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47Y1 - 카메라 - Google Patents

카메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47Y1
KR200445847Y1 KR2020070020090U KR20070020090U KR200445847Y1 KR 200445847 Y1 KR200445847 Y1 KR 200445847Y1 KR 2020070020090 U KR2020070020090 U KR 2020070020090U KR 20070020090 U KR20070020090 U KR 20070020090U KR 200445847 Y1 KR200445847 Y1 KR 200445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ns unit
transparent plate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027U (ko
Inventor
유병섭
Original Assignee
유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호 filed Critical 유장호
Priority to KR2020070020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4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되어져 함께 디스플레이해 주도록 한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관심 있는 일부 영역만을 확대하는 상태로 촬영됨으로써, 일부 영역을 보다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촬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기능적이고 유익한 촬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CAMERA}
본 고안은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되어져 함께 디스플레이해 주도록 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를 사용함에 있어서,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원근거리 및 기후의 조건에 따라 렌즈부를 조절하여 선명도를 얻도록 한다. 이때, 렌즈부는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거리계 측정 기능은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명확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두 개의 막대기가 일직선이 되었을 때에 초점이 맞다고 보는 스프리트(Sprit) 방식, 바깥 원과 작은 원 사이에서 상이 선명해질 때에 초점이 맞다고 보는 매크로(Macro) 방식, 기준점은 없지만 화면 전체가 선명해질 때에 초점이 맞다고 보는 매트(Mat) 방식 등을 이용한다.
초점거리 조절 기능은 렌즈의 중심부로부터 필름부(CCD: Charge Coupled Device)까지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때, 초점거리에 따라 렌즈를 구별할 수 있는데, 초점거리가 50(mm)으로 사람이 보는 시각과 동일한 표준렌즈, 초점거리가 50(mm) 미만인 광각렌즈, 초점거리가 50(mm) 이상인 망원렌즈로 나눌 수 있다.
조리개 조절 기능은 빛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 조리개의 크기가 작을수록 선명한 상을 얻을 수 있다.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은 피사체의 초점범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렌즈부를 구비한 카메라의 촬영에 있어, 렌즈부에 구성된 조절장치를 선회 수작동시키거나 또는 자동 조절되는 방식에 의해서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한다.
그리고 렌즈부는 전체 확대(Zoom-in), 스티커 촬영 등과 같은 특수 촬영 기능을 제공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체 확대의 경우 사용자는 렌즈부의 광학 줌 렌즈를 이용하여 촬영할 화면 전체를 줌-인 하여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부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또는, 어느 한 영역)만을 확대하고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없어 화면 전체를 확대하는 단조로운 영상 촬영밖에 할 수 없었다. 또한, 렌즈부의 광학 줌 렌즈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을 확대하여 촬영하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할 피사체 전체를 볼 수 없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은행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 카메라의 경우, 공공시설 내로 들어오는 사람들의 전체적인 모습은 촬영할 수 있으나 해당 사람의 얼굴만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하여 촬영할 수는 없었다.즉, 사람의 얼굴 부분만 확대하여 사람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래의 전체 모습도 그대로 함께 촬영하여 디스플레이해 줄 수 없었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블랙박스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자신의 차량을 지나가는 주변 차량들의 전체적인 형태는 촬영할 수 있으나 해당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확대하여 촬영할 수는 없었다.즉, 주변 차량의 번호판을 포함한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를 함께 촬영하려고 할 때에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확대하고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는 원래의 영상 이미지 그대로 촬영되어져 함께 디스플레이해 줄 수 없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원래의 영상 이미지대로 촬영되어져 함께 디스플레이해 주도록 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 영상과, 상기 확대 부분 영상 외의 나머지 부분 영상을 함께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부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로 전달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에 형성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여 형성되는 상기 확대 부분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와, 상기 투명판을 지지하고자 카메라 렌즈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대와, 상기 투명판과 고정대를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부와 상기 투명판 간에 거리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투명판 지지대와, 상기 투명판 지지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정대에 형성되어 투명판 지지대가 이동하게 될 때 카메라 렌즈부의 주 렌즈와 투명판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조절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가 제공된다.