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704Y1 -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 Google Patents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704Y1
KR200448704Y1 KR2020090011245U KR20090011245U KR200448704Y1 KR 200448704 Y1 KR200448704 Y1 KR 200448704Y1 KR 2020090011245 U KR2020090011245 U KR 2020090011245U KR 20090011245 U KR20090011245 U KR 20090011245U KR 200448704 Y1 KR200448704 Y1 KR 200448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mosquito
net
electric
screw
safet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두
박정구
Original Assignee
남태두
박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두, 박정구 filed Critical 남태두
Priority to KR20200900112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7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7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2Fly-swatters
    • A01M3/025Fly-swatters using electrocu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2Flying insec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CELECTRIC CIRCUITS OR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USE IN EQUIPMENT FOR KILLING, STUNNING, OR GUIDING LIVING BEINGS
    • H05C1/00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 H05C1/02Circuit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 shock effects providing continuous feeding of dc or ac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00Fishing, trapping, and vermin destroy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모기채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전기모기채를 한층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전기모기채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를 감싸도록 비전도체로 이루어져 손잡이(13)에 끼워지는 조립홈(21a)을 구비하는 한쌍의 보호테두리(21); 상기 보호테두리(21)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는 이격테두리(22); 상기 이격테두리(22)의 내측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모기 및 해충은 통과시키면서도 신체가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접촉되는 것은 차단하는 안전망(23); 상기 보호테두리(21)의 외측에 적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나사(S)체결로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기모기채, 안전커버, 그물망, 감전사고, 비전도체, 안전망

