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66Y1 - 액비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액비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66Y1
KR200447966Y1 KR2020090008520U KR20090008520U KR200447966Y1 KR 200447966 Y1 KR200447966 Y1 KR 200447966Y1 KR 2020090008520 U KR2020090008520 U KR 2020090008520U KR 20090008520 U KR20090008520 U KR 20090008520U KR 200447966 Y1 KR200447966 Y1 KR 200447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fertilizer
venturi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재
Original Assignee
이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재 filed Critical 이순재
Priority to KR2020090008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3/00Distribu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manure or other fertilising liquid, including ammonia, e.g. transport tanks or sprinkling wagons
    • A01C23/04Distributing under pressure; Distributing mud; Adaptation of watering systems for fertilising-liquids
    • A01C23/042Adding fertiliser to wate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5Cyclic operations, timing systems, timing valves, impulse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Fertilizing (AREA)
  • Hydroponics (AREA)

Abstract

탱크의 원수를 순환시키면서 액비, 미생물, 산 등을 벤추리 효과에 의해 공급되도록 하여 자동으로 혼합시킨 뒤, 원하는 시간대에 원하는 시간동안 원하는 장소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액비 자동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액비, 공급, 벤추리

Description

액비 자동 공급장치{A aotomatic supplying apparatus for a liquefied fertilizer}
본 고안은 액비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는 액비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비 재배의 영양학적 장점은 영양분이 식물체가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배양액 내에 녹아있고, 이들의 공급과 제어가 가능하며, 독성물질로 나타날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최근에는 시설원예 등에서의 액비 재배가 늘고 있으며, 토양재배보다 작물의 성장이 빠르고 연작 장해에 따른 휴식년이 필요없이 매년 재배가 가능하며, 생산 시스템의 자동화에 따른 노동력절감과 토양의 염류가 집적 방지 방지와 생산량의 증대 및 고품질화와 계획 생산 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액비 재배를 위해서는 물과, 다양한 종류의 액비를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액비 공급장치의 시설이 커지고 대형화되면, 비용이 증가되고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형이면서도 동작이 편리하고,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정확한 액비를 재배시설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액비 자동 공급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자동으로 액비의 비율을 제어하면서 액비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액비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액비 자동 공급장치는, 원수펌프와; 상기 원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원수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가 공급되어 비료와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센서와;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액체를 순환시키도록 양단이 상기 혼합탱크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관수펌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에서 분기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에서 액비 또는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지역으로 연결되게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경로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제1밸브와; 상기 각각의 분기경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밸브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복수의 벤추리부와;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비료를 벤추리효과에 의해 공급하는 복수의 비료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산을 공급하기 위한 산 공급부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파이프를 통해 상기 탱크로 순환되어 유입되는 비료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센서와; 상기 순 환파이프에 설치되어 물과 비료의 혼합된 상태의 산도를 감지하는 염기센서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압력계 및 여과기와; 상기 원수펌프와 상기 관수펌프,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 상기 미생물 공급부, 상기 산 공급부, 상기 제1 및 제2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는, 비료 공급탱크와, 상기 비료 공급탱크와 상기 벤추리부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비료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1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공급부는, 미생물 공급탱크와, 상기 미생물 공급탱크와 상기 벤추리부를 연결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2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 공급부는, 산 공급탱크와, 상기 산 공급탱크와 벤추리부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와, 상기 제3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3전자밸브와, 상기 제3파이프에 설치되어 산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3유량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제어유닛 본체와, 상기 제어유닛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관수펌프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타이머와, 상기 제2밸브들 각각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분타이머와, 상기 농도센서, 상기 염기센서 각각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 밸브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센서연동 제어부와, 상기 원수펌프와 상기 관수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밸브,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밸브의 구동을 수동 및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비료, 미생물, 염기의 기준값과, 공급시간 및 공급량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파이프 각각에는 제1 내지 제3 정밸브가 설치되어 개폐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순환파이프는 다수의 순환경로로 분기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기된 순환경로마다 상기 복수의 밴추리부 각각이 마련되어 상기 비료 공급부, 미생물 공급부 및 산 공급부가 독립적으로 연결된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액비 자동 공급장치는, 액비, 미생물, 산 등을 원수와 자동으로 혼합시키되, 그 혼합동작을 자동으로 하면서도 혼합량을 정확하게 제어하여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대규모의 재배시설 등과 같이 관리가 어려운 곳에서도,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동으로 액비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관리비용을 절감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비 자동 공급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비 자동 공급장치는, 원수펌프(10)와, 혼합탱크(12)와, 순환파이프(14)와, 관수펌프(16)와, 공급파이프(18)와, 복수의 분기경로(20)와, 제1밸브(22)와 복수의 제2밸브(24)와, 복수의 벤추리부(31,32,33,34)와, 비료 공급부(40)와, 미생물 공급부(50)와, 산 공급부(60)와, 농도센서(26)와, 염기센서(28)와, 압력계(71)와, 여과기(73)와, 제어유닛(100)을 구비한다.