또한, 상기 보조 렌즈를 통해 확대된 영상과, 상기 보조 렌즈를 제외한 투명판의 영역을 통해 피사된 영상을 그대로 전달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 필름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의 영상신호에 대한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득 조정부에서 조정된 확대 부분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의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영상 처리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의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상기 이득 조정부, 영상 처리부, 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한편,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부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 영상과, 상기 확대 부분 영상 외의 나머지 부분 영상을 함께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부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로 전달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에 형성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여 형성되는 상기 확대 부분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와, 상기 투명판의 양측면을 지지하고자 카메라 렌즈부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대와, 상기 투명판과 고정대를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부와 상기 투명판 간에 거리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투명판 지지대와, 상기 카메라 렌즈부의 측면과 고정대 사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가 상기 카메라 렌즈부의 측면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가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의하면, 복잡한 소프트웨어(즉, 알고리즘)나 회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관심 있는 일부 영역만을 확대하여 촬영함으로써, 해당 영역을 보다 뚜렷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촬영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기능적이고 유익한 촬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확대 부분 영상 및 나머지 부분 영상을 화면에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특히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렌즈부(100), 렌즈부(110), 필름부(120), 이득 조정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렌즈부(100)는, 렌즈부(110)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렌즈부(110)와 소정의 거리 간격을 두어 설치되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고,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렌즈부(110)로 전달한다.
상기 렌즈부(110)는,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원근거리, 기후의 조건, 조명의 밝기 등에 따라 거리계 측정 기능, 초점거리 조절 기능, 조리개 조절 기능, 피사계 심도 범위 조절 기능 등을 수행하여 카메라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 이때, 렌즈부(110)는 보조 렌즈부(100)를 통해 확대된 부분의 영상과 함께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
상기 필름부(120)는, 렌즈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영상을 이득 조정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필름부(120)는 렌즈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과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함께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시켜 이득 조정부(130)로 출력한다.
상기 이득 조정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즉,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영상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영상 처리부(140)는, 이득 조정부(130)에서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입력받은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즉,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로 변환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이때, 영상 처리부(140)는 이득 조정부(130)에서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여 해당 처리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크기, 화소 등의 특징에 알맞게 변환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한다.또한, 상기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코덱을 구비하여 해당 변환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압축하여 메모리(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거나, 메모리 내에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여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웨이브렛(Wavelet) 코덱 등이 있다.
상기 제어부(150)는, 카메라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별도로 설정해 둠으로써, 해당 별도로 설정해 둔 화면 영역에 확대 부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즉, 좌표 정보)를 변경시켜 표시부(160)의 다른 영역에 확대 부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준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와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클리어(Clear)해 줌으로써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가 보다 선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필터링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초점이 맞지 않아 피사체(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이 표시부(160)에 흐릿하게 보이는 것을 보정하기 위한 영상 보정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보정부는 모호해진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획득한 경우에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경계 부분의 대비 효과를 증대시켜 상세한 부분들을 더욱 강조하도록 하는데, 이때 고주파 통과 필터링, 언샤프 마스킹(Un-sharp Masking), 고주파 지원 필터링(High-boost Filtering)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고주파 통과 필터링은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저주파 요소들을 제거하여 아주 세밀한 부분까지도 보여주도록 하는데, 이때 고주파 통과 필터링을 위한 마스크는 중심에 양의 값의 회선 계수를 가지고 바깥 경계에 음의 값의 회선 계수를 가져 해당 회선 계수들의 총 합이 '0'이 되도록 구성한다.
언샤프 마스트는 원래의 영상(즉,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저주파 통과 필터링한 영상을 빼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한다.
