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175Y1 -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 Google Patents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175Y1
KR200447175Y1 KR20070016263U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KR 200447175 Y1 KR200447175 Y1 KR 200447175Y1 KR 20070016263 U KR20070016263 U KR 20070016263U KR 20070016263 U KR20070016263 U KR 20070016263U KR 200447175 Y1 KR200447175 Y1 KR 200447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ath
bathtub
water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62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3336U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20070016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175Y1/en
Publication of KR200900033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33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1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47K3/024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3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 A47K3/034Baths attachable to other baths, sinks, wash-basins, or the like ; mounting fram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use for children or bab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 A47K3/127Body supports for children or bab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욕조에 관한 것으로, 외부욕조와, 상기 외부욕조 내에 설치되는 내부욕조, 및 일단이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탈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내부욕조의 상단부에 얹혀져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내·외부욕조 중 어느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긴 후, 다른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2차로 헹구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bath, an external bath, an internal bath installed in the external bath, and a supporting member having one end detached from an upper end of the external bath and a center of which is placed on an upper end of the internal bath to lie down the infant. It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o wash the infant first with water filled in any one of the inner and outer tub, and to rinse the infant second with water filled in the other tub.

본 고안의 유아욕조는, 유아를 목욕시키기 전에 씻김용과 헹굼용 물을 각각 수용시켜 물을 교체하지 않고도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있다. 또한,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shing and rinsing water may be accommodated before the infant baths to perform the infant's bath without replacing the water.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nner tub can be changed so as not to be constrained by the space to install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of the guardian.

유아, 욕조 Infant, bathtub

Description

유아욕조{Baby bathtub}Baby bathtub

본 고안은 유아욕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욕조가 설치되는 공간 및 보호자의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에 따라 욕조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씻기용과 헹굼용 물을 분리되도록 수용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유아를 목욕시킬 수 있는 유아욕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bathtub,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space in which the infant bathtub is installed and the left-handed or right-handed of the guardian, and to accommodate the washing and rinsing water to be separated quickly and It relates to an infant bathtub that can conveniently bathe the infant.

일반적으로, 신생아는 잦은 소변 및 땀 등으로 인해서 피부 살갗이 물러지거나 땀띠, 혹은 습진 등이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수시로 목욕을 시켜주어야 한다.In general, newborn babies should be bathed frequently because of frequent urine and sweating, such as skin rashes, sweat bands, and eczema.

그리고, 첫돌이 지난 유아들은 본능적인 호기심으로 인해 온몸에 오물이나 먼지가 묻어나기 쉽고, 대소변을 가리지 못할 경우에는 그 부분의 살갗이 매우 약하여 쉽게 물러지게 된다. 따라서, 자주 목욕을 시켜 주어야 피부의 탄력성을 유지하면서도 청결하고 강건한 신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fants who have passed the first turn are likely to have dirt or dust all over their bodies due to their instinctive curiosity. Therefore, frequent bathing should maintain the elasticity of the skin while maintaining a clean and robust body condition.

또한, 유아들은 스스로 몸을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므로, 목욕을 할 경우에 자주 넘어지거나 손을 놓치게 될 우려가 높고, 눈이나 귀로 물이 들어가게 될 염려도 있는 관계로 어느 정도 성장을 한 어린이들의 목욕과는 달리 매우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한다.In addition, infants are less able to move themselves freely, so children who have grown to some extent are more likely to fall or miss their hands when taking a bath and may get water into their eyes or ears. Unlike the bath of the field should be done very carefully.

즉, 욕조 내부에 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유아의 목과 몸을 보호자가 한 손으로 잡고, 남은 한 손으로 물을 이용하여 신체를 닦아내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guardian holds the baby's neck and body with one hand while the water is stored inside the bathtub, and uses the remaining one hand to wipe the body with water.

그런데, 종래의 유아욕조는 유아를 1차적으로 씻긴 후, 이 물을 버린 후 재차 물을 채워서 유아를 헹구게 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fant bath, after washing the infant primarily, the water is discarded and the water is filled again to rinse the infant.

