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576Y1 - 카드 케이스 - Google Patents

카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576Y1
KR200445576Y1 KR2020090005463U KR20090005463U KR200445576Y1 KR 200445576 Y1 KR200445576 Y1 KR 200445576Y1 KR 2020090005463 U KR2020090005463 U KR 2020090005463U KR 20090005463 U KR20090005463 U KR 20090005463U KR 200445576 Y1 KR200445576 Y1 KR 200445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rd
guide groove
sliding guid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4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연
강창구
Original Assignee
조우연
강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우연, 강창구 filed Critical 조우연
Priority to KR20200900054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18Ticket-holders or the like
    • A45C11/182Credit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23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elongated profiles fastened by sli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00Purses; Money-bags; Wallets
    • A45C1/06Wallets; Notecases
    • A45C2001/065Wallets; Notecases combined with card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 A45C2200/10Transparent wall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드 케이스에 있어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수납하면서도 카드 판독 시 카드의 겹침에 의한 판독 오류를 방지하고자 구조적으로 플레이트를 펼치게 할 수 있도록 한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와;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및 슬라이딩하는 것이 특징인 고안이다.
카드 케이스, 회동 및 슬라이딩

Description

카드 케이스 {card case}
본 고안은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수납하면서도 카드 판독 시 카드의 겹침에 의한 판독 오류를 방지하고자 구조적으로 플레이트를 펼치게 할 수 있도록 한 카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IC(Integrated Circuits) 칩 기술은 신용카드, 교통카드 및 출퇴근 카드 등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즉, IC 칩을 카드에 내장시켜 카드 리더기로 하여금 IC 칩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고 판독하게 함으로써 신용카드 결제, 교통요금 결제 및 출퇴근 체크 등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카드 사용이 많아 지면서 개인이 여러 장의 카드를 한꺼번에 소지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에 따라 카드 판독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와 교통카드를 같이 지갑에 소지하는 경우에, 두 개의 카드가 카드 리더기에 동시에 접촉됨으로써 카드 중복에 의한 판독 불가 오류가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카드를 서로 분리하여 카드 리드기에 접촉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어떤 경우에는 자주 사용하는 카드를 지갑에서 따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있어 카드 손상의 위험이 있었다.
이와 같이 카드 판독 오류 및 카드 손상을 방지하고자 종래에는 카드 보호용 케이스가 개발되었다. 그 카드 케이스들은 낱장을 수용하는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한편, 최근에는 기업에 고용된 인원이 서로 다른 사업장의 출입을 위한 여러 장의 출퇴근 카드(개인 인식 카드)를 소지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여러 장의 출퇴근 카드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각 사업장에서 서로 다른 카드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여러 장의 출퇴근 카드를 카드 리더기에 동시에 접촉시키면 카드 중복에 의한 판독 불가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필요한 카드를 따로 분리하여 카드 리더기에 접촉시켜야 했다. 더군다나 대부분 사람들은 적어도 두 장의 카드를 하나의 카드 케이스에 넣고 다니거나 여러 카드 케이스에 각각 카드 하나씩을 삽입하고 다니게 된다.
그에 따라 카드를 서로 분리하여 카드 리드기에 접촉해야 하는 불편함이나 여러 카드 케이스를 가지고 다녀야하는 불편함 등이 많았다. 결국 여러 장의 카드를 사용함에 있어 카드 판독의 오류를 구조적으로 해결하면서도 또한 사용의 불편함도 해소해 주는 새로운 구조의 카드 케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여러 장의 카드를 사용함에 있어 카드 판독의 오류 및 여러 카드 사용의 불편함도 해소해 주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수납하기 위한 여러 플레이트를 결합하면서도 카드 판독 시 카드의 겹침에 의한 판독 오류를 방지하고자 구조적으로 결합된 플레이트를 회동 및 슬라이딩에 의해 펼치게 할 수 있도록 한 카드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특징은,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와;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및 슬라이딩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 및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일측부에서 회동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양측 종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턱들을 구비하되, 상기 요철턱들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할 시에 상기 결합 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요철턱과,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회동 및 슬라이딩 후에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면부에서 서로 나란 하게 결합할 시에 상기 결합 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요철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하부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목걸이와의 결합을 위한 고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될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2 플레이트들은 정면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배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2 플레이트들은 상기 배면에 관통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며,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에서 제1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과 제2 플레이트의 결합 돌기의 결합 형상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로 이루어진다. 각 플레이트들(10,20)은 세로 대비 가로 길이가 더 긴 구조이다.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는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가지며,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도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다.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는 카드 수납을 위한 카드 삽입구를 구비하며,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각 배면에 관통 홀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 홀은 각 카드 수납용 플레이트들(10,20)에 삽입된 카드를 그 플레이트들(10,2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다른 도구를 사용하여 관통 홀을 통해 노출된 카드를 밀어내는 식으로 카드를 빼낼 수 있다.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 중 하나는 목걸이와 결합을 위한 고리를 더 구비한다. 특히, 회동 및 슬라이딩하는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 보다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에 고리가 구비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로부터 회동하고 또한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결합된다. 즉,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 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및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회동 및 슬라이딩을 위해,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을 구비하고,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일측부에서 회동하는 결합 돌기(21)를 구비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는 양측부에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을 구비하며,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는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에 걸리게 결합하는 결합 돌기(21)를 양측에 구비한다.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은 양측으로 개방된 구조로 구비되며, 결합 돌기(21)는 외부로 개방되지 않으며, 제2 플레이트(20)의 양측부에서 굽어지는 돌출보의 내측에 구비된다.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은, 도 5에도 도시하였듯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결합 돌기(21)가 흔들리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요철턱들(12a,12b)을 구비한다.