고주파 지원 필터링은 원래의 영상(즉,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의 밝기를 증진시킨 후에 저주파 통과 필터링한 영상을 빼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는,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이 문서(예를 들어, 문자, 기호 등)인 경우에, 이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하며, 또한 해당 메뉴에 의해 문서로 선택한 경우에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에 밝기와 대비(Contrast)를 조절하거나 감마값을 조절하여 그레이 스케일에서 고대비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하는 영상 보정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부(201)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투명한 소재로 제작된 판 형태의 투명판(202), 광학 줌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렌즈(203), 투명판(202)을 지지하기 위한 투명판 지지대(204), 상기 투명판(202)을 카메라 렌즈부(20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2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명판(202)은, 카메라 렌즈부(201)의 주 렌즈와 소정의 거리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지며, 아울러 보조 렌즈(203)가 소정의 위치에 결착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상태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투명판(202)은 보조 렌즈(203)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그대로 카메라 렌즈부(201)로 전달한다. 즉, 투명판(202)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보조 렌즈(203)에 의해 확대되는 일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을 그대로 카메라 렌즈부(201)로 전달하게 된다.
앞서 언급되었듯이 보조 렌즈(203)는 투명판(202)의 소정 위치에 결착되거나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카메라 렌즈부(201)로 전달한다. 이때, 보조 렌즈(203)는 카메라 렌즈부(201)의 주 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소정 이상으로 긴 망원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보조 렌즈(203)의 초점거리는 보조 렌즈(203)의 중심부로부터 카메라 필름부까지의 거리로서, 일부분이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될 수 있는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예를 들어, 볼록 렌즈 등)를 사용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보조 렌즈(203)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특정 비율로 보다 정확하고 선명하게 확대하도록 하기 위해 다수 개의 다른 형태의 렌즈를 구비할 수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상기 투명판 지지대(204)는, 투명판(202)과 카메라 렌즈부(201)의 일측면에 고정 구비되어 있는 고정대(205) 사이에 설치된다. 즉, 투명판 지지대(204)의 일 측부에는 투명판(202)을 고정시켜 투명판(202)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이와 대응하는 타 측부는 고정대(205)를 관통하는 상태로 고정대(205)와 연결시켜 카메라 렌즈부(201)의 주 렌즈와 투명판(202) 간에 소정의 거리 간격을 유지토록 한다.
앞서 언급되었듯이 상기 고정대(205)는, 투명판(202)을 지지하고 있는 투명판 지지대(204)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투명판(202)이 카메라 렌즈부(201)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는, 투명판 지지대(204)와 고정대(205) 간의 연결 부분에 카메라 렌즈부(201)의 주 렌즈와 투명판(202)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렉기어 구조, 암수홀 구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거리 조절 구멍(206)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투명판 지지대(204)가 거리 조절 구멍(206)으로 진입하거나 인출되는 왕복 동작에 의하여 카메라 렌즈부(201)의 주 렌즈와 투명판(202) 간의 거리가 좁혀지게 되거나 멀어지게 되는 상태로 조절되며, 이로써 보조 렌즈(203)의 중심부로부터 카메라 필름부까지의 초점거리가 조정된다.
아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 렌즈부(110)와 소정 의 거리 간격으로 배치 설치된 보조 렌즈부(100)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고,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렌즈부(110)로 전달한다.
이때, 위의 보조 렌즈부(100)는 도 2를 통해 설명되었듯이 투명판(202)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 렌즈(203)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렌즈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보조 렌즈(203)는 전체 피사체 중의 일부분이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될 수 있는 초점거리를 가지는 광학 줌 렌즈로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일 부분 영상을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시켜 해당 확대 영상을 렌즈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렌즈부(110)는 보조 렌즈부(100)를 통해 확대된 부분의 영상과 함께 그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 즉, 렌즈부(110)는 보조 렌즈(203)를 통해 확대된 영상과 보조 렌즈(203)의 일부분을 제외한 투명판(202)의 영역을 통해 그대로 피사된 영상을 필름부(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면, 은행 등과 같은 공공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 카메라의 경우, 공공시설 내로 들어오는 사람의 얼굴 부분만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얼굴 부분의 영상과 함께 사람의 원래 전체 모습에 대한 영상도 필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다른 예를 들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블랙박스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자신의 차량을 지나가는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차량 번호판의 영상을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에 대한 영상과 함께 필름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필름부(120)는 렌즈부(110)로부터 함께 전달되는 확대 영상과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즉,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된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를 이득 조정부(13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필름부(120)에서 변환된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이득 조정부(130)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이득 조정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필름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신호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영상 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영상 처리부(140)로 인가한다.
