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406Y1 -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406Y1
KR200445406Y1 KR20070018646U KR20070018646U KR200445406Y1 KR 200445406 Y1 KR200445406 Y1 KR 200445406Y1 KR 20070018646 U KR20070018646 U KR 20070018646U KR 20070018646 U KR20070018646 U KR 20070018646U KR 200445406 Y1 KR200445406 Y1 KR 200445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ixing
support
lighting fixture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8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948U (ko
Inventor
이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이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이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이하우스
Priority to KR20070018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40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40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 F21W2131/406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for theatres, stages or film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명기구의 양측에 표식부를 형성시킨 결합부와, 결합부에 설치되어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 후 조명기구를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지지대의 외측에서 결합부와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고정부에는 회전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각도고정부가 설치되고 각도고정부의 외주연에는 각도표시부재가 마련되어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의 표식부와 각도표시부재를 일치시킨 후 각도 위치 유지 및 고정을 위하여 각도고정부를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초기 설정된 조사각도 값을 영구히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 후에도 누구나 손쉽게 초기 조사각도 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 후 조명전문가가 초기 설정 값으로 다시 에이밍(Aiming)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경제적인 비용 절감이 절감되고, 각도표시부재의 사용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Figure R2020070018646
조명기구, 각도조절, 초기값, 에이밍(Aiming), 고정

