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60Y1 -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 Google Patents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60Y1
KR200444960Y1 KR2020070018363U KR20070018363U KR200444960Y1 KR 200444960 Y1 KR200444960 Y1 KR 200444960Y1 KR 2020070018363 U KR2020070018363 U KR 2020070018363U KR 20070018363 U KR20070018363 U KR 20070018363U KR 200444960 Y1 KR200444960 Y1 KR 200444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el
elastic body
bush
breaker
hydraulic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734U (ko
Inventor
임종혁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다임
Priority to KR2020070018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7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7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11Arrangements of noise-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1/00Common features of fluid actuator systems; Fluid-pressure actuator systems or details thereof,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of this subclass
    • F15B21/008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치즐에 접촉되는 부시 등의 면접촉 부위에 장착한 다공질 탄성체에 의하여 면접촉 부위의 윤활 증대와 마모 방지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장비의 내구성 증대와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는, 브레이커 본체 내부에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치즐의 일부가 브레이커 본체 하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하강시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함으로써 치즐에 가해진 충격력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있어서, 상기 치즐과 면접촉되도록 유압브레이커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부품의 접촉면에 다공질 탄성체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압 브레이커에 다공질 탄성체를 설치함으로써 치즐과 접촉되는 부분의 윤활성을 증대시켜 마모를 방지하고, 더불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여 내구성 증대와 소음 저감이 실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유압 브레이커, 다공질, 탄성체, 부시, 치즐

Description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BUSH FOR HYDRAULIC BREAKER}
본 고안은,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즐에 접촉되는 부시 등의 면접촉 부위에 장착한 다공질 탄성체에 의하여 면접촉 부위의 윤활 증대와 마모 방지뿐만 아니라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장비의 수명 연장과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브레이커는, 피스톤의 상하 왕복 운동에 의해 발생한 운동 에너지를 치즐에 전달하여 피타격물을 파쇄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펌프(P)에서 토출된 작동유가 제 2유로(2)를 통하여 실린더 하실(4a)에 공급되고, 이에 따라 실린더 하실(4a)의 압력이 상승되어 피스톤(6)의 상승행정이 시작된다.
이때, 밸브 상실(8a)은 펌프(P)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에 의해 고압이 형성되고, 밸브 전환실(8b)은 제 7유로(10)에 의해 작동유 탱크(T)와 연결된 실린더 저압실(12a)과 연통되어 저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 상실(4b)의 작동유는 제 3유로(14)와 탱크(T)와 연결된 제 5 유로(16)와 연통되어 저압이 유지된다.
이후, 피스톤(6)이 계속 상승하여 하부 대단경부(18a)의 아래면이 실린더 전환실(12b)에 이르게 되면, 펌프(P)와 연결된 실린더 하실(4a)이 실린더 전환실(12b)을 거쳐 제 7유로(10)를 통하여 밸브 전환실(8b)과 연통되고, 상기 밸브 전환실(8b)은 밸브 상실(8a)과 같은 고압이 형성된다.
이때, 밸브 전환실(8b)의 수압 면적이 밸브 상실(8a)보다 크기 때문에 밸브가 전환되어 제 1유로(20)와 제 3유로(14)가 연통되고, 실린더 상실(4b)에 실린더 하실(4a)과 같은 고압이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 상부 대단경부(18b)의 윗면이 하부 대단경부(18a)의 아래면보다 수압면적이 크기 때문에, 피스톤(6)의 상승행정이 중지되고 하강행정이 시작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6)은 하강행정이 시작되는 실린더 전환실(12b)에서 위치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피스톤(6)이 하강행정을 시작하여 치즐(22)과 접촉하기 직전까지 상기 피스톤(6)의 위치에너지는 운동에너지로 변환되고, 피스톤(6)과 치즐(22)이 접촉하는 순간 피스톤(6)의 운동에너지는 충격에너지, 즉 타격력으로 변환되어 치즐(22)을 거쳐 피타격물에 전달된다.
