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18Y1 - 유골함 - Google Patents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18Y1
KR200447618Y1 KR2020080001112U KR20080001112U KR200447618Y1 KR 200447618 Y1 KR200447618 Y1 KR 200447618Y1 KR 2020080001112 U KR2020080001112 U KR 2020080001112U KR 20080001112 U KR20080001112 U KR 20080001112U KR 200447618 Y1 KR200447618 Y1 KR 200447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hes
transparent window
space portion
tim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651U (ko
Inventor
김찬성
Original Assignee
김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성 filed Critical 김찬성
Priority to KR2020080001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1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6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을 오랫동안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에서 유골함의 내부를 확인 가능하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로 유골을 투입시키기 위한 유골투입구가 형성된 반자기(半瓷器) 재질의 몸체;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공간부에 수용된 유골이 보일 수 있도록 한 투명창;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투명창은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몸체의 공간부 후방에는 투명창을 통해 보여지는 영정사진을 수용하기 위한 영정사진 수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유골,투명창,반자기,게르마늄,습기,해충,위생

Description

유골함{cinerary urn}
본 고안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을 오랫동안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유골의 보관 상태를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는 유교의 영향으로 인해 사람이 사망하면 땅속에 묻는 매장문화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나, 이로 인한 국토의 묘지화 또는 황폐화 등의 문제점이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최근에는 시신을 화장시켜 남은 뼈를 유골함에 넣어 보관하는 방법과 인공사리를 만들어 보관하는 방법의 납골문화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납골문화로의 변화는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에서도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때, 납골식 장묘제도에서는 유골의 안치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유골함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기 유골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유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된 용기(1)와 이 용기(1)의 상부를 덮는 뚜 껑(2)으로 구성된다.
이때, 유골함의 재질은 목재나 철재, 옥과 같은 석재 또는 도자기 등의 세라믹이나 크리스탈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유골함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첫째, 종래의 유골함은 재질의 특성상, 통풍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유골함 내부에 보관된 유골의 관리가 위생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유골함 내부에 결로(結露)현상이 발생됨으로 인해 유골에 습기가 차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골에 곰팡이나 세균번식 및 벌레 발생으로 인해, 유골로부터 악취가 발생 되어 유족들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살충제나 방부제를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야기된다.
둘째, 용기(1) 내부에 수용된 유골의 관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매번 뚜껑(2)을 열어 확인해야 함으로써, 관리자의 번거로움이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골함 내부에 습기발생을 방지하여 유골이 오랫동안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외부에서 유골함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유골의 보관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구조의 유골함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로 유골을 투입시키기 위한 유골투입구가 형성된 반자기(半瓷器) 재질의 몸체;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공간부에 수용된 유골이 보일 수 있도록 한 투명창;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투명창은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몸체의 공간부 후방에는 투명창을 통해 보여지는 영정사진을 수용하기 위한 영정사진 수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재질은 게르마늄(G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몸체에는 램프를 선택적으로 on/off 시키는 스위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위패를 설치하기 위한 위패 설치부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유골함에 의하면 유골이 보관된 몸체의 재질을 반자기, 특히, 게르마늄으로 구성함으로써, 습기 발생으로 인한 악취 및 병해충 등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유골이 오랫동안 위생적으로 보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함의 내부가 외부에서도 보일 수 있도록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유골의 보관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골함의 내부에 영정사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적으로 빛이 유골함 내부에 발광하도록 한 램프를 설치함으로써, 시간 및 장소에 관계없이 고인 을 추모하는 마음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유골함은 몸체(10)와, 투명창(30)과, 램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10)는 유골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며, 중공(中空)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몸체(10)의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상 몸체(10)의 형상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예로 한다.
상기 몸체(10)의 재질은 습기 발생으로 인한 해충 및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반자기(半瓷器)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0)의 재질은 카우린, 점토와 더불어 게르마늄(G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게르마늄의 특징은 습도,항균,항곰팡이,탈취,열전도율,음이온발생 등의효율이 뛰어나고, 원적외선이 다량 방사되는 고기능성 및 자연친화적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몸체(10)의 재질이 게르마늄을 포함함으로써, 유골을 오랫동안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10)의 내부에는 유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10)의 공간부로 유골을 투입하기 위한 유골투입 구(11)가 형성된다.
이때, 유골투입구(11)는 몸체(10)의 상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몸체(10)의 공간부로 유골을 용이하게 투입하기 위함이다.
이때, 유골투입구(11)를 개폐하는 별도의 뚜껑(13)이 구비된다.
또한, 몸체(10)의 타측에는 상기 몸체(10)의 공간부와 연통된 설치공(15)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15)은 투명창(30)을 설치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설치공(15)은 몸체(10)의 전방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족들이 서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의 내부 확인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와 같이 유골투입구(11) 및 투명창(30)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몸체(10)의 상측에 유골투입구(11)가 형성되고 몸체(10)의 전방에 설치공(15)이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공(15)은 몸체(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바, 유골함 전체의 외관을 고려하여 원형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공(15)이 형성된 몸체(10)의 내주면에는 투명창(30)이 설치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을 따라 요홈(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의 설치공(15) 반대편, 즉, 몸체(10)의 후방에는 영정사진 수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영정사진 수용부(20)는 영정사진(21)을 수용하여 고인을 추모할 수 있 도록 하며, 투명창(30)을 통해 영정사진(21)이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투명창(30)과, 영정사진 수용부(20)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때, 영정사진 수용부(20)는 몸체(10)의 후방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몸체(10)의 후방에 공간부와 연통된 통공을 형성하고, 영정사진 수용부(20)로 하여금 상기 통공을 차폐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몸체(10)의 전방에는 위패 설치부(17)가 형성되며, 상기 위패 설치부(17)는 고인의 위패를 설치하기 위한 부위로서, 투명창(30)과 간섭되지 않는 부위, 즉, 몸체(10)의 전방 하측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투명창(30)은 몸체(10)의 공간부가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며, 몸체(10)의 설치공에 설치된다.
이때, 투명창(30)은 설치공(15) 주변에 형성된 요홈(15a)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며, 유리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유리가 아니더라도 몸체(10)의 공간부가 보일 수 있는 재질이면 무방하다.
이와 같은 투명창(30)의 설치로 인해 몸체(10)의 공간부에 수용된 유골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동시에 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영정사진(21)을 보면서 고인을 추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램프(50)는 몸체(10)의 공간부를 밝혀 유골을 더욱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며, 몸체(10)의 공간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램프(50)는 LED램프임이 바람직하며, 몸체(10)의 천정 부위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10)에는 사용자가 상기 램프(50)를 선택적으로 on/off할 수 있도록 별도의 스위치(S)가 설치된다.
이때, 스위치(S)는 몸체(10)의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스위치(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식 스위치일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램프를 밝히는 터치 패널 형태의 스위치(S)일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유골함 사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골투입구(11)를 폐쇄하고 있던 뚜껑(13)을 열어 상기 유골투입구(11)를 개방시킨다.
다음으로, 화장(火葬)된 시신으로부터 나온 유골을 상기 유골투입구(11)를 통해 몸체(10)의 공간부로 투입시킨다.
이와 같이 유골이 보관된 유골함은 정해진 납골당에 위치되며, 유족들은 납골당을 방문하여 상기 유골함을 보며 고인을 추모하게 된다.
이때, 투명창(30)을 통해 유골의 보관 상태를 확인하며, 상기 투명창(30)을 통해 보여지는 영정사진(21)을 보며 고인을 추모하게 된다.
이때, 몸체(10)의 공간부를 더욱 상세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스위치(S)를 작동하여 램프(50)로 하여금 몸체(10)의 공간부를 밝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유골함은 재질이 게르마늄을 포함함으로써, 습기 발생을 억 제하여 유골을 오랫동안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에서도 투명창(30)을 통해 유골함 내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골함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 뚜껑을 여는 등에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골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몸체 11 : 유골투입구
13 : 뚜껑 15 : 설치공
17 : 위패 설치부 15a : 요홈
20 : 영정사진 수용부 21 : 영정사진
30 : 투명창 50 : 램프
S : 스위치

