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72Y1 -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 Google Patents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72Y1
KR200448272Y1 KR2020080005631U KR20080005631U KR200448272Y1 KR 200448272 Y1 KR200448272 Y1 KR 200448272Y1 KR 2020080005631 U KR2020080005631 U KR 2020080005631U KR 20080005631 U KR20080005631 U KR 20080005631U KR 200448272 Y1 KR200448272 Y1 KR 2004482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dium
rack structure
accommodating
inspection devi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163U (ko
Inventor
유승준
Original Assignee
(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맥스 filed Critical (주)맥스
Priority to KR2020080005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72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97Structures for detection, control, recording operation or replay operation; Special shapes or structures for centering or eccentricity prevention; Arrangements for testing, inspecting or evaluating; Containers, cartridges or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61Disc storage ra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저장매체를 수납해서 검사하는 검사장치의 메인 프레임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격자형상의 수납부; 이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의 제 1 걸림부와 당접하여 수납부 내에 저장매체를 수납하는 장착부; 및 수납부의 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의 제 2 걸림부와 당접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저장매체를 탈거하는 탈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저장매체 수납부가 설치된 랙을 미닫이 서랍식으로 설치하고 전방 및 후방에 장착부와 탈거부를 각각 설치하여, 저장매체의 장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고, 저장매체의 장착시간 및 탈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저장매체, 검사장치, 랙, 구조

Description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Rack structure of apparatus for testing storage device}
본 고안은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매체 내에 소정의 내용을 저장하거나 삭제하고, 저장된 내용을 판독하거나 저장매체의 표면검사 등을 수행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 내에 저장매체를 장착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저장매체는 컴퓨터에 장착되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하는 보조기억장치로서, 저장매체를 제조 후 출하 전에 저장매체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단계를 거치게 되는데, 종래의 저장매체 검사장치는 다수개의 저장매체를 일시에 검사하기 위해 복수의 저장매체 수납부를 설치하여 각각의 수납부에 복수의 저장매체를 수납하여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저장매체의 검사장치에는 다수의 저장매체를 수납하기 위한 복수의 픽스쳐가 서랍식의 랙에 설치되고, 이 픽스쳐에 저장매체를 각각 장착하여 검사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저장매체 검사장치는 랙의 픽스쳐에 저장매체를 각각 장착하기 위해 전단부에 레버를 설치하여, 각각의 레버를 작업자가 조작하면 레버에 연동된 각종 링크구성에 의해 저장매체를 랙에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저장매체 검사장치는, 작업자가 각각의 저장매체 장착시 또는 탈거시 레버를 작동시켜야 하므로, 장착 및 탈거에 과다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버의 오조작에 의해 저장매체와 검사장치와의 접속이 안된 경우에는 재장착하거나 검사에러가 발생하여 저장매체의 검사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각각의 픽스쳐에 레버의 조작에 의해 저장매체를 장착하거나 탈거하므로, 랙에 설치되는 픽스쳐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저장매체 수납부가 설치된 랙을 미닫이 서랍식으로 설치하고 전방 및 후방에 장착부와 탈거부를 각각 설치하여, 저장매체의 장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고, 저장매체의 장착시간 및 탈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장착부에 탄지부를 형성하여 장착부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장착시에는 탄지력이 부가되고 개방시에는 탄지력에 의해 원상회복되므로,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저장매체의 탈거가 용이하고, 또한, 탈거부에 걸림바아와 지지바아를 설치하여 랙의 수납부에 수납된 저장매체를 일시에 탈거할 수 있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의 저장매체를 수납해서 검사하는 검사장치의 메인 프레임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격자형상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의 제 1 걸림부와 당접하여 수납부 내에 저장매체를 수납하는 장착부; 및 상기 수납부의 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의 제 2 걸림부와 당접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저장매체를 탈거하는 탈거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장착부는,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지부에 의해 개방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본 고안의 탄지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걸림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장착부의 상단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본 고안의 장착부는,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제 1 걸림부와 당접하는 롤러가 각각 설치되고 중간부에 원통바아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의 탈거부는,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저장매체의 후단부를 압압하는 복수의 압압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와, 회동부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며 제 2 걸림부에 당접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바아와, 회동부의 하단에 끼워맞춤된 지지바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회동부는,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끼워맞춤되는 회동핀이 각각 형성되고, 회동핀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걸림바아 및 지지바아와 결합되는 링크홀이 형성되고, 중간부의 회동바아의 일측에는 복수의 압압돌기가 만곡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회동부는,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어 수납부의 완전 개방시에만 걸림바아와 제 2 걸림부가 당접하여 동시에 회동한다.