이때, 하부 대단경부(18a)의 윗면이 실린더 전환실(12b)을 지나게 되면 밸브 전환실(8b)이 제 7유로(10)에 의해 탱크(T)와 연결된 실린더 저압실(12a)과 연통되어 압력이 하강하여 밸브는 복귀하게 되고, 제 3유로(14)와, 탱크(T)와 연결된 제 5유로(16)와 연통되어 실린더 상실(4b)은 압력이 하강하여 다시 피스톤(6)은 상승하게 된다.
상기한 유압 브레이커는, 제 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벡헤드(24), 실린더(C), 프론트헤드(26)로 구성되며, 실린더(C) 내부에 조립된 피스톤(6)이 왕복운동을 하며 생성된 운동에너지가 프론트헤드(26) 내부에 조립된 치즐(22)을 타격하며 충격에너지로 변환되고, 이 충격에너지를 치즐(22) 끝단에 접촉된 피타격물에 전달시켜 피타격물을 파쇄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이다.
즉, 상기한 유압 브레이커는 피스톤(6)의 상하 왕복운동에 의해 발생된 운동에너지를 치즐(22)에 전달하여 피타격물을 파쇄시키는 장치이다.
유압 브레이커는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상승 및 하강행정을 반복하면서 충격에너지를 타격물에 전달하여 피타격물을 파쇄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압 브레이커의 작업시에 발생되는 소음은,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할 때 발생되는 타격음과, 그 타격으로 인하여 피스톤(6)과 치즐(22), 그리고 주변 부품들이 진동하여 발생되는 진동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피스톤(6)이 치즐(22)을 타격하게 되면 브레이커 본체(28) 내부에 형성된 타격실(30)에서 매우 큰 타격음이 발생되는데, 이 타격음의 일부는 브레이커 본체(28)의 벽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전파되고, 나머지 일부는 치즐(22)과 상부부시(32), 치즐(22)과 하부부시(34)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전파된다. 또한, 타격시의 충격으로 인하여 피스톤(6), 치즐(22), 브레이커 본체(28), 브라켓(36) 등의 진동으로 소음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강구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브레이커 타격시 여러 경로로 전파되는 소음을 차단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브라켓(36)을 밀봉 구조로 하거나, 브레이커 본체(28)와 브라켓(36) 사이의 공간에서의 소음 전파를 줄이는 차음재를 설치하거나, 브레이커 본체(28)를 브라켓(36) 내에 진동 완충기능이 있는 부품으로 고정하여 브라켓(36)의 진동을 줄이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커 본체(28)는 피스톤(6)이나 치즐(22)에 비하여 강성이 크고, 1차적으로 피스톤(6)이나 치즐(22)에서 발생된 진동은 브레이커를 거쳐 다른 부품에 전달된다. 따라서, 브레이커 본체(28)와 브라켓(36)에 전달되는 진동이 피스톤(6)이나 치즐(22)에 비하여 작으므로 피스톤(6)과 치즐(22)의 표면 진동에 의해 가장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실제로 브레이커 타격시의 시간에 따른 주파수 성분을 살펴보면, 충격순간에는 넓은 주파수 대역의 성분을 가지지만 이후의 시간에 음압에 영향을 주는 주파수들은 일정한 성분으로 표시된다. 즉, 주요 주파수 성분은 1000㎐ 대역에 분포하며, 2400, 3000, 3500, 4700, 5800, 6200 ㎐ 부근에서 큰 피크들을 볼 수 있다.
이들은 주로 치즐의 진동에 의해 방사되는 성분들과, 치즐과 브레이커 본체 사이에 존재하는 유격을 통한 누설 소음으로 파악되는데, 각종 소음원에 대한 차폐실험 등을 통한 음압레벨의 변화로부터, 치즐에 의한 소음 감쇄 기여도가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 1은 유압 브레이커에서의 작동을 나타낸 구조도로써,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원리는 세부적으로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지만, 이러한 작동 원리는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내용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유압 브레이커 작업시 치즐(22)과 하부부시(34) 내경 사이에서는 필연적으로 마모가 발생되는데 긁힘마모와 융착마모 그리고 피파쇄물에서 발생되는 입자에 의한 연삭마모를 수반한다.