요철턱들(12a,12b)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결합 돌기(21)를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양측 종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부 요철턱(12a)과 하부 요철턱(12b)으로 이루어진다.
하부 요철턱(12b)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할 시에 즉, 회동 및 슬라이딩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시에 결합 돌기(21)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부 요철턱(12a)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20)가 회동 및 슬라이딩 완료 한 후에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할 시에 즉, 회동 및 슬라이딩 완료한 후에 회동 및 슬라이딩이 불가능하게 결합된 시에 결합 돌기(21)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은 회동부(13)를 구비하는데, 그 회동부(13)는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결합 돌기(21)를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하부에서 회동시키게 형성된다.
도 1c에서 (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20)가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b)는 제2 플레이트(20)가 회동 가능하게 위치 변경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세하게, 도 1c에서 (a)는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된 것으로, 회동 및 슬라이딩이 불가능하게 결합 돌기(21)가 하부 요철턱(12b)에 고정된 형상이다.
이후에,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회동하기 위해서는, 도 1c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21)가 하부 요철턱(12b)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최하부에 구비되는 회동부(13)에 안착해야 한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20)가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로부터 회동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20)가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로 회동 완료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c에서 (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20)가 제1 플 레이트(10)의 전면부로부터 회동할 시에 결합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결합 돌기(21)가 하부 요철턱(12b)에서 이탈하여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최하부에 구비되는 회동부(13)에 안착한 상태에서 회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2c에서 (b)는 제2 플레이트(20)가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로 회동 완료한 시에 결합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결합 돌기(21)를 회동축으로 하여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회동을 완료하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에 대해 일직선 상에 위치한다.
본 고안에서는 회동부(13)에 의한 회동이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로부터 180도 가능하도록, 결합 돌기(21)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측면 하부 모서리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에 따라,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로부터 180도 회동한 후에,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에 대해 일직선 상에 위치할 시에,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전면 하단부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배면 하단부에 걸리게 된다. 결국, 회동부(13)는 결합 돌기(21)의 360도 회동을 가능하게 하나, 그 결합 돌기(21)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측면 하부 모서리로부터 어느 정도 상부에 배치됨으로써,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전면 하단부가 회동의 걸림판으로 역할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후면부로 슬라이딩 완료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20)가 회동 완료된 후에는 제1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을 따라 슬라이딩 업(sliding up)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카드 판독 시 카드의 겹침에 의한 판독 오류를 방지하고자 구조적으로 플레이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해야하므로, 하부 요철턱(12b)이 회동 후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를 고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세하게, 도 3b에서 (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회동 완료한 후에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하부 요철턱(12b)에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회동 완료된 후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를 회동부(13)로부터 올리면 하부 요철턱(12b)에 결합 돌기(21)가 고정되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움직임을 저지한다.
이후에 다시 상부로 힘을 가하면, 결합 돌기(21)가 하부 요철턱(12b)에서 이탈되면서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을 따라 슬라이딩 업(sliding up)된다.
도 3b에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결합 돌기(21)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후면부로 슬라이딩 완료한 후에 즉, 슬라이딩 업이 완료된 후에는 결합 돌기(21)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의 상부 요철턱(12a)에 결합 고정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카드 케이스에서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의 결합 돌기(21)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11)에 구비된 상부 요철턱(12a)에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돌기(21)가 하부 요철턱(12b)에서 하부로 이탈하여 회전부(13)에서 회동하며, 회동이 완료된 후에는 도 5c와 같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배면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업하는 구조로 제작되며,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배면부에서 슬라이딩 업된 후에는 결합 돌기(21)가 상부 요철턱(12a)에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회동 후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설명으로부터 슬라이딩 후 회동하는 구조도 충분히 유치 가능하므로, 그에 대한 개념은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결국, 본 고안의 카드 케이스는 회동 후 슬라이딩하는 구조로만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카드 수납용 제1 및 2 플레이트들(10,20)은 정면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배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과 배면은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가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될 상태에서의 정면과 배면을 의미한다. 그러나 180도 회동이 완료된 후에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10)의 정면은 그대로이나,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20)는 정면과 배면이 바뀐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 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a은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전체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에서 제1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과 제2 플레이트의 결합 돌기의 결합 형상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제2 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위치 변경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로부터 회동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로 회동 완료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로부터 회동할 시에 결합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로 회동 완료한 시에 결합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후면부로 슬라이딩 완료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의 제2 플레이트가 회동 완료한 후에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하부 요철턱에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제2 플레이트가 제1 플레이트의 후면부로 슬라이딩 완료한 후에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상부 요철턱에 결합된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다른 카드 케이스에서 제2 플레이트의 결합 돌기가 제1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가이드 홈에 구비된 요철턱에 결합되는 형상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5a 내지 5d는 본 고안에 따른 카드 케이스가 회동 및 슬라이딩하는 구조적 변경 예를 나타낸 도면들.

