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582Y1 - Packaging box - Google Patents

Packaging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582Y1
KR200446582Y1 KR2020070020203U KR20070020203U KR200446582Y1 KR 200446582 Y1 KR200446582 Y1 KR 200446582Y1 KR 2020070020203 U KR2020070020203 U KR 2020070020203U KR 20070020203 U KR20070020203 U KR 20070020203U KR 200446582 Y1 KR200446582 Y1 KR 200446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ner box
product
outer box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0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6101U (en
Inventor
진태원
한창준
Original Assignee
(주)이메이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메이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이메이션코리아
Priority to KR20200700202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582Y1/en
Publication of KR200900061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0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58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8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 B65D5/5286Contents attached to or resting on the externa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opening or weakened area in which an item is 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열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상품이 저장되는 공동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공동부에 저장된 상품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출몰구가 마련된 통형상의 안상자(10)와; 상기 안상자(10)를 외부에서 감싸며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기 안상자가 슬라이딩되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바깥상자(20)와; 상기 안상자의 공동부에 마련되어 상품이 안치되는 상품안치부(33)와; 상기 상품안치부를 지지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안상자와 바깥상자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안상자가 외부로 인출시 상기 상품안치부를 상기 출몰구(11)를 향하여 밀어내고 상기 안상자의 인입시에는 상기 상품안치부를 상기 공동부 내부로 끌어당기는 인출입유닛(30)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display box, the configuration is formed in the cavity is a product is stored therein,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inner box provided with a spout for the product is drawn in and out of the cavity (side) 10); An outer box 20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box 10, the opening being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box by sliding in and out of the inner box; A product settling portion 33 provided at a cavity of the inner box to receive a product; The product settled part supports both ends of the inner box and the outer box,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inner box is pulled out, the product settled part is pushed toward the outlet 11 and when the inlet is inserted It includes a draw-out unit 30 for pulling the goods settled into the cavity.

이에 의해 안상자의 간단한 슬라이딩 작동에 의하여 상품을 상자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게 함으로써 유통과정과 진열과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포장상자와 진열상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포장상자와 진열상자를 각각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This allows the goods to be released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ox by a simple sliding operation of the inner box, which speeds up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the display process, and simultaneously performs the functions of the packaging box and the display box.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ost savings.

안상자, 바깥상자, 상품안치부, 인출입유닛, 접는 선, 절단부, 고정부 Inner Box, Outer Box, Product Settlement Unit, Drawout Unit, Folding Line, Cutout, Fixing Section

Description

진열겸용 포장상자{PACKAGING BOX} Combined display box {PACKAGING BOX}

본 고안은 진열겸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깥상자에 내장된 안상자를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상품을 운반중에는 상자내로 수용되게 하고 진열시에는 상품을 상자 외부로 돌출되게 하여 상자에 내장된 상품을 유통중에 파손없이 안전하게 운반을 할 수 있으면서 상품진열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ined use packaging box, and more particularly, by sliding the inner box built up in the outer box up and down to accommodate the goods in the box during transport and to protrude the goods out of the box during display in the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box that can be used to safely display a product while being able to safely transport it without damage during distribution.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생산된 화장품 종류의 상품들은 외부에 상품명과 이에 대한 간단한 사용 설명이 기재된 불투명한 종이재 포장상자에 단위포장하는 경우가 많고, 삼푸류나 또는 소형물품인 마우스, 각종 공구부품 등은 내부가 보이게 투명한 합성수지재질의 포장상자에 넣어서 단위포장을 한다.In general, cosmetic products produced at the factory are often packaged in opaque paper packaging boxes with the product name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ir use. Pack the unit in a transparent plastic box so that is visible.

이렇게 단위포장된 상품들은 유통을 편리하게 하면서 유통 중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큰 단위 포장으로 포장박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운송중에 발생하기 쉬운 파손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에 가해지는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골판지나 스치로폼과 같은 완충재를 이용하여 포장박스에 담고서 각 매장으로 운송한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distribution and prevent damage during distribution, the packaged goods are used in a larger box of packaging.In order to protect the product from external impacts on the product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during transportation, Using cushioning materials such as Styrofoam, they are packed in boxes and shipped to each store.

매장으로 운송된 상품들은 소비자에게 판매되게 하기 위해서는 운반중에 상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포장을 잘해야 하고, 또 운반된 상품은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욕구가 불러일으킬 수 있게 상품의 품질과 진열 상태 및 포장박스의 고급스러움이 잘 어울려져야 함은 물론, 매장에 진열할 때 신속하면서 간편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정리정돈이 잘되어야 한다.In order to ensure that the goods shipped to the store are sold to consumers, they must be well packaged so as not to damage the goods during transportation. Not only should luxury fit well, but it should be well organized so that it can be quickly and easily displayed in the store and prompt consumers to buy.