이때, 충분한 윤활제가 공급된다면 마찰계수가 낮아지게 되어 긁힘 마모가 감소하지만 그렇지 못한다면 치즐(22) 외경과 하부부시(34) 내경에서는 긁힘 마모가 심하게 발생되고 심지어 융착에 의한 마모까지 발생된다.
또한, 초기에 충분한 윤활제가 공급되다 하더라도 치즐(22)과 하부부시(34) 사이의 틈새로 윤활제가 외부로 빠르게 유출되면 마찬가지 결과를 유발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하고도 지속적인 치즐(22)과 하부부시(34) 사이에 윤활제 공급이 필요하다.
또한, 내장재는 브라켓(36) 내부에서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하부부시(34)의 외경을 통하여 브라켓(36)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브라켓(36) 내부로 유입되어 브라켓(36)과 내장재(38) 사이에서 마모를 유발시킨다.
또한, 브레이커본체(28)는, 브라켓(36) 내부에서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외부로부터 브라켓(36) 하부의 구멍을 통하여 브라켓(36)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브레이커본체(28)와 내장재(38) 사이에서의 마모도 유발시키게 되므로 브라켓(36) 내부로의 이물질 차단이 중요하다.
종래 유압 브레이커의 하부부시(34)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부시(34) 내경에 흡음재 또는 차음재로 명명된 솔리드 탄성체(40)가 장착 된다.
이러한 솔리드 탄성체(40)를 압축시키기 위해서는 대단히 큰 힘이 필요하며, 탄성체(40) 내부에 윤활유를 함유할 수 있는 공간은 없다.
또한, 솔리드 탄성체(40)는 사용 초기에 유압 브레이커 내부에서 치즐(22)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차폐기능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외부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데 적절한 성능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일정한 사용시간 경과 후 솔리드 탄성체(40)가 마모되면 치즐(22)과 솔리드 탄성체(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애초 의도했던 소음차폐기능과 이물질 혼입차단기능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상실된다.
또한, 치즐(22)과 솔리드 탄성체(40) 사이에 발생된 틈새로 윤활제가 유출됨으로 인하여 윤활성능이 나빠지게 되어 하부부시(34) 내경의 마모는 더 빨라지게 되고 언급된 소음차폐기능과 이물질 혼입 차단기능은 더 나빠지게 된다.
또한,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6)은 용접품이기 때문에 브레이커 본체(28)의 중심선과 브라켓(36)의 중심선이 다소 어긋나는 편심(E1)이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또한, 브레이커본체(28)와 브라켓(36) 조립시 조립성을 높이기 위하여 브레이커본체(28)와 브라켓(36) 사이에 인위적으로 공간을 확보하는데, 이로 인하여 조립후 브레이커본체(28)가 브라켓(36) 내부에서 유동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부시(34) 외경에 압축시키는데 큰 힘이 필요하며 복원력이 낮은 솔리드 탄성체(40)를 장착할 경우 브라켓(36)에 브레이커 본체(28) 조립이 불가능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커 본체(28)와 브라켓(36)이 조립가능하도록 하부부시(34) 외경에 장착된 솔리드 탄성체(40)의 외경을 작게 할 경우에는 위에서 언급된 편심(E2)에 의하여 브라켓과 솔리드 탄성체(4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브라켓(36)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은 피할 수 없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 탄성체(40)의 외경과 브라켓(36) 사이의 틈새가 브레이커본체(28)가 브라켓(36)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동 틈새량(G)보다 작다면 솔리드 탄성체(40)가 브라켓(36)과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사용후 짧은 시간 내에 솔리드 탄성체(40)는 변형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에는 하부부시(34)의 파손을 가져올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커 하부부시의 내부에 장착된 탄성체의 재질이 솔리드(비다공질) 형태로 되어 있고 복원력이 낮아서 사용 초기 상태에서는 외부 이물질 혼입방지와 소음차폐기능을 가질 수 있으나 일정한 사용시간 경과 후에는 이러한 기능의 감소 또는 상실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커 하부부시의 내부에 장착된 탄성체의 재질이 복원력이 낮은 솔리드(비다공질) 형태이므로 탄성체 마모로 인하여 틈새가 생기면 윤활유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지 못하여 치즐과 하부부시 사이로 윤활유가 쉽게 흘러내려 외부로 유출되므로 하부부시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암석 또는 콘크리트 파쇄시 발생되는 분진을 구성하는 미세경질입자가 솔리드(비다공질) 형태의 탄성체(이하 솔리드 탄성체)와 치즐 사이로 들어가서 탄 성체와 치즐을 마모시키는 연마제 역할을 하는 역효과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솔리드 탄성체는 사용 초기에는 효과를 발휘하지만 짧은 시간 내에 마모가 되며, 탄성체가 마모되어 탄성체와 치즐 사이에 틈새가 발생된 이후에는 하부부시의 마모가 더욱 빨라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하부부시 