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00B1 -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 Google Patents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00B1
KR102035700B1 KR1020190040651A KR20190040651A KR102035700B1 KR 102035700 B1 KR102035700 B1 KR 102035700B1 KR 1020190040651 A KR1020190040651 A KR 1020190040651A KR 20190040651 A KR20190040651 A KR 20190040651A KR 102035700 B1 KR102035700 B1 KR 102035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floodlight
angle adjustment
holes
ser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열구
Original Assignee
박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열구 filed Critical 박열구
Priority to KR1020190040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03Searchlights, i.e. outdoor lighting device producing powerful beam of parallel rays, e.g. for military or attraction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이나 항만 또는 체육시설이나 공원 및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투광등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광등의 양측부에 방사형의 세레이션 홈이 형성된 고정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구에는 방사형의 세레이션 돌기가 형성된 각도조절아암을 결합하며, 상기 각도조절아암의 외면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브라켓을 결합하되, 상기 각도조절아암 및 고정브라켓에는 상호 대응의 각도기준공과 각도조절공이 각기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투광등을 설치하여 조사각을 조정하는 경우 5°씩 분할된 세레이션 치합부를 통해 빠르고 간편하게 개략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5°분할 구간 내의 1°조정은 브라켓과 각도조절아암을 통해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최선의 투광등 조사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최선의 조사각 설정이 가능함에 따라 고른 균제도는 물론 조명에 의한 암부나 그림자 및 그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이상적으로 스포츠 경기 및 각종 공연 등을 진행하거나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Floodlight with precision angle adjustment}
본 발명은 공항이나 항만 또는 체육시설이나 공원 및 주차장 등의 야외 공간에 설치되어서 야간에 주변을 밝게 조명하기 위한 투광등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레이션 치합구조에 의한 간헐 각도 조절 및 각도조절아암과 고정브라켓에 의한 정밀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고정 설치된 투광등의 조사각을 더욱 세밀하고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투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이나 항만 또는 체육시설이나 공원 및 주차장 등 야간에 밝은 조명이 필요한 야외 공간에는 지주의 상단에 복수 개의 등기구가 장착된 조명탑 또는 조명타워를 설치하여 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조명탑 또는 조명타워 등에 적용되는 등기구는 통상적으로 투광등이라 일컬어지는 것으로, 내장된 광원의 점등 조사각을 그대로 활용하는 전반사형 투광등과 점등 빛을 굴절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집중 조명되도록 하는 비대칭형 투광등으로 구분 사용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조사각 제한커버 혹은 리플렉터라 호칭되는 반사커버가 함께 결합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투광등은 설치 목적이나 설치 장소 또는 설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출력을 갖는 투광등으로 각기 제작되어 적용되는 것으로, 조명 범위나 밝기 및 균제도 등을 고르게 고려하여 가장 최선의 출력을 갖는 투광등을 설계시에 반영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투광등은 대동소이한 형태와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다양한 출력에 따라 각기 크기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고, 출력별 크기에 따라 조명본체 및 커버체와 광원 등을 각기 제작하여 이들을 서로 조합하여 생산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투광등은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만들어진 고정브라켓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브라켓은 조며타워 또는 조명탑 등의 승강장치 또는 고정스탠드 등에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의 고정브라켓으로부터 투광등의 점등 조사각을 임의 조정함에 따라 목적하는 방향 및 각도로 정확한 조명이 연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투광등 또는 조명등에 대한 각도 조절구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8537호와 같이 조명기구 본체와 지지체와의 결속부를 다단계적 각도로 제어할 수 있는 방사형 톱니식 스톱퍼장치와, 수치적으로 분할된 표시눈금에 의해서 정확한 조사각도를 설정할 수 있는 세팅표시부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조사각도 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57756호와 같이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장치의 승,하강 캐리어에 설치되는 조명등의 각도를 승하강캐리어의 하강 작동 없이 그 위치에서 모터제어와 이와 결합되는 기어결합구성에 의해 X축 및 Y축으로의 각도조절이 자동제어되도록 하는 