Description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safety cover for electric mosquito flyflap}
본 고안은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모기채로 인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전기모기채를 한층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전기모기채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전기모기채(10)는 전기 전압을 순간적으로 증폭시킬 때 발생하는 전기부하를 이용하여 모기 및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모기채(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니스채 모양으로 형성된 비전도체 테두리(11)와, 상기 테두리(11)의 내측에 전류가 흐르도록 삼층격자형으로 배열되어 해충을 감전시키는 전도체 그물망(12)과, 상기 그물망(12)의 전원공급과 제어를 위해 배터리와 충전기 및 스위치와 램프를 구비하는 손잡이(13)로 크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그물망(12)은 모기 및 해충을 근접시켜 고전압에 의해 직접적으로 퇴치시키는 부분으로 도 2에서와 같이 각 층이 분리된 3단층으로 형성되고, 중앙층과 외부층은 다른 극의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모기채(10)는 그물망(12)에 흐르는 전류를 이용해 모 기 및 해충을 편리하게 잡을 수 있으며, 특히 모기 및 해충이 그물망(12)에 닿으면 순식간에 태워버리고, 건전지나 충전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행지에서도 사용이 편리하다.
그러나 전기모기채(10)는 편리한 만큼 위험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기가 흐르는 그물망(12)이 개방돼 있는데다 전원을 끄더라도 금세 전기가 차단되지 않고, 1천900~4천V의 전압이 사라지는데 길게는 13초까지 걸려 감전 위험이 적지 않기 때문에, 특히 어린이가 가지고 놀다 신체와 접촉할 경우 감전사고를 당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기모기채(10)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감전사고에 대비한 안전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전기모기채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전기모기채를 한층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전기모기채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기모기채의 그물망을 감싸도록 비전도체로 안전커버를 구성하되, 상기 안전커버는 전기모기채의 테두리를 감싸는 한쌍의 보호테두리와, 상기 보호테두리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는 이격테두리와, 상기 이격테두리의 내측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모기 및 해충은 통과시키면서도 신체가 전기모기채의 그물망에 접촉되는 것은 차단하는 안전망과, 상기 보호테두리의 외측에 적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나사체결로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를 포함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에 따르면 전류가 흐르는 그물망에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전기모기채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전기모기채를 한층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전기모기채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20)는 도 3 내지 도 6a,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를 감싸도록 비전도체로 이루어져 손잡이(13)에 끼워지는 조립홈(21a)을 구비하는 한쌍의 보호테두리(21); 상기 보호테두리(21)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는 이격테두리(22); 상기 이격테두리(22)의 내측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모기 및 해충은 통과시키면서도 신체가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접촉되는 것은 차단하는 안전망(23); 상기 보호테두리(21)의 외측에 적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나사(S)체결로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2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전기모기채(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전기 전압을 순간적으로 증폭시킬 때 발생하는 전기부하를 이용하여 모기 및 해충을 감전시켜 퇴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기모기채(10)는 테니스채 모양으로 형성된 비전도체 테두리(11)와, 상기 테두리(11)의 내측에 전류가 흐르도록 삼층격자형으로 배열되어 해충을 감전시키는 전도체 그물망(12)과, 상기 그물망(12)의 전원공급과 제어를 위해 배터리와 충전기 및 스위치와 램프를 구비하는 손잡이(13)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20)는 전류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안전커버(20)는 한쌍의 보호테두리(21),이 격테두리(22),그물망(12),보스(2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안전커버(20)를 구성하는 한쌍의 보호테두리(21),이격테두리(22),그물망(12),보스(24)는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나사(S)체결을 통해 조립된다.
상기 한쌍의 보호테두리(21)는 양측에서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를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한쌍의 보호테두리(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지고, 양측 보호테두리(21)에는 전기모기채(10)의 손잡이(13)에 끼워지는 조립홈(21a)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 보호테두리(21)의 가장자리에는 안전커버(20)의 조립 시 서로 결합되는 요철부(21b)(21c)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격테두리(22)는 양측 한쌍의 보호테두리(21)에 보호테두리(21)보다 좁은 폭으로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이격테두리(22)는 안전커버(20)의 안전망(23)과 전류가 흐르는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을 이격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안전망(23)은 양측 이격테두리(22)의 내측에 격자형으로 각각 배열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 안전망(23)은 모기 및 해충은 통과시키면서도 신체가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직접 접촉되는 것은 차단하여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24)는 양측 보호테두리(21)의 외측에 적정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양측 나사체결용 보스(24)는 안전커버(20)의 조립 시 나사(S)체결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일측 보스(24)에는 나사(S) 가 끼워지는 나사공(24a)이 형성되고, 타측 보스(24)에는 나사(S)가 체결되는 나사홈(24b)이 형성되며, 양측 보스(24)에는 서로 결합되는 돌기(24c)와 홈(24d)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자모기채용 안전커버(20)는 도 4에서와 같이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와 그물망(12) 양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다수의 나사(S)체결로 조립되는 것으로, 안전커버(20)를 구성하는 한쌍의 양측 비전도체 보호테두리(21)를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에 끼워 결합하고, 양측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24)에 나사(S)를 각각 체결하면 전기모기채(10)에 안전커버(20)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안전커버(20)를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에 조립하면 모기 및 해충은 안전망(23)을 통과하여 전류가 흐르는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접촉되어 퇴치되지만, 신체는 안전망(23)에 의해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접촉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모기채(10)의 사용 시 안전커버(20)의 안전망(23)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그물망(12)에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전기모기채(10)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기모기채(10)를 한층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그리고 전기모기채(10)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모기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전기모기채의 그물망을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분리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전기모기채 11 : 테두리
12 : 그물망 13 : 손잡이
20 : 안전커버 21 : 보호테두리
21a : 조립홈 21b,21c : 요철부
22 : 이격테두리 23 : 안전망
24 : 보스 24a : 나사공
24b : 나사홈 24c : 돌기
24d : 홈 S : 나사

Claims (3)

  1. 전기모기채(10)의 테두리(11)를 감싸도록 비전도체로 이루어져 손잡이(13)에 끼워지는 조립홈(21a)을 구비하는 한쌍의 보호테두리(21); 상기 보호테두리(21)보다 좁은 폭으로 돌출되는 이격테두리(22); 상기 이격테두리(22)의 내측에 격자형으로 배열되어 모기 및 해충은 통과시키면서도 신체가 전기모기채(10)의 그물망(12)에 접촉되는 것은 차단하는 안전망(23); 상기 보호테두리(21)의 외측에 적정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나사(S)체결로 결합되는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24)가 구비된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나사체결용 보스의 일측 보스(24)에는 나사(S)가 끼워지는 나사공(24a)이 형성되고, 타측 보스(24)에는 나사(S)가 체결되는 나사홈(24b)이 형성되며, 양측 보스(24)에는 서로 결합되는 돌기(24c)와 홈(24d)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2. 삭제
  3. 삭제
KR2020090011245U 2009-08-28 2009-08-28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KR200448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45U KR200448704Y1 (ko) 2009-08-28 2009-08-28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45U KR200448704Y1 (ko) 2009-08-28 2009-08-28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704Y1 true KR200448704Y1 (ko) 2010-05-07