외경과 브라켓 하부의 구멍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유입 차단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부시의 내,외경에 비다공질 탄성체 대비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갖는 다공질 탄성체를 장착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공질 탄성체의 장착으로 치즐과 하부부시 내경 사이에서의 마모와 브라켓 내장재의 마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가장 큰 소음원인 치즐의 표면진동을 억제하여 브레이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키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질의 재질의 탄성체(이하 다공질 탄성체)를 하부부시 내경에 장착하여 윤활유가 탄성체 내부의 다공부에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윤활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공질 탄성체를 하부부시 외경에 장착하여 외부 이물질의 브라켓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내장재의 마모를 감소시켜 내장재 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부시 내,외경에 장착된 다공질 탄성체에 의하여 유압 브레이커 타격시 치즐 표면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과 브레이커 본체와 브라켓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을 차폐시키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브레이커본체 내부에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설치되고 치즐의 일부가 브레이커본체 하부에 삽입되어 피스톤 하강시 피스톤이 치즐을 타격함으로써 치즐에 가해진 충격력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구비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에 있어서, 비다공질인 솔리드 탄성체에 비해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보유하고 다수의 미세한 기공에 윤활유를 함유하는 다공질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비다공질인 솔리드 탄성체의 밀도에 비해 40~80%의 밀도 범위를 갖는 링 형상의 다공질 탄성체가, 상기 치즐과 면접촉되도록 유압 브레이커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부품의 접촉면에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는, 치즐외경과 하부부시 내경 사이에 윤활제가 공급되도록 하부부시 내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는, 브라켓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부부시 외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는, 윤활제가 타격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부부시 내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는, 윤활제가 타격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쓰러스트링 내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는, 윤활제가 타격실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프론트헤드 내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는,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갖는 다공질 탄성체를 하부부시 내경에 장착하여 치즐 외경과 하부부시 내경 사이에 충분하고도 지속적으로 윤활제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하부부시 내경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공질 탄성체를 상부부시 내경 또는 쓰러스트링 내경 또는 프론트헤드 내경에 장착하여 치즐과 상,하부 부시 사이의 마찰면에 윤활제가 충분하고도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하부부시 내경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브라켓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여 내장재의 마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유압 브레이커 작업시 치즐 표면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과 브레이커 본체와 브라켓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을 차폐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6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하부부시구조의 개략도이고, 제 7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상부부시구조의 개략도이고, 제 8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쓰러스트링구조의 개략도이고, 제 9도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브레이커본체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는, 제 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커본체(28) 내부에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6)이 설치되고 치즐(22)의 일부가 브레이커본체(28) 하부에 삽입되어 피스톤(6) 하강시 피스톤(6)이 치즐(22)을 타격함으로써 치즐(22)에 가해진 충격력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와, 상기 치즐(22)과 면접촉되도록 유압브레이커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부품의 접촉면에 다공질 탄성체(42)가 조립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42)는, 사람의 힘으로도 충분히 압축시킬 수 있도록 낮은 강도로 제작된다. 