이렇게 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운송중에 상품의 파손방지를 하면서 다량의 상품을 이동이 용이하도록 포장하는 포장상자와, 구매 욕구를 불러일으킬 수 있게 상품을 전시하는 진열 상자가 결합된 상품들이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To this end, in recent years, a combination of a packaging box for packaging a large quantity of goods to facilitate movement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goods during transportation, and a display box for displaying a product to display a product to induce a desire to buy comes out.

그런데 종래의 진열 겸용 포장상자는 포장 상자내에 수용된 상품을 전시하기 위해서는 포장상자에서 상품을 꺼내어서 진열하고 매장이 끝나면 다시 포장상자에 넣어서 보관한다. However, in order to display the goods contained in the conventional display combined packaging box, the display is taken out of the packaging box and displayed and stored in the packaging box when the store is over again.

또 진열된 상품이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경우에도 상품을 포장박스에 담고서 이동한다.In addition, if the displayed goods move to another place, the goods are moved in a packing box.

이와 같이 공장에서 포장박스에 포장되어 매장으로 운송된 상품들은 매장에 진열하기 위해서 포장박스에서 꺼낼 때 완충재도 함께 제거하면서 꺼내야 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진열하는 시간도 많이 걸리고, 또한, 공장에서 매장으로 운반할 때 상품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박스에 담는 완충재로 인하여 포장시간도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완충재로 인한 별도의 자재비가 낭비되는 문제 점이 있었다.As such, the goods packed in the box at the factory and transported to the store are not only cumbersome but also take a long time to be displayed and removed from the box when they are taken out of the box to display at the store.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when the packaging material is not only takes a lot of packaging time due to the cushioning material in the packaging box, there was a problem that a separate material cost due to the buffer material was wast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매장으로 운송하기 위하여 단위 포장 상태에서 보다 큰 단위포장으로 포장할 때 완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품에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또한 매장에 진열하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에도 간편하면서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게 한데 그 목적을 둔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when packing in a larger unit packaging in the unit packaging state to transport to the store, as well as preventing damage to the product without using a cushioning member, and also displayed in the store Its purpose is to make it quick and easy to handle even when moving to another loca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상품이 저장되는 공동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공동부에 저장된 상품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출몰구가 마련된 통형상의 안상자(10)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vity portion in which a product is stored therein, and a cylindrical inner box 10 provided with a doorway through which the product stored in the cavity is drawn in and out. ;

상기 안상자(10)를 외부에서 감싸며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기 안상자가 슬라이딩되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바깥상자(20)와;An outer box 20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box 10, the opening being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box by sliding in and out of the inner box;

상기 안상자의 공동부에 마련되어 상품이 안치되는 상품안치부(33)와;A product settling portion 33 provided at a cavity of the inner box to receive a product;

상기 상품안치부를 지지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안상자와 바깥상자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안상자가 외부로 인출시 상기 상품안치부를 상기 출몰구(11)를 향하여 밀어내고 상기 안상자의 인입시에는 상기 상품안치부를 상기 공동부 내부로 끌어당기는 인출입유닛(30)을 포함한 진열겸용 포장상자에 의해 달성된다. The product settled part supports both ends of the inner box and the outer box,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inner box is pulled out, the product settled part is pushed toward the outlet 11 and when the inlet is inserted It is achieved by a combined use box containing a take-out unit 30 that pulls the goods settled into the cavity.

여기서, 상기 바깥상자(20)는 후면부(21) 상단에 구멍(41)이 형성된 걸이부(40)를 부착될 수 있다.Here, the outer box 20 may be attached to the hook portion 40 is formed with a hole 41 on the top of the rear portion (21).

상기 바깥상자(20)는 후면부(21)와 제1결합부(22) 사이에 안상자(10)가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걸림부(28)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box 20 may be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28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so that the inner box 10 slides smoothly between the rear portion 2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상기 바깥상자(20)는 후면부(21) 하단과 좌,우측면부(27)(24)의 하부에 절단부(25d)(25c)(25b)가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box 20 may have cut portions 25d, 25c, and 25b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portion 21 and at the bottom of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7 and 24.

상기 바깥상자(20)는 상품의 인출입 방향에 따라서 상,하부 중 어느 하나는 덮개로 닫혀있을 수도 있고, 안상자(10)의 출몰구(11)와 대응하는 측면에 절단부(25a)를 마련할 수도 있다.The outer box 20 may be closed by a cover of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according to the draw-out direction of the product, the cutting portion 25a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utlet 11 of the inner box 10 You may.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안상자의 간단한 슬라이딩 작동에 의하여 상품을 상자 외부 또는 내부로 출몰되게 함으로써 유통과정과 진열과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음 물론, 상품을 꺼내지 않고 소비자에게 전시할 수 있고, 또한, 바깥상자의 후면부에 걸이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진열함의 벽면에 간편하게 걸어 놓을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allowing the goods to appear on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box by a simple sliding operation of the inner box can speed up the distribution process and the display process, of course, can be displayed to the consumer without taking out the product, The hanger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box so that it can be easily hung on the wall of the display box.