Description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ANGLE CONTROLLING DEVICE OF ILLUMIN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하는 지역을 조명할 수 있고 원하는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조명기구의 각도를 조절 및 유지할 수 있고 있도록 한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사장, 야외 촬영장, 공연장, 골프장 등에 이용되는 조명기구는 높이가 고정된 지지대의 단부에 설치되거나, 지지프레임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로드의 단부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지지대에 조명기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조명기구의 방향에 따라 그 조명범위가 한정되므로 원하는 조명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조명장치를 정확한 각도로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골프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는 초기 설치 각도가 중요하나 램프 교환 및 기구 보수 등의 유지보수 작업 후, 조명기구의 조사각도가 초기 각도 값과 다르게 되고, 이를 초기 값으로 맞추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조명기구는 야간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야간에 고장이 잦으며, 이때 유지보수시 각도 조절이 난감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명기구 설치시 초기 조사 각도 값을 영구히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 후에도 초기의 조사각도 값으로 정확히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각도표시부재를 마련하여 야간작업에서도 조사각도 복원 작업시 표식의 인지성을 극대화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조명기구의 양측에 표식부를 형성시킨 결합부와, 결합부에 설치되어 조명기구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 후 조명기구를 지지대에 고정시키도록 지지대의 외측에서 결합부와 체결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고정부에는 회전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한 각도고정부가 설치되고 각도고정부의 외주연에는 각도표시부재가 마련되어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의 표식부와 각도표시부재를 일치시킨 후 각도 위치 유지 및 고정을 위하여 각도고정부를 고정부에 고정시키는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초기 설정된 조사각도 값을 영구히 유지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 후에도 누구나 손쉽게 초기 조사각도 값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 후 조명전문가가 초기 설정 값으로 다시 에이밍(Aiming)작업을 해야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경제적인 비용 절감이 절감되고, 각도표시부재의 사용으로 각도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서 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서 각도고정 부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조명기구(100)와, 조명기구(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10)와,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0) 그리고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100)의 초기 각도 값을 표시하는 각도고정부(130)로 크게 구성된다.
조명기구(100)는 램프 등을 구비하여 통상적으로 공사장, 야외 촬영장, 공연장, 골프장 등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조명기구(100)의 양측면에는 고정부(120)와의 나사(s) 체결을 위하여 나사공이 형성된 결합부(102)가 형성되며, 이 결합부(102)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위치에 조명기구(100)의 기준값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식부(104)가 수직 또는 수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110)는 바람직하게 금속재로 하여 도시된 예에서는 "ㄷ"자가 90°회전되는 형상으로 조명기구(100)의 결합부(102)를 위치시켜서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게 된다. 지지대(110)의 형상은 바닥면이나 기타 프레임에 위치시킬 수 있으면 가능하다.
조명기구(100)의 각도 조절 후 조명기구(100)를 지지대(110)에 고정시키도록 지지대(110)의 외측에서 결합부(102)와 체결되는 고정부(120)는 도 2에서와 같이, 크기가 다른 원형의 개체가 조합된 것으로 외측원(122)으로부터 직경이 보다 작은 내측원(124)이 일체로 구성된다.
내측원(124)에는 지지대(110)와의 나사(s1) 체결을 위한 체결공(126)이 복수대 형성되며, 외측원(122)의 중앙에서 내측원(124)을 관통하여 결합부(102)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결합공(128)이 형성된다. 더욱이 결합공(128)은 미관상 나사(s2) 머리를 숨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외측원(122)의 외측면 상에는 반원 각도의 눈금자(122a)가 형성되어 조명기구(100) 표식부(104)의 회전 각도값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20)의 내측원(124)에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각도고정부(120)는 도 3에서와 같이, 링 형상으로 하여 바람직하게 외경이 고정부(120)의 외측원(122)의 외경과 동일하며,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돌기(132)가 형성된다. 돌기(132)는 고정부(120)와 각도고정부(130)의 중심을 동일하게 유지하며, 접촉 면적을 줄여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각도고정부(130)의 외주연에는 각도표시부재(134)가 마련되며, 바람직하게 야간에 식별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축광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도고정부(130)의 외주연 상에는 중심방향을 향하는 각도고정나사삽입부(136)가 관통 형성되고, 각도고정나사삽입부(136)를 통하여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100)의 표식부(104)와 각도표시부재(134)를 일치시킨 후 각도 위치 유지 및 고정을 위하여 각도고정부(130)를 고정부(120)에 나사(s3)의 체결을 통하여 고정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명기구(100)의 양측면 결합부(102)에 개구된 지지대(110)의 양단을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대(110)의 양 외측으로는 고정부(120)의 내측원(124)에 삽입된 각도고정부(130)와 같이 체결공(126)에 나사(s1)을 통하여 지지대(110)에 결합시키게 된다.
다음과 같은 상태에서 지지대(110)에 위치된 조명기구(100)를 조명전문가가 초기 설정 값으로 에이밍(Aiming) 작업을 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부(120)의 결합공(128)과 조명기구(100)의 결합부(102)에 나사(s2)로 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로서 조명기구(100)는 지지대(110)에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위와 같이 각도 고정된 조명기구(100)의 초기 각도 값을 표시하기 위하여 조명기구(100)의 표식부(104)에 맞추어 각도고정부(130)를 회전시킨 후 표식과 각도표시부재(134)를 일치시키게 되며, 이어서 각도고정나사삽입부(136)로 나사(s3)를 삽입시키는 체결로 각도고정부(130)가 고정부(120)상에서 회전이 방지된 채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부(120)의 눈금자(122a)는 고정되는 각도표시부재(134)를 통하여 각도값을 알 수 있게 된 상태에서 지지대(110)에서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100)는 조명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조명기구(100)의 유지보수 시 조명기구(100)의 해체 이전에 작업자는 각도표시부재(134)가 위치되어 있는 표식을 인식한 후 해체하여 유수보수하게 되며, 유지보수 후에는 각도표시부재(134)와 조명기구(100)의 표식부(104)를 일치시켜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유지보수가 야간에 실시되면 야광의 각도표시부재(134)로 하여 보다 쉽게 인식하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서 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서 각도고정부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명기구 102 : 결합부
104 : 표식부 110 : 지지대
120 : 고정부 122 : 외측원
124 : 내측원 126 : 체결공
128 : 결합공 130 : 각도고정부
132 : 돌기 134 : 각도표시부재
136 : 각도고정나사삽입부

Claims (4)

