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327Y1 -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327Y1
KR200447327Y1 KR2020070016390U KR20070016390U KR200447327Y1 KR 200447327 Y1 KR200447327 Y1 KR 200447327Y1 KR 2020070016390 U KR2020070016390 U KR 2020070016390U KR 20070016390 U KR20070016390 U KR 20070016390U KR 200447327 Y1 KR200447327 Y1 KR 200447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rminal body
holder
hollow hole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434U (ko
Inventor
유병훈
성원모
이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2020070016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32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4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4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01Q1/103Latching means; ensuring extension or retra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안테나가 수신방향을 설정한 상태에서는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기의 수신감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지상파 DMB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안테나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안테나를 지지하되, 내측에 안테나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안테나 홀더를 포함하며, 그 안테나와 안테나 홀더는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최장 상태로 인출 시 상호 간에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갖는 안테나 장치가 개시된다.
안테나, 안테나 홀더, 회전방지수단

Description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ANTENNA APPARATUS AND A WIRELESS TERMINAL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단말기 본체 내의 안테나 수납공간으로 인입이 가능한 안테나와, 단말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가 특정 위치에서는 상호 간의 회전이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안테나의 수신방향을 설정한 후에는 안테나가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단말기의 수신감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상파 DMB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CD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또는 영상 서비스 등이 가능하고 우수한 고정 및 이동 수신 품질을 제공하는 디지털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으로서, 전송 경로 및 매체에 따라 크게 위성 DMB와 지상파 DMB로 나뉘며, 특히 지상파 DMB에 사용되는 전파의 경우 회절특성 및 지향성을 가지므로 지상파 DMB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안테나에 방향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상파 DMB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로부터 유입 또는 LCD 액정에서 발생되는 노이즈(Noise)와 단말기 본체의 그라운드(Ground) 조건 등에 지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신호 대 잡음 비가 충분히 보장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지상파 DMB 안테나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신호 대 잡음 비가 우수한 봉 형태의 로드(Rod) 안테나를 탈착형 혹은 내장형 DMB 모듈에 연결하여 사용시 길게 뽑을 수 있음과 동시에 수신방향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지상파 DMB 안테나의 일례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11/12)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고,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쪽의 단부에 걸림턱(22)을 형성한 안테나(10)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안테나(10)를 지지하되, 내측에 안테나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홀(21)을 형성하고, 그 중공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15)을 형성한 안테나 홀더(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안테나(10)는 중공홀(21)의 가상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상부안테나(11)는 힌지축(13)을 중심으로 좌우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안테나의 수신방향을 자유롭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상파 DMB 안테나는 길이의 신장이 가능한 로드 안테나의 구조적 특성상 안테나(10)의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안테나가 드나드는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 또한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호 간의 고정상태가 단순히 면접촉에 의한 마찰 간섭력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진동 등의 작은 외력에도 안테나(10)가 쉽게 회전됨으로 인해 최적의 수신방향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고, 이는 결과적으로 지상파 DMB 단말기의 수신 감도를 현저하게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감안하여 안테나가 최적의 수신방향으로 조정된 상태에서는 안테나 홀더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상파 DMB 안테나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고안을 창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목적은 안테나의 수신방향이 설정된 상태에서는 안테나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안테나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되 내측에 안테나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안테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단부에 결합하되,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과; 상기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 일부분에 상기 스토퍼 축과 대응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 스토퍼 보스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다단으로 인출되어 길이의 신장 가능한 로드 안테나인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안테나의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홀더는 상기 중공홀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무선단말장치에 내장되어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 내에서 안테나가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 및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안테나를 최적의 수신방향으로 설정한 후, 안테나를 단말기 본체로부터 최장 상태로 인출하면서 안테나에 결합된 스토퍼 축과 안테나 홀더에 형성된 스토퍼 보스가 상호 간에 간섭을 일으키도록 결합함으로써, 안테나가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해 안테나의 홀더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의 수신감도 및 안테나의 전파수신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안정적이게 유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 및 통용되는 고유의 의미로 해 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100)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200)와, 안테나(100)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최장 상태로 인출 시 안테나 홀더(200) 내에서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안테나(100)는 상/하부안테나(110/120)로 분할 및 상호 힌지 결합되어 단말기 본체로부터 인출 및 단말기 본체 내의 안테나 수납공간으로 인입이 가능하고,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인출 시 특정 각도로 