각도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0992555호와 같이 일단부에 제1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끼움부가 구비되는 제1부재와, 일단부에 제2결합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연결부가 구비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 상기 각도조절부재, 상기 제2결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553506호와 같이 조명장치 본체의 조사방향을 원하는 위치로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홈 및 복수 개의 제2 홈들이 형성된 브라켓과, 복수 개의 제2 홈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제2 돌출부와 제1 홈에 삽입되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엘이디 조명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실용신안 제20-0482223호와 같이 조명등의 조사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명등의 조절된 조사각도가 임의로 변하지 않도록 조절된 조사각도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용 케이스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존의 조명기구 및 투광등에 대한 각도 조절구조는 대부분 상호 맞물림 형태의 세레이션 치합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의 세레이션 치합구조는 다분할된 삼각돌기와 삼각홈부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조명기구 또는 투광등의 조사각이 균등 분할 각도로 조정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세레이션 치합구조에 의한 각도조절부의 경우 삼각돌기 및 삼각홈부가 차지하는 크기만큼의 각도 손실이 발생하여 결국 미세한 정밀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세레이션 치합구조는 비교적 중량체인 투광등을 고정브라켓과 결합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하므로 삼각돌부와 삼각홈부 간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8~10°의 분할각을 갖고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세레이션 치합구조는 8~10°의 구간별 각도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들 조정 구간 사이의 조사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세레이션 결합부에서는 조정이 불가능한 폐단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미세 각도 조절이 필요한 때에는 부득이 투광등과는 관계없는 고정브라켓의 결합부에 고임판 또는 와셔 등을 추가하며 임의로 각도 조정을 시도하게 되는바, 조사각의 균일하고 정밀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38537 (2001.07.03.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57756 (2007.09.0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0992555 (2010.11.01.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53506 (2015.09.09.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20-0482223 (2016.12.26.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투광등의 양측부에 방사형의 세레이션 홈이 형성된 고정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구에는 방사형의 세레이션 돌기가 형성된 각도조절아암을 결합하며, 상기 각도조절아암의 외면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브라켓을 결합하되, 상기 각도조절아암 및 고정브라켓에는 상호 대응의 각도기준공과 각도조절공이 각기 형성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아암과 고정지지구 간의 세레이션 치합 위치 조정을 통해 각 5°씩의 간헐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5°씩의 각도 사이에 대한 정밀 각도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도조절아암과 고정브라켓 간의 체결위치를 달리하여 각 1°씩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열본체의 전면에 엘이디 광원판과 렌즈 커버체가 결합 형성된 투광등에 있어서, 상기 투광등의 양측부에는 중앙에 나사공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세레이션 홈이 형성된 고정지지구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구의 외측에는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세레이션 돌기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각도기준공이 형성된 각도조절아암을 밀착 형성하며, 상기 각도조절아암의 외면에는 "ㄷ"자 형태로 된 고정브라켓의 양측 수직부를 밀착 형성하되,
상기 고정브라켓의 수직부 선단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의 중간부에는 상기 각도기준공과 각기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각도조절공이 관통 형성되게 하여 상호 대응하는 각도기준공과 각도조절공에 고정핀을 삽입 형성하며, 별도 구비의 체결고정구에는 일측으로 나사축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나사축이 상기의 체결공 및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전기한 고정지지구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투광등을 설치하여 조사각을 조정하는 경우 5°씩 분할된 세레이션 치합부를 통해 빠르고 간편하게 개략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5°분할 구간 내의 1°조정은 브라켓과 각도조절아암을 통해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최선의 투광등 조사각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며, 최선의 조사각 설정이 가능함에 따라 고른 균제도는 물론 조명에 의한 암부나 그림자 및 그늘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이상적으로 스포츠 경기 및 각종 공연 등을 진행하거나 