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722Y1 - Teminal - Google Patents

Te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722Y1
KR200448722Y1 KR2020070020986U KR20070020986U KR200448722Y1 KR 200448722 Y1 KR200448722 Y1 KR 200448722Y1 KR 2020070020986 U KR2020070020986 U KR 2020070020986U KR 20070020986 U KR20070020986 U KR 20070020986U KR 200448722 Y1 KR200448722 Y1 KR 200448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rrel
terminal
insul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9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702U (en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22Y1/en
Publication of KR200900067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70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2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몸체부(101)와; 상기 몸체부(101)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W)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107)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101)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렐부(107)의 인슐레이션바렐(105)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감싸기부(105a)와 상기 감싸기부(105a)의 양단에 서로 어긋나게 연장되는 교차 연장부(105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직경이 굵은 전선을 바렐부에 연결하기 쉽고, 현재 사용중인 금형장비로 바렐부의 길이가 연장된 터미널 제조가 가능하여 장비 효율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The subject innovation is the body portion 101; A barrel portion 107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01 for coupling with an electric wire (W);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109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101 and coupled to the mating terminal, the barrel barrel 105 of the barrel portion 107 is wrapped around the insulation of the wire ( It consists of a cross extension portion 105b extending oppositely to both ends of the 105a) and the wrapping portion 105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connect a thick wire to the barrel,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terminal having an extended length of the barrel with a mold equipment currently in use,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터미널, 와이어바렐, 인슐레이션바렐, 교차연장부 Terminal, Wire Barrel, Insulation Barrel, Cross Extension

Description

터미널{TEMINAL}Terminal {TE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이 큰 전선을 보다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도록 한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apable of crimping a large diameter wire more firmly.

터미널은 암수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전선과 전선 사이, 전선과 특정한 소자 사이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A terminal is a male and female coupling to each other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for exampl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wire and the wire, between the wire and a specific element.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암 터미널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1의 측면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fema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shows a side view of FIG.

도면에 따르면, 터미널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7) 및 결합부(9)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7) 및 결합부(9)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According to the drawing, the terminal is made of metal and has a body 1. The body portion 1 is actually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barrel portion 7 and the coupling portion 9 to be described below, it is possible to clearly separate the region with the barrel portion 7 and the coupling portion 9 none.

상기 터미널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7)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7)는 와이어바렐(3)과 인슐레이션바렐(5)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3)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5)은 전선의 인슐레이션을 감싸서 터미널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 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바렐(3)과 인슐레이션바렐(5)는 그 높이가 거의 유사하게 형성된다.The rear end of th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7 for connection with the wire. The barrel portion 7 is divided into a wire barrel 3 and an insulation barrel 5. The wire barrel 3 is compressed to surround the wire of the wire to perform electrical connection, and the insulation barrel 5 wraps the insulation of the wire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wire is firm. The wire barrel 3 and the insulation barrel 5 are formed almost similar in height.

상기 몸체부(1)의 선단에는 결합부(9)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9)는 터미널의 길이방향 양단으로 개구되는 형상이다. 상기 결합부(9)의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A coupling part 9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dy part 1. The coupling portion 9 is open to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An insertion space 11 into which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oupling part 9.

상기 결합부(9)의 삽입공간(11)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대 터미널이 결합부(9)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부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An elastic piece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insertion space 11 of the coupling part 9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mating terminal. The elastic piece is capable of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coupling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mating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9.

이와 같은 구성의 터미널은 소정 폭을 가지는 띠모양의 소재를 금형장비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스트립형태로 다수 개가 연결되도록 만들며, 이때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절곡하여 필요한 모양으로 만든다. 이와 같은 절곡과정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이라 불리우는 성형장치에서 수행되는데, 금형에서는 다이에 대해 펀치가 상하운동하면서 펀치가 소재에 힘을 가해 절곡을 수행한다.The terminal having such a configuration makes a plurality of strips connected in a strip form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a strip-shaped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o a mold equipment. At this time, the terminal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equentially bent to make a required shape. This bending process is generally performed in a molding apparatus called a progressive mold, in which the punch presses the material while the punch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die to perform bending.