물을 버릴 때는 욕조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출구를 개방하여 버리거나 유아를 욕조에서 들어올린 후 욕조 내에 있는 물을 통째로 버리게 된다.When the water is thrown away, the outle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athtub is opened or the infant is lifted out of the bathtub and the whole water in the bathtub is discarded.

전자의 경우, 즉 배출구를 개방하여 버릴 경우 유아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나, 배출된 후 유아를 헹구기 위해 욕조 내에 물을 재차 넣을 경우 유아가 욕조 내에 위치된 상태로 물을 넣어야만 한다.In the former case, that is, the infant may be stably positioned when the outlet is opened, but when the water is re-inserted into the bathtub to rinse the infant after being discharged, the infant should be 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infant is placed in the bathtub.

그런데, 유아의 피부는 매우 연약하기 때문에 보호자가 괜찮다고 느낄 정도의 물 온도는 유아에게 화상을 입힐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skin of the infant is very soft, the water temperature such that the guardian feels okay may cause burns to the infant.

후자의 경우, 즉 유아를 욕조에서 들어올린 후 물을 통째로 버린 후 채우게 될 경우, 한 명의 보호자만으로 물을 교체할 수가 없다. 즉, 한 명 유아를 들어올려서 잡고 있어야 하고 다른 한 명은 물을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이다.In the latter case, if the infant is lifted out of the bath and then discarded and filled, the water cannot be replaced by only one guardian. That is, one infant must be lifted and held and the other must replace the water.

어떠한 경우든 유아의 목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으며 물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맞추기 위해서 유아를 들고 기다려야만 한다. 이는 유아에게 신체적 피로감을 줄 수 있으며 면역력이 약한 유아가 감기에 걸릴 확률이 커지게 되는 것이다.In any case, the infant's bath cannot be performed quickly, and the baby must be held with the infant in order to bring the water to the proper temperature. This can cause physical fatigue in infants and infants with low immunity are more likely to catch a cold.

한편, 종래의 유아욕조는 그 길이가 대략 80cm 에서 1m 정도로 구비되는데 보호자가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infant bathtub is provided with a length of about 80cm to about 1m, the guardian is limited by the space to install the bath according to the left-handed and right-handed.

따라서, 유아를 목욕시킬 때 매우 익숙하지 않은 손으로 목욕을 시킬 경우 유아에게 상처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더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욕조에서 유아를 목욕시킬 경우에는 물을 교체하면서 유아를 떨어뜨릴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Therefore, a problem arises that the infant is injured when the infant is bathed with an unfamiliar hand. In addition, when bathing the infant in the bath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may drop the infant while replacing the water.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본 고안은, 보호자가 혼자서도 유아의 목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유아욕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fant bathtub that allows the guardian to quickly and conveniently take care of the infant alone.

또한, 유아를 목욕시키기 전에 씻김용(비눗물)과 헹굼용 물을 각각 수용시켜 물을 교체하지 않고도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있는 유아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bath for washing (soap water) and rinsing water before each bath is provided to provide an infant bath to perform the infant's bath without replacing the water.

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유아욕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n infant bathtub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internal bathtub so as not to be constrained by the space to install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of the guardian.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아욕조는, 외부욕조; 상기 외부욕조 내에 설치되는 내부욕조; 및 일단이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탈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내부욕조의 상단부에 얹혀져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내·외부욕조 중 어느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긴 후, 다른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2차로 헹구는 것이 특징이다.Infant bathtub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xternal bath; An inner tub installed in the outer tub; And a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detached from an upper end of the outer tub, and a center member placed on an upper end of the inner tub to lie down the infant. After being washed, the child is rinsed secondly with water filled in another bath.

본 고안의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외부욕조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에서 세 방향으로 라운드를 갖는 제1·제2·제3돌출부;가 구비된다.In the infant bathtub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tub is provided with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having a round in the center in three directions when viewed in a plane.