그러면, 영상 처리부(14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득 조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즉,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고, 해당 변환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부(140)는 이득 조정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이득 조정된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고, 해당 처리된 프레임 영상데이터(즉,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의 크기, 화소 등의 특징에 알맞게 변환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표시부(160)로 인가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140) 내에 구비되어 있는 영상 코덱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환된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압축하고 해당 압축된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녹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표시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데이터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 영상, 즉 확대 부분 영상(310) 및 나머지 부분 영상(320)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주게 된다.
추후, 메모리 내에 저장된 압축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출력하려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의 영상 코덱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시켜 해당 생성된 제어신호를 영상 처리부(140)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의 영상 코덱은 메모리 내에 저장된 압축 프레임 영상데이터를 판독하여 원래의 프레임 영상데이터로 복원시켜 표시부(160)로 전달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 영상, 즉 확대 부분 영상(310) 및, 나머지 부분 영상(320)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확대 부분 및 나머지 부분 영상을 화면에 나타낸 예시도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예를 통해 보듯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블랙박스용 감시 카메라의 경우, 자신의 차량을 지나가는 주변 차량의 번호판만을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차량 번호판의 확대 부분 영상(310)과 주변 차량의 전체 형태에 대한 나머지 부분 영상(320)을 함께 디스플레이해 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보조 렌즈(203)를 이용한 광학 줌을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자체적 디지털 줌에 의한 확대 영상보다 훨씬 더 선명한 확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별도로 설정해 줄 수도 있다. 이에,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별도로 설정해 둔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즉, 좌표 정보)를 변경시켜, 표시부(160)의 다른 영역을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으로 재설정할 수도 있다. 이에,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처리부(14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재설정된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더 포함되어 있는 필터링부는,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데이터 중에서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와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가 서로 겹치는 부분에 해당되는 나머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클리어해 줌으로써, 표시부(160)에 표시되는 영상데이터를 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더 포함되어 있는 영상 보정부는, 초점이 맞지 않아 피사체(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가 표시부(160)에 흐릿하게 보이는 것을 보정하는데, 모호해진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 및 나머지 부분의 영상)을 획득한 경우에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에서 경계 부분의 대비 효과를 증대시켜 상세한 부분들을 더욱 강조하도록 한다.이때, 영상 보정부는 고주파 통과 필터링, 언샤프 마스킹, 고주파 지원 필터링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보정부는,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이 문서(예를 들어, 문자, 기호 등)인 경우에, 사용자 메뉴 선택에 의해 영상 처리부(140)가 획득한 영상(즉, 확대 부분의 영상)을 그레이 스케일로 변환한 후에 밝기와 대비를 조절하거나 감마값을 조절하여 그레이 스케일에서 고대비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한다.
삭제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는, 카메라 렌즈부(401)를 덮을 수 있는 캡 형태의 구조로 배치되며, 투명한 소재로 만든 판 형태의 투명판(402), 광학 줌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렌즈(403), 투명판(402)의 양측면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투명판 지지대(404), 투명판(402)을 카메라 렌즈부(40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4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구체적으로, 상기 투명판(402)은 카메라 렌즈부(401)의 주 렌즈와 소정의 거리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지며, 아울러 보조 렌즈(403)가 소정의 위치에 결착되거나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상태로 제작된다. 이때, 투명판(402)은 보조 렌즈(403)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를 그대로 카메라 렌즈부(401)로 전달한다. 즉, 투명판(402)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보조 렌즈(403)에 의해 확대되는 일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영상을 그대로 카메라 렌즈부(401)로 전달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투명판(402)을 네모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원형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을 잘 이해해야 한다.
