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25Y1 -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25Y1
KR200446325Y1 KR2020090007659U KR20090007659U KR200446325Y1 KR 200446325 Y1 KR200446325 Y1 KR 200446325Y1 KR 2020090007659 U KR2020090007659 U KR 2020090007659U KR 20090007659 U KR20090007659 U KR 20090007659U KR 200446325 Y1 KR200446325 Y1 KR 200446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atchet gear
stopper
fixed
axiall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득환
최재문
강의석
김진택
심기중
Original Assignee
최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득환 filed Critical 최득환
Priority to KR2020090007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22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 B65G2812/02237Belt conveyors for vertical conveyance provided with bu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버킷엘리베이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역회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주변에 고정설치된 몸체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설치되는 라쳇기어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에 일단이 축고정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타단에 상단이 축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는 제 2링크로 이루어진 링크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 2링크를 당겨 상기 제 1링크에 의해 상기 스토퍼를 상기 라쳇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자석부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스토퍼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는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방지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몸체, 라쳇기어, 스토퍼, 링크부, 전자석부

Description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BACKLASHING PREVENTION SYSTEM OF BUCKET ELEVATOR}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는 스토퍼의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방지까지 할 수 있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킷엘리베이터란 곡물가공장치 등과 같이 하부의 곡물을 상부로 퍼 올린 후 다음 공정으로 공급시킬때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곡물을 상부로 공급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버킷엘리베이터의 상부 및 하부에 구동폴리를 설치한 후 벨트에 버킷을 연결하여 상기 버킷이 상승함과 동시에 곡물을 퍼담아 다시 아래로 반전하면서 곡물을 배출통로로 쏟아 붓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급작용을 마친 후 전원을 차단시킬때는 벨트가 그대로 정지함으로써,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공급작용도중 정전 등으로 인해 전류공급이 중지될 경우 벨트의 상승부 방향의 버킷에는 모두 곡물이 가득 담겨진 상태이기 때문에 상당한 편하중이 작용하게 되어 벨트가 역회전하면서 곡물이 하부방향으로 쏟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역회전 작용 때문에 장치의 전반적인 부분에 무리가 가해져서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고, 곡물이 하부에 많이 쌓인 상태에서 무리하게 재가동시킬 경우 모터가 파손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쌓인 곡물을 모두 제거한 후에 재가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킷엘리베이터(3)의 구동축(31)에 역회전방지를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구동축(31)의 끝단에 라쳇트기어(5)와 동시에 미끄럼메탈(미도시)을 키이(미도시)로 설치하여 구동축(31) 및 라쳇트기어(5)와 동시에 회전토록하되, 미끄럼메탈(미도시)의 외면부중앙에는 요부(미도시)를 형성한 후 여기에 각 반원형으로 분할되면서 결합시 약간의 틈새가 벌어지도록 한 마찰커버(미도시)를 결합시키고 또 마찰커버(미도시)에는 마주보는 양단에 구멍이 있는 결합돌부(미도시)를 형성하며, 구멍에 길이가 긴 볼트(미도시)를 결합하여 여기에 압축스프링(미도시)과 너트(미도시)를 체결하여 마찰커버(미도시)가 미끄럼메탈(미도시)에 밀착되게 하고 일측 마찰커버(미도시)에는 아암을 돌출형성하여 끝단에 작용핀(미도시)을 형성하며, 작용핀(미도시)의 바로 아래에는 브라켓(7)을 고정시킨 후 여기에 걸림구(9)를 판으로 설치하여 유동가능케하되 걸림구(9)는 라쳇트기어(5) 방향으로 걸림턱(미도시)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경사진 장공을 형성하여 작용핀(미도시)이 삽입되게끔 구성함으로써, 걸림구(9)가 정회전시에는 라쳇트기어(5)와 이격되고 역회전시에만 라쳇트기어(5)에 걸리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자동방지 장치(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14512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곡물 이송용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자동방지 장치(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14512호)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공급이 차단될 경우 반응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상기 라쳇트기어(5)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없음은 물론, 소음까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는 스토퍼의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방지까지 할 수 있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버킷엘리베이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역회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주변에 고정설치된 몸체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설치되는 라쳇기어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에 일단이 축고정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타단에 상단이 축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는 제 2링크로 이루어진 링크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 2링크를 당겨 상기 제 1링크에 의해 상기 스토퍼를 상기 라쳇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의 저면에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자석부는 일단이 상기 제 2링크에 축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로드와,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어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로드를 끌어당기는 솔레노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전자석부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스토퍼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는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방지까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의 저면에 충격흡수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부가 고장남으로 인해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타단부가 하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토퍼와 상기 라쳇기어가 충돌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전자석부가 일단이 제 2링크에 축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로드와,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로드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스토퍼를 상기 라쳇기어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가 보다 용이하게 