에서 측량을 실시하는 바 자동적으로 홀더(200)의 꼭지점(210)이 핀폴(11)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게 되고, 건축물 코너 등을 관측할 경우에는 꼭지점(210)을 관측할 지점에 직접 접촉시킨 상태에서 측량이 이루어지게 되어 항상 동일한 프리즘상수를 적용하게 된다.
셋째, 홀더(200)의 꼭지점을 정확하게 코너 모서리 등과 같은 측정점의 위치에 밀착시키고 프리즘본체(100)의 시선이 토탈스테이션의 관측방향과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작업자의 사용 편의성 향상 및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프리즘본체(100)를 회동시킬 수 있어 다양한 작업환경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고, 프리즘본체(100)를 홀더(200)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어 분실의 위험성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코너홀더(22)를 휴대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인 프리즘홀더의 분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인 프리즘홀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데, 핀폴(11)에 대하여 다향한 각도로 회동하여 프리즘의 시선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프리즘본체(100)는 토탈스테이션의 타겟 역할을 하는 일반적인 프리즘 본체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반적인 프리즘본체(100)의 경우 후방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있으며, 프리즘본체(100)를 홀더(200)에 나사체결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홀더(2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본체(100)의 후방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인데, 전체 형상은 원추형이며 원추형의 밑면에 나사가 구비되어 프리즘본체(100)와 나사체결 된다.
원추형 홀더(200)의 후방단부 꼭지점이 측량하고자 하는 측정점이 되는데, 토탈스테이션은 이러한 꼭지점을 직접 주시할 수 없는 바, 프리즘본체(100)의 전방면의 중심 좌표를 읽은 후 꼭지점까지의 거리(프리즘상수)를 반영하여 꼭지점의 좌표값을 산출해 낸다. 즉, 프리즘본체(100) 전방면의 중심좌표를 읽으면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리 입력된 프리즘상수를 반영하여 꼭지점의 좌표값을 자동 산출해 내는 것인데, 이와 같은 내용은 일반적인 측량 방법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기재를 생략하도록 한다.
회동부재(300)는 홀더(200)에 용접결합되고, 회동부재(300)와 연결부재(400)는 회동핀(44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부재(400)의 하단부는 핀폴(11)의 상단부에 나사체결 등의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반드시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억지끼움(Press-Fit) 방식으로 연결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핀폴(11)의 상단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300)와 연결부재(40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리즘본체(100)가 홀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프리즘본체(100)의 중심축과 연결부 재(400)의 중심축이 직각을 이루게 되면 홀더(200)의 후방단부 꼭지점(210)이 연결부재(4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40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핀폴(11)을 기준점에 삽입한 후 수직상태로 유지하면서 프리즘본체(100)의 중심축을 수평상태로 셋팅하고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하여 프리즘본체(100) 전방면 중심좌표를 측정하면 자동적으로 프리즘상수가 반영된 홀더(200) 후방단부의 꼭지점(210) 좌표가 산출되는데, 꼭지점(210)의 위치가 바로 기준점의 위치와 일치하게 된다.
회동부재(300)의 하단부 단면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면(310)이 구비되어 있는데, 다각면(310)은 첨부도면과 같이 중앙면을 기준으로 전후 양측면이 각각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에는 전후 양측면의 각도를 다른 각도(예를 들어 30도, 60도 등)로 변경할 수도 있으며, 다각면의 수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즉, 중앙면을 기준으로 전후 양측면에 각각 중앙면과 이루는 각도가 점차 증가하도록 다수 개의 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연결부재(400)의 내부에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420)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지지편(410)이 내장되고, 지지편(410)의 상단부 단면이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동부재의 다각면(310)에 밀착된다.
나사봉(430)은 지지편(410)과 스프링(420)을 연결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한 후 스프링(4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부재(400)의 하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체결된다.
따라서 회동부재(300)를 회동시키면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각도 간격마다 지지 편(410)이 다각면(310)을 밀착지지하게 되며, 다각면(310) 가운데 어느 면이 지지편(410)의 상단부와 밀착되는지 여부에 따라 회동부재(300)의 회동각도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300)의 회동각도를 변경시키면 프리즘본체(100)가 핀폴(11)에 대하여 다향한 각도로 회동하고, 프리즘본체(100)의 시선방향이 변경된다.
연결부재(400)의 상단부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절개부(450)가 구비되어 연결부재(400)의 상부를 좌우 양측으로 나누게 되고, 회동부재(300)의 하단부는 중앙절개부(450) 사이에 삽입되어 회동핀(440)에 결합되는 구조이다.
회동핀(440)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부(441), 원기둥부(442) 및 나사부(443)로 구성되는데, 머리부(441)에는 육각렌찌 또는 일자형 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절개홈(444)이 구비된다.
원기둥부(442)는 머리부(441)의 하부면에서 머리부(4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되고, 나사부(443)는 원기둥부(442)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회동핀(440)은 중앙절개부(450)에 의하여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진 연결부재(400)의 상부 일측으로 삽입되어 중앙절개부(450) 사이에 삽입된 회동부재(300)의 하단부를 통과한 후 나사부(443)가 연결부재의 상부 타측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회동핀(440)을 조이면 중앙절개부(450)에 의하여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진 연결부재(400)의 상부가 회동부재(300)의 하단부를 압착하여 회동부재(300)가 너무 헐겁게 회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4는 기포관(500)이 구비된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인데, 프리즘본체(100) 또는 홀더(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수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 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종래의 핀폴 및 프리즘홀더로 구성되는 핀폴 프리즘 셋트를 도시한다.
도2는 본 고안인 프리즘홀더의 분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인 프리즘홀더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데, 핀폴(11)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회동하여 프리즘의 시선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4는 기포관이 구비된 구체적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리즘본체
200:홀더
210:꼭지점
300:회동부재
310:다각면
400:연결부재
410:지지편
420:스프링
430:나사봉
440:회동핀
441:머리부
442:원기둥부
443:나사부
444:절개홈
450:중앙절개부
500:기포관
11:핀폴
22:코너홀더

