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444Y1 -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 Google Patents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444Y1
KR200448444Y1 KR2020090010341U KR20090010341U KR200448444Y1 KR 200448444 Y1 KR200448444 Y1 KR 200448444Y1 KR 2020090010341 U KR2020090010341 U KR 2020090010341U KR 20090010341 U KR20090010341 U KR 20090010341U KR 200448444 Y1 KR200448444 Y1 KR 2004484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ed frame
bed
extensio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4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일용
Original Assignee
(주)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폴리텍 filed Critical (주)폴리텍
Priority to KR20200900103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44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4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44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펼쳐진 테이블을 접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테이블을 밀었을 경우에도 테이블이 천천히 접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테이블 사용에 따른 안전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테이블이 접힐 때 침대 프레임과의 충격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이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은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대 프레임의 일단에 회동 가능 배치된다. 이러한 테이블은, 제 1 아암과, 제 1 아암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연장단부가 힌지에 의해 침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아암을 가지는 한 쌍의 회동 다리부;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제 1 아암의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부; 및 회동 다리부와 침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블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로 이루어진다. If the table is folded or the user accidentally pushes the table, the table will be folded slowly so that the user can feel safe by using the table, and the shock noise from the bed frame can be suppressed when the table is folded. A table for a bed having a buffer member capable of creating a pleasant indoor environment is disclosed.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disposed at one end of the bed frame on which the mattress is raised. The table includes a first arm and a pair of pivotal legs having a first arm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rm and having a second arm bent perpendicularly and having an extended end pivotally mounted on the bed frame by a hinge, ; A flat plate portion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rm; And a cushio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ivoting leg portion and the bed frame to control rotation of the table.

Description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for a bed having a buffer member,

본 고안은 테이블이 장착된 의료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과 침대 프레임 사이에 테이블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테이블을 접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테이블을 밀었을 경우에도 테이블이 천천히 접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테이블 사용에 따른 안전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테이블이 접힐 때 침대 프레임과의 충격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ed equipped with a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shioning memb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a table between a table and a bed frame, so that the folded table is folded or the user accidentally pushes the table Even when the table is folded slowly so as to allow the user to have a sense of safet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able and to suppress shock noise with the bed frame when the table is folded, Tables.

일반적으로,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들의 주된 생활공간으로 사용되는 의료용 침대는 활동에 많은 제약이 수반되는 환자 및 노약자들이 침대에서 식사 또는 독서 등을 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한 접이식의 다용도 테이블이 침대에 일체로 제공된다. Generally, a medical bed used as a main living space of a patient or a senior citizen who is uncomfortable to the body is provided with a folding multi-purpose table which can be pivotally moved so that a patient or a senior citizen who is accompanied by many constraints of activity can eat or read on the bed, .

그런데, 전술한 다용도 테이블을 펼쳐 사용한 후, 테이블을 접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테이블을 밀쳤을 경우에는 테이블이 중력에 의해 강하게 하강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테이블과 침대 프레임의 마찰로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이로 인한 안전사고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When the table is folded or the user accidentally pushes the table, the table is strongly lowered by gravity. As a result, noise is generat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table and the bed frame, In addition, safety accidents due to this are frequently occurred.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테이블의 회동을 제어하는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개발되어 의료용 침대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safety devices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table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medical beds.

그런데, 종래 개시된 테이블 안전장치들을 살펴보면, 종래의 안전장치들은 안전장치 자체 구조가 복잡하여 용이하게 제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안전장치들이 고가이기 때문에 침대의 생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able safeties, there are problems that conventional safety safeguards are not easily manufactured because of the complicated structure of safety safeguards, an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beds is increased because safety safeguards are expensive.

또한, 안전장치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의료용 침대에 적용할 수 있을지 의문이며, 복잡한 구조를 가짐으로 안전장치 고장 시 신속한 수리가 불가능하고, 숙련된 작업자만이 수리할 수 있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device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t is doubtful whether it can be applied to a medical bed. In addition, since it has a complicated structure, it can not be repaired promptly when a safety device fails and another problem that only a skilled worker can repair there wa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블과 침대 프레임 사이에 테이블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테이블을 접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테이블을 밀었을 경우에도 테이블이 천천히 접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테이블 사용에 따른 안전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테이블이 접힐 때 침대 프레임과의 충격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ushioning memb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a table between a table and a bed frame so that the folded table can be folded, Even when the table is pushed down, the table can be folded slowly to allow the user to have a sense of safety based on the use of the table, and shock noise with the bed frame can be suppressed when the table is folded, And a table for a bed having a buffer memb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대 프레임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침대용 테이블에 있어서, A bed table rotatably disposed at one end of a bed frame on which a mattress is raised,