상기 원수펌프(10)는 지하수 또는 수도물과 같은 원수를 혼합탱크(12)로 공급하도록 탱크(12)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혼합탱크(12)에는 원수펌프(10)에서 공급된 원수가 채워지며, 그 내부에는 원수 또는 양액의 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레벨센서(13)가 설치된다.
상기 순환파이프(14)는 양단이 탱크(12)에 연결되어 탱크(12)의 원수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순환파이프(14)에는 관수펌프(16)가 설치되어 순환파이프(14)를 통해 탱크(12)의 원수가 순환되면서 비료나 미생물 또는 산이 탱크(12)의 원수와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순환파이프(16)에는 공급파이프(18)가 분기되어 연결되며, 공급파이프(18)의 끝에서는 다수의 분기경로(20)가 분기되어 연결된다. 상기 분기경로(20) 각각을 통해서 원하는 장소로 원수 또는 양액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기경로(20) 가각에는 제2밸브(24)가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어유닛(100)에 의해 개폐동작이 제어된다.
제1밸브(22)는 순환파이프(14)에 설치되어 순환파이프(14)를 통해서 탱크(12) 내부의 원수가 순환되면서 벤추리 효과에 의해 A액,B액, 산, 미생물 등을 혼합할 때 센서에서의 감응도를 조절하기 위해 마련되며,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제어유닛(100)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 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파이프(14)에는 다수의 벤추리부(31,32,33,34)가 마련되며, 각각의 벤추리부(31,32,33,34)에는 복수의 비료 공급부(40)와, 미생물 공급부(50)와, 산 공급부(60)가 연결된다. 그리고 순환파이프(14)에는 농도센서(26)와 염기센서(28)가 각각 설치되어 상기 비료 공급부(40)와, 미생물 공급부(50)와, 산 공급부(60) 각각에서 나오는 비료(양액)의 농도와, 액비의 산도를 센싱하게 된다. 농도센서(26) 및 염기센서(28)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유닛(100)으로 전달된다.
상기 순환파이프(14)에 설치된 압력계(71)는 공급파이프(18)를 통해 필요한 장소고 공급되는 액비 또는 원수의 공급 압력을 측정하고, 여과기(73)는 통과하는 양액 원수를 여과하고, 불순물 등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 압력계(71)에서의 압력 측정값은 제어유닛(100)으로 전달되고, 적정 압력이 유지되도록 제어유닛(100)에서는 관수펌프(16)의 구동력과 상기 제2밸브(24)의 온/오프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벤추리부(31,32,33,34) 각각은 혼합탱크(12)에 연결됨으로써, 순환파이프(14)를 통해 순환되는 원수의 이동시 충분한 벤추리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여 그 벤추리효과에 의해서 A액, B액 미생물, 산이 필요한 양만큼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료공급부(40)는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31,32)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비료(A액, B액)를 벤추리효과에 의해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설치된다.