Family

ID=4423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45U KR200448704Y1 (ko) 2009-08-28 2009-08-28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704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58Y1 (ko) * 2010-06-21 2011-03-31 이신열 휴대용 해충퇴치기에 사용되는 안전망
KR101352776B1 (ko) * 2012-01-19 2014-01-15 조금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1746820B1 (ko) * 2016-10-12 2017-06-16 주식회사 야옹친구 위생 전기식 포충기
KR101759498B1 (ko) * 2015-07-07 2017-07-19 지수민 모기장
CN108157314A (zh) * 2017-12-27 2018-06-15 宁波沸柴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灭蚊器
KR102459821B1 (ko) *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KR102571494B1 (ko) 2022-07-18 2023-08-29 이인종 휴대용 방전살충기 헤드부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312A (ja) * 1989-08-03 1991-03-22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炊飯器の制御回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312A (ja) * 1989-08-03 1991-03-22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炊飯器の制御回路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58Y1 (ko) * 2010-06-21 2011-03-31 이신열 휴대용 해충퇴치기에 사용되는 안전망
KR101352776B1 (ko) * 2012-01-19 2014-01-15 조금용 실내 공기 정화 장치
KR101759498B1 (ko) * 2015-07-07 2017-07-19 지수민 모기장
KR101746820B1 (ko) * 2016-10-12 2017-06-16 주식회사 야옹친구 위생 전기식 포충기
WO2018070574A1 (ko) * 2016-10-12 2018-04-19 주식회사 야옹친구 위생 전기식 포충기
CN107926884A (zh) * 2016-10-12 2018-04-20 猫友有限公司 卫生电子捕虫器
CN108157314A (zh) * 2017-12-27 2018-06-15 宁波沸柴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灭蚊器
CN108157314B (zh) * 2017-12-27 2021-06-25 台州市新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灭蚊器
KR102459821B1 (ko) * 2021-12-02 2022-10-27 주식회사 피앤지 휴대용 다용도 해충퇴치기
KR102571494B1 (ko) 2022-07-18 2023-08-29 이인종 휴대용 방전살충기 헤드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704Y1 (ko) 전기모기채용 안전커버
KR101373249B1 (ko) 전기 해충 퇴치기
US10490380B2 (en) Relay
JP6292994B2 (ja) 回路遮断器
KR101420358B1 (ko) 전기 해충 퇴치기
GB2540530A (en) An insect exterminating device
KR20130021762A (ko) 유인 포충기
KR101475157B1 (ko) 해충 퇴치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등
KR200459586Y1 (ko) 감전방지구조로 이루어진 전기 파리채
WO2015062089A1 (zh) 一种电子止痒器
KR101864776B1 (ko) 안전 스위치 구조를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CN207219904U (zh) 一种新型灭蚊灯
KR100680321B1 (ko) 금속재 가로등주의 보호방법 및 그러한 방법에 의한 보호판
WO2015062095A1 (zh) 一种电子止痒器
CN204409842U (zh) 一种可伸缩折叠的led扇
KR100874095B1 (ko) 휴대용 모기향 훈증기
WO2016037484A1 (zh) 太阳能灭虫器
JP2016065710A (ja) スタンガンを備えた楯
CN211657231U (zh) 一种林业虫害诱捕装置
CN216123734U (zh) 一种带防护罩的电蚊拍
KR101720232B1 (ko) 스위치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 해충 퇴치기
KR102571494B1 (ko) 휴대용 방전살충기 헤드부 구조
CN217242284U (zh) 一种灭蚊网罩
JP5456575B2 (ja) 直流電流遮断用小形スイッチ
CN209798927U (zh) 开关防护罩、开关及马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