본 고안의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저장매체 수납부가 설치된 랙을 미닫이 서랍식으로 설치하고 전방 및 후방에 장착부와 탈거부를 각각 설치하여, 저장매 체의 장착 및 탈거를 용이하게 하고, 저장매체의 장착시간 및 탈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장착부에 탄지부를 형성하여 장착부가 개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장착시에는 탄지력이 부가되고 개방시에는 탄지력에 의해 원상회복되므로,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 없게 되어, 저장매체의 탈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탈거부에 걸림바아와 지지바아를 설치하여 랙의 수납부에 수납된 저장매체를 일시에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후방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전방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는 랙(20), 수납부(30), 장착부(40) 및 탈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 의 저장매체(100)를 수납해서 검사하는 검사장치의 메인 프레임(10)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이다.
랙(20)은 박스(box)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검사장치의 메인 프레임(10)의 전후방으로 가이드부(25)를 개재해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랙(20)의 전면에는 전방 플레이트(21)가 입설되고, 이 전방 플레이트(21)에는 랙(20)을 메인 프레임(10) 내에 투입후 록킹 및 언록킹하는 손잡이(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랙(20)의 내부에는 수납부(30)가 설치되며, 수납부(30)의 하면 및 상면에 하부 플레이트(23)와 상부 플레이트(2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23)는 후단부에 끼움홀(23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플레이트(24)는 중간부에 사각형상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끼움홀(24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 결합홀(24b)이 형성되고 이 결합홀(24b)의 일측 둘레에는 걸림홀(24c)이 형성되고, 이 결합홀(24b)의 일측에는 걸림턱(24d)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30)는 복수의 저장매체(100)가 수납되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며, 랙(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수납부(30)에는 8개의 저장매체 수납공간이 상하 일렬로 구성되며, 이러한 일렬의 저장매체 수납공간이 전방열, 중간열, 후방열의 3개열로 설치되므로, 총 24개의 저장매체 수납공간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총 24개의 저장매체(100)를 일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저장매체 검사장치에는 20개의 수납부(30)가 메인프레임에 설치가능하므로, 총 480개의 저장매체 수납공간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2개의 저장매체 검사장치를 서로 연결하여 회전시에 포개지는 양문형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총 960개의 저장매체 수납공간의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장착부(40)는 수납부(30)의 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랙(20)의 후방이동시 메인 프레임(10)의 제 1 걸림부(11)와 당접하여 수납부(30) 내에 저장매체(100)를 장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부(40)는, 원통바아(41), 롤러(42), 링크부(43), 힌지핀(44) 및 탄성부(45)로 이루어져, 수납부(30)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4)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2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지부(45)에 의해 개방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원통바아(41)는 접촉시 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져 장착부(40)의 회동시 저장매체(100)의 전단부와 당접하여, 저장매체(100)를 수납부(30)의 수납공간 내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저장매체(100)가 장착부(40)에 의해서 수납부(30)의 수납공간 내에 장착된다.
롤러(42)는 당접시 대상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원통바아(41)의 상단 및 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랙(20)의 후방이동시 메인 프레임(10)의 제 1 걸림부(11)에 당접하여 미끄러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링크부(43)는 일단이 원통바아(41)의 상단 및 하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힌지핀(44)을 개재해서 상부 플레이트(24)의 결합홀(24b)에 결합되어, 힌지핀(44)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링크부(43)는 소정각도로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부 플레이트(24)의 걸림턱(24d)에 접촉하게 된다.
탄지부(45)는, 일단(45a)이 상부 플레이트(24)의 걸림홀(24c)에 결합되고, 타단(45b)이 장착부(40)의 상단에 설치된 링크부(43)에 걸어맞춤되어, 장착부(40)가 항상 개방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탄지부(45)로는 양단부에 탄지력을 부여할 수 있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거부(50)는 회동바아(51), 압압돌기(52) 및 힌지부(53)로 형성된 회동부와, 걸림바아(54)와, 지지바아(56)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납부(30)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24)와 하부 플레이트(23)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수납부(30)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10)의 제 2 걸림부(12)와 당접하여 수납부(30)에 수납된 저장매체(100)를 탈거하게 된다.