삭제
상기 보조 렌즈(403)는 투명판(402)의 소정 위치에 결착되거나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해당 확대된 부분의 영상을 카메라 렌즈부(401)로 전달한다. 이때, 보조 렌즈(403)는 카메라 렌즈부(401)의 주 렌즈보다 초점거리가 소정 이상으로 긴 망원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즉, 보조 렌즈(403)의 초점거리는 보조 렌즈(403)의 중심부로부터 카메라 필름부까지의 거리로서, 일부분이 설정해 둔 비율만큼 확대될 수 있는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투명판 지지대(404)는, 투명판(402)과 카메라 렌즈부(401)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상태로 연결되는 고정대(405)와 연결된다. 즉, 투명판(402)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상태로 투명판(402)을 지지함과 동시에 고정대(405)에 고정되어 있어 카메라 렌즈부(401)의 주 렌즈와 투명판(402) 간에 소정의 거리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대(405)는 카메라 렌즈부(401)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상태로 연결되고 아울러 투명판 지지대(404)와 연결됨으로써, 투명판(402)이 카메라 렌즈부(401)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삭제
특히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보조 렌즈부에서, 카메라 렌즈부(401)의 양측면과 고정대(405) 간에 서로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 부분에 베어링 구조, 암수 홀 구조 등과 같이 형성된 회전 수단(40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수단(406)에 의하여 카메라 렌즈부(401)의 양측면에 배치된 고정대(405)를 회전시키게 되면, 투명판(402)이 이와 연동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50)는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6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 영역을 별도로 설정해 줌으로써, 회전 수단(406)에 의해서 투명판(402)의 회전에 따라 보조 렌즈(403)를 통한 확대되는 부분이 달라지는 경우에도, 표시부(16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확대 부분의 영상데이터를 별도로 설정해 둔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다.
삭제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광학 줌 역할을 수행하는 보조 렌즈가 결착 또는 일체형을 형성된 투명판을 카메라 렌즈의 전단에 설치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전체 피사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보조 렌즈를 통해 소정의 비율로 확대하고, 일부분 외의 나머지 부분은 보조 렌즈를 제외한 카메라 렌즈를 통해 원래 영상대로 촬영하여 함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켜 주도록 하는 카메라에 대해서 설명하였다.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Claims (7)

  1.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부(201)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 영상(310)과, 상기 확대 부분 영상(310) 외의 나머지 부분 영상(320)을 함께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201)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부(100)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201)로 전달하는 투명판(202)과,
    상기 투명판(202)에 형성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여 형성되는 상기 확대 부분 영상(310)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201)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203)와,
    상기 투명판(202)을 지지하고자 카메라 렌즈부(201)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상태로 구비되는 고정대(205)와,
    상기 투명판(202)과 고정대(205)를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부(201)와 상기 투명판(202) 간에 거리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투명판 지지대(204)와,
    상기 투명판 지지대(204)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정대(205)에 형성되어 투명판 지지대(204)가 이동하게 될 때 카메라 렌즈부(201)의 주 렌즈와 투명판(202) 간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조절 구멍(20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렌즈(203)를 통해 확대된 영상과, 상기 보조 렌즈(203)를 제외한 투명판(202)의 영역을 통해 피사된 영상을 그대로 전달하는 렌즈부(110),
    상기 렌즈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확대 부분 영상(310)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320)을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시키는 필름부(12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필름부(120)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영상(310)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32)의 영상신호에 대한 이득을 조정하는 이득 조정부(13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이득 조정부(130)에서 조정된 확대 부분 영상(310)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32)의 영상신호를 영상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영상 처리부(140),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처리부(140)에서 변환시킨 확대 부분 영상(310) 및 그 나머지 부분 영상(32)의 영상데이터를 뷰 영상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160),