그리고 탄성체(42)는, 복원력이 높아서 다공질 재질의 탄성체를 압축 또는 인장시켰던 힘이 제거되면 본래의 상태로 즉시 복원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다공질 탄성체(42)에는 내부에 무수히 많은 미세한 공간이 있는 다공질이기 때문에 윤활유가 다공부의 기공 내부로 쉽게 유입되고 오랜 시간 동안 탄성 체 내부에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공질 탄성체(42)는, 밀도 조절이 가능하다. 즉, 밀도를 높게 하면 탄성체 내부의 미세한 공간이 줄어들어 윤활제가 유입되는 양은 줄어들고 경도가 상승되며, 반대로 밀도를 낮게 하면 탄성체 내부의 미세한 공간이 늘어나 윤활제의 유입 양은 증대되고 경도는 낮아진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42)는, 솔리드 재질 탄성체(40) 대비 밀도조절범위를 40~80%로 할 수 있어 윤활제 함유량 및 다공질 탄성체(42)의 경도에 따른 밀착성을 최적의 조건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다공질 탄성체(42)는, 압축시키는데 그다지 큰 힘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다공질 탄성체(42)를 하부부시(34) 내경에 장착할 경우 탄성체의 내경을 치즐(22)의 외경보다 다소 작게 하여도 조립상에 어려움이 없다. 따라서 치즐(22) 외경과 탄성체(42) 내경은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치즐(22)과 다공질 탄성체(42)의 밀착을 통하여 윤활제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치즐(22) 외경과 하부부시(34) 내경 사이에 충분히 많은 윤활제가 공급되어 치즐(22)과 하부부시(34) 사이의 마찰계수는 낮아진다.
또한, 유압 브레이커 작업시 하부부시(34) 내경에 장착된 다공질 탄성체(34)는, 내부로 윤활제가 쉽게 유입되므로 탄성체(34)와 치즐(22) 사이의 마찰계수가 감소하여 솔리드 탄성체(40)와 비교시 다공질 탄성체(42)의 마모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치즐(22)을 통한 윤활제의 외부 유출이 차단되어 치즐(22) 외경과 하 부부시(34) 내경에 지속적으로 낮은 마찰계수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솔리드 탄성체(40) 장착시와 비교시 마모가 현저히 감소하게 되어 하부부시(34)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갖는 다공질 탄성체(42)는, 치즐(22) 외경과 하부부시(34) 내경 사이에 윤활제가 공급되도록 하부부시(34) 내경에 설치된다.
즉, 하부부시(34)에 내경에 설치되는 다공질 탄성체(42)는, 치즐(22) 외경과 하부부시(34) 내경 사이에 지속적으로 윤활제가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며, 이는 마찰계수를 낮게 유지할 수 있어 하부부시(34)의 수명 연장이 이루어진다.
또한, 다공질 탄성체(42)는, 유압 브레이커 작업시 치즐(22) 표면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폐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질 탄성체(42)는, 하부부시(34) 외경에 장착된 브라켓(36)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장재(38)의 마모를 감소시켜 내장재(38)의 수명도 연장시킨다.
또한, 유압 브레이커 작업시 브레이커본체(28)와 브라켓(36) 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도 부가적으로 차폐시킨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42)는, 브라켓(36)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부부시(34) 외경에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 도 2에 대한 설명에서처럼 브레이커본체(28)와 브라켓(36) 사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편심과 브레이커본체(28)의 유동에 대해서도 다공질 탄 성체(42)는 압축시 큰 힘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하부부시(34) 외경에 다공질 탄성체(42)를 편심량보다 크게 제작하여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되는 다공질 탄성체(42)의 외경과 브라켓(36)이 밀착되어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브라켓(36)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어 브라켓(36)과 내장재(38), 브레이커본체(28)와 내장재(38)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모가 방지되어 내장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람의 힘으로도 충분히 압축시킬 수 있도록 낮은 강도로 제작되고, 기존의 솔리드 재질 대비 밀도조절범위가 40~80%로 제작된 다공질 탄성체(42)를 유압 브레이커의 하부부시(34) 내경에 치즐(22) 표면과 접촉되도록 조립한다.
