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645Y1 - 벽부 형 분전반 커버 - Google Patents

벽부 형 분전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645Y1
KR200446645Y1 KR20070015003U KR20070015003U KR200446645Y1 KR 200446645 Y1 KR200446645 Y1 KR 200446645Y1 KR 20070015003 U KR20070015003 U KR 20070015003U KR 20070015003 U KR20070015003 U KR 20070015003U KR 200446645 Y1 KR200446645 Y1 KR 2004466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tribution panel
present
fram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5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504U (ko
Inventor
박성대
홍진무
임봉주
Original Assignee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15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64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5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6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6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체에 매설되어 가정용이나 산업용, 업소용 등 각종의 용도로 사용되는 벽부형 분전반 커버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일반적인 분전반 커버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액자형 분전반커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그 내부에 과전류 및 누전 차단기가 복수개 설치된 분전반 함체위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도록 하여서 된 커버의 모서리 부위에 필요에 따라 제거 가능한 절취선을 형성하고, 액자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고 액자형 분전반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통공을 형성하며, 이에 볼트 및 전시물, 투명판, 장식 너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액자기능을 가진 커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하나의 커버 금형으로 액자형 분전반의 커버와 일반형 분전반의 커버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제조비용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게 되고, 일반적인 분전반 커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그림 및 투명판을 볼트, 장식 너트로 체결하여 액자형 분전반 커버로 전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벽부형 분전반 전시물

Description

벽부 형 분전반 커버{Wall Reclamation type Distribution Panel Cover}
본 고안은 벽부형 분전반 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에 매설되어 가정용이나 산업용, 업소용 등 각종의 용도로 사용되는 벽부형 분전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분전반은 벽체에 함체가 매설된 형태이며, 이를 불투명 또는 반투명 수지로 된 커버가 덮고 있다가 하방 또는 측방의 버튼이나 손잡이를 이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분전반의 커버는 분전반의 커버 역할에는 충실하지만 실내의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분전반 커버에 그림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액자형 분전반이 보급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를 도 1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액자형 분전반 커버는 그림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투명판 및 그림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의 커버로 제작된 것으로, 사람이 거주하는 실내에 설치될 경우 주위의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어 실내 장식 효과를 얻게 되는 잇점이 있다. 반면에, 분전반은 사람이 거주하는 실내가 아닌 창고, 작업 현장 또는 눈에 잘 띄지 않는 기타 장소에도 빈번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제작비용의 추가 부담이 불가피한 액자형 분전반을 채택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분전반 제조사에서는 액자형 분전반과 액자형이 아닌 일반형 분전반을 제공하여 편의에 따라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2 종류의 커버를 제작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액자형 분전반 커버와 일반형 분전반 커버를 위한 커버 제조용 금형을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 부담이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분전반 커버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 필요한 경우에는 액자형 분전반커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벽부형 분전반 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과전류 및 누전 차단기 가 복수개 설치된 분전반 함체위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도록 하여서 된 커버의 모서리 부위에 필요에 따라 제거 가능한 절취선을 형성하고, 액자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대로 사용하고 액자형 분전반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통공을 형성하며, 이에 볼트 및 전시물, 투명판, 장식 너트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액자기능을 가진 커버로 사용할 수 있게 하여서 된 벽부형 분전반 커버를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하나의 커버 금형으로 액자형 분전반의 커버와 일반형 분전반의 커버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제조비용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일반형 분전반 커버로 사용하다가 필요시에는 절취선을 이용하여 이 부분을 제거하여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그림 및 투명판을 볼트, 장식 너트로 체결하여 액자형 분전반 커버로 전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본 고안에 의하여 제안된 커버를 보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내부에 과전류 및 누전 차단기가 복수개 설치된 분전반 함체(1)위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도록 하여서 된 커버(2) 의 모서리 부위에 필요에 따라 제거 가능한 절취선(3)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액자가 불필요한 장소에서는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그 구조를 도 2의 부분 확대도 및 도 3의 종단면도로 보였다.
이러한 도 2에서는 절취공(3') 또는 절취홈(3") 등 절취선(3)이 형성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3a에서는 이러한 절취선(3)이 절취공(3')으로 된 예를 보였고, 도 3b에서는 절취선(3)이 절취홈(3")으로 된 예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도 3b의 경우에는 절취홈(3")이 내측에서만 관찰되므로 외부에서 일반 커버와 식별되지 않는 상태로 되고, 절취공(3')을 형성한 도 3a와 같이 먼지가 침투할 염려가 없게 되는 잇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일반 벽부형 분전함 커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필요시에는 도 4, 5로 보인 바와 같이 액자형 벽부 분전반 커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공히 절취선(3)에 날카로운 공구를 사용하여 내측 부분을 따냄으로써 통공(4)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도 4로 보인 바와 같이, 제조자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절취선(3)에 타격을 주어 절취선(3) 내측 부분이 이탈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2)의 네 모서리에 통공(4)을 형성한 후, 커버(2) 저면에서 볼트(5)를 끼워 커버(2)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전시물(7) 및 네모서리에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통공(4)을 구비하여서 된 투명판(8) 및 장식너트(6)를 순차로 결합함으로써 도 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상태를 도 6으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커버(2)의 모서리에 형성된 통공(4)과 투명판(8)의 모서리에 형성된 통공(4)에 볼트(5)와 장식너트(6)가 체결되고, 투명판(8)과 커버(2) 사이에 사진이나 그림 등 전시물(7)이 위치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커버(2)의 네 모서리에 절취선(3)이 형성된 예를 보였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세 개 또는 두 개의 절취선(3)을 형성하고, 볼트(5) 및 너트(6) 그리고 통공(4)의 숫자를 이에 부합되도록 조합하여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볼트(5)와 장식너트(6) 그리고 통공(4)의 개수를 네 개 이상이 되도록 하여 다양한 형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통공(4)의 위치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투명판(8)과 커버(2)의 결합을 위하여 볼트(5) 및 너트(6)를 사용한 예를 보였으나,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강제 결합 가능한 체결구(9)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타,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기술적 특징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자형 벽부 분전반 커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벽부형 분전반을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서 절취선으로 절취공을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3b는 본 고안에서 절취선으로 절취홈을 적용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액자용으로 사용하는 실시예에 의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을 액자용으로 사용한 경우의 사시도.
도 6, 7은 본 고안을 액자용으로 사용한 경우의 조립 상태를 보인 실시예 설 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함체 2: 커버 3: 절취선
3': 절취공 3'': 절취홈 4: 통공
5: 볼트 6: 장식 너트 7:전시물
8: 투명판 9: 체결구