회동바아(51)는 상하 길이방향의 부재로서 측면 일측에 상하로 복수의 압압돌기(52)가 만곡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러한 압압돌기(52)는 저장매체(100)의 후단부를 가압하여 저장매체를 전방으로 돌출시키게 되므로, 압압돌기(52)의 선단부에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부(53)는 회동바아(51)의 상단 및 하단에 수직으로 절곡형성되되 만곡형성되어 있다. 힌지부(53)는 일단부에 상부 플레이트(24)와 하부 플레이트(23)에 끼워맞춤되는 회동핀(53b)이 각각 형성되고, 타단부에 걸림바아(54) 및 지지바아(56)와 결합하기 위한 링크홀(53a)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바아(54)는, 전후 길이방향의 부재로서 회동부의 상방 힌지부(53)에 형성된 링크홀(53a)과 결합홀(54a)을 개재해서 상부에 끼워맞춤되며, 메인 프레임(10)에 형성된 제 2 걸림부(12)에 당접하는 걸림턱(55)이 후단부에 입설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바아(54)는 랙(20)의 전방 이동시 걸림턱(55)이 제 2 걸림부(12)에 당접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므로, 회동부가 회동핀(53b)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지지바아(56)는 전후 길이방향의 부재로서 회동부의 하방 힌지부(53)에 형성된 링크홀(53a)과 결합홀(56a)을 개재해서 하부에 끼워맞춤되어, 랙(20)의 이동시 걸림바아(54)와 마찬가지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특히, 회동부는, 걸림바아(54)와 지지바아(56) 사이에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어 수납부(30)의 완전 개방시에만 걸림바아(54)와 제 2 걸림부(12)가 당접하여 동시에 회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저장매체(100)로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진 기억소자, 기억매체 등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HDD는 통상 하드 디스크 또는 고정 디스크(fixed disk)라고도 하며, 컴퓨터의 보조 기억장치로 주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하드 디스크는 내부에 유리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기판에 자성체를 장착해 만든 디스크를 장착하고 이 디스크를 모터로 회전시켜 디스크 상에 헤드에 의해 자기적인 신호를 읽고 쓰면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삭제하게 된다.
SSD(Solid State Drive)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라고 하며, 반도체소자를 이용하여 정보를 저장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HDD와 유사하게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HDD와 호환되므로 기존 하드디스크의 대체가 용이하게 된다.
특히, SSD는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부분이 없기 때문에, 기존의 HDD의 문제인 긴 탐색시간, 기계적 지연, 실패율 등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보통 비휘발성 NAND 플래시 메모리나 휘발성 DRAM을 사용한다. 따라서 플래시 드라이브라고도 하는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SSD는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1.8, 2.5, 3.5인치 크기의 하드 디스크의 대체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20)의 손잡이(22)를 잡고 랙(2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장착부(40)의 롤러(42)가 메인 프레임(10)의 제 1 걸림부(11)에 당접하여 장착부(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장착부(40)의 원통바아(41)가 저장매체(100)의 전단부와 당접하여 저장매체(100)를 후방으로 압압하여, 수납부(30)에 장착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20)의 손잡이(22)를 잡고 랙(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장착부(40)의 롤러(42)가 메인 프레임(10)의 제 1 걸림부(11)와의 당접을 해제하여 장착부(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장착부(40)의 원통바아(41)가 저장매체(100)의 전단부와 당접한 상태에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수납부(30)의 전방을 개방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20)의 손잡이(22)를 잡고 랙(20)을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키면, 탈거부(50)의 걸림바아(54)에 형성된 걸림턱(55)이 메인 프레임(10)의 제 2 걸림부(12)와의 당접하여 탈거부(50)의 회동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하게 된다.