관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개별 투광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각도조절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고정지지구에 대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미세 각도 조절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다른 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또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측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개별 투광유닛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투광등의 각도조절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광등(100)은 배면에 다수의 방열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이 돌출 형성된 방열본체(110)의 전면에 엘이디 광원판(120)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방열본체(110)의 전면에는 상기 엘이디 광원판(120)이 수용된 상태로 렌즈 커버체(1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엘이디 광원판(120)의 경우 다양한 출력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는 것인데 바람직하게는 300W의 출력을 갖도록 설계되어지고, 엘이디 광원판(120)의 점등소자는 상기 렌즈 커버체(130)에 형성된 렌즈 형상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와 각기 대응하여 상기 렌즈 커버체(130)를 통해 엘이디 광원판(120)의 점등 빛을 고르게 확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투광등(100)의 양측에는 별도 구비의 고정지지구(200)(20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외면으로는 별도의 각도조절아암(300)(300')을 결합 형성하며, 양측의 각도조절아암(300)(300')에는 "ㄷ"자 형태로 된 고정브라켓(400)의 수직부(401)(401')를 밀착 형성하여, 별도 구비의 체결고정구(500)를 통해 상기 고정브라켓(400) 및 각도조절아암(300)(300') 그리고 고정지지구(200)(200')가 일시에 나사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고정지지구(200)(200')는 중앙에 나사공(20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일측 외면에는 상기 나사공(201)을 중심으로 원형 방사상의 세레이션 홈(202)(2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지지구(200)(200')는 투광등(100)의 방열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포스트(111)(111')에 볼트 고정함에 따라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선택적으로 상기의 방열본체(110) 측부에 상기 고정지지구(200)(200')를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지지구(200)(200')에 형성되는 세레이션 홈(202)(202')의 경우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세레이션 홈(202)(202') 만이 별도로 성형된 개체를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일측면에 결합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어,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에 형성되어 있는 세레이션 홈(202)(202')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각기 5°의 각도를 갖고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이고, 각인되거나 인쇄된 문자 등의 표시를 통해 각 세레이션 홈(202)(202')에 해당하는 혹은 지시하는 위치에 대한 각도를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각도조절아암(300)(300')은 중앙에 관통의 삽입공(30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삽입공(301)을 중심으로 각기 5°의 각도를 갖고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세레이션 돌기(302)(3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세레이션 돌기(302)(302')는 전기한 고정지지구(200)(200')의 세레이션 홈(202)(202')과 정확하게 상호 치합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하측으로는 지지부(303)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지지부(303)에는 다수의 각도기준공(304)(304')이 직선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세레이션 돌기(302)(302')가 형성된 반대면에는 전기한 고정브라켓(400)의 수직부(401)(401')가 안치 삽입되기 위한 유동제어홈(30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브라켓(400)은 양측으로 수직부(401)(4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수직부(401)(401')의 선단에는 관통의 체결공(4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402)의 하측에 해당하는 수직부(401)(401')에는 곡선 형태로 배열된 각도조절공(403)(403')이 다수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이들 고정브라켓(400)과 각도조절아암(300)(300') 및 고정지지구(200)(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고정구(500)는 일측으로 나사축(50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투광등(100)의 양측에 고정지지구(200)(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세레이션 홈(202)(202')에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세레이션 돌기(302)(302')를 상호 치합시키되,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된 인디게이터(306)를 통해 양측의 각도조절아암(300)(300')이 서로 동일한 각도를 갖고 고정지지구(200)(200')에 밀착되게 한다.
