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19Y1 - Baby bath set - Google Patents

Baby bath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19Y1
KR200286619Y1 KR2020020017466U KR20020017466U KR200286619Y1 KR 200286619 Y1 KR200286619 Y1 KR 200286619Y1 KR 2020020017466 U KR2020020017466 U KR 2020020017466U KR 20020017466 U KR20020017466 U KR 20020017466U KR 200286619 Y1 KR200286619 Y1 KR 200286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shower head
backrest
moun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46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중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은아이
Priority to KR2020020017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1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19Y1/en
Priority to AU2003207397A priority patent/AU2003207397A1/en
Priority to PCT/KR2003/000319 priority patent/WO2003103467A1/en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조본체와 등받이판을 가지고 유아의 목욕과 빨래 이외에 유아의 머리를 편리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욕조 세트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을 에워싸는 측벽(121,122,123,124)과 상기 측벽(122,123,124)의 상단에 연이어진 단턱부(125)와 상기 단턱부(125)로부터 연장된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과 상기 측벽(121)의 상단에서 연장된 플랜지(128)에 형성된 등받이판 거치공(128a)과 상기 측벽(12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턱부(125)에 연이어진 등받이판 거치턱(132a)이 포함되어 있는 욕조본체(100)와;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ant bath set having a bathtub body and a back plate to allow the baby's head to be conveniently wound in addition to the bath and the laundry of the infant. The side plate (121, 122, 123, 124)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bottom plate 110 ) And the stepped portion 125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s 122, 123, and 124 and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extending from the stepped portion 125 and the flange 128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wall 121. A tub body (100) including a back plate mounting hole (128a) formed in and a back plate mounting jaw (132a) protru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3) and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125);

일단부에 상기 등받이판 거치턱(132a)에 끼움되는 거치구멍(202a)을 갖고 또양측으로 측벽(216,218)을 갖는 등받이부(202)와 상기 등받이부(202)의 타단부에 입설된 착석부(214)를 통해 연장된 플랜지(220)를 갖고, 상기 플랜지(220)의 저면에는 상기 등받이판 거치공(128a)에 끼움되는 거치돌출편(220a)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구멍(202a)에 가까운 등받이부(202)에는 상기 등받이판 거치턱(132a)에 걸침되는 거치턱(223)이 포함되어 있는 등받이판(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eating portion 202 having a mounting hole 202a fitted into the back plate mounting jaw 132a at one end and having side walls 216 and 218 at both sides thereof, and a seating portion placed at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202. Has a flange 220 extending through 214,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22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220a which is fitted to the back plate mounting hole 128a, the mounting hole 202a The close backrest portion 202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backrest plate 200 that includes a mounting jaw 223 that is applied to the backrest plate mounting jaw 132a.

Description

유아용 욕조 세트{Baby bath set}Baby bath set {Baby bath set}

본 고안은 유아용 욕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조본체와 등받이판을 가지고 유아의 목욕과 빨래 이외에 유아의 머리를 편리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욕조 세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 tub for childr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h tub set having a bath body and a back plate so that the baby's head can be conveniently wound in addition to the bath and laundry of the baby.

종래의 유아용 욕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567호(등록일 2001.04.24)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 baby bath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9567 (Registration date 2001.04.24).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본체(1), 좌판(20) 및 빨래판(30)으로 구성된 것으로, 좌판(20)은 욕조본체(1)에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유아를 경사지게 누여서 목욕을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빨래판(30)을 좌판(20)위에 올려 거치시켜 놓고 간단하게 빨래를 할 있도록 되어 있다.This is composed of a tub body 1, the seat plate 20 and the wash plate 30 as shown in Figure 1, the seat plate 20 is installed to be inclined to the tub body (1) to lie inclined to bathe the infant. In some cases, the laundry plate 30 is placed on the seat plate 20 so that it can be easily washed.