또한, 포장상자와 진열상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서 포장상자와 진열상자를 각각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이 절감된다. In addition, since the functions of the packaging box and the display box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each of the packaging box and the display box, thereby reducing the cost.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컴퓨터용 마우스가 포장된 것을 예를 들어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xample, a computer mouse is packag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전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parate development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진열겸용 포장상자는, 내부에 상품이 저장되는 공동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공동부에 저장된 상품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출몰구(11)가 마련된 통형상의 안상자(10)와;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ombined display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vity portion in which goods are stored therein, and on one side, the outlet port 11 into which goods stored in the cavity part are drawn in and out. A cylindrical inner box 10 is provided;

상기 안상자(10)를 외부에서 감싸며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기 안상자(10)가 슬라이딩되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안상자(10)가 외부로 인출시 출몰구(11)를 통하여 돌출된 상품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단부(25a)가 형성된 바깥상자(20)와;The inner box 10 is wrapped around the outside, and at one end, the opening is form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inner box 10, and the outlet 11 when the inner box 1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 outer box 20 in which a cutout 25a is formed to expose the product protruding through the outside;

상기 안상자(10)의 공동부에 마련되어 상품이 안치되는 제1,2상품안치부(33a)(33b)를 지지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안상자(10)와 바깥상자(2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안상자(10)가 외부로 인출시 상기 제1,2상품안치부(33a)(33b)를 상기 출몰구(11)를 향하여 밀어내고 상기 안상자(10)의 인입시에는 상기 제,2상품안치부(33a)(33b)를 상기 공동부 내부로 끌어당기는 인출입유닛(30)으로 구성된다.It is provided in the cavity of the inner box 10 to support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settlement (33a, 33b) in which the goods are placed,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respectively When the inner box 10 is pulled out,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settlements 33a and 33b are pushed toward the outlet 11 and when the inner box 10 is pulled out, It consists of the draw-out unit 30 which draws 2 goods-placement part 33a, 33b in the said cavity part.

상기 안상자(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된 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inner box 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preferably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안상자(10)의 단면은 예를 들어, 원형 또는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inner box 1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a polygon such as a circle or a square or a hexagon.

안상자(10)는 더욱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몰구(11)가 형성된 사각 전면부(12)와, 상기 전면부에 연장되어 상하부에 각각 날개부(13a)(13b)(14a)(14b)를 가지는 좌,우측면부(13)(14) 및 결합용 날개(17)가 연결된 상하 덮개부(16)(16a)와, 상기 좌측면부(13)에 연장되어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절결된 한 쌍의 절결부(15a)가 형성된 후면부(15)와, 후면부(15)의 일측에 연장되어 우측면부(14)에 부착되는 부착용 날개부(18)로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inner box 10 includes a rectangular front portion 12 having a recess 11 and a wing portion 13a and 13b extending up and down the front portion, respectively ( The upper and lower cover portions 16 and 16a to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3 and 14 and the coupling blades 17 having the 14a and 14b portions are connected, and the upper and lower cover portions 16 and 16a extend to the left side portion 13 and are spaced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t can be formed with a rear portion 15 formed with a pair of cutouts (15a)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attachment wing portion (18)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15) and attached to the right side portion (14). have.

바깥상자(20)는 안상자(10)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마련된다. 바깥상자(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안상자(10)에 대응되는 단면형상을 갖는 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The outer box 2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box 10 from the outside. The outer box 2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but preferably, the outer box 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box 10.

이 경우, 바깥상자(20)의 일단은 안상자(10)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인출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된다. 한편, 바깥상자(20)의 타단은 밀폐될 수도 있으며, 개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안상자(10)는 선택적으로 바깥상자(20)의 양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one end of the outer box 20 is formed with the opening so that the inner box 10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outer box 20 may be sealed, it may be opened. In the latter case, the inner box 10 may optionally be withdrawn in either or both directions of either end of the outer box 20.

바깥상자(20)는 예를 들어, 안상자(10)의 절결부(15a)로 관통되어 접어지는 제1결합부(22)와, 제1결합부(22)에 연결된 후면부(21)와, 상기 후면부(21)의 일측에 연장된 부착용 날개부(23)와, 타측에 일렬로 연장된 우측면부(24), 절단부(25)가 형성된 전면부(26) 및 좌측면부(27)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box 20 may include, for example, a first coupling part 22 that is penetrated by the cutout part 15a of the inner box 10, a rear part 21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22, and Attached wing portion 23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21, the right side portion 24 extending in a row on the other side, the front portion 26 formed with a cut portion 25 and the left side portion 27 Can be.