테이블은,The table,

제 1 아암과, 제 1 아암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연장단부가 힌지에 의해 침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아암을 가지는 한 쌍의 회동 다리부;A pair of pivoting legs integrally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rm and having a second arm bent perpendicularly and having an extended end pivotally mounted on the bed frame by a hinge;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제 1 아암의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부; 및 A flat plate portion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rm; And

회동 다리부와 침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블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로 이루어지며,
제 2 아암의 연장부에 인접한 침대 프레임에는 힌지돌기가 제 2 아암 측으로 돌출되고, 힌지돌기에는 제 2 아암을 관통하여 힌지돌기에 이탈되지 않게 힌지가 끼워지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을 제공한다.
And a cushion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pivoting leg portion and the bed frame to control rotation of the table,
The bed frame adjacent to the extension of the second arm has a hinge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arm side and a hinge protruding from the hinge protrusion through the second arm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hinge protrusion.

바람직하게는 완충부는 제 2 아암의 연장단에서 제 2 아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 아암과, 연장 아암의 연장단과 마주보게 침대 프레임에서 돌출되는 돌기 바, 및 연장 아암과 돌기 바 사이에 배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ushioning portion includes an extension arm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rm at an extension end of the second arm, a projection bar projecting from the bed frame so as to face the extension of the extension arm, And a tension coil spring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테이블과 침대 프레임 사이에 테이블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펼쳐진 테이블을 접거나, 또는 사용자의 실수로 테이블을 밀었을 경우에도 테이블이 천천히 접히게 하여 사용자에게 테이블 사용에 따른 안전감을 가질 수 있게 하고, 테이블이 접힐 때 침대 프레임과의 충격소음을 억제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buffer member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table between the table and the bed frame, even when the folded table is folded or the user accidentally pushes the table, the table is slowly folded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have a sense of safety in accordance with the use of the table, and to suppress shock noise with the bed frame when the table is folded, thereby provid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ed table having a buffer mem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table having a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bed table having the buffer member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100)은, 누구나 알 수 있듯이 매트리스(도시되지 않음)가 올려지는 침대 프레임(1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사용자의 다리부분이 놓여지는 침대 프레임(10)의 일단 측에 배치된다. 1 and 2, a bed table 100 having a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disposed on one end of a bed frame 10 on which a mattress (not shown) is mounted . That is, on one end side of the bed frame 10 on which the leg portion of the user is placed.

본 고안에 따른 테이블(100)은, 침대 프레임(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회동 다리부(110)와,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각각의 회동 다리부(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부(120)와, 회동 다리부(110)와 침대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테이블(100)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130)로 이루어진다. The tab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ivoting legs 110 rotatably mounted on a bed frame 10 and a pair of pivoting legs 110 having a flat shape and having a lower portion on the upper side of each pivoting leg 110 And a buffer 130 disposed between the turning leg 110 and the bed frame 10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table 100.

먼저, 회동 다리부(110)는 대략 "L"자 형상을 가지는데, 이러한 회동 다리부(110)는 제 1 아암(112) 및 제 1 아암(1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는 제 2 아암(114)을 구비한다. First, the rotation leg 110 has a substantially L shape. The rotation leg 11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arm 112 and the first arm 112, And a second arm 114 that is bent.

제 1 아암(112)의 상부는 평판부(120)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아암(114)은 침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 2 아암(114)의 연장부에 인접한 침대 프레임(10)에는 힌지돌기(116)가 제 2 아암(114) 측으로 돌출되고, 힌지돌기(116)에는 제 2 아암(114)을 관통하여 힌지돌기(116)에 이탈되지 않게 힌지(118)가 끼워진다.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rm 112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at plate portion 120. The second arm 114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ed frame 10. To this end, the bed frame 10 adjacent to the extension of the second arm 114 is provided with a hinge projection 116, And the hinge protrusion 116 is fitted in the hinge protrusion 116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hinge protrusion 116 through the second arm 114.

바람직하게는, 테이블(100) 사용을 위해 테이블(100)을 펼쳤을 시 제 1 아암(112)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테이블(100)을 접었을 시 제 1 아암(112)은 수평하게 배치된다. 반대로 테이블(100) 사용을 위해 테이블(100)을 펼쳤을 시 제 2 아암(114)은 수평하게 배치되고, 테이블(100)을 접었을 시 제 2 아암(114)은 수직하게 배치됨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first arm 112 is vertically disposed when the table 100 is opened for use of the table 100 and the first arm 112 is horizontally disposed when the table 100 is folded. Conversely,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second arm 114 is horizontally disposed when the table 100 is expanded for use of the table 100, and the second arm 114 is vertically disposed when the table 100 is folded .

더욱 바람직하게는, 침대 프레임(10)에는 테이블(100)을 사용을 위해 테이블(100)을 펼쳤을 시 제 1 아암(112)과 연결된 제 2 아암(114)의 선단부 하부 걸쳐지는 받침 프레임(12)이 형성된다. More preferably, when the table 100 is extended for use with the table 100, the bed frame 10 is supported by the supporting frame 12, which extends below the front end of the second arm 114 connected to the first arm 112, .