Claims (4)

  1. 토탈스테이션을 이용한 수치 측량시 타겟으로 사용되는 프리즘의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프리즘본체(100)의 후방면에 나사결합되는 원추형의 홀더(200);
    상기 홀더(200)에 용접결합되는 회동부재(300); 및,
    상기 회동부재(300)의 하단부에 회동핀(440)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핀폴(11)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리즘본체(100)가 상기 홀더(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프리즘본체(100)의 중심축과 상기 연결부재(400)의 중심축이 직각을 이루게 되면 상기 홀더(200)의 후방단부 꼭지점(210)이 상기 연결부재(4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회동부재(300)의 하단부 단면에는 다각면(310)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00)의 내부에는 스프링(420)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지지편(410)이 내장되어 상기 지지편(410)의 상단부 단면이 상기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재의 다각면(310)에 밀착되고,
    상기 프리즘본체(100) 또는 상기 홀더(200)의 일측에 수평상태를 확인하는 기포관(500);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홀더.
  2. 제1항에서,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부를 좌우 양측으로 나누는 중앙절개부(450);가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300)의 하단부가 상기 중앙절개부(450)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핀(440)은,
    머리부(441);
    상기 머리부(441)의 하부면에서 상기 머리부(44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연장된 원기둥부(442); 및,
    상기 원기둥부(442)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부(443);
    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핀(440)은 상기 중앙절개부(450)에 의하여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진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부 일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앙절개부(450) 사이에 삽입된 회동부재(300)의 하단부를 통과한 후 상기 나사부(443)가 상기 연결부재의 상부 타측에 나사결합되고, 회동핀(440)을 조이면 상기 중앙절개부(450)에 의하여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진 상기 연결부재(400)의 상부가 상기 회동부재(300)의 하단부를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홀더.
  3. 삭제
  4. 삭제
KR20080004101U 2008-03-28 2008-03-28 프리즘홀더 KR200448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101U KR200448989Y1 (ko) 2008-03-28 2008-03-28 프리즘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4101U KR200448989Y1 (ko) 2008-03-28 2008-03-28 프리즘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58U KR20090009958U (ko) 2009-10-01
KR200448989Y1 true KR200448989Y1 (ko) 2010-06-09

Family

ID=4153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4101U KR200448989Y1 (ko) 2008-03-28 2008-03-28 프리즘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9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16706B2 (ja) * 2013-09-19 2015-11-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測定治具
CN108489473B (zh) * 2018-06-26 2024-03-19 华东交通大学 一种全站仪棱镜
KR102188693B1 (ko) 2020-03-31 2020-12-08 김문환 광 측량기 거치대
KR102620367B1 (ko) 2023-06-13 2024-01-04 주식회사 누리지오시스템 휴대용 측량 넘버링 보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816U (ko) 1987-03-02 1988-09-12
KR200445657Y1 (ko) * 2007-12-14 2009-08-20 신우대 측량용 반사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7816U (ko) 1987-03-02 1988-09-12
KR200445657Y1 (ko) * 2007-12-14 2009-08-20 신우대 측량용 반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58U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9560B2 (en) Multi-purpose tool
US6543144B1 (en) Multipurpose tool
CA2829713C (en) Working tool positioning system
US6453568B1 (en) Laser protractor
US7669813B2 (en) Multiple function geomatics pole support device
US7631434B1 (en) Plumb/level alignment gauge for aligning structural elements in two directions
US20090064516A1 (en) Multi-purpose tool
KR200448989Y1 (ko) 프리즘홀더
KR100928662B1 (ko) 다용도 측량기
JPH0326770B2 (ko)
US6640453B2 (en) Clinometer
US6332276B1 (en) Articulate laser degree finder
CA2164577C (en) Measurement referencing and transferring instrument
US20200191540A1 (en) Ruler
KR101291451B1 (ko) 반사장치를 구비한 수준측량용 스타프
US6305092B1 (en) Level with plumb alignment features
US6901671B2 (en) Level capable to measure minute inclination
CN211401208U (zh) 一种桥梁施工用标杆
KR20180114383A (ko) 다용도 포스트용 접이식 수직수평계
CN208333444U (zh) 建筑瓦工用免校准便捷式多用水平仪
CN209783546U (zh) 一种大跨度模板的激光测拱仪
US6543148B2 (en) Level with plumb alignment features
US8898917B1 (en) Combination level and protractor
CN113587896A (zh) 一种任意地形条件下树高树干长冠长高精度测量方法
AU2018100746A4 (en) Didactic theodolite measuring instrument which makes it possible to interpret an interactive form the trigonometric and geometric reasoning usable in the pedag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