이같이 구성된 종래의 욕조는 유아의 몸을 씻는데에는 별 문제가 없는데 반해 머리를 감기는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유아를 좌판(20)상에 올려놓으면 유아의 머리부분이 위쪽으로 향하여 있기 때문이다.The conventional bathtub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no problem in washing the baby's body, but has a difficulty in winding the head. If the infant is placed on the seat plate 20 is because the head of the infant is facing upwards.

따라서 종래 기술을 이용하면 어쩔 수 없이 유아의 머리를 감기려면 유아를 안고 머리를 감겨야 한다. 따라서 유아를 안고 머리를 감기는 자세가 불편해질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2인 1조가 되어 한 사람이 유아를 잡고 다른 한 사람이 유아의 머리를 감겨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Therefore, using the prior art, to inevitably wound the head of the infant must hold the infant with the head wrapped. Therefore, not only is it uncomfortable to hold the head around the baby, but in some cases, one pair of two people will be inconvenient that one person holding the infant and the other person to wash the head of the infant.

또한 욕조를 구성하는데 기본적으로 3개의 구성요소 즉, 욕조본체(1), 좌판(20) 및 빨래판(30)으로 구성되어 있어 부품수가 많이 들어가고 제작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ub is basically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that is, the tub body (1), the seat plate 20 and the wash plate (30) has a number of parts and a factor that increases the production cost.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종래 기술에 비해 부품수를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유아를 자연스럽게 눕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혼자서도 유아 머리를 편하게 감길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욕조 세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compared to the prior art, a baby bath set for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user to comfortably wrap the infant's head alone while the infant is lying down naturally. The purpose is to provide.

도 1은 종래 유아용 욕조의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aby bath.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 세트의 전체 분리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hole separation of the bath s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판의 배면 사시도.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plat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판의 다양한 사용상태도.Figures 4a, 4b, 4c is a state of use of the backrest plat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4a의 X-X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4A.

도 6a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샤워꼭지 걸이개의 평면도.Figure 6a is a plan view of the shower head hang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6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6A.

도 7a는 샤워꼭지 걸이개의 변형예로서 평면도.7A is a plan view as a modification of the shower head hanger;

도 7b는 도6a의 B-B선 단면도.7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6A.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욕조본체 110 : 바닥판100: bathtub body 110: bottom plate

121,122,123,124 : 측벽 125 : 단턱부121, 122, 123, 124: side wall 125: stepped portion

126 :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 128 : 플랜지126: shower head rail mounting bracket 128: flange

128a : 등받이판 거치공 132a : 등받이판 거치턱128a: back plate mounting hole 132a: back plate mounting jaw

200 : 등받이판 202 : 등받이부200: back plate 202: back portion

202a : 거치구멍 220 : 플랜지202a: mounting hole 220: flange

222 : 보강절곡부 300 : 샤워꼭지 걸이개222: reinforcement bend 300: shower head hanger

302 : 후크부 304 : 탄성걸림턱302: hook portion 304: elastic locking jaw

306 : 샤워꼭지 베이스 306a : 샤워꼭지 걸이구멍306: shower head base 306a: shower head hook hole

307 : 비누받이부 307a : 비눗물 배출공307: soap dish 307a: soap water discharge ho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욕조 세트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판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등받이판의 다양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4a의 X-X선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separation of the bath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back plat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a, 4b, 4c is a variety of backrest plat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4A.

본 고안은 도 2내지 도 5와 같이 욕조본체(100)와, 상기 욕조본체(100)에 거치되는 등받이판(200)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ub body 100 and the back plate 200 is mounted on the tub body 100 as shown in FIG.

상기 욕조본체(100)는 성형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있다.The tub body 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ith good moldability.

상기 욕조본체(100)는,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의 둘레를 에워싸는 4개의 측벽(121,122,123,124)과 상기 측벽(122,123,124)의 상단에 연이어진 단턱부(125)와 상기 단턱부(12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절곡된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이 포함되어 있다.The tub body 100 includes four sidewalls 121, 122, 123, and 124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bottom plate 110, and a stepped portion 125 and the stepped portion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sidewalls 122, 123, and 124. A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bent outward from 125 is included.