상기 비료공급부(40)는 비료 공급탱크(41)와, 상기 비료 공급탱크(41)와 상기 벤추리부(31,32)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42)와, 상기 제1파이프(42)에 설치되어 비료의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제1전자밸브(43)와, 상기 제1파이프(42)에 설치되어 비료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1유량계(44) 및 제1정밸브(45)를 구비한다. 상기 비료 공급탱크(42) 각각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비료(A액, B액)가 액상으로 저장되어 있으며, 제1파이프(42)를 통해 순환파이프(14)에 연결되어 벤추리부(31,32)에서의 벤추리 효과에 의해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전자밸브(43)는 비료의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유닛(100)에 의해 개폐정도 및 개방정도가 제어되며, 상기 농도센서(26) 및 염기센서(28)의 측정값에 연동되어 동작된다. 상기 제1유량계(44)는 제1파이프(42) 상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비료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 제1유량계(44)는 분당 최고 8L까지 나갈 수 구성되며,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정밸브(45)는 비료의 공급시, 그 공급량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유량계(44)에서 분당 0 내지 8L까지 흡입될 수 있도록 작동 가능하다.
상기 미생물 공급부(50)는 어느 한 벤추리부(33)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미생물 공급부(50)는, 미생물 공급탱크(51)와, 상기 미생물 공급탱크(51)와 상기 벤추리부(33)를 연결하는 제2파이프(52)와, 상기 제2파이프(52)에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2전자밸브(53)와, 상기 제2파이프(52)에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2유량계(54) 및 제2정밸브(55)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밸브(53)도 제어유닛(100)에 의해 개폐동작 및 개방정도가 제어되어 미생물을 벤추리효과에 의해 자동으로 혼합탱크로 공급하여 원수와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산 공급부(60)는 어느 한 벤추리부(34)에 연결되어 산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산 공급탱크(61)와, 상기 산 공급탱크(61)와 벤추리부(34)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62)와, 상기 제3파이프(62)에 설치되어 상기 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3전자밸브(63)와, 상기 제3파이프(62)에 설치되어 산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3유량계(64) 및 제3정밸브(65)를 구비한다. 상기 제3전자밸브(63)도 제어유닛(100)에 의해 개폐 동작 및 개방 정도가 제어된다.
상기 제어유닛(100)은 원수펌프(10)와 상기 관수펌프(16),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밸브(43,53,63), 제1 및 제2밸브(22,24)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유닛(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 본체(110)와, 상기 제어유닛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관수펌프(16)와 제1밸브(22)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타이머(120)와, 상기 제2밸브들(24) 각각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 구역별로 구분되어 마련된 다수의 분타이머(130)와, 상기 농도센서(26) 및 염기센서(28)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밸브(43,53,63)의 개폐 정도를 제어하는 복수의 센서연동 밸브제어부(131,132)와, 상기 원수펌프(10)와 상기 관수펌프(16)와 상기 제1 및 제2밸브(22,24) 및 제1 내지 제3전자밸브(43,53,63)의 구동을 수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유닛(100)은 설정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설정부(150)에서는 시타이머(120)로 설정한 시간에 공급할 비료의 종류와, 공급량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미생물과 산의 공급여부 및 공급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타이머(120)와 분타이머(130)를 미리 설정해 놓게 되면, 설정된 시간에 제어유닛(100)에 의해 관수펌프(16)와 제1 및 제2밸브(22,24)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제어되면서 혼합탱크(12) 내의 원수가 순환파이프(14)를 통해 순환되면서 필요한 비료, 미생물 및 산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질을 벤추리 효과에 의해 원수와 혼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농도 센서(26)에서 센싱된 비료의 농도값은 실시간으로 센서연동 밸브 제어부(131)로 전달되고, 센서연동 밸브 제어부(131)에서는 설정된 농도와 비교하여 농도가 낮으면 전자밸브를 더 개방시켜 비료 등을 더 공급하고, 농도가 높으면 전자밸브를 조금만 개방되도록 하여 비료 등의 공급을 줄임으로써 양액의 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염기 센서(28)에서는 센싱된 산도를 실시간으로 센서연동 밸브 제어부(132)로 전달하고, 센서연동 밸브 제어부(132)에서는 설정된 산도와 비교하여 산도가 낮으면 전자밸브를 더 개방시켜 산을 더 공급하여 산도를 설정값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파이프(42,52,62) 각각에는 수동으로 조작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정밸브(45,55,65)가 설치되어 수동으로 파이프를 완전히 폐쇄하거나 개방시킬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분당 공급될 수 있는 비료, 미생물 및 산의 투입 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파이프(14)는 