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34Y1 - versatile bed - Google Patents

versatile b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34Y1
KR200470234Y1 KR2020110011497U KR20110011497U KR200470234Y1 KR 200470234 Y1 KR200470234 Y1 KR 200470234Y1 KR 2020110011497 U KR2020110011497 U KR 2020110011497U KR 20110011497 U KR20110011497 U KR 20110011497U KR 200470234 Y1 KR200470234 Y1 KR 200470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link member
height
connection
hi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49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4013U (en
Inventor
송광헌
Original Assignee
송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헌 filed Critical 송광헌
Priority to KR2020110011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34Y1/en
Publication of KR201300040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1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3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37Changing sofas or the like into beds by means of furniture other than seats 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2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releasably mounted on the bedstead or another item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47C17/62Table beds; Billiard table beds, or like beds

Abstract

다용도 침대의 편의성과 공간활용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가 구비되며, 하부에 인체의 착석을 위한 높이로 연장된 제1받침대가 연결된 제1안착부를 포함하는 헤드보드부; 상기 제1안착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하부에 제2받침대가 연결된 제2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보드부와 설정된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는 풋보드부; 및 상기 헤드보드부와 상기 풋보드부 사이의 간격에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높이로 연결되는 연결안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연결보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침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multi-purpose be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drest extended to the upper side, the headboard portion including a first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extending to a height for seating of the human body at the bottom; A footboard part including a second seat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so as to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part, the footboard part being connected to the headboard part by a connection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dboard part; And a connection seat portion connected to a height selectively correspon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headboard portion and the footboard portion, and has a connection board portion having a height adjusting means at a lower portion thereof.

Description

다용도 침대{versatile bed} Versatile bed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이 가능하며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다용도 침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use bed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and versatile.

일반적으로 침대는 사람이 누워 잘 수 있는 가구를 말하는데, 인체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의 매트리스와 이를 받쳐주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을 가진다. 하지만, 침대는 그 구조상 넓게 펼쳐져야 하므로 다른 가구에 비하여 생활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다른 가구를 추가 배치하는데 있어서 제약이 된다. In general, a bed refers to furniture that a person can sleep in. The bed has a basic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mattress having an area that can accommodate a human body and a frame supporting the same. However, since the bed should be spread widely in its structure, it takes up a lot of living space compared to other furniture, and becomes a limitation in arranging additional furniture.

따라서, 생활공간을 더 넓게 확보하고, 협소한 장소에서도 다른 가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간활용이 가능한 다용도 침대의 개발이 많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낮에는 접어서 생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다른 가구로 변형시켜 활용이 가능하며, 밤에만 넓게 펴서 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접이식 침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great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multi-use bed that can utilize space so as to secure a wider living space and use it with other furniture even in a narrow place. On the other hand, to solve this, it is possible to fold during the day to secure a living space, can be transformed into other furniture and utilized, a folding bed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bed to be wide open only at night is widely used.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3545호에서는 접이식 침대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3545 discloses a folding b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도 1a는 종래의 접이식 침대의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b는 종래의 접이식 침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Figure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접이식 침대(30)의 구성은 복수 개의 매트리스(10,11,12)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1,2,3), 상기 프레임(1,2,3)의 양 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횡링크(4,5,6) 및 종링크(7,8,9)로 이루어진다. 또한, 다수의 상기 횡링크(4,5,6) 및 상기 종링크(7,8,9)로 연결된 상기 프레임(1,2,3)이 3단으로 접혀 포개어지면서 쌓아지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접어서 3단으로 쌓아진 상태에서는 최상부의 매트리스(10) 내부에서 책상판(13)을 빼내어 책상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이식 침대(30)를 3단으로 접는데 필요한 여러 종류의 링크(4,5,6,7,8,9)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렇게 복잡하고 많은 장치로 구성될 경우는, 각 연결구조 중 어느 하나라도 고장이 나거나 파손될 경우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As shown in Figure 1a, the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bed 30 is a plurality of mattress (10, 11, 12) and the frame (1, 2, 3) for supporting it, the amount of the frame (1, 2, 3) It consists of transverse links (4, 5, 6) and longitudinal links (7, 8, 9) coupled to the side,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frame (1, 2, 3) connected by a plurality of the lateral link (4, 5, 6) and the longitudinal link (7, 8, 9) consists of a configuration that is folded and stacked in three stages. And, as shown in Figure 1b, folded in the stacked state in three stages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desk by removing the desk plate 13 from the inside of the top mattress 10. Here, various types of links 4, 5, 6, 7, 8, and 9 required to fold the folding bed 30 in three stages are connected in a complicated manner. If any on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is broken or broke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perform its function properly.

