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374Y1 -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 Google Patents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374Y1
KR200298374Y1 KR2020020027611U KR20020027611U KR200298374Y1 KR 200298374 Y1 KR200298374 Y1 KR 200298374Y1 KR 2020020027611 U KR2020020027611 U KR 2020020027611U KR 20020027611 U KR20020027611 U KR 20020027611U KR 200298374 Y1 KR200298374 Y1 KR 2002983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n
bowl
bathroom
wate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6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창휴
Original Assignee
최창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휴 filed Critical 최창휴
Priority to KR2020020027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37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3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374Y1/en

Link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 등에서 사용하는 대야에 관한 것으로서 세련이나 목욕, 간단한 세탁에 사용하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하여 세면기나 좌욕기, 빨래판을 따로따로 마련하지 아니하고 요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물을 사용함에 있어서도 물의 양을 조절 할수 있는 대야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in for use in a bathroom, etc., and relates to a tool for use in sophistication, bathing, and simple washing, and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it does not separately prepare a washbasin, a bath basin, and a washboard. To provide a basin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also in

이를 위하여 본체대야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평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즉 벽면 높이를 달리하여 기울기를 가짐으로서 이 기울러짐에 의하여 높온부와 낮은부를 형성하고 낮은부 바닥을 고이면서 물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바닥 면에는 돌출돌기를 형성하여 굴곡을 지게 형성함으로서 간단한 빨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둥을 하고 그 바닥 면에 중앙 부위를 오목하게 하여 완 경사를 두어 엎어놓고 깔고 앉아 좌욕을 할 시에 물이 자연히 흘러내리며 지압의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To this end, the main basin is not flat at the top and the bottom, that is, it has a slope by varying the height of the wall to form a high and a low part by this inclination, and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while raising the bottom of the low part. On the bottom, it forms a protrusion to form a bend to make a simple laundry, and concaves the central part on the bottom so that a gentle slope is placed. It is configured to lower the effect of shiatsu

상기 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욕실에서 하는 여러 일을 여러 도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 물의 사용량을 조절하며 도구의 보관 장소도 줄이고 관리에 있어서도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using various tools in the bathroom,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used, to reduce the storage place of the tools, and to facilitate management.

Description

좌욕기를 겸한 대야{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Wash basin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본 발명은 욕실등에서 대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대야에 외부 바닥 면에 돌출 돌기들을 형성하며 가운데 부위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대야를 엎어놓을 시 그 대야 하단부위즉, 바닥면을 의자의 앉는 부위와 같이 하여 앉거나 형성되어진 돌출돌기들을 이용하여 간단히 빨래를 할 수 있도록 하며 배수가 잘 되도록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한 욕실용 대야에 관한 것이다. 통상 욕실용 대야는 주로 뭍을 담는 기능을 하여 세면이나 세척에 주로 사용이 되어지는바 기능이 단순하여 별도의 작업 시에는 즉 간단한 빨래에는 빨래판이 사용이 되어지며 목욕 시에는 좌욕기등을 필요로 하는데 통상에 대야는 이러한 작업에 이용이 되어지지 못하는 불편함을 갖는다. 이와 같은 이유로 통상의 경우 여러 욕실 용구를 사용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각각의 작업마다 각각의 도구를 필요로 하며 이의 사용이 되지 않을 경우 필요이상의 피로를 유발 할 수 있으며 작업시간이 길어질 수 있으며 도구의 사용에 있어서도 보관 관리에 어려움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in in the bathroom, and 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basin and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basin when the basin is placed upside down, that is, the floor is the same as the seat of the chair. It relates to a bathroom basin to be able to simply wash using sitting or formed protrusions and to have a constant slope to drain well. In general, the basin for the bathroom is mainly used for washing or washing as it contains the function of the wash bar. The function is simple, so the washboard is used for separate work, and the washboard is required for the bath. In general, the basin has inconveniences that cannot be used for such a task. For this reason, in general, the work is done by using several bathroom utensils, and each work requires a separate tool, and if it is not used, it may cause more fatigue than necessary and the working time may be longer, In us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difficulties in storage managemen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24호 공개번호94-22720호(빨래대야)에는 빨래판이 내장되어 성형되어진바 사용에 있어 빨래 외에 간단한 세척시 오히려 내장성형 되어진 빨래판이 세척에 방해를 유발할 수 있으며 빨래판이 내장되어 짐으로 인하여 대야에 크기가 커져야 일정량의 물을 사용하여 세척이 가능하여짐을 알 수 있으므로 크기에 제약을 받으므로 본연의 목적달성에 다소 무리를 하게 됨으로서 작업에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빨래판이 내장됨으로 인하여 구조체의 안정을 유지하기 어려움과 사용상 세면이나 간단한 세척 시 빨래판을 피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빨래대야를 사용하게 될 시에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 구조체의 안정과 세척작업의 용이성이 불가능 하게되는문제점을 갖고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824 Publication No. 94-22720 (Washing Basin) has a built-in washboard, and the built-in washboard, rather than simple washing, prevents the washing. Because the washboard is built-in, the size of the basin must be enlarged so that it can be cleaned us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lso, due to the built-in washboar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and it is inconvenient to avoid the washboard during washing or simple washing in use. When using such a wash basin,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And problems that make cleaning easier The.