상기 다공질 탄성체(42)를 장착한 상태에서 유압 브레이커를 작동시키면,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갖고 내부에 무수히 많은 미세한 공간을 형성하는 다공질 탄성체(42)의 다공 부분에서 윤활유가 지속적으로 충분히 흘러나와 치즐(22)과 다공질 탄성체(42)의 마찰 표면에 윤활막을 형성한다.
또한, 윤활유가 다공질 탄성체(42)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되므로 치즐(22)과 하부부시(34) 사이의 마찰 표면에 충분한 윤활막이 형성된다.
상기한 치즐(22)과 하부부시(34) 사이에 윤활막의 형성으로 치즐(22)과 하부부시(34)의 마모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부가적으로 가장 큰 소음원인 치즐의 표면진동을 억제하여 브레이커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다공질 탄성체(42)가 유압 브레이커의 타격시 치즐(22)과 하부부시(34) 의 틈새에서 변형되더라도 탄성체를 압축시켰던 힘이 제거되면 자체의 높은 복원력에 의하여 본래의 상태로 즉시 복원되어 틈새를 메우게 되어 누유와 소음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공질 탄성체(42)를 하부부시(34) 외경에 장착할 경우 외부 이물질이 브라켓(36)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내장재(38)의 마모가 감소되어 내장재(38)의 수명 연장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부시(34) 내,외경에 장착된 다공질 탄성체(42)에 의하여 유압 브레이커 타격시 치즐(22) 표면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과 브레이커본체(28)와 브라켓(36)사이의 공간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소음의 차폐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다공질 탄성체(42)는, 윤활제 함유량 및 경도에 따른 밀착성을 유압 브레이커의 사용 조건에 따라 밀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사용된다.
또한, 도 7은 피스톤(6)이 치즐(22)을 타격할 때 대부분 치즐(22) 표면을 통해 외부로 윤활제가 흘러나가지만 윤활제의 일부분이 타격실(3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부시(32) 내경에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보유한 다공질 탄성체(42)를 장착한 것이다.
이에 따라 치즐(22)과 상,하부부시(32)(34) 사이의 마찰면에 지속적으로 충분한 윤활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쓰러스트링(44)의 내경에 다공질 탄성체(42)를 장착한 것으로, 도 7에서 상부부시(32)에 장착하였을 때처럼 윤활제가 타격실(30)로 흘러 들어가는 것 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 9는 브레이커본체(28)의 프론트 헤드(26) 내경에 다공질 탄성체(42)를 장착한 것으로, 도 7에서 상부부시(32)에 장착하였을 때처럼 윤활제가 타격실(3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한 도 7, 8,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된 다공질 탄성체(42)에 의하여 치즐(22)과 상,하부부시(32)(34) 사이의 마찰면에 지속적으로 보다 충분히 윤활제 공급이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대하여 특정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이하의 청구항에 대하여 본 고안에 대한 여러가지 다양한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 및 유사업계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누구나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음을 밝힌다.
본 고안에 따르면, 치즐에 의하여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있어서,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보유한 다공질 탄성체를 치즐 및 브라켓과 접촉하는 면에 장착하여 윤활 증대, 소음 감소, 이물질 차단 등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건설 중장비 산업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유압 브레이커의 작동회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유압 브레이커에 솔리드 탄성체가 하부부시 내경에 장착된 도면.