Claims (4)

  1. 내부에 과전류 및 누전 차단기가 복수개 설치된 분전반 함체(1)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여닫도록 하여서 된 커버(2)의 모서리 부위에 체결용 통공(4) 형성을 위한 절취선(3)을 형성하고, 상기 절취선(3)을 이용하여 통공(4)을 형성하며, 이에 볼트(5) 및 전시물(7), 볼트(5)에 의하여 관통되는 통공(4)을 갖는 투명판(8), 장식 너트(6)가 순차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부형 분전반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070015003U 2007-09-07 2007-09-07 벽부 형 분전반 커버 KR2004466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5003U KR200446645Y1 (ko) 2007-09-07 2007-09-07 벽부 형 분전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5003U KR200446645Y1 (ko) 2007-09-07 2007-09-07 벽부 형 분전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04U KR20090002504U (ko) 2009-03-11
KR200446645Y1 true KR200446645Y1 (ko) 2009-11-17

Family

ID=41288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5003U KR200446645Y1 (ko) 2007-09-07 2007-09-07 벽부 형 분전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6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78B1 (ko) 2012-06-20 2012-11-22 (주)시연기전 방폭형 접속 배선함
KR102213568B1 (ko) * 2020-08-05 2021-02-09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벽체에 매설되는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분전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6822A (zh) * 2013-10-22 2014-02-26 昆山振宏电子机械有限公司 开关柜后门通用装饰条及开关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223A (ja) * 1995-09-12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機器取付装置および分電盤
KR19990026926U (ko) * 1997-12-22 1999-07-15 반영호 양면 탈 부착식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액자
KR200209719Y1 (ko) 2000-07-27 2001-01-15 우환희 액자의 배면판
KR20030032527A (ko) * 2001-10-18 2003-04-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223A (ja) * 1995-09-12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気機器取付装置および分電盤
KR19990026926U (ko) * 1997-12-22 1999-07-15 반영호 양면 탈 부착식 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액자
KR200209719Y1 (ko) 2000-07-27 2001-01-15 우환희 액자의 배면판
KR20030032527A (ko) * 2001-10-18 2003-04-26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벽 매립형 통신기기의 부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678B1 (ko) 2012-06-20 2012-11-22 (주)시연기전 방폭형 접속 배선함
KR102213568B1 (ko) * 2020-08-05 2021-02-09 주식회사 천일엠이씨 벽체에 매설되는 공동주택 실내전기의 분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04U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645Y1 (ko) 벽부 형 분전반 커버
JPS6099845A (ja) モジユ−ル式パツケ−ジ装置
USD513537S1 (en) Ceiling panel
US6385326B1 (en) Quick-detachable structure for on-wall speaker panel
AU2003279408A1 (en) Top cover for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D514430S1 (en) Escutcheon plate for an enclosure
CN203339023U (zh) 一种按键控制面板
JP6005888B1 (ja) 化粧扉
JPH05287959A (ja) ド ア
USD527615S1 (en) Escutcheon plate for an enclosure
CN201138621Y (zh) 手动开关盒改良结构
IT201800001697A1 (it) Gruppo targhetta-pulsante per postazione citofonica esterna di un impianto citofonico e/o videocitofonico e postazione citofonica esterna impiegante lo stesso
USD470853S1 (en) Front panel
CN209852956U (zh) 一种便于组合的通风收纳箱
JP3102826U (ja) 商品陳列用の什器
CN207790522U (zh) 一种便于护理的汽车控制面板
CN201112193Y (zh) 一种按键开关
JP2000029394A5 (ko)
JP5615767B2 (ja) 照明具
KR200305602Y1 (ko) 스위치 커버용 벽면 보호판
JPH04258U (ko)
KR200390270Y1 (ko) 납골 안치단
JP3097473U (ja) ファイルスタンドセット
USD537639S1 (en) Letter frame
KR200248872Y1 (ko) 장롱의 문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