특히 욕실에서의 일에는 여러 도구가 필요 되어지는바 간단한 손빨래 작업시 빨래판이 준비 되어야 하며 목욕 시에는 좌욕기 등이 필요한데 이를 마련하지 아니 하면 빨래 작업 시에는 바닥에다 빨아야 하므로 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기가 어려우며 목욕 시에는 좌욕에 있어 바닥에 앉게 되거나 서서 하게 됨으로서 피로를 느낄 수 있으며 바닥에 비눗물 등이 흐르는데 이동시 미끄러움으로 인하여 뜻하지 아니한 사고를 당할 수 있고 작업시의 청결과 안전에 문제도 노출됨으로서 욕실 안에서 다소간의 주의와 시간이 소요되어지는 등의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In particular, in the bathroom, various tools are required. Washboards should be prepared for simple hand washing, and bathing is required for bathing. If you do not provide them, you will have to suck them to the floor. When taking a bath, you may feel tired by sitting on the floor or standing on the floor, and soapy water flows on the floor, and you may have an unexpected accident due to slippery when you move, and you may be exposed to problems of cleanliness and safety at work. It was difficult to take care and time.

본 발명의 과제는 욕실 작업에 있어서 세척이나 간단한 손빨래, 목욕 등을 하는데 있어서 이들 작업에 용이한 도구를 제공하여 욕실 안에서의 작업에 안전성, 청결, 시간 절약 즉 다음 작업으로의 이행을 단 하나의 도구로서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 도구의 취급 관리상의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l that is easy to clean, simple hand washing, bathing, etc. in the bathroom work, safety, cleanliness, time saving work in the bathroom, that is, the transition to the next one It is intended to speed up the use of tools and to solve problems in handling and handling various tools.

도1. 본 발명의 대야 사시도Figure 1. Basin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 본 발명의 대야를 엎어놓은 상태의 사시도Figure 2. Perspective view of the ba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pside down state

도3. 본 발명 대야를 엎어놓은 상태의 일부 절개 사시도Figure 3.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rted state

*주요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ymbols

1: 대야1: basin

10:대야의 손잡이 11:대야 손잡이의 걸이구멍 13:대야의 둘레태 14:대야의 내 면10: Handle of the basin 11: Hook hole of the basin handle 13: Circumference of the basin 14: Inside of the basin

15:대야의 내 면의 바닥면 16:대야 내 면의 볼록진부위 24대야의 외면15: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basin 16: Convex part of the inside of the basin 24 Outside of the basin

25:대야의 외 면 바닥면의 오목진부위 26:대야의 외 면의 바닥면에 있는 돌출 돌기부 27:대야 외 면의 바닥면의 골진부위25: Recessed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n 26: Protruding protrusions on the botto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n 27: Raised part of the bottom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asin

30:대야손잡이가 있는 높은부위 31:대야 손잡이 반대쪽의 낮은부위30: High part with basin handle 31: Low part opposite basin handle