한편, 완충부(130)는 제 2 아암(114)과 침대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완충부(130)는 제 2 아암(114)의 연장단에서 제 2 아암(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 아암(132)과, 연장 아암(132)의 연장단과 마주보게 침대 프레임(10)에서 돌출되는 돌기 바(134), 및 연장 아암(132)과 돌기 바(134) 사이에 배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136)을 구비하는데, 인장코일스프링(136)의 일단은 연장 아암(132)에 끼워지고, 인장코일스프링(136)의 타단은 돌기 바(134)에 끼워진다. 이를 위해서 연장 아암(132)에는 인장코일스프링(136)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연결공(138)이 형성되고, 돌기 바(134)에는 인장코일스프링(136)의 타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 2 연결공(140)이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uffer 13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rm 114 and the bed frame 10. The cushioning portion 130 disposed in this manner is provided with an extending arm 132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rm 114 at the extending end of the second arm 114, A projection bar 134 protruding from the bed frame 10 and a tension coil spring 136 disposed between the extension arm 132 and the projection bar 134. One end of the tension coil spring 136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coil spring 136 is fitted in the projection bar 134. To this end, a first connection hole 138 is formed in the extension arm 132 so that one end of the extension coil spring 136 can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arm 132, and the other end of the extension coil spring 136 is inserted The second connection hole 140 is formed.

즉, 테이블(100)을 사용하기 위해 테이블(100)이 펼쳐지면, 인장코일스프링(136)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테이블(100)을 침대 프레임(10) 측으로 접으 며, 인장코일스프링(136)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테이블(100)이 침대 프레임(10) 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인장코일스프링(136)은 천천히 신장된다. 그 결과 펼쳐져 있던 테이블(100)은 천천히 접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table 100 is unfolded to use the table 100, the tension coil spring 136 is maintained in a compressed state, the table 100 is folded toward the bed frame 10, 136 remain elongated. At this time, as the table 100 rotates toward the bed frame 10, the tension coil spring 136 is stretched slowly. As a result, the spread table 100 is slowly folded.

한편, 인장코일스프링(136)의 외주면 상에는 미관을 고려해 통상의 주름관(도시되지 않음)이 끼워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normal bellows (not shown) can be fit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136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 view.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100)의 사용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bed table 100 having the buffer member form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침대 프레임(10) 상에 접혀진 테이블(100)을 사용하기 위해서, 평판부(120)를 당기면 회동 다리부(110)는 힌지(118)를 중심으로 침대 프레임(10)의 상부 측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회동 다리부(110)가 침대 프레임(10)의 상부 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완충부(130)의 인장코일스프링(136)은 신장되어 있다가 압축되는데, 이러한 인장코일스프링(136)의 압축력에 의해 환자 또는 노약자 등이 용이하게 테이블(100)을 펼칠 수 있다. When the flat plate portion 120 is pulled to use the table 100 folded on the bed frame 10, the turning leg portion 110 is pivo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ed frame 10 with the hinge 118 as the center. When the pivoting leg portion 110 rotates to the upper side of the bed frame 10, the tension coil spring 136 of the buffer portion 130 is stretched and compressed.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136 So that the patient or the elderly can easily spread the table 100.

한편, 테이블(100)을 접을 때에서는 마찬가지로 회동 다리부(110)가 침대 프레임(10) 측으로 회동하는데, 이렇게 회동 다리부(100)가 침대 프레임(10) 측으로 회전하게 되면, 완충부(130)의 인장코일스프링(136)은 압축되어 있다가 서서히 신장된다. 그 결과 테이블(100)은 인장코일스프링(136)의 신장력에 의해서 서서히 침대 프레임(10) 측으로 안전하게 하강하여 접히게 된다. When the table 100 is folded, the pivotal leg portion 110 rotates toward the bed frame 10. When the pivotal leg portion 100 rotates toward the bed frame 10, The tension coil spring 136 is compressed and then gradually stretched. As a result, the table 100 is gradually lowered and collapsed to the side of the bed frame 10 by the stretching force of the tension coil spring 136.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is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ed table having a buffer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의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FIG. 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bed table having the buffer member shown in FIG. 1. FIG.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100: bed table with buffer member

110 : 회동 다리부 120 : 평탄부110: rotation leg portion 120: flat portion

130 : 완충부 132 : 연장 아암130: buffer part 132: extension arm

134 : 돌기 바 136 : 인장코일스프링134: projection bar 136: tension coil spring

Claims (4)