다수의 순환경로(14a,14b,14c,14d)로 분기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기된 순환경로(14a,14b,14c,14d)마다 상기 복수의 밴추리부(31,32,33,34) 각각이 마련되어 상기 비료 공급부(40), 미생물 공급부(50) 및 산 공급부(60)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벤추리부(31,32,33,34)가 독립적으로 마련되게 되므로, 원수의 공급압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투입되는 비료, 미생물, 산 등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느 한 벤추리부가 손상되거나 또는 막힐 경우에도 다른 벤추리부를 이용하여 혼합탱크(12)의 원수를 순환시키면서 원하는 비료, 미생물, 산 등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액비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제어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비 자동 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원수 펌프 12..혼합탱크
14..순환파이프 16..관수펌프
18..공급파이프 20..분기경로
22,24..제1, 제2밸브 26..농도센서
28..염기센서 31,32,33,34..벤추리부
40..비료 공급부 50..미생물 공급부
60..산 공급부 71..압력계
73..여과기 100..제어유닛

Claims (2)

  1. 원수펌프와;
    상기 원수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원수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가 공급되어 비료와 혼합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센서와;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액체를 순환시키도록 양단이 상기 혼합탱크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관수펌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에서 분기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에서 액비 또는 원수를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지역으로 연결되게 분기되는 복수의 분기경로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제1밸브와;
    상기 각각의 분기경로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2밸브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복수의 벤추리부와;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각각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종류의 비료를 벤추리효과에 의해 공급하는 복수의 비료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미생물을 공급하기 위한 미생물 공급부와;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산을 공급하기 위한 산 공급부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파이프를 통해 상기 탱크로 순환되어 유입되는 비료의 농도를 감지하는 농도센서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어 물과 비료의 혼합된 상태의 산도를 감지하는 염기센서와;
    상기 순환파이프에 설치되는 압력계 및 여과기와;
    상기 원수펌프와 상기 관수펌프,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 상기 미생물 공급부, 상기 산 공급부, 상기 제2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비료 공급부는, 비료 공급탱크와, 상기 비료 공급탱크와 상기 벤추리부를 연결하는 제1파이프와,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비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1파이프에 설치되어 비료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1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생물 공급부는, 미생물 공급탱크와, 상기 미생물 공급탱크와 상기 벤추리부를 연결하는 제2파이프와, 상기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제2파이프에 설치되어 미생물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2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 공급부는, 산 공급탱크와, 상기 산 공급탱크와 벤추리부를 연결하는 제3파이프와, 상기 제3파이프에 설치되어 상기 산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3전자밸브와, 상기 제3파이프에 설치되어 산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제3유량 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제어유닛 본체와, 상기 제어유닛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관수펌프의 구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시타이머와, 상기 제2밸브들 각각의 작동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분타이머와, 상기 농도센서, 상기 염기센서 각각의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라서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센서연동 제어부와, 상기 원수펌프와 상기 관수펌프와 상기 제1밸브는 수동으로, 제2밸브와 상기 제1 내지 제3전자밸브는 수동 및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상기 비료, 미생물, 염기의 기준값과, 공급시간 및 공급량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파이프 각각에는 제1 내지 제3 정밸브가 설치되어 개폐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는 다수의 순환경로로 분기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기된 순환경로마다 상기 복수의 벤추리부 각각이 마련되어 상기 비료 공급부, 미생물 공급부 및 산 공급부가 독립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액 자동 공급장치.