인출입유닛(30)은 상품안치부(33a, 33b)를 지지하며, 안상자(10) 및 바깥상자(20)의 내측벽에 양단이 고정되어 안상자(10)가 바깥상자(20)의 외부로 인출시에는 상품안치부(33a, 33b)를 출몰구(11)를 향하여 밀어내고, 안상자(10)가 바깥상자(20) 내부로 인입시에는 상품안치부(33a, 33b)를 상기 공동부로 끌어당긴다. The draw-out unit 30 supports the product settlement units 33a and 33b,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inner walls of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so that the inner box 10 of the outer box 20 is fixed. The product settlement part 33a, 33b is pushed toward the exit port 11 when it draws out, and the product settlement part 33a, 33b is recalled when the inner box 10 draws into the outer box 20 inside. Pull into the cavity.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진열상자 겸용 포장상자는 제품의 배송 또는 이송시에는 안상자(10)가 바깥상자(20)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상품이 안상자(10)의 공동부로 수용되어 부피를 최소화하는 한편 상품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display box combined packaging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volume by receiving the product into the cavity of the inner box 10 while the inner box 10 is introduced into the outer box 20 during the delivery or transport of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they can be stored safely to prevent damage to the goods.

또한, 제품의 진열시에는 포장상자를 개봉하거나 뜯어낼 필요가 없이 안상자(10)를 바깥상자(20)의 외부로 인출시키면 인출입유닛(30)에 의해 안상자(10) 내 부의 공동부에 있는 상품이 출몰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진열효과가 향상되는 것이다. In addition, during the display of the product, if the inner box 10 is pulled out of the outer box 20 without having to open or tear off the packing box, the cavity inside the inner box 10 by the draw-out unit 30. Since the goods in the outlet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display effect is to be improved.

인출입유닛(30)은 안상자(10) 및 바깥상자(20)의 형상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The take-out unit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kind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예를 들어, 인출입유닛(30)은 안상자(10)의 절결부(15a)로 관통되어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에 부착 고정되는 제2결합부(31)와, 상기 제2결합부(31)에서 연장되는 지지부(32), 제1상품안치부(33a) 및 안상자(10)의 전면부(12) 안쪽 하부에 부착되는 부착용 날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2)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접어서 지지부에 부착되는 부착부(36)와, 부착부(36)에 연장된 제2상품안치부(33b), 연결부(37) 및 안상자(10)의 덮개부(16) 내면에 부착되는 고정부(38)로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raw-out unit 30 is penetrated by the cutout portion 15a of the inner box 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1 fixedly attach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of the outer box 20. In addition, a support part 32 extending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31, a first product settlement part 33a, and an attachment wing part 34 attached to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rt 12 of the inner box 10 are formed. And an attachment part 36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2 to be folded and attached to the support part, a second product placement part 33b extending to the attachment part 36, a connection part 37 and an inner box ( It may be composed of a fixing portion 38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6 of 10).

또는, 인출입유닛(30)은 상기 구성이외에도 스프링이나 각종 탄성부재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Alternatively, the draw-out unit 30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using a spring or various elastic members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그러나, 전술한 구조의 인출입유닛(30)의 경우에는 안상자(10)의 인출입 동작만으로 인출입유닛(30)를 한꺼번에 조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draw-out unit 3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raw-out unit 30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only by the draw-out operation of the inner box 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진열겸용 포장상자의 결합 공정을 살펴보기로 한다.Let's look at the bonding process of the combined display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안상자(10)를 펼친 상태에서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가 안상자(10)의 한쌍의 절결부(15a)로 통과시킨 후 제1결합부(22)를 접는 선을 따라 안상자(10)의 위에 위치하도록 접는다.A line that fold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after pas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of the outer box 20 through a pair of cutouts 15a of the inner box 10 while the inner box 10 is opened. Fold along the top of the inner box (10).

이때 바깥상자(20)의 전,후,좌,우측면부는 안상자(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결합부(22)는 안상자(2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ront, rear, left, right side of the outer box 20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box 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20).

이 상태에서 인출입유닛(30)의 제2결합부(31)를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 아래로 위치되도록 안상자(10)의 절결부(15a)로 통과시킨 다음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와 인출입유닛(30)의 제2결합부(31)를 일체로 되게 점착제로 부착한다.In this stat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1 of the draw-out unit 30 passes through the cutout portion 15a of the inner box 10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of the outer box 20. The first coupling part 22 of the outer box 2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1 of the draw-out unit 30 are attached to each other with an adhesive.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와 인출입유닛(30)의 제2결합부(31)를 부착시킨 상태에서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입유닛(30)의 지지부(32)에 부착부(36)가 서로 맞대도록 접어서 점착제로 부착시킨 다음 제2상품안치부(33b)와 연결부(37)는 접는 선을 따라 바깥쪽으로 접고 고정부(38)는 안쪽 방향으로 접는다Even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22 of the outer box 2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1 of the take-out unit 30 are attached, the support part 32 of the take-out unit 30 as shown in FIG. 4 is shown. Fold the adhesive parts 3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attach them with an adhesive, and then the second product rest part 33b and the connection part 37 fold outward along the fold line, and the fixing part 38 folds inward.