도 3에서는 소정 직경을 갖는 전선이 바렐부에 연결된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제공된 전선(W)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와이어(One-wire) 형태의 전선이다. 이 경우 인슐레이션바렐(5)은 전선(W)을 압착하고 있고, 와이어바렐(3)은 와이어(W')를 압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3 shows a state diagram in which a wir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barrel portion. The wire W provided in FIG. 3 is a one-wire type wire as shown. 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the insulation barrel 5 is crimping the wire W, and the wire barrel 3 is crimping the wire W '.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 점이 있다.However,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기 바렐부(7) 특히 인슐레이션바렐(5)의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래서 도 3과 같이 원-와이어(One-wire) 형태의 전선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그 전선(W)을 견고하게 압착할 수 있다. 그러나 터미널에는 투-와이어(Two-wire) 형태의 전선이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전선의 직경은 그 만큼 커지게 되고, 반면 인슐레이션바렐(5)의 길이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전선을 완전하게 감싸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 일부가 간격(G)만큼 노출되고 있다. 도3과 도4의 전선(W) 직경은 서로 다름에 유의해야 한다. 투-와이어(Two-wire) 형태의 전선이 원-와이어(One-wire) 형태의 전선의 직경보다 더 크다. 또는 전선의 직경이 굵은 경우에도 인슐레이션바렐(5)로는 완전하게 감싸지 못하고 있다.That is, the barrel portion 7, in particular, the insulation barrel 5 has a short length. Thus, when the one-wire type wires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3, the wires W may be firmly compressed.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wo-wire wires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wire is increased by that much, while the length of the insulation barrel 5 remains the sam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ire cannot be completely wrapped. That is, as shown in FIG. 4, a part of the wire is exposed by the gap 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iameters of the wires W in FIGS. 3 and 4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two-wire type wir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ne-wire type wire. Or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wire is thick, it is not completely wrapped with the insulation barrel (5).

이 경우 전선이 바렐부(7)에서 이탈될 수 있어 전기적 접촉이 나빠지게 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 wire may be separated from the barrel 7 and cause electrical contact to deteriorate.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슐레이션바렐(5)의 폭(D)을 더 넓게 재단하여 전선(W)을 감싸는 면적을 더 넓게 함으로써 전선(W)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할 수 있지만, 이경우 인슐레이션바렐(5)의 폭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금형장비를 다시 설계해야하고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되므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width D of the insulation barrel 5 is cut more broadly to increase the area surrounding the wire W,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wire W, but in this case, the insulation barrel 5 In order to change the width of the mold equipment must be redesigned and the cost of the material is increased because there is a lot of material costs.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렐부의 길이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form a relatively longer length of the barrel portion using the same material.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재 사용중인 금형장비를 그대로 사용하여 다양한 굵기의 전선을 연결할 수 있는 터미널을 제조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terminal that can connect wires of various thicknesses using the mold equipment currently in us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렐부의 인슐레이션바렐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감싸기부와, 상기 감싸기부의 양단에 서로 어긋나게 연장되는 교차 연장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body portion; A barrel portion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an electric wire; And a coupling part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and coupled to the mating terminal, wherein the barrel of the barrel part includes a wrapping part surrounding the insulation of the wire, and a cross extension part extending outwardly from both ends of the wrapping part. It is composed.

상기 교차 연장부는 이웃하는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과 이어지는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절단되어 형성된다.The crossing extensions are formed by being cut off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nsulation barrel connected to the neighboring terminal.

상기 교차 연장부끼리 마주보는 부분에는 결합톱니가 형성된다.Coupling teeth are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cross extensions face each other.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고안에서는 직경이 큰 전선이 터미널에 연결되더라도 바렐부의 연장된 부분이 전선의 외면을 완전하게 감싸기 때문에 터미널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된다. 이에 터미널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진다. 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wire having a large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ince the extended portion of the barrel part completely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the terminal and the wire are firmly coupled. This increases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terminal.