정회전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역회전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역회전 방지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킷엘리베이터(미도시)의 구동축(31)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버킷엘리베이터(미도시) 및 상기 구동축(31)에 관한 사항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인 역회전 방지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라쳇기어(30), 스토퍼(50), 링크부(70) 및 전자석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31)의 주변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상기 구동축(31)의 타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라쳇기어(3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31)에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토퍼(5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30)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라쳇기어(30)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부가 상기 몸체(10)에 축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링크부(70)는 상기 스토퍼(50) 및 상기 몸체(10)에 축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0)의 타측부에 일단이 축고정되는 제 1링크(710)와, 상기 제 1링크(710)의 타단에 상단이 축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10)에 축고정되는 제 2링크(730)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전자석부(90)는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 2링크(730)를 당겨 상기 제 1링크(710)에 의해 상기 스토퍼(50)를 상기 라쳇기어(30)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자석부(90)는 상기 제 2링크(73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부(90)는 일단이 상기 제 2링크(730)에 축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로드(910)와, 상기 몸체(10)에 축고정되어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로드(910)를 끌어당기는 솔레노이드부재(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자성체(magnetic substance)란, 자성을 띠는 것이 가능한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산화철, 산화크롬, 코발트 및 페라이트 등이 있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에 전류가 공급되어 자력을 발생시킬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가 상기 로드(910)를 끌어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로드(910)의 일단이 상기 제 2링크(730)에 축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링크(730)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의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로드(910)를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링크(730)의 상단에 타단이 축고정되는 상기 제 1링크(710) 또한, 상기 제 2링크(730)를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링크(710)의 일단이 타측부에 축고정되는 상기 스토퍼(50)의 타단부가 상기 제 1링크(710)에 의해 상기 라쳇기어(30)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측으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기 라쳇기어(30)가 정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자석부(90)가 일단이 상기 제 2링크(730)에 축고정되고 자 성체로 이루어진 상기 로드(910)와,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로드(910)를 끌어당김으로써, 상기 스토퍼(50)를 상기 라쳇기어(30)로부터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30)가 보다 용이하게 정회전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스토퍼(50)가 라쳇기어(30)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50)에 자력 등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다시 말해서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에 공급되던 전류가 예를 들어, 정전 등에 의해 차단될 경우 상기 스토퍼(50)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30)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라쳇기어(30)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에 공급되던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가 자력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로드(910), 제 2링크(730) 및 제 1링크(710)는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가 자력을 발생시켰을때와 동일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토퍼(50)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30)에 걸림고정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라쳇기어(30)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50)의 타측부에 일단이 축고정되는 상기 제 1링크(710)는 타단부가 하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토퍼(50)를 따라 상기 라쳇기어(3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링크(710)의 타단에 상단이 축고정되는 상기 제 2링크(730) 또한, 상기 라쳇기어(30)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 1링크(710)를 따라 상기 라쳇기어(30)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일단이 상기 제 2링크(730)에 축고정되는 상기 로드(710) 또한, 상기 라쳇기어(30)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제 2링크(730)를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부재(930)의 외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토퍼(50)가 상기 라쳇기에(30)에 걸림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스토퍼(50)의 타단부의 저면에 충격흡수부(51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스토퍼(50)의 타단부의 저면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재질 등의 충격흡수부(5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50)의 타단부의 저면에 상기 충격흡수부(51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전자석부(90)가 고장남으로 인해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자중에 의해 타단부가 하측으로 회전하는 상기 스토퍼(50)와 상기 라쳇기어(30)가 충돌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전자석 부(90)에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어 상기 스토퍼(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 스토퍼(50)의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30)에 걸림고정되는 반응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상기 라쳇기어(30)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방지까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역회전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역회전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스토퍼가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스토퍼의 타단부의 저면에 충격흡수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버킷엘리베이터, 31; 구동축,
5; 라쳇트기어, 7; 브라켓,
9; 걸림구, 10; 몸체,
30; 라쳇기어, 50; 스토퍼,
510; 충격흡수부, 70; 링크부,
710; 제 1링크, 730; 제 2링크,
90; 전자석부, 910; 로드,
930; 솔레노이드부재