손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안테나(100)는 다단으로 인출되어 길이의 신장이 가능한 상부안테나(110)와, 이 상부안테나(110)의 하부에 형성하되, 중앙에는 힌지홀(112)을, 외측 둘레에는 상부안테나가 적정한 방향성을 갖는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다수의 요부와 철부가 반복 형성되는 래치 형태의 걸림홈(113)을 형성한 회전편(111)과, 상부안테나(110)가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편의 힌지홀(112)과 힌지축(121)에 의해 결합되는 지지리브(122)를 양측에 형성한 하부안테나(120)와, 이 하부안테나(1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부안테나(110)가 좌우 회전 시 소정 각도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토퍼 어셈블리(130,140,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 어셈블리는 회전편의 걸림홈(113)에 탄력적으로 걸림되면서 상부안테나(110)를 소정각도로 고정시키는 스토퍼(130)와, 이 스토퍼(130)에 탄발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40)와, 이 탄성부재(1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부안테나(1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캡(150)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안테나(110)는 그 하부에 형성된 걸림홈(113)과 하부안테나(120)에 내장 설치된 스토퍼(130)의 물리적 접촉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소정 각도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진동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자유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안테나(120)의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쪽의 단부에는 안테나(100)를 인출 시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0) 내측에 형성된 이탈방지턱(211)에 걸림되면서 안테나(100)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23)이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 홀더(200)는 단말기 본체에 내장 설치되어 안테나(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안테나(100)가 드나들 수 있도록 그 내측에 중공홀(2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홀(210)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서는 안테나(100)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11)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수단은 안테나(100)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최장 상태로 인출 시 안테 나 홀더(200)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테나(100)와 안테나 홀더(200)에 각각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의 제1실시예로서 본 고안에서는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축(160)을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하부안테나(120)의 단부에 결합하고, 단면이 스토퍼 축(160)과 서로 대응하는 다각형의 홀로 이루어진 스토퍼 보스(230)를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0) 일부분에 형성하였다.
여기서, 스토퍼 축(160)은 그 정단면 상의 최대길이가 안테나(100)의 지름보다 길도록 하고,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0)은 그 정단면 상의 지름이 스토퍼 축(160)의 정단면 상의 최대길이보다 크게 형성하며, 스토퍼 축(160)과 스토퍼 보스(230)의 다각형상은 정팔각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안테나의 인출 및 인입 동작이 원활하면서 상호 간의 회전은 안정적으로 구속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스토퍼 보스(230)는 안테나(100)의 수신방향 설정에 따른 이동이 최대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탈방지턱(211)에 인접하도록 형성하고, 그 길이는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스토퍼 축(160)과 스토퍼 보스(230)는 안테나(100)의 인출 및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안테나(100)가 안테나 홀더(200) 내에서 회전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의 수신방향을 설정할 경우에는 안테나(100)가 안테나 홀더에 형성된 중공홀(210)의 가상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양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상부안테나(110)는 힌지축(121)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기 때문에 안테나(100)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안테나의 수신방향을 설정한다.
이후, 안테나(100)가 최적의 전파수신 위치로 조정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0)를 단말기 본체 및 안테나 홀더(200)로부터 최장 상태로 인출시킴과 동시에 안테나에 형성된 스토퍼 축(160)과 안테나 홀더에 형성된 스토퍼 보스(230)를 상호 간에 간섭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로써, 상호 간섭으로 인해 회전될 수 없는 다각형 형상을 갖는 스토퍼 축(160)과 스토퍼 보스(230)에 의해 안테나(100)의 단부가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0)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진동 등의 외력을 받더라도 안테나(100)의 전파수신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안정적이게 유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토퍼 축(160)과 스토퍼 보스(230)는 그 형상 및 구조적인 특성상 상호 결합 시 안테나(100)가 중공홀(210)의 가상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만을 구속하기 때문에 안테나(100)를 단말기 본체 및 안테나 홀더로부터 인출시키거나 단말기 본체 및 안테나 홀더 내로 인입시키는 것은 종래와 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안테나(100)를 접을 경우에는 안테나를 단말기 본체의 안테나 수납공간 및 안테나 홀더 내의 원래 위치대로 손쉽게 인입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지수단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상이 다수의 홈과 돌기를 갖는 스플라인(spline)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축(160a)을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하부안테나(120)의 단부에 결합하고, 단면이 스토퍼 축(160a)과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스플라인 보스(spline boss)로 이루어진 스토퍼 보스(230a)를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0) 일부분에 형성하였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방지수단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형상이 다수의 홈과 돌기를 갖는 세레이션(serration)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축(160b)을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하부안테나(120)의 단부에 결합하고, 단면이 스토퍼 축(160b)과 서로 대응하는 형상의 세레이션 보스(serration boss)로 이루어진 스토퍼 보스(230b)를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210) 일부분에 형성하였다.
이러한 회전방지수단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무선단말장치를 나타 낸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장치(300)는 안테나(100)와, 무선단말장치에 내장되어 안테나를 지지하는 안테나 홀더(200)와, 안테나(100)와 안테나 홀더(200) 상호 간에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단말장치(300)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안테나 장치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이므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통하여 도시된 안테나의 경우 지상파 DMB 대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장착된 무선단말장치를 나타낸 요부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테나 110: 상부안테나
111: 회전편 112: 힌지홀
113: 걸림홈 120: 하부안테나
121: 힌지축 122: 지지리브
123: 걸림턱 130: 스토퍼
140: 탄성부재 150: 캡
160: 스토퍼 축
200: 안테나 홀더 210: 중공홀
211: 이탈방지턱 230: 스토퍼 보스