또 본 고안에서는 긴 띠 모양의 모재를 금형장비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스트립형태로 다수개의 터미널이 연결되도록 만드는데, 서로 인접한 터미널의 바렐부 단부를 서로 어긋나게 연장시켜 절단하기만 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중인 금형장비만으로 바렐부의 길이가 연장된 터미널을 제조할 수 있어, 장비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desig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connected in a strip form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a long strip-shaped base material to the mold equipment. The mold equipment currently in use is only cut by extending the barrel ends of the terminals adjacent to each other. Only the length of the barrel can be manufactured to extend the terminal, there is an effect that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equipment.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바람직한 실시 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 5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of Figure 5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본 고안의 터미널은 판상의 금속을 금형장비에서 연속적으로 가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통상 긴 띠 모양의 모재를 금형장비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스트립형태로 다수개가 연결되도록 만든다.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는 폭에 비해 길 이가 긴 띠 모양의 터미널 스트랩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수행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이는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각각의 위치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이와 펀치의 쌍에서 각각의 가공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어 제품이 만들어지는 것이다.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continuously processing the plate-like metal in the mold equipment. Usually, a long band-like base material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mold equipment to make a plurality of strips connected. In other words, in progressive molds, the desired length is produced by sequentially processing the strip-shaped terminal straps that are longer than their widths. This is a process in which each machin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in a pair of dies and punches installed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the progressive molds to produce a product.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실시 예를 설명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터미널(100)은 몸체부(101)의 후단에는 바렐부(107)가 구비되고 선단에는 결합부(109)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바렐부(107)와 몸체부(101) 및 결합부(109)와 몸체부(101)는 그 영역이 정확하게 구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나, 도면에서 봤을 때 대략 중앙의 몸체부(101)를 기준으로 후단에 바렐부(107)가 구비되고 선단에 결합부(109)가 구비된다.Th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barrel portion 107 at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01 and a coupling portion 109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 barrel portion 107 and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coupling portion 109 and the body portion 101 is not the area can be precisely distinguished, as seen in the drawing based on the approximately central body portion 101 The barrel portion 107 is provided at the rear end and the coupling portion 109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상기 바렐부(107)는 와이어바렐(103)과 인슐레이션바렐(105)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바렐(103)은 전선(W)의 와이어(W')를 둘러싸서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의 연결을 수행한다. 즉 전선(W)의 와이어(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미널과 전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05)은 전선(W)의 인슐레이션을 둘러싸서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05)은 전선(W)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감싸기부(105a)와 상기 감싸기부(105a) 양단에 서로 어긋나게 연장되는 교차연장부(105b)로 구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도 6을 봤을 때 인슐레이션바렐(105)이 와이어바렐(103)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상기 교차연장부(100)는 일반적으로 터미널에 연결되는 원-와이어(One-Wire) 형태의 전선이 아니고 투-와이어(Two-Wire) 형태의 전선이 연결 되는 경우 또는 전선의 직경이 굵은 경우 이를 완전하게 감싸기 위해서이다. 즉 전선(W) 직경은 투-와이어인 경우 원-와이어보다 그 만큼 더 커지기 때문에 이를 감싸기 위한 인슐레이션바렐(5)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됨을 요구하게 된다. 물론 상기 투-와이어 형태의 전선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와이어가 구비되는 전선이어도 상관없다.The barrel portion 107 is composed of a wire barrel 103 and the insulation barrel 105. The wire barrel 103 is compressed by surrounding the wire (W ') of the wire (W) to perform a connection with the wire. That is, the wire W 'of the wire W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llow the terminal and the wir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insulation barrel 105 is compressed by surrounding the insulation of the wire W so that the wire and the terminal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 insulation barrel 105 includes a wrapping portion 105a surrounding the insulation of the wire W and a cross-extension portion 105b extending oppositely to both ends of the wrapping portion 105a. Therefore, when viewed in Figure 6, the insulation barrel 105 is formed higher than the wire barrel 103. The cross extension part 100 is generally not a one-wire type wire connected to a terminal but is connected to a two-wire type wire or when the diameter of the wire is thick. To wrap completely. That is, since the diameter of the wire W is larger than that of the one-wire in the case of the two-wire, the length of the insulation barrel 5 for enclosing the wire W is required to be formed longer. Of course, not only the wire of the two-wire type, but also any wire provided with more wires may be used.

상기 교차연장부(105b)의 형성과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forming the cross extension 105b i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이 스트립 형태로 복수개 연결된 구성을 보인 전개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스트립 형태로 터미널이 전개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트립형태로 연결된 것에서 완성된 터미널을 분리하는 것이다.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in a strip form. Referring to FIG. 7, the terminals are connected in an unfolded state in a strip form. In this way, the finished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ed strip.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 상호간은 인슐레이션바렐(105)이 연결부위(P)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하나의 터미널을 분리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As shown in 'A' of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insulation barrel 105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P. Thus, a process is needed to separate one terminal.