이들 측벽(121,122,123,124)중 2개의 마주보는 측벽(121,123)은 욕조본체(100)의 폭방향에 입설되고, 나머지 2개의 측벽(122,124)은 욕조본체(100)의 길이방향에 입설되어 있다.Two opposing side walls 121, 123 of these side walls 121, 122, 123, 124 are plac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th main body 100, and the remaining two side walls 122, 124 are pl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h main body 100.

상기 측벽(121)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절곡 연장된 플랜지(128)가 더 형성되어 상기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에 연이어져 있고, 상기 플랜지(128) 저면에는 유아의 머리감김시 상기 등받이판(200)의 일단이 거치되기 위한 관통된 등받이판 거치공(128a)이 형성되어 있다.A flange 128 that is bent outwardly is further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ide wall 12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A perforated back plate mounting hole 128a for mounting one end of the 200 is formed.

상기 단턱부(125)에는 등받이판(200)의 길이방향측 양단부 하단이 안착되는 등받이판 거치홈(125a)이 포함되어 있다.(도 5 참조)The stepped portion 125 includes a back plate mounting groove 125a in which the lower ends of the longitudinal side ends of the back plate 200 are seated. (See FIG. 5).

그리고 상기 욕조본체(100)의 측벽(123)의 상단에는 상기 등받이판(200)을 기울어지게 거치하기 위해 상기 단턱부(125)로부터 돌출되어 측벽(123)으로 연결되는 등받이판 거치턱(132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op of the side wall 123 of the tub body 100 protrudes from the stepped portion 125 to mount the back plate 200 in an inclined manner, and is supported by the back plate plate 123 connected to the side wall 123. Is formed.

한편,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에는 바닥판(110)의 상면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평탄한 엉덩이 받이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엉덩이 받이부(112)에는 엉덩이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직선형 요홈(112a)이 구비되어 있고, 이때 요홈(112a)의 방향은 측벽(121)의 폭방향을 따른다. 본 고안은 이러한 요홈(112a)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with a flat butt part 112 at a position slightly higher tha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the butt part 112 to prevent slipping of the butt. A plurality of straight grooves 112a are provide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grooves 112a follows the width direction of the side wall 121.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recess 112a.

그리고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은 상기 욕조본체 지지턱(131,132,133)의 외연을 따르고 대략 단면이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이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은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개방된 요홈(126a)을 갖고 있다.And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is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ub body support jaw (131, 132, 133) and has a cross-section of approximately '∩' shape,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is down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has an open groove 126a.

상기 등받이판(20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 있다.The back plate 2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등받이판(200)은, 일단부에 거치구멍(202a)을 갖는 평탄한 등받이부(202)와 등받이부(210)의 배면에 돌기라인을 갖고 형성된 빨래용 요철부(212)와 등받이부(210)의 타단부에서 입설된 착석부(214)와 착석부(214)를 등받이부(202)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측벽(216,218)과 착석부(214)의 상연에서 절곡되어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220) 및 상기 플랜지(220)의 저면에 돌출된 거치돌출편(220a)를 갖는다.The backrest plate 200 has a flat backrest portion 202 having a mounting hole 202a at one end thereof, and a uneven portion 212 and a backrest portion 210 having a protrusion line on the back of the backrest portion 210. A flange that is bent at the upper edge of the side walls 216 and 218 and the seating portion 214 for supporting the seating portion 214 and the seating portion 214, which ar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portion 202, 220 and a mounting protrusion piece 220a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220.

상기 거치구멍(202a)의 내연에는 일정량 하향 절곡되어 거치구멍(202a)의 형상을 따르는 보강플랜지(202b)가 더 형성되어 있다.A reinforcing flange 202b is further formed at the inner edge of the mounting hole 202a to be bent downward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follow the shape of the mounting hole 202a.

그리고 상기 측벽(216,218)의 상단에는 단면이 ∩형태로 연장 절곡되어 상기 플랜지(220)와 연결된 보강절곡부(2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보강절곡부(222)의 하단은 상기 욕조본체(100)의 단턱부(125)에 형성된 등받이판 거치홈(125a)에 걸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216, 218) is bent in a cross-section extending in the shape of a reinforcing bent portion 222 connected to the flange 220,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ent portion 222 is the tub body 100 The backrest plate mounting groove (125a)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125 of the) is to be.