  1.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100)의 양측에 표식부(104)를 형성시킨 결합부(102)와,
    상기 결합부(102)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기구(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조명기구(100)의 각도 조절 후 상기 조명기구(100)를 상기 지지대(11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지지대(110)의 외측에서 상기 결합부(102)와 체결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에 회전 및 위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링형상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돌기(132)가 형성되고, 외주연 상에는 중심방향을 향하여 관통의 각도고정나사삽입부(136)가 형성되며, 외주연에는 각도표시부재(134)가 마련되어 상기 각도 조절된 조명기구(100)의 상기 표식부(104)와 상기 각도표시부재(134)를 일치시키는 각도고정부(130)
    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20)는,
    외측원(122)과 상기 외측원(122)으로부터 크기가 다른 내측원(124)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원(124)에 상기 각도고정부(130)가 회전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되 며, 상기 내측원(124)에는 상기 지지대(110)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체결공(126)과 상기 결합부(102)와의 나사 체결을 위한 결합공(128)이 중앙에 관통 형성되는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고정부(130)의 상기 각도표시부재(134)는 야간에 식별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KR20070018646U 2007-11-20 2007-11-20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KR200445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8646U KR200445406Y1 (ko) 2007-11-20 2007-11-20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8646U KR200445406Y1 (ko) 2007-11-20 2007-11-20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48U KR20090004948U (ko) 2009-05-25
KR200445406Y1 true KR200445406Y1 (ko) 2009-07-28

Family

ID=41300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8646U KR200445406Y1 (ko) 2007-11-20 2007-11-20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4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3128A2 (en) 2012-12-11 2014-06-18 Vision X Asia Co., Ltd. Lighting apparatus having angle indicating means
KR20160001125A (ko) 2014-06-26 2016-01-06 이슬기 옥외 조명기구의 에이밍 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19B1 (ko) * 2010-09-30 2012-03-21 에프씨산업 주식회사 자중에 의해 각도가 자기조절되는 엘이디 등기구
KR101115550B1 (ko) * 2011-10-06 2012-03-05 김종천 야외용 led 조명장치
KR101507777B1 (ko) * 2014-08-22 2015-04-07 김종천 라이트의 진동흡수 브라켓
KR102306726B1 (ko) * 2021-03-24 2021-09-29 주식회사 세븐플로어 캠핑용 엘이디 랜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37Y1 (ko) 2001-04-25 2001-10-12 이강희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세팅장치
KR200425149Y1 (ko) 2006-06-19 2006-08-30 박홍규 조명램프 각도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37Y1 (ko) 2001-04-25 2001-10-12 이강희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세팅장치
KR200425149Y1 (ko) 2006-06-19 2006-08-30 박홍규 조명램프 각도 조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43128A2 (en) 2012-12-11 2014-06-18 Vision X Asia Co., Ltd. Lighting apparatus having angle indicating means
KR20160001125A (ko) 2014-06-26 2016-01-06 이슬기 옥외 조명기구의 에이밍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948U (ko) 200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5406Y1 (ko) 조명기구의 각도 조절장치
US9964840B1 (en) Multifunctional desk lamp that provides both functions of lighting and image projection
US7748127B1 (en) Light fixture alignment tool
US8469536B2 (en) Recessed light housing with rotatable aperture
US20030161153A1 (en) Ceiling lighting fixture assembly
KR101486468B1 (ko) 부착형 led 조명등기구
KR20100052010A (ko)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JP2010272358A (ja) 反射笠
KR20100012088U (ko) 조명기구의 지지용 브라켓
KR20160141606A (ko) 가변 고정 수단을 갖는 led 조명장치
KR102035700B1 (ko)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CN208011515U (zh) 一种角度可调的led投光灯
US11649948B2 (en) Lighting apparatus easily adjustable over a wide angle of illumination
CN205648079U (zh) 一种走珠式定位导轨灯
KR20190085360A (ko) 각도 조절이 용이한 조명장치
KR200431931Y1 (ko) 매어 다는 그로브 라이트
CN105240709A (zh) 一种结构改良的摄影棚灯
KR20100001958U (ko) 천정 매입등의 부착구조
CN220399778U (zh) 一种带相机参数设置的闪光灯功率旋钮
KR200316325Y1 (ko) 매입형 조명기구
CN203231167U (zh) 一种灯具
CN107420809A (zh) 一种带预埋件的led筒灯
CN214275399U (zh) 一种建筑施工工地用辅助照明装置
CN217816413U (zh) 一种可调节角度的照明设备
CN211010910U (zh) 隐蔽式亮度调节室内氛围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