또한, 상기 접이식 침대(30)의 필수 기능인 접는 기능에 관여하는 장치가 많을수록 고장의 위험은 더 커지고 수면 시에 각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접는 기능이 고장 또는 파손으로 인해 불가능하게 될 경우에는 기존의 부피가 큰 일반적인 침대와 다를 바가 없어지므로 생활공간의 활용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In addition, the more devices involved in the folding function, which is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folding bed 30, the greater the risk of failure and the noise generated by each device during sleep may interfere with a good night's sleep. In conclusion, when the folding function becomes impossible due to a failure or breakage, the use of living space is difficult to expect since it is no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ulky general bed.

한편, 상기 접이식 침대(30)를 변형시켜 생활공간을 확보하거나 책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접힌 구조로 변형하기 위해서는 상기 매트리스(10,11,12)를 들어서 쌓아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힘이 들어 어린이, 여성 및 노약자가 사용하기에는 힘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접힘 또는 펴짐 방향의 움직임을 유도함으로써 힘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더라도, 접는 과정에서 링크(4,5,6,7,8,9)와 프레임(1,2,3) 사이에 손 및 신체의 일부가 끼일 수 있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접는 도중에 힘이 부족하여 다시 펴질 때는 이를 저지하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안전 사고의 위험을 예상하게 된다. Meanwhile, in order to deform the folding bed 30 to secure a living space or to transform it into a folded structure for use as a desk, the mattresses 10, 11, and 12 must be lifted and stacked. However, this can be difficult for children, women and the elderly to use because of the considerable force. However, using a device such as a spring to solve this point, even if there is an effect to relieve the force by inducing the movement in the folding or unfolding direction, the link (4,5,6,7,8,9) during the folding process Not only is there a risk of a safety accident in which hands and parts of the body can be pinch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1, 2, 3), but the risk of a safety accident is also anticipated in the process of preventing the refolding due to lack of force during folding. Done.

한편, 상기 접이식 침대(30)를 완전히 접어 3단으로 포개어 책상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최상단의 매트리스(10) 내부에 삽입된 상기 책상판(13)을 빼면 책상으로 변형되어 사용이 가능한데, 이때 상기 책상판(13)은 전단 하측에 지지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지면 아래 방향으로 기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을 상기 책상판(13) 위에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로 사용하기 불안하고, 상기 책상판(13)위에 올려놓은 책이나 노트북, 컵 등이 사용자 방향으로 쏟아질 위험이 있으며, 과하게 하중을 줄 경우 상기 책상판(13)을 수용하는 최상단 매트리스(10)의 내외부가 변형되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folding the folding bed 30 completely folded in three stages to use as a desk, by removing the desk plate 13 inserted into the top mattress 10 is transformed into a desk can be used, the desk plate ( 13) does not have a structure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shear can cause the phenomenon to tilt below the ground. For this reason, it is unstable to use the hand on the desk plate 13 in a comfortable posture, and there is a risk that books, notebooks, cups, etc. placed on the desk plate 13 will spill toward the user, and if excessive load is appli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ner and outer parts of the uppermost mattress 10 that accommodates the desk plate 13 may be deformed and cause a malfunc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135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13545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0639호 Republic of Korea Registration Room No. 20-0350639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고 조작이 편리한 다용도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multi-use bed that can be used efficiently and convenient operation.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가 구비되며, 하부에 인체의 착석을 위한 높이로 연장된 제1받침대가 연결된 제1안착부를 포함하는 헤드보드부; 상기 제1안착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하부에 제2받침대가 연결된 제2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보드부와 설정된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는 풋보드부; 및 상기 헤드보드부와 상기 풋보드부 사이의 간격에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높이로 연결되는 연결안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연결보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침대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drest extending upward, the headboard portion including a first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base extending to a height for seating the human body at the bottom; A footboard part including a second seat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so as to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part, the footboard part being connected to the headboard part by a connection fram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dboard part; And a connection seat portion connected to a height selectively corresponding to a distance between the headboard portion and the footboard portion, and has a connection board portion having a height adjusting means at a lower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대향측면과 대향 접촉되어 연결되는 상기 연결안착부의 양측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측면은 상기 양측면과 각각 형합되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which are connected in opposing contact with the oppos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opposite side surfaces are respectively formed to be mated with the both side surfaces. It is preferable to form a forge.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안착부의 하면에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하단이 상기 연결프레임에 힌지연결되며, 중앙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중앙부에 상호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 간의 힌지연결된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안착부의 높낮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양단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높낮이 유지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is a first link member hing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the lower end is hinged to the connecting frame, the second portion is hinged to cross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Both ends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are selectively adjusted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seating part by selectively changing a hinged angle between the link member and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height maintaining device that is connected and optionally stretched.