또한 상기 등받이부(210)의 거치구멍(202a)과 가까운 일단부에도 하향 절곡되어 상기 보강절곡부(222)와 연이어진 거치턱(2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턱(223)은 등받이판(200)을 도 4b와 같이 사용할 때 욕조본체(100)에 거치시키기 위한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one end portion close to the mounting hole 202a of the backrest portion 210 is bent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ent portion 222 is formed with a jaw 223, the mounting jaw 223 is a back plate When using the 200 as shown in Figure 4b serves to mount on the tub body (100).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The use method and operation of this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고안은 등받이판(200)이 욕조본체(100)에 거치되는 방식에 따라 3가지 용도로 사용된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three purposes depending on the manner in which the back plate 200 is mounted on the tub body 100.

그 첫번째 용도는 도 4a와 같이 유아의 머리를 감기고자 할 경우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등받이판(200)을 욕조본체(100)의 상부에 띄워서 대략 수평되게 배치시켜 놓고 사용하는 것이다.The first use is a method used to wrap the head of the infant as shown in Figure 4a is to use the back plate 20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body 100 to be placed approximately horizontal.

이를 위해 등받이판(200)은 등받이부(202)가 상향되게 자세를 잡는다. 다음등받이판(200)의 플랜지(220)측 거치돌출편(220a)이 욕조본체(100)의 등받이판 거치공(128a)에 끼움되고 동시에 측벽(216,218)의 절곡부(222) 하단이 욕조본체(100)의 등받이판 거치홈(130a)에 올려진다.To this end, the back plate 200 is in a posture with the back part 202 upward. Next, the flange 220 side mounting protrusion 220a of the back plate 200 is fitted into the back plate mounting hole 128a of the tub body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 of the bent portion 222 of the side walls 216 and 218 is provided in the tub body. It is placed on the back plate mounting groove (130a) of (100).

이렇게 되면 등받이판(200)은 그 등받이부(202)가 욕조본체(100)의 바닥판(100)에서 일정 높이에서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유아를 등받이부(202)에 올려놓으면 자연스럽게 유아의 머리가 상향을 향하여 욕조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유아의 머리를 손쉽게 감길 수 있다.In this case, the backrest plate 200 is disposed such that the backrest portion 202 is inclined to one sid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plate 100 of the tub body 100. In this state, when the infant is placed on the backrest part 202, the infant's head is naturally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ub body 100 toward upward, so that the infant's head can be easily wound.

두 번째 용도는 도 4b와 같이 유아를 편안히 앉혀서 눕여놓고 목욕을 시키는데 사용하는 방법으로, 등받이판(200)을 욕조본체(100)의 일단에 기울어지게 걸어놓고 사용하는 것이다.The second use is a method of using the infant to sit comfortably lying down and taking a bath as shown in Figure 4b, to use the back plate 200 inclined to one end of the tub body 100.

즉, 등받이판(200)의 거치턱(223)이 욕조본체(100)의 등받이판 거치턱(132a)에 접촉 지지케 하고 동시에 등받이판(200)의 플랜지(220)의 끝단을 욕조본체(100)의 바닥판(110)의 상면에 접촉 지지케 설치하여 사용된다.That is, the mounting jaw 223 of the back plate 200 makes contact with the back plate mounting jaw 132a of the tub body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flange 220 of the back plate 200 is the tub body 100. It is used to install the contact suppor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등받이부(202)가 상면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유아는 착석부(214)에 앉게 되고, 이때 유아의 상체 등은 자연스럽게 등받이부(202)에 기댈 수 있게 되어 유아의 얼굴과 몸 전체를 목욕시켜 줄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back portion 202 is inclined toward the upper surface, the infant sits on the seating portion 214. At this time, the upper body of the infant may naturally lean on the back portion 202 to bathe the entire face and body of the infant. I can let you.

