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06Y1 - 일회용 부항 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부항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06Y1
KR200447606Y1 KR2020080006279U KR20080006279U KR200447606Y1 KR 200447606 Y1 KR200447606 Y1 KR 200447606Y1 KR 2020080006279 U KR2020080006279 U KR 2020080006279U KR 20080006279 U KR20080006279 U KR 20080006279U KR 200447606 Y1 KR200447606 Y1 KR 2004476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upping
cup
rubber pack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697U (ko
Inventor
김봉추
Original Assignee
김봉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추 filed Critical 김봉추
Priority to KR2020080006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0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6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8Cupping glasses, i.e. for enhancing bloo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2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 A61M2205/273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preventing use preventing reuse, e.g. of dispos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부항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항 컵의 상단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내측으로 고무패킹이 탈착되는 조절부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가 돌출부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절부는, 상기 조절부의 하단에 화살촉 형상의 고무패킹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패킹 삽입부에 고무패킹을 간편하게 늘려 끼워 삽설시키고, 간편하게 벗겨서 이탈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항 컵 내부를 고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항, 진공, 고무패킹, 부항 컵, 부항기

Description

일회용 부항 컵{.}
본 고안은 일회용 부항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항 컵의 상단 중앙의 돌출부 내측으로 공기 유통로를 형성하고, 그 공기유통로를 고무패킹이 탈착되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고진공상태에 의한 사혈 및 부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항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회용 부항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항(附缸)이란 작은 단지나 그릇 형상의 용기를 신체 일부에 엎어 놓고 그 내부에 강한 음압을 걸어서 해당 부위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거나 어혈 등 불순한 체액을 추출해 내는 한방 치료법의 일종이다.
부항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부항기가 개발되어 있으며, 이러한 종래의 부항기들은 통상적으로 피부에 붙이는 용기 형상의 부항기 컵과, 부항기 컵 내의 공기를 뽑아내는 흡입기, 그리고 부항기 컵과 흡입기를 연결시켜 주는 튜브로 구성된다.
이 중 부항기 컵은 여러 환자들이 교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자주 환부와 접촉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체액이 묻기도 하기 때문에 한번 부항 치료를 한 후에는 반드시 부항기 컵을 세척, 소독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부항의 효과를 높이기 위에서는 부항 컵 내부가 완벽한 진공상태 여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부항 컵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한 조절부가 플라스틱 소재의 일체형으로 구비되기에, 고진공상태를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항 컵의 상단 중앙의 돌출부 내측으로 공기 유통로를 형성하고, 그 공기유통로를 고무패킹이 탈착되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고진공상태를 만들 수 있는 일회용 부항 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항 컵(10)의 상단 중앙에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의 내부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 내측으로 고무패킹(15)이 탈착되는 조절부(13)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11)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13)가 돌출부(11)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걸림부(19)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조절부(13)는, 상기 조절부(13)의 하단에 화살촉 형상의 고무패킹 삽입부(17)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패킹 삽입부(17)에 고무패킹(15)을 간편하게 늘려 끼워 삽설시키고, 간편하게 벗겨서 이탈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부항 컵의 상단 중앙의 돌출부 내측으로 공기 유통로를 형성하고, 그 공기유통로를 고무패킹이 탈착되는 조절부를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고진공상태를 만들 수 있는 일회용 부항 컵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일회용 부항 컵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진 부항 컵(10)의 상단 중앙의 돌출부(11)의 내측으로 공기 유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1) 내측으로 고무패킹(15)이 탈착되는 조절부(13)를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1)와 결합되어, 조절부(13)가 돌출부(11)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걸림부(19)를 포함한다.
한편, 조절부(13)의 하단에는 화살촉 형상의 고무패킹 삽입부(17)가 구비된다.
이때, 고무패킹 삽입부(17)에 고무패킹 삽입부(17)보다 약간 작은 크기인 고무재질의 고무패킹(15)을 간편하게 늘려 끼워 삽설시키고, 간편하게 벗겨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부항 컵(10)을 인체의 환부인 피부면에 접촉시킨 뒤, 부항 컵(10)의 상단의 돌출부(11)에 흡입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부항 컵(1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는데, 즉 흡입기를 작동시키면 부항 컵(10)의 내의 공기가 공기유통로를 지나 빠져나가므로 부항 컵(1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됨과 동시에 피부면은 빨려들어가 볼록 튀어 올라오게 되며, 이때, 흡입기를 돌출부(11)에서 이탈시키면 진공상태를 유지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조절부(13)가 하강하고, 이때 조절부(13)에 삽설된 고무패킹(15)이 공기 유통로를 막아주게 되어 진공상태가 유지되면서 부항 치료를 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부항 컵 11 : 돌출부
13 : 조절부 15 : 고무패킹
17 : 고무패킹 삽입부 19 : 걸림부