또한, 제2결합부(31)와 연결된 지지부(32)와 부착용 날개부(34)는 안쪽으로 접고, 제1상품안치부(33a)는 바깥쪽으로 접는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2 and the attachment wing part 34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31 are folded inward, and the first product settlement part 33a is folded outward.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상자(10)의 전면부(12), 좌,우측면부(13)(14), 후면부(15), 덮개부(16)(16a), 날개부(13a)(13b)(14a)(14b), 결합용 날개(17), 부착용 날개(18)를 접은 다음 상기 부착용 날개(18)를 안상자(10)의 우측면부(14) 내부에 부착하여 사각통을 만든다.In this state, the front part 12, the left and right side parts 13 and 14 of the inner box 10, the rear part 15, the lid part 16 and 16a, and the wing part 13a and 13b ( 14a) (14b), the coupling blade 17, the attachment blades 18 are folded, and then the attachment blades 18 ar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right side 14 of the inner box 10 to form a square cylinder.

안상자(10)의 상부에 있는 덮개부(16)와 날개부(13a)(14a)를 접을 때 인출입유닛(30)의 고정부(38)는 덮개부(16)와 날개부(13a)(14a)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고정부(38)의 상,하면을 안상자(10)의 덮개부(16)와 날개부(13a)(14a)에 점착제로 부 착되게 하여 고정시키고, 인출입유닛(30)의 부착용 날개부(34)는 안상자(10)의 전면부(12) 하부에 점착제로 부착시킨다.When the cover part 16 and the wing parts 13a and 14a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box 10 are folded, the fixing part 38 of the draw-out unit 30 is the cover part 16 and the wing part 13a.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xing portion 38 are fixed to the cover portion 16 and the wing portions 13a and 14a of the inner box 10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portions 14a so as to be fixed with an adhesive. Attaching wing 34 of the unit 30 is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12 of the inner box 10 with an adhesive.

이렇게 되면 안상자(10) 내부에 상품을 안치하여 안상자(10)의 출몰구(11)로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인출입유닛(30)의 설치가 완료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installation of the take-out unit 30 is completed so that the product is placed in the inner box 10 so as to be able to take in and out of the outlet 11 of the inner box 10.

물론, 인출입유닛(30)을 안상자(10)내에 결합하기 전 공정으로 인출입유닛(30)을 접지 않은 전개된 상태에서 제1,2상품안치부(33a)(33b)에는 마우스와 잭을 위치시켜 놓은 다음 외부에서 상품을 보호하면서 외부에서 보일 수 있도록 투명으로 된 보호커버(42)를 부착시킨다.Of course, in the unfolded state where the draw-out unit 30 is unfolded in the process before the draw-out unit 30 is coupled to the inner box 10, the first and second product seats 33a and 33b have a mouse and a jack. Position the and then attach the protective cover 42 made transparent so that it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while protecting the goods from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안상자(10)와 인출입유닛(30)의 결합 공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안상자(10)의 외부에 위치한 바깥상자(20)의 전면부(26), 좌,우측면부(27)(24), 후면부(21)를 각각 접어서 안상자(10)를 감싸도록 한 다음 부착용 날개부(23)를 접어 좌측면부(27)의 안쪽으로 부착 고정하면 본 고안인 진열겸용 포장상자가 완성이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art 26,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7 of the outer box 20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inner box 10 in the state that the coupling process of the inner box 10 and the draw-out unit 30 is completed. (24) and the rear part 21 is folded to surround the inner box 10, and then the attachment wing part 23 is fold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left side part 27. Will be.

여기서 바깥상자(20)는 상,하부가 뚫린 사각상자가 만들어지지만 상품의 인출입 방향에 따라서 상,하부 중 어느 하나는 덮개로 닫혀있을 수도 있고, 안상자(10)의 출몰구(11)와 대응하는 측면에 절단부(25a)를 더 마련할 수도 있다.Here, the outer box 20 is formed of a rectangular box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drilled, but on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may be closed by a cover,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draw-out of the product, and the inlet and outlet 11 of the inner box 10 Cut portions 25a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corresponding side surfaces.

상기 절단부(25a)는 상품이 인입된 상태에서는 안상자 내부에 있는 상품을 외부에서 볼 수 있게 하며, 안상자의 인출시에는 절단부의 면적만큼 출몰구(11)를 넓게 할 수 있으므로 상품의 노출면적을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절단부 및 출몰부의 크기를 더 크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cutting part 25a allows the product inside the inner box to be viewed from the outside when the product is drawn in, and when the inner box is pulled out, the outlet 11 can be widened by the area of the cutting part, thereby exposing the exposed area of the product. Can be widened. Therefore, when the size of the product is larg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ize of the cutout portion and the appearance portion larger.

이렇게 완성된 본 고안인 진열겸용 포장상자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키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tion of the display packaging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상품이 포장된 상태의 단면도로서, 바깥상자(20)의 상단부와 안상자(10)의 상단부가 일치되는 선까지 안상자(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서, 이것은 상품을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이용한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ckaged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nner box 10 is coupled to a line where the upper end of the outer box 20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x 10 coincide with each other. Use to move to a different place.