Claims (3)

  1. 버킷엘리베이터의 구동축에 구비된 역회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의 주변에 고정설치된 몸체와;
    상기 구동축에 고정설치되는 라쳇기어와;
    일단부가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타단부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회전하여 상기 라쳇기어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라쳇기어가 역회전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타측부에 일단이 축고정되는 제 1링크와, 상기 제 1링크의 타단에 상단이 축고정되고 하단이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는 제 2링크로 이루어진 링크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전류의 공급에 의해 상기 제 2링크를 당겨 상기 제 1링크에 의해 상기 스토퍼를 상기 라쳇기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타단부의 저면에 충격흡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부는 일단이 상기 제 2링크에 축고정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로드와, 상기 몸체에 축고정되어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로드를 끌어당기는 솔레노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20090007659U 2009-06-15 2009-06-15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KR200446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59U KR200446325Y1 (ko) 2009-06-15 2009-06-15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659U KR200446325Y1 (ko) 2009-06-15 2009-06-15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325Y1 true KR200446325Y1 (ko) 2009-10-19

Family

ID=41562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659U KR200446325Y1 (ko) 2009-06-15 2009-06-15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0096A (zh) * 2015-03-20 2015-06-10 浙江明贺钢管有限公司 冷床链条止退装置
CN115724130A (zh) * 2022-11-28 2023-03-03 东台市鑫富达机械有限公司 一种粮食运输用链斗式输送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9606A (en) 1979-03-02 1980-09-13 Maki Seisakusho:Kk Vertically shuttlling elevator for vegetables and fruits
KR860000644Y1 (ko) * 1984-04-17 1986-04-18 보아기계공업주식회사 연초 포장용 수직 상승 콘베이어의 홀딩장치
JPH107258A (ja) 1996-06-18 1998-01-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バケットホイール式の掻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9606A (en) 1979-03-02 1980-09-13 Maki Seisakusho:Kk Vertically shuttlling elevator for vegetables and fruits
KR860000644Y1 (ko) * 1984-04-17 1986-04-18 보아기계공업주식회사 연초 포장용 수직 상승 콘베이어의 홀딩장치
JPH107258A (ja) 1996-06-18 1998-01-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バケットホイール式の掻取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90096A (zh) * 2015-03-20 2015-06-10 浙江明贺钢管有限公司 冷床链条止退装置
CN115724130A (zh) * 2022-11-28 2023-03-03 东台市鑫富达机械有限公司 一种粮食运输用链斗式输送机
CN115724130B (zh) * 2022-11-28 2023-11-07 东台市鑫富达机械有限公司 一种粮食运输用链斗式输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25Y1 (ko) 버킷엘리베이터의 역회전 방지장치
CN102667217B (zh) 磁制动设备
CN101446017A (zh) 洗衣机
EP3315646B1 (en) Drum washing machine
EP3022359A1 (en) Spreading apparatus
CN204507814U (zh) 振动加料装置
CN104840162B (zh) 拖把自动洗涤机及其专用拖把
CN201485040U (zh) 粉料螺旋给料输送器
CN111455633A (zh) 一种环保型节水洗衣机及其工作方法
CN106000635A (zh) 一种能够主动排出杂质的智能农用永磁筒
CN106544818B (zh) 一种洗衣机环保型节水工作方法及其洗衣机
CN106103330B (zh) 电梯及电梯用曳引机制动器
CN101255705B (zh) 装岩机定铲装置
CN202401281U (zh) 商用脱水机
CN203753713U (zh) 一种受料斗电动卸料装置
CN202161945U (zh) 一种固液搅拌装置
KR200486507Y1 (ko) 페이퍼 필터 고정장치
CN203082068U (zh) 一种防尘的汽车空调电磁离合器
CN101837925B (zh) 吊钩的自锁结构
CN111270475B (zh) 一种洗衣机环保型节水工作方法及其洗衣机
CN205917486U (zh) 一种洗衣机的驱动器及电抗器的固定结构
CN204096664U (zh) 自动上料翻斗机
CN205479046U (zh) 一种起重机械用自动补偿式电磁制动器
CN208120018U (zh) 一种螺栓生产车间用转运装置
KR100425095B1 (ko) 전자동세탁기용 클러치의 볼베어링 급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