KR2020090008520U 2009-07-01 2009-07-01 액비 자동 공급장치 KR200447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20U KR200447966Y1 (ko) 2009-07-01 2009-07-01 액비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520U KR200447966Y1 (ko) 2009-07-01 2009-07-01 액비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966Y1 true KR200447966Y1 (ko) 2010-03-08

Family

ID=4421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520U KR200447966Y1 (ko) 2009-07-01 2009-07-01 액비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66Y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0517A (zh) * 2010-12-20 2011-08-24 广西合山市玉东澳洲坚果种养有限公司 渗透式节能灌溉系统
KR101088427B1 (ko) * 2011-05-06 2011-12-01 박철수 양액공급제어방법
KR101090279B1 (ko) * 2011-05-06 2011-12-07 박철수 양액공급시스템
KR101416743B1 (ko) * 2013-07-01 2014-07-09 주식회사 동우 벤츄리가 설치된 양액공급시스템
KR20150106736A (ko) * 2014-03-12 2015-09-22 농업회사법인 누리팜(주)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CN106034498A (zh) * 2016-07-22 2016-10-26 李升波 多功能旱地种植机
KR101750379B1 (ko) 2015-11-18 2017-06-23 박경민 양액 공급 장치
CN108496511A (zh) * 2018-06-05 2018-09-07 山东奥森水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土壤水分传感仪的水肥一体化灌溉系统
KR20190028907A (ko) * 2017-09-11 2019-03-20 양태진 양액 공급 제어 장치 및 양액 공급 제어 방법
CN109566035A (zh) * 2018-12-12 2019-04-05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有机发酵液的综合管控方法及综合管控系统
KR20190093874A (ko) * 2018-02-02 2019-08-12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미스트 탱크 시스템
CN110178517A (zh) * 2019-06-24 2019-08-30 广西科学院应用物理研究所 一种太阳能滴灌施肥系统
CN111357463A (zh) * 2020-04-22 2020-07-03 雪川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农业灌溉施肥系统中肥料定量输送方式
KR20200119438A (ko) 2019-04-09 2020-10-20 (주)성도그린 온실의 양액 공급 장치
CN112889448A (zh) * 2021-04-02 2021-06-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基于管网末端信息主动调控的水肥机及其使用方法
CN115336523A (zh) * 2022-07-15 2022-11-15 潍坊科技学院 多入多出定量精准定位灌溉施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500B1 (ko) 1997-11-24 2000-12-01 김동인 양액 공급방법 및 자동공급시스템
KR200266330Y1 (ko) 2001-10-08 2002-02-28 조정선 고농도 용존 산소수를 이용한 원예 작물의 재배장치
JP2005278415A (ja) 2004-03-26 2005-10-13 Otsuka Chemical Co Ltd 肥料の供給装置
KR200420557Y1 (ko) 2006-04-17 2006-07-04 레바호코리아 주식회사 액비 자동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500B1 (ko) 1997-11-24 2000-12-01 김동인 양액 공급방법 및 자동공급시스템
KR200266330Y1 (ko) 2001-10-08 2002-02-28 조정선 고농도 용존 산소수를 이용한 원예 작물의 재배장치
JP2005278415A (ja) 2004-03-26 2005-10-13 Otsuka Chemical Co Ltd 肥料の供給装置
KR200420557Y1 (ko) 2006-04-17 2006-07-04 레바호코리아 주식회사 액비 자동공급시스템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0517A (zh) * 2010-12-20 2011-08-24 广西合山市玉东澳洲坚果种养有限公司 渗透式节能灌溉系统
CN102160517B (zh) * 2010-12-20 2012-10-03 广西合山市玉东澳洲坚果种养有限公司 渗透式节能灌溉系统