본 고안의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욕조는 그 양측면이 상기 제1·제3돌출부에 각각 밀착, 또는 일측면이 상기 제2돌출부에 밀착된다.In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inner bath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irst and third protrusions, or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sions.

본 고안의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한다.In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member is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 Includes; the support portion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locking portion can lie down the infant.

본 고안의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낙하방지부;가 돌출 형성된다.In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a drop preventing por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infant does not fall.

본 고안의 유아욕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 지지홈; 및 물을 하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 내에 배출홀;이 형성된다.In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ember is a support groove on the oth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to support the head of the infant stably; And a discharge hole in the support groove to discharge water in a downward direction.

본 고안의 유아욕조는, 보호자가 혼자서도 유아의 목욕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유아를 목욕시키기 전에 씻김용과 헹굼용 물을 각각 수용시켜 물을 교체하지 않고도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있다.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ardian can make the bath of the infant quickly and conveniently. That is, the bath for the infant can be performed without replacing the water by accommodating the washing and rinsing water, respectively, before bathing the infant.

또한,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따라 욕조를 설치하게 되는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도록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inner tub can be changed so as not to be constrained by the space to install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right-handed and left-handed of the guardian.

그리고, 목욕탕 내부의 구조에 따라 내부욕조의 위치를 변경하여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목욕탕의 배수구, 급수구, 세정용품 등의 위치에 따라 목욕 전 욕조의 구조를 변경하여 보호자의 편리성을 극대화할 할 수 있다.The infant may be bath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internal bathtub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athroom.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the caregiver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the bath before the bath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drain, water supply, cleaning supplies, etc. of the bath.

뿐만 아니라, 신생아는 받침부재에 눕힌 상태로 목욕을 수행하고, 2∼3세의 유아들은 받침부재를 분리하여 내부욕조 또는 외부욕조에 위치시킨 상태로 목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신생아부터 2∼3세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성장에 따른 신체에 따라 욕조를 변경하여 구매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newborn baby may take a bath while lying on the supporting member, and infants 2 to 3 years old may perform the bath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member and placed in an internal bath or an external bath. In other words, newborns can be used from 2 to 3 years old, so you do not have to change the bathtub depending on the body as you gro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유아욕조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아욕조(100)는 외부욕조(110), 내부욕조(120), 받침부재(130)로 크게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infant bath 100 is largely composed of an external bath 110, an internal bath 120, and a support member 130.

상기 외부욕조(110)는 내부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수용부(111)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111)와 연통되는 개구부(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욕조(110)는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에서 방사 방향으로 세 개의 돌출부(113a,113b,113c)가 구비된다.The outer tub 110 is form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111 to fill water therein, and an opening 112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ng part 111 is formed thereon. In addition, the external tub 110 is provided with three protrusions 113a, 113b, and 113c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when viewed in a plan view.

상기 돌출부(113a,113b,113c)는 내·외주면이 각각 라운드 되도록 형성되고, 세 개의 상기 돌출부(113a,113b,113c)가 연결되어 하나의 외부욕조(110)를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돌출부(113a,113b,113c)의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제1·제2·제3돌출부(113a,113b,113c)로 기재하도록 하겠다.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양측에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돌출부(113c)는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 사이에 위치된다.The protrusions 113a, 113b, and 113c are formed so that inner and outer peripheral surfaces are rounded, respectively, and the three protrusions 113a, 113b, and 113c are connected to form one external bath 110. Hereinafter, in order to clarify the description of the protrusions 113a, 113b, and 113c, the first, second, and third protrusions 113a, 113b, and 113c will be described. The two protrusions 113b are located at both sides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hird protrusion 113c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second protrusion 113b.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는 대략 1m 내외의 간격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3돌출부(113c)는 상기 제2돌출부(113b)보다 상기 제1돌출부(113a)에 좀더 인접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3돌출부(113c)는 대략 70cm 정도의 간격을 갖는다.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3돌출부(113c)와의 간격은 한정되지 않으나 이러한 수치는 각각의 간각의 간격에 따른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second protrusion 113b have an interval of about 1m. The third protrusion 113c is connected to be closer to the first protrusion 113a than the second protrusion 113b. Here,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have an interval of about 70 cm.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second protrusion 113b,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is not limited, but these values indicate the ratios according to the intervals of the respective intervals. will be.