이어,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외면에 형성된 유동제어홈(305)을 이용하여 고정브라켓(400)의 양측 수직부(401)(401')를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정구(500)의 나사축(501)이 고정브라켓(400)의 체결공(402) 및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삽입공(301)을 통과하여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나사공(201)에 나사 결합되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고정구(500)의 지속적인 나사 회전을 통해 상기 체결고정구(500)는 고정브라켓(400)과 각도조절아암(300)(300') 및 고정지지구(200)(200')를 가압하게 되므로 이들 고정브라켓(400)과 각도조절아암(300)(300') 및 고정지지구(200)(200')은 유동 없이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지지부(303)에 형성된 각도기준공(304)(304')과 고정브라켓(400)의 수직부(401)(401')에 형성된 각도조절공(403)(403') 중 가장 최상단의 상호 일치된 구멍에 별도의 고정핀(600)을 삽입하여 이들 각도조절아암(300)(300')과 고정브라켓(400)이 상호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제어홈(305)은 체결고정구(500)의 나사축(501)을 축점으로 하여 상기 고정브라켓(400)의 수직부(401)(401')가 유동제어홈(305)의 내부에서 5°의 각도 범위 내에서만 유동할 수 있을 정도로 만들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지지부(303)에 형성된 각도기준공(304)(304')과 상기 고정브라켓(400)의 수직부(401)(401')에 형성된 각도조절공(403)(403') 중 상호 일치하는 구멍에 고정핀(600)을 삽입함에 따라 상기 고정브라켓(400)은 각도조절아암(300)(300')에 대하여 유동할 수 없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상기 곡선 형태로 배열된 고정브라켓(400)의 각도조절공(403)(403') 중 가장 최상단에 위치한 각도조절공(403)(403')은,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유동제어홈(305)의 내측 유동범위 내에서 일측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가장 최상단의 각도기준공(304)(304')과 서로 일치되도록 하고,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유동제어홈(305)의 내측 유동범위 내에서 수직부(401)(401')가 타측으로 완전히 회전된 상태에서는 각도기준공(304)(304') 및 각도조절공(403)(403') 모두 가장 최하단의 구멍이 서로 일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 각도기준공(304)(304') 및 각도조절공(403)(403')의 개체수에 따라 각도조절아암(300)(300')과 고정브라켓(400) 간의 미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직 배열된 각도기준공(304)(304')에 대하여 곡선 형태로 배치된 각도조절공(403)(403')이 최상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하향 일치하는 순간 각기 1°씩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브라켓(4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투광등(100)을 다양한 위치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고정구(500)를 느슨하게 풀어 각도조절아암(300)(300')에 대한 고정지지구(200)(200')의 회전을 통해 5°의 간격으로 원하는 만큼의 조명 각도를 조절하고, 미세 각도의 조절은 고정브라켓(400)에 대한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회전 조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고정브라켓(400)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 각도조절공(403)(403')과 각도조절아암(300)(300')의 가장 상단에 위치한 각도기준공(304)(304')이 서로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이들 구멍에 고정핀(600)을 삽입하여 상호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의 고정브라켓(400)의 수평부(도면에서의 부호는 생략함)를 조명타워 또는 조명탑이나 지주 상단 등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상기 투광등(100)이 갖고 있는 조명 방향에 따라 안정적인 점등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투광등(100)에 대한 조명 방향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양측의 체결고정구(500)를 풀어 각도조절아암(300)(300')과 고정지지구(200)(200') 간의 밀착력이 약화되도록 하고,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을 외측으로 벌리는 동시에 상기 투광등(100) 및 고정지지구(200)(200')를 회전시켜 원하는 방향으로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외면에는 각 세레이션 홈(202)(202')에 대한 각도가 수치로 표현되어 있을 것이고, 이와 같은 각도 표시에 따라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인디게이터(306)를 양측 모두 동일하게 위치시켜 상기 투광등(100)에 대한 개략적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투광등(100)에 대한 미세한 각도 조절 즉, 5°이내의 각도 범위로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과 고정브라켓(400)에 결합되어 있던 고정핀(600)을 제거하여 상기 투광등(100)을 포함한 각도조절아암(300)(300') 전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각도조절아암(300)(300')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기준공(304)(304')과 