Claims (8)

  1. 삭제
  2. 안테나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되 내측에 안테나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안테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단부에 결합하되, 단면의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과;
    상기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 일부분에 상기 스토퍼 축과 대응되도록 다각형으로 형성된 스토퍼 보스;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은 정팔각형인 안테나 장치.
  4. 안테나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되 내측에 안테나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안테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단부에 결합하되, 단면의 형상이 스플라인(spline)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과;
    상기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 일부분에 상기 스토퍼 축과 대응되도록 스플라인 보스(spline boss)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 보스;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5. 안테나와, 단말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되 내측에 안테나가 드나들 수 있도록 중공홀이 형성된 안테나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의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단부에 결합되고, 단면의 형상이 세레이션(serration)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 축과;
    상기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 일부분에 상기 스토퍼 축과 대응되도록 세레이션 보스(serration boss)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 보스;
    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다단으로 인출되어 길이의 신장 가능한 로드 안테나인 안테나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단말기 본체에 삽입되는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홀더의 중공홀에는, 상기 걸림턱과 접촉간섭에 의해 안테나가 단말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안테나 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단말장치.
KR2020070016390U 2007-10-09 2007-10-09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KR20044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390U KR200447327Y1 (ko) 2007-10-09 2007-10-09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390U KR200447327Y1 (ko) 2007-10-09 2007-10-09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34U KR20090003434U (ko) 2009-04-14
KR200447327Y1 true KR200447327Y1 (ko) 2010-01-15

Family

ID=41289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390U KR200447327Y1 (ko) 2007-10-09 2007-10-09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3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127Y1 (ko) * 2009-09-11 2011-06-17 김시열 공간 축소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신축 가능형 안테나
KR200492568Y1 (ko) 2019-04-12 2020-11-05 주식회사 성현섬유 섬유원단 샘플용 바인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008A (ja) * 1995-07-25 1997-04-08 Yokowo Co Ltd 移動通信機器用アンテナ装置
KR19980035112U (ko) * 1996-12-12 1998-09-15 김영환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8008A (ja) * 1995-07-25 1997-04-08 Yokowo Co Ltd 移動通信機器用アンテナ装置
KR19980035112U (ko) * 1996-12-12 1998-09-15 김영환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434U (ko) 2009-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3379C2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ое демпф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акуст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для аппаратуры отображения видеоинформации
CN101005674A (zh) 具有支脚的便携式终端设备
KR200447327Y1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단말장치
JP2005318406A (ja)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KR100818741B1 (ko) Dmb 안테나를 장착한 차량용 거치대
US20100141847A1 (en) Mobile television device with break-resistant integrated telescoping antenna
KR100797626B1 (ko) 다중 대역 슬라이드형 안테나를 구비한 단말기
US7253774B2 (en) Collapsible antenna device
JP4469760B2 (ja) 携帯型無線装置
KR100869972B1 (ko) 디엠비 수신안테나용 커넥터
KR0153661B1 (ko) 위성방송 수신기용 카드 보호장치
KR200446945Y1 (ko)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JP2004363763A (ja) 折り畳み可能なアンテナ装置
KR20080032434A (ko) 다단 안테나
EP3451445B1 (en) Antenna rotating head with a double grooves structure
JP2007295450A (ja)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KR101030386B1 (ko) 소형 이동통신 기지국용 안테나 장치
KR200392631Y1 (ko) 디엠비 수신기의 안테나 각도 조절장치
KR101019693B1 (ko) 이동 방송 수신용 안테나 및 이동 방송 수신 장치
KR20110015984A (ko) 스파이럴 안테나가 구비된 안테나 모듈
KR20090000529U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이중스프링 스위블안테나
KR200393183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JP2008236571A (ja) 携帯端末用アンテナ及び携帯端末
KR19980032341U (ko) 안테나 고정장치
KR200446944Y1 (ko) 다단 접이식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