또한,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2돌출부(113b) 및 상기 제1돌출부(113a)와 상기 제3돌출부(113c)의 외주면은 그 상단은 평행한 직선의 형태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돌출부(113b)와 상기 제3돌출부(113c)의 외주면 상단은 중심부 방향으로 요입된 라운드 형상을 갖도록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113a, the second protrusion 113b, and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is shown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at the upper end thereof. It became. In addition, upper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protrusion 113b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are illustrated to have a round shape concaved in the center direction. However, the shape is not limited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한편, 상기 내부욕조(120)는 상기 외부욕조(110) 내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욕조(110)와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121)가 형성되고 상부는 상기 수용부(121)와 연통되는 개구부(122)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tub 120 is located inside the outer tub 110, similarly to the outer tub 110, an accommodating part 121 is formed therein so as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tub 120 is provided. An opening 122 communicating with the part 121 is formed.

상기 내부욕조(120)는 횡 방향 길이가 70cm를 벗어나지 않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는 그 양측면이 상기 외부욕조(110)에 구비된 제1돌출부(113a)와 제3돌출부(113c)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The inner tub 120 is provided so that the transverse length does not deviate from 70 cm. That is, the inner tub 120 is provided so that both sides thereof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provided in the outer tub 110.

그리고, 상기 내부욕조(120)는 상기 외부욕조(110)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의 양측면 외주면이 상기 외부욕조(110)의 제1돌출부(113a)와 제3돌출부(113c)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내부욕조(120)의 일측면 외주면이 상기 제3돌출부(113c)의 내측면에만 밀착되도록 위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tub 120 is provided to enable position movement within the outer tub 110. That is, both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inner tub 120 are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inner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of the outer tub 110, or one side surface of the inner tub 12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ly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protrusion 113c.

또한, 상기 내부욕조(120)는 그 일측면이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기울어지는 경사면(124)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욕조(120)의 바닥면(123) 면적은 상기 내부욕조(120)의 개구부(122)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inner tub 120 is form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has an inclined surface 124 inclin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That is, the area of the bottom surface 123 of the inner tub 120 is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area than the area of the opening 122 of the inner tub 120.

상기 받침부재(130)는 걸림부(131), 받침부(132), 낙하방지부(133)로 크게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131)는 상기 받침부재(130)의 일측 끝단부에 위치되고, 전술되어진 외부욕조(110)의 상단에 삽입된다.The supporting member 130 is largely composed of a locking portion 131, a supporting portion 132, a drop prevention portion 133. The locking portion 131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support member 130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bath 110 described above.

즉, 상기 걸림부(131)는 상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욕조(110)의 상단에 삽입되는 것이다. 이 걸림부(131)의 횡 방향 길이는 내부욕조(120)의 폭 방향 길이와 동일하거나 이 폭 방향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이격된 상태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at is, the engaging portion 131 is made of a hook shape that is bent in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 110.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locking portion 131 has a length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width direction length of the internal tub 120. And, it may be provided in plural in a spaced state at regular intervals.

상기 받침부(132)는 상기 걸림부(13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그 길이는 대략 70cm 정도 내외로 구비된다. 이 받침부(132)는 유아의 신체가 눕혀지는 부분으로서 하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ortion 132 is injection molded integrally with the locking portion 131, the length is provided about 70cm or so. The support part 132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as a part of the infant's body lying down.

또한, 상기 받침부(132)에는 유아가 눕혀지는 머리부에 지지홈(132-1)이 형성된다. 유아의 다리는 상기 걸림부(131) 방향으로 위치되고, 유아의 머리는 상기 지지홈(132-1) 내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홈(132-1)은 유아의 머리 저면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요입된 형상을 갖는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132 is formed with a support groove 132-1 on the head of the infant lying down. The infant's leg is positioned in the direction of the engaging portion 131, and the infant's head is positioned in the support groove 132-1. The support groove 132-1 has a concave shape so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fant's head can be stably supported.