본 발명은 상기한 욕실 등애서 하는 일에 있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야(1)의 외면바닥에 돌기를 형성하며 이 돌출 돌기부(26)들은 중앙이 낮게 하여 오목진부위(25)를 이루고, 골진부(27)를 통하여 낮은 부위로 물이 흐를 수 있도록 하며 대야 테두리(13) 의 높은 외부 벽면(30)에는 넓게 하고 구멍을 형성하여 이에 걸이구멍(11)과 대야손잡이(10)로 구성되어 지는 바, 이하 첨부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projection on the outer surface bottom of the basin (1) to solve the problem in the bathroom and the like, and the protruding projections 26 are lower in the center to form a concave portion 25, the bone Water is allowed to flow to the lower portion through the base portion 27 and is widened on the high outer wall surface 30 of the basin rim 13 and forms a hole, which is composed of a hook hole 11 and a basin handle 10. 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제1도는 본 발명대야의 사시도 이며, 제2도는 본 발명 대야를 엎어놓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며 제3도는 본 발명 대야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인바,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i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pside down state,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cision part of the ba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pside down state,

제2도에서 와 같이 대야의 벽면은 일부분이 높은 벽면(30)로 만들어지며 이 부위의 둘레테(13)는 넓게 형성되어 대야 손잡이(10)를 이루고 이 넓게 형성되어진 대야 손잡이부위애는 대야를 걸쇠나 벽면의 못에 걸 수 있도록 한 걸이구멍(11)을 형성하고 높게 만들어진 벽면(30) 반대쪽은 낮은벽면(31)을 형성하여 대야를 엎어놓고 뭍을 부었을 때 물이 낮은 곳으로 흘러 내려가도록 하며 대야 외부 바닥면을 돌출 돌기부(26)와 골진부위(27)로 형성하여 골진부위로 물이 흘러 내려가도록 하고 이 돌출 돌기부(26)와 골진부위(27)애 비벼 간단한 빨래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엎어놓은 대야의 중앙부위가 주위보다 낮게 형성되어짐으로 오목진부위(25) 를 이루어 좌욕 시에 이에 앉기에 불편함이 없고 지압이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떨어지는 물이나 거품이 자연스립게 낮은 쪽으로 흘러내리도록 하고 간단한 빨래 시에는 대야의 손잡이(10)를 한발로 밝고 대야를 지지하며 빨래를 하여 빨래 시 빨래판이 밀리는 것과 같은 불편함을 없애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작업이 끝났을 시 이 대야(1)를 걸이구멍을 이용하여 못이나 걸쇠 등에 걸어 보관하여 물기를 제거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wall surface of the basin is made of a wall surface 30 having a high portion, and the rim frame 13 of this part is formed wide to form the basin handle 10, and the wide basin handle portion is formed in the basin. The hook hole 11 is formed so that it can be hooked to the nail of the clasp or the wall, and the lower wall surface 31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gh wall 30 so that the water flows down to the low place when the basin is turned upside down.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basin is formed by the protrusions 26 and the ribs 27 so that water flows down to the bones, and the protrusions 26 and the ribs 27 can be rubbed with simple laundry. As the central part of the basin is placed lower than the surroundings, it forms a concave area (25), so that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sit on the left bath, and the acupressure is made. When it is finished, the basin's handle (10) is bright and supports the basin with one foot, and the laundry is done to remove the inconveniences such as the washing board being pushed. (1) It is designed to remove moisture by hooking it to nails or clasps using hook holes.