고정브라켓(400)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조절공(403)(403')이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순차 일치되는 과정에서 가장 최선의 각도 조절 상태가 이루어지면 서로 일치된 각도기준공(304)(304')과 각도조절공(403)(403')으로 상기 고정핀(600)을 삽입시킴에 따라 더 이상 유동할 수 없는 고정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느슨하게 풀려있던 체결고정구(500)를 다시 회전시켜 이들 고정브라켓(400) 및 각도조절아암(300)(300')과 고정지지구(200)(200')가 서로 밀착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광등은 고정지지구(200)(200') 및 각도조절아암(300)(300') 간의 세레이션 결합 구조로 인한 5°씩의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과 고정브라켓(400) 간의 서로 다른 각도에서 일치하는 각도기준공(304)(304') 및 각도조절공(403)(403')의 고정구조로 인해 1°씩의 미세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투광등은 간헐 각도 조절 및 미세 각도 조절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어 투광등을 조명하고자 하는 방향 및 각도로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다수의 투광등을 동시에 설치 및 점등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투광등이 미세 각도 조절을 통해 모두 정확한 방향 및 각도를 갖고 점등되므로 각종 스포츠 경기 혹은 공연이나 각종 행사 등을 더욱 편안하고 안정된 조명 상태에서 직접 참여하거나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투광등은 300W의 출력을 갖도록 제작된 개별 투광유닛을 조합하여 300W ~ 내지 1200W 이상의 고출력 투광등을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단일 개체의 투광 유닛에 의한 경우에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단일 개체인 방열본체(110)의 양측부에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고정 형성하면 되는 것이고, 배열 확장형 투광등인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의 도시와 같이 양측부에 위치하는 투광 유닛의 방열본체(110) 측부에 상기 각도조절수단을 고정 형성하면 되는 것으로, 기존의 일반적인 투광등은 물론 조합에 의한 확장형 투광등 및 전반사형이나 비대칭형 투광등 모두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투광등
110 : 방열본체 111,111' : 지지포스트
120 : 엘이디 광원판
130 : 렌즈 커버체
200,200' : 고정지지구 201 : 나사공
202,202' : 세레이션 홈
300,300' : 각도조절아암 301 : 삽입공
302,302' : 세레이션 돌기 303 : 지지부
304,304' : 각도기준공 305 : 유동제어홈
306 : 인디게이터
400 : 고정브라켓 401,401' : 수직부
402 : 체결공 403,403' : 각도조절공
500 : 체결고정구 501 : 나사축
600 : 고정핀

Claims (5)

  1. 방열본체(110)의 전면에 엘이디 광원판(120)과 렌즈 커버체(130)가 결합되어 투광등(100)을 형성하되, 상기 투광등(100)의 양측부에는 중앙에 나사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공(201)을 중심으로 방사형의 세레이션 홈(202)(202')이 형성된 고정지지구(200)(200')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외측에는 중앙에 삽입공(301)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세레이션 돌기(302)(302')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으로 연장 돌출된 지지부(30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각도기준공(304)(304')이 형성된 각도조절아암(300)(300')을 밀착 형성하며,
    상기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외면에는 "ㄷ"자 형태로 된 고정브라켓(400)의 양측 수직부(401)(401')를 밀착 형성하되, 상기 고정브라켓(400)의 수직부(401)(401') 선단에는 체결공(40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401)(401')의 중간부에는 상기 각도기준공(304)(304')과 각기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각도조절공(403)(403')이 관통 형성되게 하여 상호 대응하는 각도기준공(304)(304')과 각도조절공(403)(403')에 고정핀(600)을 삽입 형성하며, 별도 구비의 체결고정구(500)에는 일측으로 나사축(501)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나사축(501)이 상기의 체결공(402) 및 삽입공(301)으로 삽입되어 전기한 고정지지구(200)(200')의 나사공(201)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구(200)(200')의 세레이션 홈(202)(202')과 각도조절아암(300)(300')의 세레이션 돌기(302)(302')는 중심으로부터 5°의 간격을 갖고 배열되도록 구성하고, 고정브라켓(400)으로부터 상기 나사축(501)을 축점으로 하여 회전되는 각도조절아암(300)(300')은 각도조절아암(300)(300')이 1°의 각도로 회전되는 동안 하향 순차적으로 각기 다른 위치의 각도기준공(304)(304')과 각도조절공(403)(403')이 서로 일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각도조절아암(300)(300')에 대한 고정지지구(200)(200')의 회전에 의한 5°씩의 투광등(100) 각도 조절과, 고정브라켓(400)에 대한 각도조절아암(300)(300')의 회전에 의한 1°씩의 투광등(100)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40651A 2019-04-08 2019-04-08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KR102035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51A KR102035700B1 (ko) 2019-04-08 2019-04-08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651A KR102035700B1 (ko) 2019-04-08 2019-04-08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700B1 true KR102035700B1 (ko) 2019-11-08