상기 공정에서 종래에는 인슐레이션바렐(105)은 서로 인접한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과 접해있는 부분을 일직선상으로 절단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인슐레이션바렐(105)은 끝단이 직선상으로 형성되고 도면에서 봤을 때 하부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와이어바렐(3)과 길이가 별 차이가 없었다. In the above process, the insulation barrel 105 conventionally cuts portions in contact with the insulation barrel of the terminals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the insulation barrel 105 is formed in a straight end, and the length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wire barrel 3 loc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viewed in the drawing.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이웃하는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105)의 연결부위(P)를 직선으로 절단하지 않고, 대신에 상기 연결부위(P)을 중심으로 할 때 서로 어긋나게 절단하였다. 그러면 'H'만큼 길이를 연장시켜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ortion P of the insulation barrel 105 of the neighboring terminal is not cut in a straight line, but instead, the connection portion P is alternately cut when the connection portion P is centered. Then it can be formed by extending the length by 'H'.

이와 같이 어긋나게 절단되면 길이가 연장된 교차연장부(105b)가 형성되고, 이 교차연장부(105b)는 인슐레이션바렐(105)의 원래 폭(D)보다 대략 절반(D')만큼 줄어들게 된다. When cut off in this manner, a cross extension portion 105b having an extended length is formed, and the cross extension portion 105b is reduced by approximately half D 'from the original width D of the insulation barrel 105.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터미널은 긴 띠 모양의 모재를 금형장비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스트립형태로 다수개가 연결되도록 만들게 되며 이 상태에서 완성된 터미널을 분리하게 된다.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connect a plurality of strips in the form of a strip while continuously supplying a long strip-shaped base material to the mold equipment and separate the completed terminal in this state.

이때 이웃 터미널과 서로 인슐레이션바렐(105)에 의해 연결되고 있지만, 그 연결된 연결부위(P)을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절단을 하게 되면, 인슐레이션바렐(105)은 원래 길이보다 'H'만큼 연장된 상태로 완성된다. 즉 교차연장부(105b)가 감싸기부(105a) 양단에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neighboring terminal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sulation barrel 105, but when the cutting is cut off each other around the connected connection portion (P), the insulation barrel 105 is extended by 'H' than the original length Is completed. That is, the cross extension 105b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rapping portion 105a.

그래서 원-와이어 형태인 전선보다 직경이 더 큰 전선 즉 투-와이어가 내장된 전선이 터미널의 바렐부(107)에 삽입되더라도 상기 교차연장부(105b)에 의해 쉽게 전선(W)의 인슐레이션을 감싸게 된다.Therefore, even if a wire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a one-wire type wire, that is, a wire having two-wire embedd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barrel portion 107 of the terminal, the cross extension portion 105b easily wraps the insulation of the wire W. do.

도 8은 본 고안 실시 예의 터미널에 투-와이어 전선이 연결된 경우 그 전선을 감싸고 있는 구성도이다. 도 8을 보면 전선(W) 직경이 그만큼 커진다 하더라도 이에 비례하여 교차연장부(105b)에 의해 인슐레이션바렐(105)의 길이도 'H'만큼 연장되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충분히 전선(W)의 인슐레이션부분을 완전하게 감쌀수 있게 된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도 4와 같이 전선 일부가 소정 간격(G)만큼 노출되는 것에 비해 전선(W)에 대한 압착력이 증대된다.Figure 8 is a configuration surrounding the wire when the two-wire wir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8, even if the wire W is larger in diameter, the length of the insulation barrel 105 is also extended by 'H' by the cross extension 105b, so that the insulation portion of the wire W is sufficient. You can wrap it completely. This increases the crimping force on the wire W as compared to a portion of the wire expo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 as shown in FIG. 4 described in the prior art.

도 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 구성은 앞서 설명한 터미널 구성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고, 다만 교차 연장부의 절단면 형상만이 상이하게 형성된다.Termi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similar to the overall terminal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except that only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ross-section is formed differently.

즉 터미널(100)의 몸체부(101) 후단에 바렐부(107)가 구비되고 선단에 결합부(109)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렐부(107)는 와이어바렐(103)과 인슐레이션바렐(110)로 구성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10)은 전선(W)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감싸기부(110a)와 상기 감싸기부(110a) 양단에 서로 어긋나게 연장되는 교차연장부(11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교차연장부(110b)끼리 마주보는 부분에는 결합톱니(11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톱니(112)는 상기 교차연장부(110b)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the barrel portion 107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01 of the terminal 100 and the coupling portion 109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the barrel portion 107 is composed of a wire barrel 103 and the insulation barrel (110). The insulation barrel 110 is composed of a wrapping portion (110a) surrounding the insulation of the wire (W) and a cross-extension portion (110b) extending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ends of the wrapping portion (110a). Here, the coupling teeth 112 are formed at portions where the cross extension portions 110b face each other. The coupling teeth 112 serve to allow the cross extension 110b to be coupled to each other.