세번째 용도는 두 번째 방법의 등받이판(200)을 뒤집어서 빨래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등받이판(200)의 빨래용 요철부(212)를 사용하는 것이다.The third use is to be used as a method for washing the upside down plate 200 of the second method, it is to use the uneven portion for washing 212 of the back plate 200.

즉, 등받이판(200)의 빨래용 요철부(212)가 도 4c와 같이 상방으로 향하고, 등받이판(200)의 거치구멍(202a)이 욕조본체(100)의 등받이판 거치턱(13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등받이판(200)의 플랜지(220)가 욕조본체(100)의 바닥판(110)에 접촉시켜 사용한다.That is, the uneven portion for washing 212 of the back plate 200 is directed upward as shown in Figure 4c, the mounting hole 202a of the back plate 200 is in the back plate mounting jaw 132a of the tub body 100. In the inserted state, the flange 220 of the back plate 200 is us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110 of the tub body 100.

이렇게 되면 요철부(212)가 욕조본체(100)의 바닥판(110)에 대해 적당하게 기울어져 있으므로 유아의 옷가지를 빨래용 요철부(212)에 비벼데서 간단히 빨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uneven portion 212 is properly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plate 110 of the tub body 100, the clothes of the infant may be easily washed by rubbing the clothes on the uneven portion 212 for washing.

이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욕조본체(100)와 등받이판(200)의 2가지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3가지 기능 즉, 머리감김 기능, 목욕기능 및 빨래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asically perform three functions, namely, a hair curling function, a bath function, and a laundry function, by using two components of the tub body 100 and the back plate 200.

그 외에 본 고안은 등받이판(200)을 사용하지 않고 욕조본체(100)의바닥판(110)이나 엉덩이 받이부(112)에 앉혀놓고 목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athed while sitting on the bottom plate 110 or the hip bottom 112 of the tub body 100 without using the back plate 200.

한편, 본 고안은 도 6a,6b와 같이 추가적으로 샤워꼭지 걸이개(300)를 욕조본체(100)에 걸어놓고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bject innovation can be used to hang the shower head hanger 300 in addition to the tub body 100 as shown in Figure 6a, 6b.

상기 샤워꼭지 걸이개(300)는 하방으로 개구되어 상기 욕조본체(100)의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에 끼움되는 U자 형의 후크부(302), 상기 후크부(302)의 내측에서 상향 돌설되어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을 협지하는 탄성걸림턱(304), 상기 후크부(302)에 연장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샤워꼭지 걸이구멍(306a)을 갖는 샤워꼭지 베이스(306)로 구성되어 있다.The shower head hanger 300 is open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shaped hook portion 302, which is fitted to the shower head hook mounting rail 126 of the tub body 100, the inside of the hook portion 302 To the shower head base 306 having an elastic latching jaw 304 which is upwardly squeezed and sandwiches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and a shower head hook hole 306a extending to the hook portion 302 and opening to one side. Consists of.

그리고 후크부(302)는 욕조본체(100)의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에 끼움되어 샤워꼭지 걸이개(300)가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후크부(302)가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에서 이탈할 경우에는 탄성걸림턱(304)이 탄성적으로 벌어져 샤워꼭지 걸이개(30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And the hook portion 302 is fitted to the shower head hanger rail mounting rail 126 of the tub body 100 to the shower head hanger 300 is movable, the hook portion 302 is a shower head rack mounting rail In the case of departure from 126, the elastic catching jaw 304 is elastically opened so that the shower head hanger 300 can be separated.

따라서 사용자는 욕조본체(100)의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상에 원하는 위치에 샤워꼭지 걸이개(300)를 위치시켜 놓고, 샤워꼭지 걸이구멍(306a)에 통상의 샤워꼭지(도시안됨)를 걸어놓고 사용이 가능하다.Accordingly, the user places the shower head hanger 300 at a desired position on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of the tub body 100, and the shower head (306a) has a normal shower head (not shown). It is possible to use hanging.