그리고, 상기 지지홈(132-1) 내에는 배출홀(132-2)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32-2)은 유아를 목욕시킬 때 상기 배출홀(132-2)을 통해 물이 하측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 discharge hole 132-2 is formed in the support groove 132-1. The discharge hole 132-2 is for discharging water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2-2 when the infant is bathed.

상기 낙하방지부(133)는 상기 받침부(132)의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낙하방지부(133)는 대략 10cm 정도 내외의 높이로 이루어지며 유아의 다리와 팔, 그리고 어깨 부분이 상기 받침부(13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fall prevention part 133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edge of the support 132. The fall prevention part 133 is made of a height of about 10cm and to prevent the legs, arms, and shoulders of the infa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132.

또한, 상기 낙하방지부(133)는 상기 받침부(132)와 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낙하방지부(133)와 상기 받침부(132)의 연결부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all prevention part 1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part 132,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fall prevention part 133 and the support part 132 is formed to have a round.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유아욕조(10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state of use of the infant bat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첨부된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부욕조(120)를 상기 외부욕조(110) 내부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내부욕조(120)의 양측면은 상기 외부욕조 (110)에 구비된 제1돌출부(113a)와 제3돌출부(113c)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As shown in FIG. 4A, the inner tub 120 is positioned inside the outer tub 110. At this time, both side surfaces of the inner tub 120 ar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inner surfaces of the first protrusion 113a and the third protrusion 113c provided in the outer tub 110.

즉,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지지홈(132-1) 및 배출홀(132-2)은 내부욕조(120)의 측면을 벗어나도록 위치된다.That is, the support grooves 132-1 and the discharge holes 132-2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30 are positioned to deviat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inner tub 120.

이후, 상기 외부욕조(110)와 상기 내부욕조(120)에 각각 물을 수용시킨 후,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걸림부(131)를 상기 외부욕조(110)의 상단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욕조(120)에는 물을 수용할 수도 있고 빈 상태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Then, after receiving the water in the outer tub 110 and the inner tub 120, respectively, the locking portion 131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 110 and fixed. . In this case, the inner tub 120 may accommodate water or be placed in an empty state.

그리고, 유아를 상기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받침부(132)에 눕힌 후 외부욕조(110)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유아를 목욕시키게 된다. 만약, 내부욕조(120)에 물이 수용된 상태라면 상기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씻기게 된다.Then, the infant is lying on the support part 132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30, and then the infant is bathed using wa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bath 110. If the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tub 120, the infant is washed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ner tub 120.

이때, 보호자는 외부욕조(110)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유아를 1차로 씻길 수도 있으며,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길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guardian may first wash the infant by us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tub 110, or may primarily wash the infant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tub 120.

또한, 상기 내부욕조(120)는 초기에 물을 수용시킬 때 보호자가 미리 비눗물로 만들어 놓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tub 120 may or may not be made of soapy water in advance by the protector when initially receiving water.

어떠한 조건에 상관없이 유아를 1차로 씻길 때의 비눗물은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배출홀(132-2)을 통해 내부욕조(120)로 흘러가게 된다. 보호자는 이 물로 유아를 반복해서 씻길 수도 있는 것이다.Regardless of any condition, soapy water when the infant is primarily washed flows into the internal bath 12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2-2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30. The guardian may wash the infant repeatedly with this water.

유아를 비눗물로 1차 씻긴 후에는 외부욕조(11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2차로 씻기게 된다. 즉, 이때 상기 외부욕조(110)에 담겨진 물은 비눗물을 제거하기 위한 헹굼용 물이 되는 것이다.After the infant is first washed with soapy water, the infant is secondarily washed with wa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tub 110. That is, in this case, the water contained in the external bath 110 becomes rinsing water for removing soapy water.