도 3은, 도 2의 하부부시 외경에 솔리드 탄성체의 장착시 편심으로 조립 불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하부부시 외경에 솔리드 탄성체의 장착에 따른 편심시 조립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브레이커본체 유격시 하부부시 외경에 장착된 솔리드 탄성체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하부부시 내·외경에 다공질 탄성체가 장착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상부부시 내경에 다공질 탄성체가 장착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쓰러스트링 내경에 다공질 탄성체가 장착된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의 프론트 헤드 내경에 다공질 탄성체가 장착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피스톤
22:치즐
26:프론트헤드
28:브레이커본체
30:타격실
32:상부부시
34:하부부시
36:브라켓
42:다공질 탄성체
44:쓰러스트링

Claims (9)

  1. 브레이커본체(28) 내부에 유압에 의해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6)이 설치되고 치즐(22)의 일부가 브레이커본체(28) 하부에 삽입되어 피스톤(6) 하강시 피스톤(6)이 치즐(22)을 타격함으로써 치즐(22)에 가해진 충격력으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유압 브레이커에 구비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에 있어서,
    비다공질인 솔리드 탄성체에 비해 낮은 강도와 높은 복원력을 보유하고 다수의 미세한 기공에 윤활유를 함유하는 다공질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비다공질인 솔리드 탄성체의 밀도에 비해 40~80%의 밀도 범위를 갖는 링 형상의 다공질 탄성체(42)가, 상기 치즐(22)과 면접촉되도록 유압 브레이커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부품의 접촉면에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성체(42)는, 치즐(22) 외경과 하부부시(34) 내경 사이에 윤활제가 공급되도록 하부부시(34) 내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성체(42)는, 브라켓(36)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부부시(34) 외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성체(42)는, 윤활제가 타격실(3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부부시(32) 내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성체(42)는, 윤활제가 타격실(3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쓰러스트링(44) 내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 탄성체(42)는, 윤활제가 타격실(3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프론트헤드(26) 내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2020070018363U 2007-11-14 2007-11-14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KR2004449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63U KR200444960Y1 (ko) 2007-11-14 2007-11-14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363U KR200444960Y1 (ko) 2007-11-14 2007-11-14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34U KR20090004734U (ko) 2009-05-19
KR200444960Y1 true KR200444960Y1 (ko) 2009-06-18

Family

ID=4129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363U KR200444960Y1 (ko) 2007-11-14 2007-11-14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03A (ko) 2014-05-15 2015-11-25 서재연 나선홈 및 유로가 구비된 회전식 저마찰 브레이커용 치즐
KR101670370B1 (ko) * 2015-12-24 2016-10-3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윤활유 공급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5134B1 (ko) * 2012-09-17 2014-01-28 (주)신우중공업 굴착기의 치즐 구조장치
KR102450365B1 (ko) * 2020-04-10 2022-10-04 (주)대동이엔지 신축형 실링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소음 브레이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1503A (ko) 2014-05-15 2015-11-25 서재연 나선홈 및 유로가 구비된 회전식 저마찰 브레이커용 치즐
KR101670370B1 (ko) * 2015-12-24 2016-10-31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윤활유 공급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734U (ko) 2009-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960Y1 (ko) 유압 브레이커용 부시
KR101062705B1 (ko) 치즐의 교체가 용이한 유압 브레이커
KR102035799B1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200434268Y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KR200231324Y1 (ko) 유압식브레이커
KR200369452Y1 (ko) 자동윤활공급부와 공압공급부가 구비된 유압 타격식파쇄장치
CN107355220B (zh) 一种防震荡凿岩机
KR20120005908A (ko) 유압브레이커용 피스톤
KR200443103Y1 (ko) 유압 브레이커의 치즐 소음 감쇄장치
KR102450365B1 (ko) 신축형 실링장치와 이를 이용한 저소음 브레이커
JP4551927B2 (ja) 掘削機用油圧式ブレーカのピストン及びロッド装置
KR100335004B1 (ko) 브레이커용 저소음 치즐
KR100647466B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저소음 장치
CN111173884A (zh) 一种掘进机振动抑制装置
KR200431770Y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피스톤 구조
KR200439968Y1 (ko) 저소음형 유압브레이커
CN111236833A (zh) 一种水压凿岩机防空打缓冲系统
KR100529508B1 (ko) 굴삭기용 브레이카의 피스톤 및 로드 구조
US5755294A (en) Abrasion-resistant hydraulic hammer with low noise level
KR102226579B1 (ko) 저소음형 유압 브레이커
KR100501735B1 (ko) 유압브레이커의 방진장치
CN211006829U (zh) 一种密封性好的静音型液压破碎锤
KR200448657Y1 (ko) 브레이커의 부싱 체결구조
KR20040079396A (ko) 소음저감형 브레이커
CN211816549U (zh) 一种破碎锤机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