그리고,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는 상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외주에 나사부가 형성된 작동로드와, 하부가 상기 제2링크부재의 하부 일측에 힌지연결되되, 내주에 상기 나사부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를 신축시키는 실린더부와, 외력 투입수단 결합구가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어 동력전달방향을 전환하는 웜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has an upper portion hing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an operating rod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and a lower portion hinged to a low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A female threaded portion is formed to be coupled, and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to selectively rotate the cylinder portion for stretching the actuating rod, and an external force input means is formed thereon, and coupled to the threaded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to transmit pow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orm gear for changing the direction.

한편, 상기 제1받침대 및 상기 제2받침대의 내측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단면에 휠이 구비된 서랍장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랍장의 전면부 양측은 상기 받침대에 구속되도록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form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 ope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further comprises a drawer cabinet provided with a wheel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respectively, the drawer cabinet Both sides of the front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protrude so as to restrain the pedestal.

본 고안의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의 다용도 침대는, 침대와 테이블 및 다수의 의자를 포함하는 응접세트 및 서랍장까지, 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가구들이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다수의 가구를 생활공간의 확보만을 위해 무리한 변형을 하거나 덧붙여서 그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으며, 원래의 가구가 가진 기본적인 용도와 구성을 그대로 보존하여 기존에 활용되지 못한 공간과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일체형 구성을 통해, 생활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가구로 여러 가구를 얻을 수 있어 경제적인 부담을 크게 줄여 줄 수 있다. First, the multi-purpose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with furniture essential to life, including a bed and a table and a reception set including a plurality of chairs. Here, a large number of furnitures are not overly modified or added to the living room only to secure living space, and the basic use and composition of the original furniture are preserved as they are, so that the spaces and structures that have not been utilized in the past can be more efficiently used. It was constructed in the direction of use. Therefore, through an integrat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use the living space more efficiently, but also to obtain several furnitures with one furniture,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economic burden.

둘째, 기존의 조립식 및 접이식 다용도 가구에서는 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수많은 장치가 복잡하게 구성됨에 따라, 어렵고 힘이 많이 필요한 조작방법은 오히려 편의성을 저해시키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인 장치가 더해지면서 그 부피나 무게가 더욱 증가하여 사용자로부터 외면되거나, 실사용에 있어서 잦은 고장이나 파손의 이유로 방치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용도 침대는 간단하게 구성되어 조작이 용이한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높낮이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침대에서 응접세트로 신속하고 손쉽게 전환이 가능하여 편의성을 극대화시켜준다. Second, in the existing prefabricated and foldable multi-purpose furniture, as a number of device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is complicated, difficult and power-intensive operation method rather hinders convenience, to solve this, as additional devices are added Increasing the volume or weight of the user is often neglected from the user, or often left for reasons of frequent failure or breakage in practical use. However, the versatile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y provided with a height adjustment means that is easy to operate,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asily switch from the bed to the reception set by simply operating the height to maximize the convenience.

셋째, 오래전부터 가구는 기본적인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인간 생활의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미적인 관점에서도 그 중요성이 크게 부여되고 있다. 이로 인해, 그 색상과 외관 및 기존에 배치된 가구와의 조화까지 고려하여 가구를 선택하게 되는데, 조잡하고 이질적인 색상과 디자인의 여러 가구들이 배치된 생활공간과 비교할 때, 일체형 다용도 침대는 색상과 디자인이 통일성을 가짐으로써 간편함과 세련됨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성향에도 부합되어 미적인 만족감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Third, furniture has not only provided basic convenience functions, but has also been given great importance in terms of aesthetics as a component of the environment of human life. As a result, the furniture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its color, appearance, and harmony with the existing furniture. Compared to the living space in which several furniture of coarse and disparate colors and designs are arranged, the all-in-one multi-use bed has color and design. By having this unity, it can meet the tendency of modern people to pursue simplicity and sophistication, and can greatly improve aesthetic satisfaction.

도 1a는 종래의 접이식 침대의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접이식 침대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가 응접세트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보드부의 연결안착부와 그의 하면에 구비된 높이 조절수단이 최대 높이로 고정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보드부의 연결안착부와 그의 하면에 구비된 높이 조절수단이 최소 높이로 고정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대향측면과 연결안착부의 형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사시도.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1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ed state of a conventional folding b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satile bed is transformed into a reception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height adjustment means provided on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maximum height.
Figure 3b is a side view showing that the height adjustment means provided on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 minimum heigh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maintain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ting sid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nd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b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multi-use b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가 응접세트로 변형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bed is transformed into a reception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다용도 침대는 헤드보드부(100), 풋보드부(300), 그리고 연결보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보드부(100)는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120)가 구비되며, 하부에 인체의 착석을 위한 높이로 연장된 제1받침대(130)가 연결된 제1안착부(11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utility bed includes a headboard unit 100, a footboard unit 300, and a connection board unit 200, and the headboard unit 100 extends upward from the backrest. 120 is provided, and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130 is extended to a height for the seating of the human body at the bottom.