상기 샤워꼭지 걸이개(300)의 변형예가 도 7a,7b에 도시되어 있다.A variant of the shower head hanger 300 is shown in FIGS. 7A and 7B.

도 에 도시된 샤워꼭지 걸이개(310)는 도 6a,6b와 같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다만 통상의 비누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샤워꼭지 베이스(306)에 함몰되어 평탄한 비누받이부(307)가 더 포함된 것이고, 상기 비누받이부(307)에는 비눗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다수의 비눗물 배출공(307a)이 형성된 것이다.The shower head hanger 310 shown in FIG. 6 has the same structure as shown in FIGS. 6A and 6B, but includes a flat soap dish part 307 recessed in the shower head base 306 so that ordinary soap can be placed thereon. The soap dish part 307 has a plurality of soapy water discharge holes 307a capable of discharging the soapy water.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욕조본체(100)에는 비누 및 샤워꼭지가 가까이 위치하게 되므로 유아를 목용시키거나 머리를 감길때 비누 및 샤워꼭지를 다루기가 일층 편리해진다.Thus, the bathtub main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close to the soap and shower faucet, so it becomes more convenient to handle the soap and shower head when the neck or the head of the infa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욕조 세트에 따르면, 욕조본체와 이에 거치되는 등받이판을 가지고 3가지 기능, 즉 머리감김 기능, 목욕기능 및 빨래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별도의 빨래판이 불필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비누나 샤워꼭지가 거치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이 일층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infant bath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 body and the back plate mounted thereon can perform three functions, namely a hair curling function, a bath function, and a laundry function, and thus, a separate washboard is unnecessary. Can reduce the production cost. In addition, soap or shower head can be additionally mounted to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Claims (5)

바닥판(110)과 상기 바닥판(110)을 에워싸는 측벽(121,122,123,124)과 상기 측벽(122,123,124)의 상단에 연이어진 단턱부(125)와 상기 단턱부(125)로부터 연장된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과 상기 측벽(121)의 상단에서 연장된 플랜지(128)에 형성된 등받이판 거치공(128a)과 상기 측벽(12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단턱부(125)에 연이어진 등받이판 거치턱(132a)이 포함되어 있는 욕조본체(100)와;A showerhead hanger mounting rail extending from the stepped portion 125 and the stepped portion 125 connected to the top of the sidewalls 121, 122, 123, 124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110,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sidewalls 122, 123, 124. 126 and the back plate mounting hole 128a formed in the flange 128 extending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121 and the back plate mounting jaw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side wall 123 and connected to the stepped portion 125. Bath tub body 100 and 132a is included; 일단부에 상기 등받이판 거치턱(132a)에 끼움되는 거치구멍(202a)을 갖고 또양측으로 측벽(216,218)을 갖는 등받이부(202)와 상기 등받이부(202)의 타단부에 입설된 착석부(214)를 통해 연장된 플랜지(220)를 갖고, 상기 플랜지(220)의 저면에는 상기 등받이판 거치공(128a)에 끼움되는 거치돌출편(220a)이 형성되고, 상기 거치구멍(202a)에 가까운 등받이부(202)에는 상기 등받이판 거치턱(132a)에 걸침되는 거치턱(223)이 포함되어 있는 등받이판(2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세트.A seating portion 202 having a mounting hole 202a fitted into the back plate mounting jaw 132a at one end and having side walls 216 and 218 at both sides thereof, and a seating portion placed at the other end of the backrest 202. Has a flange 220 extending through 214,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22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trusion 220a which is fitted to the back plate mounting hole 128a, the mounting hole 202a Infant tub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plate 202 is composed of a backrest plate 200 that includes a mounting jaw 223 that is applied to the backrest plate mounting jaw (132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판(200)의 측벽(216,218)에는 상기 탄턱부(125)에 형성된 등받이판 거치홈(125a)에 안착되는 보강절곡부(222)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세트.The side wall (216, 218) of the backrest plate 200 is a baby bath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bent portion (222) seated in the backrest plate mounting groove (125a) formed in the projecting portion (125) is further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받이부(202)의 배면에는 빨래용 요철부(212)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세트.Infant tub 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of the back portion 202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cave-convex portion for washing 21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욕조본체(100)의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에 끼움되기 위해 하방으로 개구된 ∩형의 후크부(302)와 상기 후크부(302)의 내측에서 상향 돌설되어 샤워꼭지 걸이대 취부레일(126)을 협지하는 탄성걸림턱(304)과 상기 후크부(302)에 연장되고 일측으로 개구된 샤워꼭지 걸이구멍(306a)을 갖는 샤워꼭지 베이스(306)로 구성된 상기 샤워꼭지 걸이개(30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세트.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is rais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hook portion 302 and the hook-shaped hook portion 302 opened downward to be fitted to the shower head hanger mounting rail 126 of the tub body 100 ( The shower head hanger 300 consisting of a shower head base 306 having an elastic latching jaw 304 for sandwiching 126 and a shower head hook hole 306a extending to the hook portion 302 and opened to one side. Baby bath s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included.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샤워꼭지 베이스(306)에는 함몰되어 평탄한 비누받이부(307)가 더 포함되고, 상기 비누받이부(307)에는 다수의 비눗물 배출공(307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욕조 세트.The shower faucet base 306 is recessed and further includes a flat soap dish portion 307, the soap dish portion 307, a plurality of soap water discharge hole (307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h tub set.
KR2020020017466U 2002-06-07 2002-06-07 Baby bath set KR200286619Y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66U KR200286619Y1 (en) 2002-06-07 2002-06-07 Baby bath set
AU2003207397A AU2003207397A1 (en) 2002-06-07 2003-02-14 Multi-functional baby bathtube
PCT/KR2003/000319 WO2003103467A1 (en) 2002-06-07 2003-02-14 Multi-functional baby bath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466U KR200286619Y1 (en) 2002-06-07 2002-06-07 Baby bath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19Y1 true KR200286619Y1 (en) 2002-08-22