Claims (2)

  1.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부항 컵(10)의 상단 중앙에 돌출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의 내부에 공기유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1) 내측으로 고무패킹(15)이 탈착되는 조절부(13)가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11)와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13)가 돌출부(11)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걸림부(19)를 포함하는 일회용 부항 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13)는,
    상기 조절부(13)의 하단에 화살촉 형상의 고무패킹 삽입부(17)를 구비하고, 상기 고무패킹 삽입부(17)에 고무패킹(15)을 늘려 끼워 삽설시키고, 벗겨서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부항 컵.
KR2020080006279U 2008-05-14 2008-05-14 일회용 부항 컵 KR2004476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79U KR200447606Y1 (ko) 2008-05-14 2008-05-14 일회용 부항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279U KR200447606Y1 (ko) 2008-05-14 2008-05-14 일회용 부항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97U KR20090011697U (ko) 2009-11-18
KR200447606Y1 true KR200447606Y1 (ko) 2010-02-10

Family

ID=4421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279U KR200447606Y1 (ko) 2008-05-14 2008-05-14 일회용 부항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0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699B1 (ko) * 2012-03-09 2012-10-12 김봉추 부황 컵 개폐장치
KR20220030592A (ko) 2020-09-03 2022-03-11 윤희숙 상광하협 밸브통로가 구비되고 밸브의 조립이 용이한 부항컵
KR20220066514A (ko) 2020-11-16 2022-05-24 윤희숙 통로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부항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060B1 (ko) 2017-04-28 2019-02-27 김정 압축비가 향상된 부항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194Y1 (ko) 2001-04-17 2001-10-11 임석형 부항기
KR200431001Y1 (ko) 2006-09-01 2006-11-14 이용하 일회용 부항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194Y1 (ko) 2001-04-17 2001-10-11 임석형 부항기
KR200431001Y1 (ko) 2006-09-01 2006-11-14 이용하 일회용 부항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699B1 (ko) * 2012-03-09 2012-10-12 김봉추 부황 컵 개폐장치
KR20220030592A (ko) 2020-09-03 2022-03-11 윤희숙 상광하협 밸브통로가 구비되고 밸브의 조립이 용이한 부항컵
KR20220066514A (ko) 2020-11-16 2022-05-24 윤희숙 통로 하부에 요철이 형성된 부항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97U (ko) 2009-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24585B1 (en) Nasal aspirator
KR200447606Y1 (ko) 일회용 부항 컵
JP2017074384A5 (ko)
KR200431001Y1 (ko) 일회용 부항컵
KR101775945B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역류방지 스포이드 용기
KR101211506B1 (ko) 일회용 부항컵
KR200450951Y1 (ko) 부항기기
US20060161175A1 (en) Obstetrical vacuum extractor
KR100803765B1 (ko) 수액백 포트 및 수액백 포트 제조방법
KR200406847Y1 (ko) 측면 절개부가 형성된 밸브를 갖는 부항컵
KR101624857B1 (ko) 일회용 부항컵
KR200439067Y1 (ko) 부항컵용 밀착패드
KR102236197B1 (ko) 감압 속도 조절 부항컵 및 감압 속도 조절 부항 장치
KR101142027B1 (ko) 공기밸브가 구비된 부항기
KR101476545B1 (ko) 부항컵
KR200317829Y1 (ko) 부항기
JP6108777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KR100877558B1 (ko) 부항 위생 캡
KR20170003659U (ko) 음압설정이 용이한 음압을 이용한 석션 마사지기
KR200411221Y1 (ko) 보강기둥을 갖는 일회용 부항컵
KR20150145589A (ko) 부항 장치
KR20170040661A (ko) 의료용 흡인기
KR20090004791U (ko) 어혈 흡수재를 구비한 일회용 부항컵 및 그것에 끼워서사용하는 어혈제거구
KR102492254B1 (ko) 상광하협 밸브통로가 구비되고 밸브의 조립이 용이한 부항컵
KR102361267B1 (ko) 침 시술이 가능한 부항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