여기서, 상기 제1받침대(130)의 높이는 인체의 착석이 용이하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40 ~ 50cm 높이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1받침대(130)와 상기 제1안착부(110)가 수납 가능한 공간을 이루도록, 상기 제1받침대(130)는 상기 제1안착부(110) 하측의 가장자리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eight of the first pedestal 130 is set to a height of 40 ~ 50cm to maintain a comfortable seating position of the human body. In addition, the first pedestal 130 is preferably disposed at an edge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so as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first pedestal 130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are accommodated. Do.

한편, 상기 등받이(120)는 착석자의 등에 직접 닿아 사용되므로, 충격완화 기능이 뛰어나고 형태 보존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쿠션재가 외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쿠션재는 인체공학적으로 인체의 등 부위에 편안함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모양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backrest 120 is used in direct contact with a seated person's back, a cushion material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impact mitigation function and good shape preservation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In addition, the cushion material may be designed in various shapes that can give comfort to the back of the human body ergonomically.

또한, 상기 등받이(120)와 상기 제1안착부(11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회전각도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되는데, 이를 통해, 상기 등받이(120)와 상기 제1안착부(110) 간의 각도는 평상시 90 ~ 95°로 유지되고, 착석자가 상기 등받이(120)에 기댐에 따라 힘이 가해지면 최대 110 ~ 130°까지 탄력적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착석자의 등이 상기 등받이(120)에 힘을 가하는 도중에도, 상기 등받이(120)와 상기 제1안착부(110) 간의 각도는 상기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평상시의 각도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상기 각도조절수단은 착석자가 상기 등받이(120)에 가하는 힘의 반대 방향으로 탄력적인 힘을 가해줌으로써 착석자의 등을 더욱 편안하게 받쳐주게 된다. In addition, the portion of the backrest 120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angle adjustment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through which, the backrest 120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The angle of the liver is usually maintained at 90 to 95 °, and the seated person can be flexibly changed up to 110 to 130 °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backrest 120 depending on the depression. In addition, even while the seated person's back exerts a force on the backrest 120, the angle between the backrest 120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is applied to the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usual angle by the angle adjustment means. All. Therefore, the angle adjusting means is to support the seated person's back more comfortably by applying a resilient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backrest 120 by the seated person.

한편, 상기 풋보드부(300)는 상기 제1안착부(110)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하부에 제2받침대(320)가 연결된 제2안착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받침대(320)는 상기 제1받침대(130)와 같은 높이와 배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안착부(310)와 상기 제2받침대(310)의 하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풋보드부(300)는 상기 헤드보드부(100)와 설정된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프레임(400)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받침대(130)의 일부와 이에 대향하는 제2받침대(320)의 일부에 상기 연결프레임(400)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footboard part 300 includes a second seating part 310 connected to a second support 320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as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part 110. Here, the second pedestal 320 is made of the same height and arrangement as the first pedestal 130, the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pedestal (310). . In addition, the footboard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frame 40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dboard unit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art of the first pedestal 130 and the second pedestal 320 opposite thereto.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frame 400 is fixed to a portion of the connection.

또한, 설정된 상기 이격된 공간 사이에 연결보드부(200)가 배치되는데, 상기 연결보드부(200)는 상기 헤드보드부(100)와 상기 풋보드부(3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프레임(400)과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보드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안착부(110)와 제2안착부(310)의 간격 이격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안착부(200)와 그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안착부(20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board unit 200 is disposed between the spaced spaces set, the connection board unit 200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headboard unit 100 and the footboard unit 300 and the connection It is made in connection with the frame 400. 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ard 200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00 and the lower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spaced apart between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10 and the connection It comprises a height adjustment means that can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ing portion 200.