매트리스가 올려지는 침대 프레임(1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침대용 테이블에 있어서, 1. A bed table rotatably disposed on one end of a bed frame (10) on which a mattress is placed, 상기 테이블은,The table includes: 제 1 아암(112)과, 상기 제 1 아암(1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고 연장단부가 힌지(118)에 의해 상기 침대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아암(114)을 가지는 한 쌍의 회동 다리부(110);A first arm 112 integrally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rm 112 and bent vertically and having an extension end rotatably mounted on the bed frame 10 by a hinge 118; A pair of pivoting legs 110 having two arms 114;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하부가 상기 제 1 아암(112)의 상부에 고정되는 평판부(120); 및 A flat plate portion 120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arm 112; And 상기 회동 다리부(110)와 상기 침대 프레임(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테이블(100)의 회동을 제어하는 완충부(130);로 이루어지며, And a buffer 130 disposed between the pivoting leg 110 and the bed frame 10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table 100, 상기 제 2 아암(114)의 연장부에 인접한 상기 침대 프레임(10)에는 힌지돌기(116)가 상기 제 2 아암(114) 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힌지돌기(116)에는 상기 제 2 아암(114)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돌기(116)에 이탈되지 않게 힌지(118)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A hinge protrusion 116 protrudes toward the second arm 114 in the bed frame 10 adjacent to the extension of the second arm 114 and the second arm 114 is provided on the hinge protrusion 116. [ And a hinge (118) is inserted into the hinge protrusion (116) so as not to be detached from the hinge protrusion (116).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130)는 상기 제 2 아암(114)의 연장단에서 상기 제 2 아암(114)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되는 연장 아암(132)과, 상기 연장 아암(132)의 연장단과 마주보게 상기 침대 프레임(10)에서 돌출되는 돌기 바(134), 및 상기 연장 아암(132)과 상기 돌기 바(134) 사이에 배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13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The cushion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shioning part (130) comprises an extension arm (132) extending horizontal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arm (114) at an end of the second arm (114) A projection bar 134 projecting from the bed frame 10 and an extension coil spring 136 disposed between the extension arm 132 and the projection bar 134 so as to face the extension of the projection 132, Wherein the cushioning member has a cushion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아암(132)에는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36)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 1 연결공(138)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 바(134)에는 상기 인장코일스프링(136)의 타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 2 연결공(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부재를 가지는 침대용 테이블.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first connection hole (138) is formed in the extension arm (132) so that one end of the tension coil spring (136) 136) is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on hole (140)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hole (140) can be inserted.
KR2020090010341U 2009-08-07 2009-08-07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KR20044844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41U KR200448444Y1 (en) 2009-08-07 2009-08-07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41U KR200448444Y1 (en) 2009-08-07 2009-08-07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444Y1 true KR200448444Y1 (en) 2010-04-13

Family

ID=4422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41U KR200448444Y1 (en) 2009-08-07 2009-08-07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444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37Y1 (en) 1998-07-04 2001-09-17 조환규 Shock absorber for retractable bed
KR20070091436A (en) * 2006-03-06 2007-09-11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Bed for medical treatment
KR200440166Y1 (en) 2007-03-13 2008-05-28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table for medical treatment
KR20090094493A (en) * 2008-03-03 2009-09-08 표박일 Table structure of medical b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37Y1 (en) 1998-07-04 2001-09-17 조환규 Shock absorber for retractable bed
KR20070091436A (en) * 2006-03-06 2007-09-11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Bed for medical treatment
KR200440166Y1 (en) 2007-03-13 2008-05-28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table for medical treatment
KR20090094493A (en) * 2008-03-03 2009-09-08 표박일 Table structure of medical b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33642A1 (en) A support frame for backrest foldable chair
KR101435160B1 (en) Multi-functional bed
KR20220167934A (en) A wheelchair that can be manually converted to a bed by another person
WO2012169871A1 (en) Mattress with adjustable structure
KR20090094493A (en) Table structure of medical bed
KR200448444Y1 (en) Table for bed with shock absorber
TWM482413U (en) Fitness equipment
CN216875717U (en) Novel iron frame mechanism of accompanying sofa bed
KR101485176B1 (en) Height-Adjustable Chair
KR101133443B1 (en) Protector bed for hospital
KR200231430Y1 (en) A Studio Couch
KR20110043357A (en) A foldable type bed
KR101459661B1 (en) structure for frame of foldable type bed
CN203182407U (en) Portable foldable writing chair
KR200470234Y1 (en) versatile bed
KR20100118485A (en) A side-rail folding device of a bed
JP6694730B2 (en) Nursing aids
JP3610451B2 (en) bed
JP6327743B2 (en) Bed guard
CN210540020U (en) Auditorium chair structure
KR20210067651A (en) Multi functional bed with adjustable height
JP2009039288A (en) Bed
KR20100034425A (en) Chair
KR20110011535U (en) A buffer-structure of trays on medical bed
JP4777522B2 (en) Folding frame stopp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