Claims (5)

  1. 유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로 유골을 투입시키기 위한 유골투입구가 형성된 반자기(半瓷器) 재질의 몸체;
    상기 몸체의 타측에 설치되며, 공간부에 수용된 유골이 보일 수 있도록 한 투명창; 그리고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를 포함하되,
    상기 투명창은 몸체의 전방에 설치되고, 몸체의 공간부 후방에는 투명창을 통해 보여지는 영정사진을 수용하기 위한 영정사진 수용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재질은 게르마늄(G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공간부와 연통된 통공이 형성되고, 영정사진 수용부는 투명창을 통해 영정사진이 보이도록 상기 통공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전방에는 위패를 설치하기 위한 위패 설치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
KR2020080001112U 2008-01-24 2008-01-24 유골함 KR200447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12U KR200447618Y1 (ko) 2008-01-24 2008-01-24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112U KR200447618Y1 (ko) 2008-01-24 2008-01-24 유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51U KR20090007651U (ko) 2009-07-29
KR200447618Y1 true KR200447618Y1 (ko) 2010-02-11

Family

ID=41293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112U KR200447618Y1 (ko) 2008-01-24 2008-01-24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1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532B1 (ko) * 2022-04-04 2024-04-23 노강열 조형물이 구비된 도자기(陶瓷器)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08Y1 (ko) * 2004-05-27 2004-08-23 이민호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420035Y1 (ko) * 2006-04-11 2006-07-03 심요섭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08Y1 (ko) * 2004-05-27 2004-08-23 이민호 맥반석과 게르마늄을 이용한 납골함
KR200420035Y1 (ko) * 2006-04-11 2006-07-03 심요섭 망자 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갖는 사리저장겸용 위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651U (ko)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8049B1 (ko)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US7373702B1 (en) Tree mounted cremation ash urn
KR200447618Y1 (ko) 유골함
US7251869B1 (en) Burial device
KR100729904B1 (ko) 납골함보관냉동고
KR101599524B1 (ko) 유골함
KR102384635B1 (ko) 납골함 장식대
KR20180003864A (ko) 유골함
JP2005137820A (ja) 故人の実物形像が具備された納骨箱
KR200399295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CA2769135C (en) Container for cemetary mausoleum
JP2012211499A (ja) 墓石の外柵における燈明台装置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KR102603629B1 (ko) 살아 생전 망자의 두상 모습을 입체 형상으로 만든 유골함
KR20210032652A (ko) 반려동물용 유골함
CN208031464U (zh) 一种仿真人形骨灰盒
JP3225590U (ja) 納骨壇
JP3104174B2 (ja) 動物位牌
JP2006068235A (ja) 樹木葬用仏壇及び位牌
KR200422764Y1 (ko) 납골함보관냉동고
KR200420535Y1 (ko) 개량 분골함
KR20190009975A (ko) 납골 및 청정기능을 가지는 고인 추모함
JP2002065769A (ja) 小さな納骨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