이하,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3a and 3b as follows.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올바른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결보드부(200)의 상기 연결안착부(210)와 그의 하면에 구비된 높이 조절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3a and 3b is a side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means provided on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oard portio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안착부(210)는 상기 제1안착부(110) 및 상기 제2안착부(310)의 경우와 같이, 제1받침대(130) 및 제2받침대(320)에 의해 높이가 고정되는 것과는 다르게, 상기 높이 조절수단을 통해 높이가 조절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수단은 제1링크부재(220), 제2링크부재(230), 그리고 높낮이 유지장치(2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connection seating unit 210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support 130 and the second support as in the case of the first seating unit 110 and the second seating unit 310. Unlike the height is fixed by 320, the height is adjustable through the height adjustment means. Here, the height adjusting means preferably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220, a second link member 230, and a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상세히, 제1링크부재(220)는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하면에 힌지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상부 일측에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240)의 상부가 힌지연결됨으로써,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24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20)와 상기 연결안착부(210) 각각의 결합 각도가 변하면서 유기적으로 함께 움직이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재(230)는 하단이 상기 연결프레임(400)에 힌지연결되어 고정되며, 그 중앙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중앙부에 교차하여 힌지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하단부 일측에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240)의 하부가 힌지연결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In detail, the first link member 220 is hing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is hing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22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the first link member 220 and the As the coupling angles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s 210 are changed, they move organically together. In addition, a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30 is fixedly hinged to the connection frame 400, and a central portion thereof is hinged to intersec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220. The lower portion of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30.

여기서, 상기 제1링크부재(220)와 상기 제2링크부재(230)가 상호 교차되어 연결됨으로써, 그 교차각도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상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안착부(210)가 지면에서부터 위아래 방향으로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되는 중요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안착부(210)와 그의 하면에 힌지연결된 상기 제1링크부재(220) 그리고 상기 제2링크부재(230)는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240)가 움직임에 따라, 각각의 결합된 각도가 변경되어 유기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link member 22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30 are cross-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220 in accordance with the crossing angle It becomes an important structure that the height can be changed from the ground up and down. Therefore, the first link member 22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30 hinged to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and the lower surface thereof, as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moves, respectively, the combined angle It is desira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can be changed to move organically.

한편, 상기 제2링크부제(230)의 상단은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하면에 힌지연결로 결합되지 않는데, 이는, 상기 제2링크부재(230)가 상기 연결안착부(210)에 연결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면, 선택적으로 높이를 조절할 때, 상기 높이 조절수단이 움직일 수 있는 각도가 한정되어 움직임에 제한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상단이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하면을 받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상단과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하면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접촉됨과 동시에 접촉되는 부위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상단에 휠과 같은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subsidiary 230 is not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by a hinged connection, which is the second link member 2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When the position is fixed, when the height is selectively adjusted, the angle that the height adjustment means can be moved is limited because the movement occur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230 is changed while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To this end, the fric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3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is minimized so that the contact is smooth and at the same time freely change the contact portion of the second link member 230 It is preferable to have a device such as a wheel at the top.

한편,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240)는 유압식 실린더 내지 공압식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암나사가 형성된 실린더 내측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작동로드를 포함한 장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장치의 일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may be made of a hydraulic cylinder or a pneumatic cylinder, it may be made of a device including an operating rod formed with a screw portion that moves up and down along the inner cylinder of the female threaded. An example of such an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240)에는 상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220)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외주에 나사부(41)가 형성된 작동로드(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40)가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됨으로써 상호 간의 결합된 각도가 자유롭게 선택되어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로드(40)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41)는 실린더부(50)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51)와 결합되어 유출입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 4,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240 is provided with an operating rod 40, the upper portion is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220, the threaded portion 4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Here, the operating rod 40 is hinged to the upper one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220, the combined angle between each other can be freely selected. In addition, the screw portion 41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rating rod 40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5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50 to flow in and out.

그리고, 상기 암나사부(51)와 상기 나사부(41)에 의해 상기 실린더부(50) 외주에 원주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40)를 신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신축이란 상기 실린더부(50)가 그의 외주 원주방향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데, 선택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나사부(41)가 상기 실린더부(50) 내주의 암나사부(51)와 결합하여 그 내부로 회전하며 유입되어 들어가면 상기 작동로드(40)의 유입되지 않은 부위가 짧아지고, 반대로, 유출되어 나오면 상기 작동로드(40)의 유입되지 않은 부위가 길어지는 것을 말한다. In addition, as the threa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art 50 by the female thread part 51 and the screw part 41, the operating rod 40 may be stretched and contracted. Her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that the cylinder portion 50 forms a thread along its outer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s the screw portion 41 is selectively rotated, the thread portion 41 engages with the female thread portion 51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ylinder portion 50. Rotating into the inne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40 is shortened, the non-introduced portion, on the contrary, the outflow of the operating rod 40 is not introduced portion is long.