그리고 전선 직경이 두꺼운 경우에도 톱니 일부가 서로 맞물리기 때문에 전선을 더 안전하게 바렐부(107)에 연결할 수 있다. And even when the wire diameter is thick, because the teet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wire can be more securely connected to the barrel 107.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 evident.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터미널 구성도.1 is a termin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의 측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FIG.

도 3은 종래 터미널에서 원-와이어 전선이 연결된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one-wire wire is connected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4는 종래 터미널에서 투-와이어 전선이 연결된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a two-wire wire is connected in a conventional terminal.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 5의 A-A'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5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이 스트립 형태로 복수개 연결된 구성을 보인 전개도.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ed in a strip form.

도 8은 본 고안 실시 예의 터미널에 투-와이어 전선이 연결된 경우의 구성도.8 is a configuration diagram when the two-wire wir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3 : 와이어바렐 105 : 인슐레이션바렐103: wire barrel 105: insulation barrel

105a : 감싸기부 105b : 교차연장부105a: wrapping portion 105b: cross-extension

112 : 결합 톱니112: Combined Tooth

Claims (3)

몸체부와: Body part: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 구비되고 전선과의 결합을 위한 바렐부와; 그리고 A barrel portion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an electric wire; And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upling portion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upled to the mating terminal, 상기 바렐부의 인슐레이션바렐은, 와이어의 인슐레이션을 감싸는 감싸기부와, 상기 감싸기부의 양단에 서로 어긋나게 연장되는 교차 연장부와, 상기 교차 연장부끼리 마주보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교차 연장부가 서로 결합되게 하는 결합톱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Insulation barrel of the barrel portion, the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the insulation of the wire, the cross-extensions extending opposite to each other on both ends of the wrapping portion, and the cross-extensions are formed in the portion facing each other so that the cross-extension is coupled to each other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coupling tee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교차 연장부는 이웃하는 터미널의 인슐레이션바렐과 이어지는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어긋나게 절단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The cross extens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is formed by cutting off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insulation barrel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neighboring terminal. 삭제delete
KR2020070020986U 2007-12-28 2007-12-28 Teminal KR20044872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86U KR200448722Y1 (en) 2007-12-28 2007-12-28 Te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86U KR200448722Y1 (en) 2007-12-28 2007-12-28 Te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02U KR20090006702U (en) 2009-07-02
KR200448722Y1 true KR200448722Y1 (en) 2010-05-11

Family

ID=4133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986U KR200448722Y1 (en) 2007-12-28 2007-12-28 Te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722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9927A (en) * 2002-12-17 2004-07-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terminal and terminal pair
JP2007220558A (en) * 2006-02-17 2007-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Metal terminal fitting and positioning ji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9927A (en) * 2002-12-17 2004-07-1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Connector terminal and terminal pair
JP2007220558A (en) * 2006-02-17 2007-08-30 Sumitomo Wiring Syst Ltd Metal terminal fitting and positioning j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702U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4764C1 (en) End connector and electric wire with end connector
JP6422240B2 (en) Connection structure, wire harness, and connector
JP6820290B2 (en) Connection terminal and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US5980300A (en) Pressure welding terminal
KR200448722Y1 (en) Teminal
JP2010010000A (en) Terminal metal fixture and wire with terminal
JP2006179209A (en) Female terminal and connector
JP6747348B2 (en) Wire with terminal
JP2005168176A (en) Electric connection box for automobile
US2671205A (en) Electrical connector
JP5960113B2 (en) Connection terminal for inser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533870B1 (en) Piercing terminal for coaxial cable
KR200471889Y1 (en) Receptacle Terminal
JP2008041332A (en) Flexible bus bar
JP2010010072A (en) Contact carrier
JP3651416B2 (en) Joint connector
US20210159614A1 (en) Electric wire with terminal and terminal before crimping
US3443542A (en) Method of forming wide crimp blade
US3309178A (en) Wide crimp blade
JP2014007012A (en) Crimp terminal
CN110301070B (en) Conductor connection device, connection pie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ductor connection device
TWI426669B (en) Cable connector assembl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ntacts and carrier thereof
JP6809811B2 (en) Wire with terminal and wire harness
KR20080000734U (en) Receptacle terminal
KR200447275Y1 (e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