이동된 상품을 진열하기 위하여 안상자(10)를 바깥상자(20)의 하부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상자(10)를 바깥상자(20)의 하부 방향으로 밀어낼 때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와 인출입유닛(30)의 제2결합부(31)가 부착 고정된 상태이므로 인출입유닛(30)은 이동은 되지 않고 인출입유닛(30)의 제2결합부(31)에 연결된 지지부(32)의 접는 선을 힌지 축으로 하여 지지부(3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1,2상품안치부(33a)(33b)가 위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In order to display the moved goods, the inner box 10 is pushed downward of the outer box 20. As shown in FIG. 6, the inner box 10 is pushed downward of the outer box 20. When the first coupling part 22 of the outer box 2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1 of the take-out unit 30 are fixed to each other, the take-out unit 30 does not move and the take-out unit ( The first and second commodity settlements 33a and 33b are moved upward while the support 3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using the folding line of the support 32 connect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1 of 30 as a hinge axis. Pushed up.

이에 따라서 인출입유닛(30)의 연결부(37)와 고정부(38), 또 연결부(37)와 제2상품안치부(33b)와의 접는 선을 회전 축으로 연결부(37)가 고정부(38)쪽으로 회동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portion 37 is fix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7 and the fixing portion 38 of the take-out unit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7 is a folding line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37 and the second product settlement portion 33b. Will rotate toward).

안상자(10)를 바깥상자(20)의 하부 방향으로 완전히 밀어내면(안상자의 절결부에 의하여 형성된 띠 부분이 인출입유닛의 지지부 하단부에 밀착되는 상태까지만 밀려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상자(10)의 출몰구(11)로 마우스와 잭의 상품이 외부로 완전히 돌출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매장에 진열하면 된다.When the inner box 10 is completely pushed down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outer box 20 (the strip formed by the cutout of the inner box is pushed only until the inner part of the drawer un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of the draw-out unit), as shown in FIG. 7. With the outlet 11 of the inner box 10, the product of the mouse and the jack completely protrudes to the outside.

만약, 매장의 벽에 걸어서 진열할 것이라면 바깥상자(20)의 후면부(21) 상부 에 별도로 걸이부(40)를 부착하여 걸이부(40)에 천공된 구멍(41)을 이용하면 된다.If the display is to be displayed on the wall of the store, the hook portion 4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21 of the outer box 20 by using a hole 41 drilled in the hook portion 40.

안상자(10)가 바깥상자(20)내에서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바깥상자(20)의 후면부(21)와 제1결합부(22) 사이에 소정의 폭만큼 걸림부(28)를 형성되게 한 것인데, 이것은 안상자(10)의 후면부(15)는 바깥상자(20) 후면부(21)와 인출입유닛(30)의 제2결합부(31) 사이에서 뻑뻑하지 않도록 약간의 공간을 둔 것이다.In order for the inner box 10 to slide smoothly in the outer box 20, a locking part 28 is formed between the rear part 2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22 of the outer box 20 by a predetermined width. This means that the rear part 15 of the inner box 10 has a little space so as not to be stiff between the rear part 21 of the outer box 2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1 of the draw-out unit 30. will be.

안상자(1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 바깥상자(20)의 좌,우측면부(27) (24) 하부를 절단하여 절단부(25c)(25b)가 형성되게 하고, 절단된 부분으로 보이는 안상자(10)의 좌,우측면부(14)(13)을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하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In order to slide the inner box 10,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27 and 24 of the outer box 20 are cut to form cut portions 25c and 25b, and the inner box 10 shown as the cut portion.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4 and 13 of) may be gripped with a finger to slide downward.

또는, 바깥상자(20)의 후면부(21) 하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절단부(25d)가 형성되게 하여 노출된 안상자(10)의 전면부(12)와 절단부(25d)로 노출된 안상자(10)의 후면부(15)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파지한 다음 하부 방향으로 안상자를 슬라이딩시키면 된다.Alternatively, the front portion 12 and the cut portion 25d of the exposed inner box 10 are formed such that the cut portions 25d are formed in such a size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21 of the outer box 20 can be gripped with a finger. After holding the thumb and index finger on the rear portion 15 of the inner box 10 exposed to the sliding inner box in the downward direction.

상품이 안상자(10) 외부로 출몰된 상태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포장상태로 전환할려면 안상자(10)의 하부에 있는 덮개부(16a)를 손바닥으로 바쳐서 밀어 올리거나 아니면 바깥상자(20)의 절단부(25c)(25b)(25d)로 노출된 안상자(10)의 양 측면부 또는 전면부(12)와 후면부(15) 하부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상부 방향으로 밀어올리면 된다.To switch to a packaging state for moving to another place in the state in which the goods are intruded out of the inner box (10) by pushing the cover portion 16a at the bottom of the inner box (10) with a palm or pushing up the outer box (20) The sides of the inner box 10 exposed by the cut portions 25c, 25b and 25d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front portion 1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15 may be gripped with a finger and pushed upwards.

이때 안상자(10)의 상단부는 바깥상자(20)의 걸림부(28)에 도달할 때까지 밀 어 올리면 안상자의 외부로 돌출된 상품은 안상자(10) 내부로 인입되어 포장상태로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box 10 is pushed up until it reaches the locking portion 28 of the outer box 20, the produc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inner box is drawn into the inner box 10 to be packed will be.