KR101088427B1 (ko) * 2011-05-06 2011-12-01 박철수 양액공급제어방법
KR101090279B1 (ko) * 2011-05-06 2011-12-07 박철수 양액공급시스템
KR101416743B1 (ko) * 2013-07-01 2014-07-09 주식회사 동우 벤츄리가 설치된 양액공급시스템
KR20150106736A (ko) * 2014-03-12 2015-09-22 농업회사법인 누리팜(주)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KR101588815B1 (ko) 2014-03-12 2016-02-12 주식회사 아이오티팜 농작물의 양액공급시스템
KR101750379B1 (ko) 2015-11-18 2017-06-23 박경민 양액 공급 장치
CN106034498A (zh) * 2016-07-22 2016-10-26 李升波 多功能旱地种植机
KR20190028907A (ko) * 2017-09-11 2019-03-20 양태진 양액 공급 제어 장치 및 양액 공급 제어 방법
KR102035839B1 (ko) * 2017-09-11 2019-10-23 양태진 양액 공급 제어 장치 및 양액 공급 제어 방법
KR20190093874A (ko) * 2018-02-02 2019-08-12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미스트 탱크 시스템
KR102044373B1 (ko) * 2018-02-02 2019-12-05 농업회사법인 만나씨이에이 주식회사 미스트 탱크 시스템
CN108496511A (zh) * 2018-06-05 2018-09-07 山东奥森水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土壤水分传感仪的水肥一体化灌溉系统
CN109566035A (zh) * 2018-12-12 2019-04-05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有机发酵液的综合管控方法及综合管控系统
KR20200119438A (ko) 2019-04-09 2020-10-20 (주)성도그린 온실의 양액 공급 장치
CN110178517A (zh) * 2019-06-24 2019-08-30 广西科学院应用物理研究所 一种太阳能滴灌施肥系统
CN111357463A (zh) * 2020-04-22 2020-07-03 雪川农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农业灌溉施肥系统中肥料定量输送方式
CN112889448A (zh) * 2021-04-02 2021-06-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基于管网末端信息主动调控的水肥机及其使用方法
CN115336523A (zh) * 2022-07-15 2022-11-15 潍坊科技学院 多入多出定量精准定位灌溉施肥装置
CN115336523B (zh) * 2022-07-15 2023-09-22 潍坊科技学院 多入多出定量精准定位灌溉施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966Y1 (ko) 액비 자동 공급장치
KR101953620B1 (ko) 양액 재활용 및 환경제어 복합형 양액공급시스템 제어용 복합컨트롤러
KR101480061B1 (ko) 양액 리사이클링 제어방법
KR101090279B1 (ko) 양액공급시스템
KR101416743B1 (ko) 벤츄리가 설치된 양액공급시스템
KR100470453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양액 자동공급장치 및 방법
KR101727231B1 (ko) 재배 환경과 양액 공급 자동 제어형 식물 재배기
KR102062081B1 (ko) 재배시설의 양액공급 제어기용 통합컨버터
CN205030117U (zh) 一种温室水培循环灌溉系统
CN105210533A (zh) 一种温室水培循环灌溉系统和营养液ph值控制方法
KR101407857B1 (ko) 벤츄리 설치형 양액공급시스템
CN105325278A (zh) 一种温室水培循环灌溉系统和营养液ec值控制方法
KR20190040570A (ko)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CN103621235A (zh) 一种配方液体肥配制系统及配制方法
KR102258740B1 (ko) 다중 혼합탱크를 갖는 양액공급시스템
KR101088427B1 (ko) 양액공급제어방법
CN105027789A (zh) 一种智能施肥机及施肥控制方法
KR102035839B1 (ko) 양액 공급 제어 장치 및 양액 공급 제어 방법
JP2007295876A (ja) 潅水施肥栽培での灌水施肥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CN210406208U (zh) 一种利用开度阀进行ec控制的水肥设备控制装置
KR20210117568A (ko) 실시간 배액성분 측정이 가능한 양액 재활용 시스템
KR101408208B1 (ko) 인버터를 이용한 양액 공급시스템
KR20050012459A (ko) 양액 자동혼합장치 및 양액 자동혼합방법
KR20190098470A (ko) 식물 배양액 자동 공급 제어기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기
CN212013589U (zh) 一种水肥一体滴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