Claims (7)

  1.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 카드 수납용 제1 플레이트와;
    일측부가 개방되고 중공부를 갖는 카드 수납용 제2 플레이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동 및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및 슬라이딩을 위해,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일측부에서 회동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양측 종단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요철턱들을 구비하되,
    상기 요철턱들은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할 시에 상기 결합 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하부 요철턱과,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회동 및 슬라이딩 후에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할 시에 상기 결합 돌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요철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기 결합 돌기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홈의 하부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가 목걸이와의 결합을 위한 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전면부에서 서로 나란하게 결합될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2 플레이트들은 정면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배면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 플레이트들은 상기 배면에 관통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케이스.
KR2020090005463U 2009-05-06 2009-05-06 카드 케이스 KR200445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63U KR200445576Y1 (ko) 2009-05-06 2009-05-06 카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463U KR200445576Y1 (ko) 2009-05-06 2009-05-06 카드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576Y1 true KR200445576Y1 (ko) 2009-08-14

Family

ID=4135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463U KR200445576Y1 (ko) 2009-05-06 2009-05-06 카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57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970U (ko) * 1993-08-23 1995-03-20 강호용 필기구와 메모지등을 부설한 휴대용 명함케이스
KR200387687Y1 (ko) 2005-03-22 2005-06-21 김보영 표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5970U (ko) * 1993-08-23 1995-03-20 강호용 필기구와 메모지등을 부설한 휴대용 명함케이스
KR200387687Y1 (ko) 2005-03-22 2005-06-21 김보영 표찰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1128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用ホルダー
KR970004529B1 (ko) 카드보관케이스
US10364075B2 (en) Presentation box for a transaction card
US20070001016A1 (en) Transaction card and case
CN204617300U (zh) 可自动排列的收纳夹
US7631812B2 (en) Foldable transaction card systems
KR200445576Y1 (ko) 카드 케이스
JP2005508028A5 (ko)
WO2012069789A1 (en) Smart card holder
JP4935020B2 (ja) 非接触式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装置
US11295186B2 (en) Transaction card with integrated stand
US7048187B1 (en) Structure for socket of multi-card reader
TWM481832U (zh) 卡片盒
KR200470734Y1 (ko) 명함 인출이 용이한 기능성 명함케이스
TWI421779B (zh) 讀卡裝置
KR20100094138A (ko) 알에프아이디 태그, 알에프아이디 태그 부착 방법 및 도서 정보 초기화 방법
WO2017114023A1 (zh) 一种名片
CN218332594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ic读卡器
JP3118709U (ja) 名刺ケースの構造
KR200440847Y1 (ko) 부채형 전자카드 지갑
Willoughby CIM Revision Card: Strategic Marketing Decisions
JPH02197979A (ja) 接続ユニット
KR20110007868U (ko) 휴대용 메모리 보관 카드
KR101102730B1 (ko) 줄 홀더
KR200338148Y1 (ko) 소형카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