한편, 상기 작동로드(40)가 신축 운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은, 상기 실린더부(50)의 외부에 구비된 외력 투입수단 결합구(70)에 전동 및 수동식의 조임장치를 이용하여 회전을 가하는 것으로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동력은 상기 결합구(70)와 연결된 상기 실린더부(50) 내부의 웜기어(60)로 전달되고, 상기 웜기어(60)는 회전 동력의 방향을 전환시켜 상기 암나사부(51)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암나사부가(51) 회전함에 따라, 회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0)가 상기 실린더부(50)로 유출입되는 신축이 일어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required to stretch the operation rod 40, the rotation is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input means coupling holes 7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portion 50 using an electric and manual tightening device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generated power is transmitted to the worm gear 60 inside the cylinder portion 50 connected to the coupler 70, the worm gear 60 is to change the direction of rotational power to the female screw portion 51 Rotate Here, as the female threaded portion 51 rotates, a thread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rotation, thereby causing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operating rod 40 to flow in and out of the cylinder portion 50.

또한, 상기 작동로드(40)는 상기 제1링크부재(220)의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됨으로써 선택적으로 각도 변경이 가능한데, 상기 작동로드(40)가 신축되면 이에 힌지연결된 상기 제1링크부재(220)가 움직이고, 연쇄적으로 상기 제1링크부재(220)와 힌지연결된 상기 연결안착부(21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힌지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rod 40 is selectively hing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220, the angle can be selectively changed, when the operating rod 40 is stretched the first link member 220 hinged thereto It is preferable that the hinge is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ng seat 210, which is hinged to the first link member 220, can be moved.

또한, 상기 작동로드(40) 외주의 상기 나사부(41)가 상기 실린더부(50) 내주의 상기 암나사부(51)에 유출입되어 상기 작동로드(40)가 상기 암나사부(51)에 유출입됨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220)와 상기 제2링크부재(230)의 힌지연결 각도가 작아지게 되어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40)의 전체가 상기 암나사부(51)에 유입될 때, 상기 연결안착부(210)는 상기 제1안착부(110) 및 상기 제2안착부(310)와 연속되는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연결프레임(400)의 상단에 안착됨으로써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높이를 유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s the threaded portion 41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perating rod 40 flows into and out of the female screw portion 51 of the inner portion of the cylinder portion 50, the actuating rod 40 flows into and out of the female screw portion 51. Since the hinge connection angle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220 and the second link member 230 is reduced,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may be selectively changed. In addition, when the entirety of the operating rod 40 flows into the female screw part 51, the connection seating part 210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seating part 11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310. It is fixed to a height, it is preferable to maintain a fixed height without being shaken by being seated on the top of the connection frame 400.

한편, 상기 제1안착부(110) 및 상기 제2안착부(310)의 대향측면과 대향 접촉되어 연결되는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양측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측면은 상기 양측면과 각각 형합되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하 첨부된 도 5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On the other h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which is connected in opposing contact with the oppos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10 is formed to be narrow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opposite side is preferably formed to be gradient to be combined with each of the two side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5 as follows.

도 5는 본 고안의 상기 제1안착부(110)와 상기 제2안착부(310)의 대향측면과 상기 연결안착부의 형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ting of the opposing side and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안착부의 구배지게 형성된 상기 양측면과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구배지게 형성된 대향측면을 포함한 단면은 사다리꼴인데, 여기서, 상기 제1안착부(110)의 단면은 왼쪽 변이 윗변과 아랫변에 수직으로 만나고, 윗변보다 아랫변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이다. 또한, 상기 제2안착부의 단면은 오른쪽 변이 윗변과 아랫변에 수직으로 만나고, 윗변보다 아랫변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이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부(110) 단면의 아랫변과 오른쪽변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2안착부(310) 단면의 왼쪽변과 아랫변이 이루는 각도는 'a'로 값이 같다. 여기서, 'a'는 상기 제1안착부(110)의 단면에서 아랫변과 오른쪽변이 이루는 각도를 말한다. As shown in FIG. 5, the cross-section including both side surfaces of which are formed to be gradient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and opposite side surfaces of which are formed to be gradient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is trapezoidal, wherein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is formed. The cross section of is a trapezoid with the left side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lower side longer than the upper side.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eating portion is a trapezoid having a right sid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ide and a lower side, and having a lower side longer than the upper side. The angle formed by the low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seating unit 110 is equal to the angle formed by the left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second seating unit 310. Here, 'a' refers to the angle formed by the lower side and the right sid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110).

그리고,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단면은 윗변보다 아랫변의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인데, 상기 아랫변과 좌변 및 우변이 이루는 각도는 180°에서 각도'a'를 뺀 각도만큼 구배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인해 구배진 상기 대향측면과 상기 양측면은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형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안착부(110)와 상기 제2안착부(310)의 사이에 상기 연결안착부(210)가 형합될 경우 완전하게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대향측면과 상기 양측면은 구배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210 is a trapezoid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ide, the angle formed by the lower side and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is preferably gradient by an angle minus the angle 'a' at 180 °, This allows the graded opposite sides and the both sides to be accurately formed without slipping. Therefore, when the connection seating unit 210 is joined between the first seating unit 110 and the second seating unit 310, the opposite side surfaces and the two side surfaces are formed to be completely horizontal. desirable.