한편, 유아욕조(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상의 문제, 즉 목욕탕의 배수구, 급수구, 세정용품 등의 위치 관계 및 보호자의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에 따라 외부욕조(110)와 내부욕조(120)의 위치를 변경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pace problem for installing the infant bathtub 100,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of the drain, water supply, cleaning products, etc. of the bathroom and the right or left handed by the guardian of the external bath 110 and the internal bath 120 Will change location.

이때, 외부욕조(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태로 위치될 수도 있으나 평면상에서 ±90 또는 180˚회전시켜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욕조(120)는 상기 외부욕조(110)의 어떠한 위치 변경에 상관없이 위치를 변경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external tub 110 may be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positioned by rotating ± 90 or 180 ° on a plane. And the inner tub 120 changes the position regardless of any position change of the outer tub 110.

즉, 상기 내부욕조(120)의 일측면은 외부욕조(110)에 구비된 제2돌출부(113b)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한 후 받침부재(130)를 위치시키게 된다.That is, one side surface of the inner tub 120 is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113b provided in the outer tub 110. Then, after receiving the water as described above to place the support member 130.

이 경우 도시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받침부재(130)에 구비된 지지홈(132-1) 및 배출홀(132-2)은 내부욕조(120)의 수용부(121) 및 개구부(122) 내에 위치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B, the support groove 132-1 and the discharge hole 132-2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130 are provided with the receiving portion 121 and the opening 122 of the internal tub 120. Is located within.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자는 받침부재(130)에 눕혀진 유아를 비눗물로 씻기게 되고, 이때의 비눗물은 상기 배출홀(132-2)을 통해 외부욕조(110) 내부로 흘러가게 된다. 이 외부욕조(110)에는 물, 또는 비눗물이 담겨지거나 빈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state, the guardian washes the infant lying on the supporting member 130 with soapy water, and the soapy water flows into the external tub 110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2-2. The external tub 1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water or soapy water is contained or empty.

유아를 1차로 씻기고 난 후,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2차로 씻겨 비눗물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After washing the infant first, the infant is secondarily washed with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tub 120 to remove the soapy water.

이상과 같은 유아의 목욕 방법은 신생아부터 돌이 지나기 전의 유아를 목욕 시킬 때 사용하게 된다.The infant bath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is used to bathe the infant before the baby passes the stone.

그러나, 돌이 지난 유아의 경우 즉 2∼3세까지의 유아는 받침부재(130)를 분리한 상태로 내부욕조(120)와 외부욕조(110)만으로 유아를 씻길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infants who have passed the stone, that is, infants up to 2 to 3 years old may wash the infant only by the inner tub 120 and the outer tub 110 in a state where the supporting member 130 is separated.

즉, 첨부된 도 4c와 도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욕조(120)와 외부욕조(110)에 각각 물을 수용시킨 후 유아는 내부욕조(120)에 구비된 경사면(124)에 등을 기대어 앉을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S. 4C and 4D, after the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tub 120 and the outer tub 110, the infant leans against the inclined surface 124 provided in the inner tub 120. Allow yourself to sit down.

보호자는 내부욕조(120)에 담겨진 물로 유아를 1차 씻기게 되는데, 이때 비눗물로 유아를 씻기게 된다. 이후, 유아를 외부욕조(110)에 위치시켜 2차로 씻김으로써 비눗물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The caregiver first washes the infant with water contained in the internal tub 120, at which time the infant is washed with soapy water. Then, by placing the infant in the external tub 110 to be washed by the secondary soap can be removed.

또한, 첨부된 도 4e와 도 4f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욕조(110)와 상기 내부욕조(120)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130)가 모두 구비된 상태에서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받침부재(130)의 위치를 변경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4e and 4f attached to the outer tub 110, the inner tub 120 and the supporting member 130 is provided with all of the supporting member 130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protector You can also change the location.