한편, 상기 안상자(10)와 바깥상자(20)는 본 실시 예의 사각통 형상에 한하지 않고 원통형,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 팔각기둥형 등 단면이 다각형상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is not limited to the shape of a rectangular cylinde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oss-section of the polygonal shape such as cylindrical, triangular prism, pentagonal pillar, hexagonal pillar, octagonal pillar shape You can also choose on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 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열상태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상태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 전개도3 is an exploded vie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제품안치대의 조립 과정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ssembly process of the main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제품이 포장된 상태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duct packag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안상자를 하방향으로 소정거리 밀어낸 상태의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box pushed dow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IG.

도 7은 도 6에서 안상자를 하방향으로 완전히 밀어낸 상태의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ner box completely pushed downward in FIG. 6;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안상자 11: 출몰구10: inner box 11: outlet

12: 전면부 13: 좌측면부 12: Front side 13: Left side

13a: 13b: 날개부 14: 우측면부 13a: 13b: wing 14: right side

14a: 14b: 날개부 15: 후면부 14a: 14b: wing 15: rear

15a: 절결부 16: 16a: 덮개부 15a: cut out 16: 16a: cover

17: 결합용 날개 18: 부착용 날개17: Combination wing 18: Attachment wing

20: 바깥상자 21: 후면부20: outer box 21: rear

22: 제1결합부 23: 부착용 날개부22: first coupling portion 23: attachment wing portion

24: 우측면부 25a: 25b: 25c: 25d: 절단부24: Right side part 25a: 25b: 25c: 25d: Cutting part

26: 전면부 27: 좌측면부26: front side 27: left side

28: 걸림부 30: 인출입유닛28: hooking portion 30: take-out unit

31: 제2결합부 32: 지지부31: second coupling portion 32: support portion

33: 상품안치부 33a: 제1상품안치부 33: product placement 33a: first product placement

33b: 제2상품안치부 34: 부착용 날개부 33b: second commodity settlement 34

35: 접는 선 36: 부착부 35: fold line 36: attachment portion

37: 연결부 38: 고정부 37: connection part 38: fixing part

40: 걸이부 41: 구멍 40: hook portion 41: hole

42: 보호커버42: protective cover

Claims (9)