한편, 상기 제1받침대(130) 및 상기 제2받침대(320)의 내측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공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단면에 휠이 구비된 서랍장(500,6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side the first pedestal 130 and the second pedestal 320 is formed a storage space ope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drawer cabinet having a wheel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 It is preferred to further comprise 500,600.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침대의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use b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헤드보드부(100)의 하부에 상기 제1받침대(130)가 구비되고, 이는 상기 제1안착부(110)와 만나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제1서랍장(500)을 추가로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서랍장(500)의 부피는 상기 수납공간 내부의 부피와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서랍장(500)의 전면은 상기 제1받침대(130)에 구속되도록 상기 제1서랍장(500)의 전면부 양측이 돌출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안착부(310)와 상기 제2받침대(320)의 사이에도 수납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제2서랍장을 배치할 수 있도록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base 130 is provided below the headboard unit 100, which meets the first seating unit 110 to form a space to form the first drawer cabinet 500. Allow for additional deployment. In addition, the volume of the first drawer 50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volume of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the front of the first drawer 500 is constrained by the first drawer 130, the first drawer 500 It is preferable that both sides of the front part of the protrusion protrude. In addition, an accommodating space is also formed between the second seat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pedestal 320, and the accommodating space is preferably provided to include the second drawer.

한편, 다용도 침대를 응접세트로 변형시켜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풋보드부(300)의 상부 일부 또는 측면에,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는 책장(900)을 겸비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책장(900)은 수평으로 이루어진 여러 수납대가 그 내부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있어서, 책이나 필기구 등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테이블로 사용되는 상기 연결안착부(210)의 공간을 보완해 주는 것으로서, 편의성을 한 층 더 개선해 주도록 다용도 침대에 포함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ransforming the multi-use bed into a reception set, the upper part or the side of the footboard 300, it can be used with a bookcase 900 that can be selectively removable. The bookshelf 9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rranged horizontally in the interior, it can accommodate a book or writing instruments, so as to supplement the space of the connection seat 210 used as a table, It is desirable to be included in the multi-use bed to further improve convenie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2, 3: 프레임 4, 5, 6: 횡링크
7, 8, 9: 종링크 10, 11, 12: 매트리스
13: 책상판 14: 가이드홈
20: 의자 30: 접이식 침대
40: 작동로드 41: 나사부
50: 실린더부 51: 암나사부
60: 웜기어 70: 외력투입수단 결합구
100: 헤드보드부 110: 제1안착부
120: 등받이 130: 제1받침대
200: 연결보드부 210: 연결안착부
220: 제1링크부재 230: 제2링크부재
240: 높낮이 유지장치 300: 풋보드부
310: 제2안착부 320: 제2받침대
80, 700: 힌지연결부 400: 연결프레임
500: 제1서랍장 510, 610, 800: 휠
600: 제2서랍장 900: 책장
1, 2, 3: Frames 4, 5, 6: Lateral links
7, 8, 9: Bell Link 10, 11, 12: Mattress
13: Desk top 14: Guide groove
20: chair 30: folding bed
40: operating rod 41: threaded portion
50: cylinder 51: female thread
60: worm gear 70: external force input means coupler
100: headboard portion 110: first seating portion
120: back 130: first base
200: connection board portion 210: connection seat
220: first link member 230: second link member
240: height maintaining device 300: footboard unit
310: second seating portion 320: second support
80, 700: hinge connection 400: connection frame
500: first drawer 510, 610, 800: wheel
600: Second Drawer 900: Bookshelf