    상기 이득 조정부(130), 영상 처리부(140), 표시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6.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에 있어서,
    카메라 렌즈부(401)의 전단에 배치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한 확대 부분 영상(310)과, 상기 확대 부분 영상(310) 외의 나머지 부분 영상(320)을 함께 상기 카메라의 렌즈부(401)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부(100)는;
    상기 피사체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401)로 전달하는 투명판(402)과,
    상기 투명판(402)에 형성되어 상기 피사체 전체 중에서 일부분만을 확대하여 형성되는 상기 확대 부분 영상(310)을 상기 카메라 렌즈부(401)로 전달하는 보조 렌즈(403)와,
    상기 투명판(402)의 양측면을 지지하고자 카메라 렌즈부(401)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고정대(405)와,
    상기 투명판(402)과 고정대(405)를 연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부(401)와 상기 투명판(402) 간에 거리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투명판 지지대(404)와,
    상기 카메라 렌즈부(401)의 측면과 고정대(405) 사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대(405)가 상기 카메라 렌즈부(401)의 측면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수단(40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7. 삭제
KR2020070020090U 2007-12-14 2007-12-14 카메라 KR200445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90U KR200445847Y1 (ko) 2007-12-14 2007-12-14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090U KR200445847Y1 (ko) 2007-12-14 2007-12-14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27U KR20090006027U (ko) 2009-06-18
KR200445847Y1 true KR200445847Y1 (ko) 2009-09-03

Family

ID=4129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090U KR200445847Y1 (ko) 2007-12-14 2007-12-14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4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831Y1 (ko) * 1997-12-26 1999-11-01 조경래 카메라 렌즈의 보조렌즈
KR20010112384A (ko) * 1999-03-31 2001-12-20 사토 켄이치로 렌즈어레이유닛, 렌즈어레이의 제조방법과렌즈어레이유닛을 이용한 광학장치
KR20020041260A (ko) * 2000-11-27 2002-06-01 이중환 미세패턴 박막두께 측정장치.
KR200326424Y1 (ko) * 2003-06-10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식 보조렌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9831Y1 (ko) * 1997-12-26 1999-11-01 조경래 카메라 렌즈의 보조렌즈
KR20010112384A (ko) * 1999-03-31 2001-12-20 사토 켄이치로 렌즈어레이유닛, 렌즈어레이의 제조방법과렌즈어레이유닛을 이용한 광학장치
KR20020041260A (ko) * 2000-11-27 2002-06-01 이중환 미세패턴 박막두께 측정장치.
KR200326424Y1 (ko) * 2003-06-10 200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착탈식 보조렌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027U (ko) 200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36B1 (ko) 뎁스 정보를 이용한 아웃 포커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카메라
WO2021000592A1 (zh) 一种摄像装置和方法
WO2017045558A1 (zh) 景深调节方法、装置及终端
US20070242141A1 (en) Adjustable neutral density filter system for dynamic range compression from scene to imaging sensor
JP5950678B2 (ja) 撮像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3797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ならびに前記撮像装置のための画像処理方法
WO2015117397A1 (zh) 一种拍照方法、装置及设备
JP2016534610A (ja) 複数のカメラモジュールを備える写真撮影装置
WO2010134366A1 (ja) 監視装置
US20120092514A1 (en) Image-capture device, a method of correcting images, and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019734B (zh) 图像采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456551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smear correction method thereof
WO2014188647A1 (ja) 画像調整装置、画像調整方法、画像調整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555032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10110826B2 (en) Imaging with adjustment of angle of view
KR200445847Y1 (ko) 카메라
JP2020057967A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00650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100915406B1 (ko) 카메라
JP6157274B2 (ja) 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449278Y1 (ko) 케이스 및 이것을 구비한 감시카메라
JP2009044403A (ja) 撮像装置
JP537717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2403687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5080168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