내부에 상품이 저장되는 공동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공동부에 저장된 상품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출몰구가 마련된 통형상의 안상자(10)와;A cavity in which a product is stored therein is formed, and on one side, a cylindrical inner box (10) provided with a spout for the product stored in the cavity to be drawn in and out; 상기 안상자(10)를 외부에서 감싸며 마련되되 일단에는 상기 안상자가 슬라이딩되어 내외부로 인출입되는 개구가 형성된 바깥상자(20)와;An outer box 20 provided to surround the inner box 10, the opening being formed at one end of the inner box by sliding in and out of the inner box; 상기 안상자의 공동부에 마련되어 상품이 안치되는 상품안치부(33)와;A product settling portion 33 provided at a cavity of the inner box to receive a product; 상기 상품안치부를 지지하며 양단이 각각 상기 안상자와 바깥상자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안상자가 외부로 인출시 상기 상품안치부를 상기 출몰구(11)를 향하여 밀어내고 상기 안상자의 인입시에는 상기 상품안치부를 상기 공동부 내부로 끌어당기는 인출입유닛(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The product settled part supports both ends of the inner box and the outer box,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inner box is pulled out, the product settled part is pushed toward the outlet 11 and when the inlet is inserted Combination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ke-out unit 30 for pulling the product settled into the cavit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상자(10)는 출몰구(11)가 형성된 사각 전면부(12)와, 상기 전면부에 연장되어 상하부에 각각 날개부(13a)(13b)(14a)(14b)를 가지는 좌,우측면부(13)(14) 및 결합용 날개(17)가 연결된 상하 덮개부(16)(16a)와, 상기 좌측면부(13)에 연장되어 상하로 소정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절결된 한 쌍의 절결부(15a)가 형성된 후면부(15)와, 후면부(15)의 일측에 연장되어 우측면부(14)에 부착되는 부착용 날개부(18)로 형성되고,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box 10 is a rectangular front portion 12 is formed with a recess 11, the front portion extending to the front and lower portions 13a, 13b, 14a, 14b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cover portions 16 and 16a to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3 and 14 and the coupling blade 17 are connect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3 and 14 are extend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13 extend horizontally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up and down. It is formed of a rear portion 15 formed with a pair of cutout portion 15a cut out to the side, and a wing portion 18 for attachment to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14 is extended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15, 상기 바깥상자는 안상자(10)의 절결부(15a)로 관통되어 접어지는 제1결합부(22)와, 제1결합부(22)에 연결된 후면부(21)와, 상기 후면부(21)의 일측에 연장 된 부착용 날개부(23)와, 타측에 일렬로 연장된 우측면부(24), 절단부(25)가 형성된 전면부(26) 및 좌측면부(27)로 형성되며,The outer box has a first coupling portion 22 which is penetrated by the cutout portion 15a of the inner box 10, a rear portion 21 connect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and a portion of the rear portion 21. It is formed of the attachment wing portion 23 extending on one side, the right side surface portion 24 extending in a row on the other side, the front portion 26 and the left side portion 27 formed with the cut portion 25, 상기 인출입유닛(30)은 안상자(10)의 절결부(15a)로 관통되어 바깥상자(20)의 제1결합부(22)에 부착고정되는 제2결합부(31)와, 상기 제2결합부(31)에서 연장되는 지지부(32), 제1상품안치부(33a) 및 안상자(10)의 전면부(12) 안쪽 하부에 부착되는 부착용 날개부(3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2)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접어서 지지부에 부착되는 부착부(36)와, 부착부(36)에 연장된 제2상품안치부(33b), 연결부(37) 및 안상자(10)의 덮개부(16) 내면에 부착되는 고정부(38)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The draw-out unit 30 penetrates through the cutout portion 15a of the inner box 10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of the outer box 20 so as to be fix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A support part 32 extending from the second coupling part 31, a first product settlement part 33a, and an attachment wing part 34 attached to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front part 12 of the inner box 10 are formed. The attachment part 36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32 and folded and attached to the support part, and the second product settlement part 33b, the connection part 37 and the inner box 10 extended to the attachment part 36. Combined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xing portion 38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상자(20)는 후면부(21) 상단에 구멍(41)이 형성된 걸이부(4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x 20 is a combined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portion 40 is formed with a hole 41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rear portion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상자(20)는 후면부(21)와 제1결합부(22) 사이에 안상자(10)가 슬라이딩이 원활하도록 걸림부(28)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x 20 is combined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28 is formed between the rear portion 2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 so that the inner box 10 slides smoothly. Packing bo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상자(20)는 후면부(21) 하단에 절단부(25d)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x 20 is a combined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portion 25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rear portion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상자(20)는 좌,우측면부(27)(24)의 하부에 절단부(25c)(25b)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x 20 is a combined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portion (25c, 25b) is form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27, 2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상자(10)와 바깥상자(20)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 The display box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cross-sections of the inner box 10 and the outer box 20 are provided in any one of a circle or a polyg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상자(20)는 상품의 인출입 방향에 따라 상,하부 중 어느 하나는 덮개로 닫혀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x 20 is a combined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top and bottom is closed by a cover according to the draw-out direction of the good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상자(20)는 상기 출몰부에 대응하는 일측면에 절단부(25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열겸용 포장상자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box 20 is a combined display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ting portion (25a) is formed on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inlet portion
KR2020070020203U 2007-12-17 2007-12-17 Packaging box KR2004465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03U KR200446582Y1 (en) 2007-12-17 2007-12-17 Packaging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03U KR200446582Y1 (en) 2007-12-17 2007-12-17 Packaging box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01U KR20090006101U (en) 2009-06-22
KR200446582Y1 true KR200446582Y1 (en) 2009-11-11

Family

ID=4129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03U KR200446582Y1 (en) 2007-12-17 2007-12-17 Packaging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582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404A (en) 1977-03-14 1978-06-13 Gaf Corporation Combined display and shipping package
KR200247485Y1 (en) 1999-05-28 2001-09-26 권오진 Packing box for a funeral goods inserting or removing a wreath picture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4404A (en) 1977-03-14 1978-06-13 Gaf Corporation Combined display and shipping package
KR200247485Y1 (en) 1999-05-28 2001-09-26 권오진 Packing box for a funeral goods inserting or removing a wreath picture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01U (en) 2009-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17988A1 (en) Dispenser-Packaging for Protective Eyewear
EP2838803B1 (en) Packaging system
US11427378B2 (en) Eye shield dispenser
US3568883A (en) Carton dispenser for wrapped articles
US4258842A (en) Cap display package
US8789704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7464828B1 (en) Container for storing toiletry items
JP2018535152A (en) Consumer goods pack
KR200446582Y1 (en) Packaging box
US3794793A (en) Package for flexible articles
US5320215A (en) Vial dispensing carton
US20090288981A1 (en) Package for Displaying a Product
CA2645275C (en) Container for holding an article
US8646608B2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US5938026A (en) Swab dispenser
KR101582148B1 (en) Container for carrying or displaying bottle
KR101718431B1 (en) The case for packing
ITFI20070261A1 (en) CARTON BOX FOR CONTAINMENT OF PORTALQUID BAGS EQUIPPED WITH DISPENSER TAP
KR102077551B1 (en) Packing box with easy retrieval of goods
KR200420834Y1 (en) A displaying combination packing box
KR101707645B1 (en) Tube type packing box
KR200250999Y1 (en) Package box which can display
IT202100011468A1 (en) Container for dispensing sachets and the like
JP2572903Y2 (en) Store case for product display
KR200453159Y1 (en) Bottl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