Claims (5)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가 구비되며, 하부에 인체의 착석을 위한 높이로 연장된 제1받침대가 연결된 제1안착부를 포함하는 헤드보드부;
상기 제1안착부와 대응되는 높이로 구비되도록 하부에 제2받침대가 연결된 제2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헤드보드부와 설정된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연결프레임으로 연결되는 풋보드부; 및
상기 헤드보드부와 상기 풋보드부 사이의 간격에 선택적으로 대응되는 높이로 연결되는 연결안착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연결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의 대향측면과 대향 접촉되어 연결되는 상기 연결안착부의 양측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며, 상기 대향측면은 상기 양측면과 각각 형합되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받침대 및 상기 제2받침대의 내측에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하단면에 휠이 구비된 서랍장을 더 포함하되, 상기 서랍장의 전면부 양측은 상기 받침대에 구속되도록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A headboard unit having a backrest extending upward and including a first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base extending at a height for seating of a human body;
A footboard part including a second seating part connected to a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so as to be provid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part, the footboard part being connected to a connection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dboard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t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sea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height sel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board and the footboard portion, and includes a connection board portion having a height adjusting means at the bottom,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which are connected in opposing contact with the opposing side surfaces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formed to be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nd the opposing side surfaces are formed to be mated with each of the both side surfaces. ,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the second support is form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 is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further comprising a drawer cabinet with a wheel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respectively, the front of the drawer cabinet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protrudes to restrain the pedest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연결안착부의 하면에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부재와,
하단이 상기 연결프레임에 힌지연결되며, 중앙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의 중앙부에 상호 교차하여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 간의 힌지연결된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킴에 따라 상기 연결안착부의 높낮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제1링크부재와 상기 제2링크부재의 양단이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높낮이 유지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adjusting means
A first link member hing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seat;
A second link member having a lower end hinged to the connection frame and having a central portion hinged to cross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link member;
By selectively changing the hinged angle between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both ends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the second link member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connection seating portion. A versatile bed comprising a telescopic elevat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유지장치는
상부가 상기 제1링크부재 상부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외주에 나사부가 형성된 작동로드와,
하부가 상기 제2링크부재의 하부 일측에 힌지연결되되, 내주에 상기 나사부가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외주에 원주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로드를 신축시키는 실린더부와,
외력 투입수단 결합구가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나사산과 결합되어 동력전달방향을 전환하는 웜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침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eight maintaining device
An operating rod having an upper portion hing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link member and having a screw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 lower portion is hing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link member, the inner thread is formed with a female thread coupled to the screw por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er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to rotate selectively the cylinder portion to stretch the operation rod Wow,
Multipurpose bed,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force input means is formed, comprising a worm gear coupled to the screw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o change the power transmission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10011497U 2011-12-23 2011-12-23 versatile bed KR20047023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97U KR200470234Y1 (en) 2011-12-23 2011-12-23 versatile b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497U KR200470234Y1 (en) 2011-12-23 2011-12-23 versatile b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13U KR20130004013U (en) 2013-07-03
KR200470234Y1 true KR200470234Y1 (en) 2013-12-06

Family

ID=5075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497U KR200470234Y1 (en) 2011-12-23 2011-12-23 versatile b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3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35A (en) * 2021-02-22 2022-08-30 박해준 A Lifting module and Convertible Bench System with 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603B1 (en) * 2021-04-09 2023-03-23 신응선 Furniture with multi fun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59U (en) * 1982-07-21 1984-01-30 土川 善司 Bed for reception set
KR910005147Y1 (en) * 1987-03-24 1991-07-20 강종희 Chair used as bed
KR100339486B1 (en) * 2000-05-17 2002-06-15 서광훈 A up and down assembly of bed
KR20060043893A (en) * 2004-11-10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balance controlling structure of a dish was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359U (en) * 1982-07-21 1984-01-30 土川 善司 Bed for reception set
KR910005147Y1 (en) * 1987-03-24 1991-07-20 강종희 Chair used as bed
KR100339486B1 (en) * 2000-05-17 2002-06-15 서광훈 A up and down assembly of bed
KR20060043893A (en) * 2004-11-10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balance controlling structure of a dish wash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9835A (en) * 2021-02-22 2022-08-30 박해준 A Lifting module and Convertible Bench System with it
KR102448730B1 (en) * 2021-02-22 2022-09-29 박해준 A Lifting module and Convertible Bench System with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13U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EP1711085B1 (en) Multi-position reclining bed with desk
US9027178B2 (en) Sleep system
US8091159B2 (en) Mechanism and mattress for sofabed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KR200470234Y1 (en) versatile bed
WO2007021179A1 (en) Piece of furniture
KR20190128985A (en) A sofa table available on the sofa
KR101274910B1 (en) A Multi-purpose furniture with function of sofa and bed
KR910002209Y1 (en) Multiple-use bed
KR101423870B1 (en) Multi-purpose furniture bed and table combined
KR200407189Y1 (en) Sofa combination bed mattress of folding armrest type
KR20140068501A (en) A folding type chair without legs
CN210158354U (en) Multifunctional changeable seat
KR20190002200U (en) Multi-purpose bed table
KR20160144029A (en) Bed with foldable Desk
RU219332U1 (en) convertible bed
KR200472322Y1 (en) Removable sofa bed
RU183568U1 (en) TRANSFORMABLE THREE-SECTION FURNITURE FOR SEATING OR LAYING
KR200292584Y1 (en) A Folder Style Bed
TWM651404U (en) Transformable furniture
KR200382243Y1 (en) A combination sofa and bed
KR20230130348A (en) Chair and hinge structure assembly thereof
TWM602834U (en) Composite table and chair
KR200350639Y1 (en) Multirole a folding-bed and two win tabl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