뿐만 아니라, 내부욕조(120)를 분리한 후 외부욕조(110)와 받침부재(130)로 2∼3세까지의 유아의 목욕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ner tub 120 may be separated, and then the outer tub 110 and the support member 130 may be bathed in infants of 2 to 3 years of age.

즉, 첨부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욕조(110)의 바닥면에 받침부재(130)의 걸림부(131)를 안착시키고, 이 받침부재(130)의 지지홈(132-1)부 양측 저면을 외부욕조(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지지턱(114)에 위치시킨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mounting portion 131 of the support member 130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tub 110, the support groove 132-1 of the support member 130 Both bottoms are positioned on the support jaw 114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 110.

여기서, 상기 지지턱(114)은 첨부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부욕조(110)의 내측면 양측에 각각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Here, the support jaw 114 is provided in the form protrud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tub 11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경우 걸림부(131)에 유아의 엉덩이나 다리가 위치되어 유아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부재(130)에 형성된 받침부(132)에는 유아의 등을 기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아의 머리를 상기 지지홈(132-1)에 위치시켜 유아가 외부욕조(110)의 바닥면에서부터 대략 30˚정도 기울어진 상태로 목욕을 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hips or legs of the infant are positioned on the locking portion 131 to prevent the infant from slipping, and the support part 132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130 may lean against the infant's back. In this state, the head of the infant is placed in the support groove 132-1 to allow the infant to bathe in an inclined state of about 30 °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external tub 110.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유아욕조(100)는 신생아, 돌이 지난 2∼3세까지의 유아에 상관없이 모두 목욕을 시킬 수 있다.Infant bat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can be bathed regardless of the newborn, infants up to 2 to 3 years old.

뿐만 아니라, 비눗물과 헹굼용 물이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비눗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유아욕조(100)에 담겨진 물을 버린 후 헹굼용 물을 채우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since soapy water and rinsing water are provided in a separated state, it is not necessary to fill the water for rinsing after discard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fant bath 100 to remove the soapy water.

그리고, 외부욕조(110)와 내부욕조(120)의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욕조(100)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상의 문제 및 보호자의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rrangement of the external bathtub 110 and the internal bathtub 120 can be freely changed, it can be conveniently used regardless of the problem of space for installing the infant bathtub 100 and the right and left handedness of the guardian.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욕조의 결합사시도,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infant bathtu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유아욕조의 분리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fant bathtu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유아욕조에 구비된 받침부재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upporting member provided in the infant ba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f는 본 고안의 유아욕조의 사용상태도,4a to 4f is a state of use of the infant bathtub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유아욕조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Figure 5 is another state of use of the infant bathtub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유아욕조 110 : 외부욕조100: infant bathtub 110: external bathtub

111,121 : 수용부 112, 122 : 개구부111,121: accommodating part 112, 122: opening part

113a : 제1돌출부 113b : 제2돌출부113a: first protrusion 113b: second protrusion

113c : 제3돌출부 114 : 지지턱113c: third protrusion 114: support jaw

120 : 내부욕조 123 : 바닥면120: internal bathtub 123: floor

124 : 경사면 130 : 받침부재124: inclined surface 130: support member

131 : 걸림부 132 : 받침부131: locking portion 132: support portion

132-1 : 지지홈 132-2 : 배출홀132-1: support groove 132-2: discharge hole

133 : 낙하방지부133: fall prevention part

Claims (6)