그러면, 탈거부(50)의 회동부에 형성된 압압돌기(52)가 저장매체(100)의 후단부와 당접하여 저장매체(100)를 전방으로 압압하여, 수납부(30)에 장착된 상태에서 탈거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는, 랙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서 장착부와 탈거부가 동작하여 저장매체의 장착과 탈거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후방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전방 이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 프레임 20: 랙
30: 수납부 40: 장착부
50: 탈거부 100: 저장매체

Claims (8)

  1. 복수의 저장매체를 수납해서 검사하는 검사장치의 메인 프레임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저장매체가 수납되는 격자형상의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의 제 1 걸림부와 당접하여 수납부 내에 저장매체를 수납하는 장착부; 및
    상기 수납부의 후방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메인 프레임의 제 2 걸림부와 당접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저장매체를 탈거하는 탈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탄지부에 의해 개방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탈거부는, 상기 수납부에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저장매체의 후단부를 압압하는 복수의 압압돌기가 형성된 회동부와, 회동부의 상단에 끼워맞춤되며 제 2 걸림부에 당접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걸림바아와, 회동부의 하단에 끼워맞춤된 지지바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부는, 일단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걸림홀에 결합되고, 타단이 장착부의 상단에 걸어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제 1 걸림부와 당접하는 롤러가 각각 설치되고 중간부에 원통바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단 및 하단에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에 끼워맞춤되는 회동핀이 각각 형성되고, 회동핀의 일측 둘레에는 상기 걸림바아 및 지지바아와 결합되는 링크홀이 형성되고, 중간부의 회동바아의 일측에는 복수의 압압돌기가 만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복수개가 일렬로 설치되어 수납부의 완전 개방시에만 걸림바아와 제 2 걸림부가 당접하여 동시에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는, HDD(Hard Disk Drive) 또는 SSD(Solid State Dr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KR2020080005631U 2008-04-28 2008-04-28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KR2004482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31U KR200448272Y1 (ko) 2008-04-28 2008-04-28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631U KR200448272Y1 (ko) 2008-04-28 2008-04-28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63U KR20090011163U (ko) 2009-11-02
KR200448272Y1 true KR200448272Y1 (ko) 2010-03-29

Family

ID=41557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631U KR200448272Y1 (ko) 2008-04-28 2008-04-28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42Y1 (ko) * 2010-09-16 2011-12-15 (주)맥스 하드디스크 검사장치의 멀티셀 픽스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41B1 (ko) * 2011-12-21 2013-04-29 (주)밸류플러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테스트 장치의 접촉단자 구조
KR101333435B1 (ko) * 2012-03-30 2013-11-26 세메스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
KR102001467B1 (ko) * 2013-06-10 2019-07-18 세메스 주식회사 테스트 핸들러 및 이를 사용하는 테스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458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제이오텍 에이징용 테스트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458A (ko) * 2002-12-06 2004-06-12 주식회사 제이오텍 에이징용 테스트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342Y1 (ko) * 2010-09-16 2011-12-15 (주)맥스 하드디스크 검사장치의 멀티셀 픽스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163U (ko) 200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8784B2 (ja) ハードディスクキャリア及び計算装置
JP4105121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7386868B2 (en) External desktop dock for a cartridge-based data storage unit
EP2820502B1 (en) Insertion and removal assembly for installing and removing data storage drives in an enclosure
KR200448272Y1 (ko) 저장매체 검사장치의 랙 구조
EP3352046B1 (en) Compact tool-less hdd carrier
US20110304960A1 (en) Retain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JPS5812662B2 (ja) デイスク・カ−トリツジ記録・再生装置
US20120320520A1 (en) Externally latching drive tray and drive removal mechanism
US10015892B1 (en) Disk drive holding mechanism and server using the same
TWM479492U (zh) 伺服器機箱
KR101490499B1 (ko) Ssd용 테스트 소켓
US10362706B2 (en) Server systems with hinge mechanisms
JP5950337B2 (ja) ライブラリ装置
JP5594639B1 (ja) 固定ブラケット
JP2006172002A (ja) 電子ユニットの搭載機構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20090207518A1 (en) Microdisk array apparatus using semiconductor automated equipment
CN101193205B (zh) 信息记录再现装置
JP4376804B2 (ja) 記録媒体用開閉機構
KR200449190Y1 (ko) 하드디스크 검사장치
KR100460766B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테스트장치의 착탈장치
US7120919B2 (en) Disk holding device for optical disk reading device
KR200379862Y1 (ko) 하드디스크 검사기의 방진구조를 갖는 카트리지형하드디스트 수납장치
US7237249B2 (en) Disk drive with disk cartridge
EP1376570A2 (en) Media storage system and coupler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