Family

ID=7307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466U KR200286619Y1 (en) 2002-06-07 2002-06-07 Baby bath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19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509A (en)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조은아이 Baby bath set
KR20160001687U (en) * 2014-11-11 2016-05-19 박종관 Bath for infant
KR101978863B1 (en) * 2018-05-02 2019-05-15 이승훈 Videt For Infa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5509A (en) * 2003-01-14 2004-07-22 주식회사 조은아이 Baby bath set
KR20160001687U (en) * 2014-11-11 2016-05-19 박종관 Bath for infant
KR200482665Y1 (en) * 2014-11-11 2017-02-20 박종관 Bath for infant
KR101978863B1 (en) * 2018-05-02 2019-05-15 이승훈 Videt For Inf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110B1 (en) Shampoo Aids Apparatus
KR200286619Y1 (en) Baby bath set
WO2003103467A1 (en) Multi-functional baby bathtube
KR100560600B1 (en) A Bathtub for an Infant
KR200192506Y1 (en) A hair washer for medical treatment
JP2006218066A (en) Stool for bathroom
KR20040065509A (en) Baby bath set
KR200173721Y1 (en) A tub for baby
JPH0219101Y2 (en)
KR200211137Y1 (en) Chair for bath
JP2746498B2 (en) Bathroom unit
KR100318580B1 (en) A pillow for a bathhouse
JP2515846Y2 (en) Bathtub lid that can be used as a stool when using the shower
KR200244104Y1 (en) A bathtub having a pedestal
KR200296669Y1 (en) Bath chair
JP7186551B2 (en) Bathroom counter storage structure and bathroom unit
JP3687062B2 (en) Bathroom with counter with hook
JP2022169094A (en) pail
KR200298374Y1 (en)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KR100900927B1 (en) A chamber pot cover with chair
JPH0449610B2 (en)
JP3012947U (en) Bath stool
KR960002624Y1 (en) Bath tube &amp; body cleaning plate structure for a baby
JPH06311942A (en) Bathtub
JP2001299615A (en) Bathtub with hair washing 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