Family

ID=6854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651A KR102035700B1 (ko) 2019-04-08 2019-04-08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64B1 (ko) 2021-03-29 2022-02-08 (주)에스티라이팅 고천정 led 투광등
KR20230009665A (ko) * 2021-07-09 2023-01-17 배종화 횡단보도 등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37Y1 (ko) * 2001-04-25 2001-10-12 이강희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세팅장치
KR100757756B1 (ko) 2007-06-26 2007-09-11 (주)삼진이아이씨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장치
KR100992555B1 (ko) 2008-11-10 2010-11-05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JP2013097986A (ja) * 2011-10-31 2013-05-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KR101553506B1 (ko) 2015-02-26 2015-09-16 아크로텍 주식회사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82223Y1 (ko) 2015-01-26 2016-12-30 최재균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용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37Y1 (ko) * 2001-04-25 2001-10-12 이강희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세팅장치
KR100757756B1 (ko) 2007-06-26 2007-09-11 (주)삼진이아이씨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장치
KR100992555B1 (ko) 2008-11-10 2010-11-05 (주)대림엘이디라이팅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JP2013097986A (ja) * 2011-10-31 2013-05-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器具
KR200482223Y1 (ko) 2015-01-26 2016-12-30 최재균 각도조절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용 케이스
KR101553506B1 (ko) 2015-02-26 2015-09-16 아크로텍 주식회사 광 조사각 및 조사 방향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664B1 (ko) 2021-03-29 2022-02-08 (주)에스티라이팅 고천정 led 투광등
KR20230009665A (ko) * 2021-07-09 2023-01-17 배종화 횡단보도 등기구
KR102553325B1 (ko) 2021-07-09 2023-07-06 배종화 횡단보도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3327B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highly controlled light distribution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CN101802488B (zh) 用于照明目标平面的led照明设备
CA2804139C (en) Circular led optic and heat sink module
US20030161153A1 (en) Ceiling lighting fixture assembly
US98038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tational adjustment of optics
KR102035700B1 (ko) 정밀 각도 조절이 가능한 led 투광등
US10444607B1 (en) Projector lights
CA2815067A1 (en) Reflectors and reflector orientation feature to prevent non-qualified trim
CN106415117A (zh) 具有可调整灯模块的照明设备
KR101626871B1 (ko) 배광틸팅각도 조절장치 부착형 고정용 아암 브라켓을 가진 엘이디 조명 등기구
CN111649263A (zh) 一种近距离照明的光学模组及灯具
US8622569B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ght distribution using swivel-mount led light sources
KR102217977B1 (ko) 각도조절 및 방열기능이 향상된 투광등
KR101506492B1 (ko) 터널등용 하우징
JP7027613B2 (ja) 照明器具の取り付け
CN216345799U (zh) 射灯
US20160230964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highly controlled light distribution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KR101646533B1 (ko) 호환성이 뛰어난 조사위치 조절형 실외용 엘이디램프
US10801698B2 (en) High visual comfort road and urban LED lighting
CN211694750U (zh) 一种带重点照明的泛光灯
KR10254947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3차원 배광 투광등
KR102316857B1 (ko) 조사각 및 배광곡선의 가변 제어가 가능한 듀얼타입 투광기
CN212430565U (zh) 一种近距离照明的光学模组及灯具
AU2018266829B2 (en) Light source for a luminaire
CA2782267C (en) Lighting system with light-emitting di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