외부욕조;External bathtub; 상기 외부욕조 내에 설치되는 내부욕조; 및An inner tub installed in the outer tub; And 일단이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탈착되고, 중심부가 상기 내부욕조의 상단부에 얹혀져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되,And one end is detachable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tub, the center is plac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tub supporting member that can lie down infants, including, 상기 내·외부욕조 중 어느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1차로 씻긴 후, 다른 하나의 욕조에 채워진 물로 유아를 2차로 씻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욕조.Infant bath, characterized in that to wash the infant first with water filled in any one of the inner, outer tub, and to wash the infant second with water filled in another bat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욕조는,The external bathtub, 평면에서 봤을 때 중심에서 세 방향으로 라운드를 갖는 제1·제2·제3돌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욕조.Infant bathtub,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ond, third projections having a round in the three directions from the center when viewed in a plan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내부욕조는,The internal bathtub, 그 양측면이 상기 제1·제3돌출부에 각각 밀착, 또는 일측면이 상기 제2돌출부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욕조.An infant bathtub, wherein both sides thereof adhere to each of the first and third protrusions, or one side adheres to the second protrusions.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받침부재는,The support member, 상기 외부욕조의 상단부에 삽입되도록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A catching portion bent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an upper end of the outer tub; 상기 걸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욕조.Infant bathtub,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engaging portion to lie down the infant.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받침부재는,The support member, 유아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받침부의 테두리에서 상측 방향으로 낙하방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욕조.Infant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drop; protrudes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border of the support so that the infant does not fall.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받침부재는,The support member, 유아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의 타측에 지지홈; 및Support grooves on the other side of the engaging portion to support the head of the infant stably; And 물을 하측 방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홈 내에 배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욕조.Infant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support groove to discharge the water in the downward direction.
KR20070016263U 2007-10-05 2007-10-05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KR2004471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en) 2007-10-05 2007-10-05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en) 2007-10-05 2007-10-05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36U KR20090003336U (en) 2009-04-09
KR200447175Y1 true KR200447175Y1 (en) 2009-12-31

Family

ID=4132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6263U KR200447175Y1 (en) 2007-10-05 2007-10-05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17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860B1 (en) 2013-11-25 2016-01-13 권순호 Bathtub for infant
KR101941160B1 (en) * 2018-04-27 2019-01-22 (주)시밀레 A breast-feeding bidet for a bab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2809B (en) * 2019-09-12 2024-04-05 合肥荣事达电子电器集团有限公司 Mother and infant shared bath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34U (en) 1973-05-04 1975-01-11
US4216552A (en) 1979-01-25 1980-08-12 Product Source Inc. Sink mounted infant bathing device
KR200345813Y1 (en) 2003-12-30 2004-03-27 반흥곤 The separate type a little child bathtub
KR20040065509A (en)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조은아이 Baby bath s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634U (en) 1973-05-04 1975-01-11
US4216552A (en) 1979-01-25 1980-08-12 Product Source Inc. Sink mounted infant bathing device
KR20040065509A (en)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조은아이 Baby bath set
KR200345813Y1 (en) 2003-12-30 2004-03-27 반흥곤 The separate type a little child bathtub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860B1 (en) 2013-11-25 2016-01-13 권순호 Bathtub for infant
KR101941160B1 (en) * 2018-04-27 2019-01-22 (주)시밀레 A breast-feeding bidet for a ba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336U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7761B2 (en) Infant bidet
CN202681760U (en) Baby shampoo and bathe basin
KR200447175Y1 (en) Baby bathtub position transfer possible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KR20090051835A (en) A bathtub for an infant
KR101492170B1 (en) Bathing support for infant
KR101584860B1 (en) Bathtub for infant
KR102403894B1 (en) Baby Bathtub
KR100560600B1 (en) A Bathtub for an Infant
KR200229567Y1 (en) Bathtub for infant
KR100894868B1 (en) Bottle cleaner with acrylic fiber
KR20120000742U (en) Bidet chair for infant
KR102090546B1 (en) Baby shower
KR200345813Y1 (en) The separate type a little child bathtub
KR20120000955U (en) A bathtub for baby with various function
KR101510790B1 (en) Subsidiary apparatus for cleaning child for moving type
KR200374452Y1 (en) Shampoo chair for infant
KR200441061Y1 (en) Baby Bathtub with Convenient Usage
KR101557570B1 (en) Bath for infant
CN203693437U (en) Child bath container with safe headrest
KR200161755Y1 (en) Varginal cleaner
KR200143718Y1 (en) Baby bath tub
KR20200002150U (en) Washing and keeping container for menstrual cup
KR200286619Y1 (en) Baby bath set
KR100739010B1 (en) A bathtub for an inf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