상기한 좌욕기를 겸한 대야의 구성에 의하여 대야를 본래의 대야와 같이 사용하는 것은 일반 대야와 같으나 손빨래를 할 시에는 대야를 엎어놓은 상태로 하여발로 대야의 일부 즉 걸이구멍이 있는 넓은 부위를 발고 밝고 사용하여 대야의 밀림이 없어지게 되어짐으로서 손빨래 시 빨래판 사용과 다름이 없이 사용되어지는 효파를 얻으며 목욕 시에는 손빨래 시와 마찬가지로 엎어놓은 상태로 하이 사용함으로서 이에 기존의 좌욕기 보다 넓게 앉아 사용이 가능하여지며 지압에 효과와 움직임에 있어 보다 편리함을 얻으며 물 빠짐 구멍이 가운데 있는 좌욕기의 경우 목욕물이 주위에 남아 있는 경우가 발생하는바 이 좌욕기를 겸한 대야는 물 빠짐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되어 물이나 거품이 주위에 덜 남게되어지므로 청결 효과를 얻으며 일상사용 시에는 걸이구멍이 있는 부분이 넓게 성형되어 짐으로 잡기에 편리한 효과와 보관 시 걸이구멍을 이용하이 벽에 설치되어진 못이나 걸쇠에 걸어두어 물기가 없이 보관이 되어지는 깨끗함과 편리함을 얻게 됨으로서 사용과 보관에 있어 여러 도구를 사용함의 불편한 문제점을 해소 할 수 있다.The use of the basin in the same manner as the original basin is the same as that of the basin due to the above basin, but when washing the hands, the basin is upside down. As it is bright and used, the jungle of the basin is eliminated, so you can get the effect of being used as a washboard when washing your hands, and when you take a bath, you can sit high and use it like a hand wash. It is possible to get more convenience and effect on acupressure and movement, and in the case of a left bath with a water drain hole, bath water may remain around. A basin with a left bath will allow water to flow down naturally. Less remains around here for cleanliness The part with the hook hole is widely molded, so it is convenient to hold it with the baggage, and the hook hole is used for storage, so that it is clean and convenient to be stored without moisture by hanging it on the nail or clasp installed on the wall. This can alleviate the inconvenience of using multiple tools.

Claims (1)

대야(1) 벽면은 일부가 높게 형성되어 높은 벽면(30)을 이루고, 둘레테(13)를 가지며 이 높은 벽면(30)에는 둘레테가 넓게 형성하여 대야손잡이(10)를 이루고 이 대야손잡이에는 걸이구멍(11)을 형성하며 높은 벽면(30) 반대쪽은 낮은 벽면(31)을 이루며 대야외 면(24)의 바닥면은 돌출돌기부(26)와 이에 대하여 골진부위(27)를 형성하고 중앙부위가 오목하도록 하여 오목진 부위(25)를 이루며, 이에 대하여 대야 내면(14)의 바닥 면(15)은 중앙부위가 볼록하도록 하여 볼록진 부위(16)를 이루도록 한 좌욕기를 겸한 대야.The basin (1) wall surface is formed partly high to form a high wall surface 30, and has a rim frame 13, and the high wall surface 30 has a wide rim frame to form a basin handle (10) and this basin handle The hook hole 11 is formed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high wall 30 forms the low wall 3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24 forms the protruding portion 26 and the corrugated portion 27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The concave portion 25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surface 15 of the inner surface 14 of the basin 14 has a basin which serves as a left bath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convex to form the convex portion 16.
KR2020020027611U 2002-09-13 2002-09-13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KR2002983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11U KR200298374Y1 (en) 2002-09-13 2002-09-13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611U KR200298374Y1 (en) 2002-09-13 2002-09-13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374Y1 true KR200298374Y1 (en) 2002-12-20

Family

ID=73078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611U KR200298374Y1 (en) 2002-09-13 2002-09-13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374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04927A1 (en) Foot brush
US6478756B1 (en) Device for cleaning and massaging a foot
US11439222B2 (en) Shampoo assisting device
KR101802208B1 (en) Foot Washing Mat
KR200298374Y1 (en) a wash bowl combine hip bath bowl
US67792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gonomic basic chiropody
KR200324618Y1 (en) Wash plate
JP2006218066A (en) Stool for bathroom
KR100560600B1 (en) A Bathtub for an Infant
KR20190000321U (en) Multipurpose bathroom chair
KR200286619Y1 (en) Baby bath set
KR200294262Y1 (en) The folding washboard with chair
JP3042878U (en) Bath set
JPH0753585Y2 (en) Bath chair
CN219070044U (en) Foot basin system
JPH0678859A (en) Shower room
JP3012947U (en) Bath stool
KR200369198Y1 (en) Improving type shower head
KR200465190Y1 (en) foot washing mat
KR200320382Y1 (en) Bowel Evacuator Having Multi-use for Children
KR100318580B1 (en) A pillow for a bathhouse
JP3079673U (en) Soap case
JP3624217B1 (en) Portable basin
JP2515846Y2 (en) Bathtub lid that can be used as a stool when using the shower
KR200362872Y1 (en) a bathtub for one side of the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