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724Y1 -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 Google Patents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724Y1
KR200444724Y1 KR2020070016835U KR20070016835U KR200444724Y1 KR 200444724 Y1 KR200444724 Y1 KR 200444724Y1 KR 2020070016835 U KR2020070016835 U KR 2020070016835U KR 20070016835 U KR20070016835 U KR 20070016835U KR 200444724 Y1 KR200444724 Y1 KR 200444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adsorption
pad
main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739U (ko
Inventor
김용만
Original Assignee
김용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만 filed Critical 김용만
Priority to KR2020070016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7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7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2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23N7/023Peel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one by 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흡착패드로 흡입압착하여 감을 고정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있어서, 저면 통공(12)을 갖는 본체(18)와 본체(18) 상부에 빙둘러 형성된 흡착부(14)를 갖는 연질성 흡착패드(20)의 본체(18)내 안착부(16)에 저면 통공(22)을 갖는 내피통(30)을 삽입 구성하고, 내피통(30)에 머리부(34)상에 고정핀(36)들이 형성되며 흡입공(32)을 갖는 볼트(40)를 안착 관통시켜 흡입관(48)에 체결구성함으로써 흡착패드의 변형을 막아주면서 흡착부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해 주도록 한 것이다.
제피기, 흡착

Description

과일제피기 흡착장치{ADSORPTION DEVICE OF FRUIT RIND REMOVER}
본 고안은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의 제피시 감꼭지부의 흡착공간을 넓게 형성해 주고, 흡착패드의 흡착력을 높이면서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한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제피기 흡착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감(114)을 흡착 고정하는 흡착패드(102)의 통공 내벽에 안착부를 갖는 본체(104)와 수개의 고정핀(106)을 갖는 흡착부(108)가 일체로 구성되며, 그 본체(104)를 흡입관(110)이 갖는 결합부에 결합하되, 흡입공을 갖는 볼트(112)로 흡착패드(102)를 흡입관(110)에 체결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흡착패드(102)에는 고정핀(106)을 일체로 고정해야 하므로 흡착패드(102)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해야 함에 따라 제작상의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또한 볼트(112)가 결합되는 흡착패드(102)의 흡착공간이 좁아 감(114)꼭지부의 간섭으로 인해 감(114)을 흡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게 되며, 흡착패드(102) 의 재질로 경질의 합성고무를 사용하므로 흡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흡착패드(102)에 고정핀(106)을 형성하므로서 고정핀(106)간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고정핀(106)이 감(114)의 심지부를 벗어나서 꽂히게 되어 제피후 감(114)이 쉽게 상하게 될 우려가 생기게 되고, 고정핀(106)의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감(114)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흡착패드(102)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탄성력이 우수한 연질성 흡착패드를 사용하여 두께를 얇게 구성함으로써 흡착패드의 감꼭지부 흡착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흡착패드의 변형을 막아주며, 고정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과일제피기 흡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흡착패드로 흡입압착하여 감을 고정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있어서, 저면 통공(12)을 갖는 본체(18)와 본체(18) 상부에 빙둘러 형성된 흡착부(14)를 갖는 연질성 흡착패드(20)의 본체(18)내 안착부(16)에 저면 통공(22)을 갖는 내피통(30)을 삽입 구성하고, 내피통(30)에 머리부(34)상에 고정핀(36)들이 형성되며 흡입공(32)을 갖는 볼트(40)를 안착 관통시켜 흡입관(48)에 체결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실리콘 재질의 연질성 고무를 사용하여 흡착패드를 구성함으로써 흡착패드의 흡착력이 우수하고, 흡착패드의 두께를 얇게 구성함으로써 감꼭지부의 흡착공간이 충분히 넓게 확보되어 제피작업이 용이하며, 내피통을 흡착패드 내에 밀착되게 끼워 흡착패드를 고정지지함으로써 흡착패드의 변형을 방지해 주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결합상태 단면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다 함께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과일제피기 흡착장치(A)는, 상부가 완전개방되고 저면부에 일부개방된 통공(2)을 갖는 외피통(10)과, 외피통(10)의 내벽에 끼워지면서 저면부에 일부개방된 통공(12)을 갖는 흡착패드(20)와, 외피통(10)과 외형상 유사하게 형성되어 흡착패드(20) 내벽에 끼워지면서 저면부에 일부개방된 통공(22)을 갖는 내피통(30)과, 머리부(34) 상부에 다수의 고정핀(36)을 갖으면서 길이방향 내부로 관통형성된 흡입공(32)을 갖는 볼트(40)로 구성된다.
외피통(10)은 주로 금속재의 컵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외피통(10)의 상부측 일부에는 흡착패드(20)가 쉽게 안내되면서 끼워지도록 외향 확개부(4)를 형성하고, 저면부의 중심 일부에는 통공(2)을 형성하여 본체(8) 내벽에 안착부(6)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흡착패드(20)가 외피통(10) 본체(8)내에 끼워져 저면 안착부(6)에 안착되도록 한다.
흡착패드(20)는 주로 연질성 실리콘재질을 사용하고, 외형상으로 외피통(10)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며, 외피통(10) 내에 끼워져 내벽에 밀착되면서 안착부(6)에 안착되는 본체(18)와, 감(44)꼭지부를 흡착하는 흡착부(14)로 구성된다. 본체(18) 저면의 중심 일부에는 외피통(10)의 통공(2)과 유사한 크기의 통공(12)을 형성하고, 본체(18) 내벽으로 안착부(16)를 형성하여 흡착패드(20)의 본체(18)가 외피통(10)의 내벽에 밀착되면서 외피통(10)의 안착부(6)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흡착부(14)는 감(44)꼭지부를 흡착하도록 외향확개 형성되어, 외피통(10)의 상부에 형성된 확개부(4) 내면에 밀착된다. 이때 감(44)꼭지부가 금속재의 외피통(10)에 닿지 않도록 흡착부(14)를 외피통(10)의 확개부(4)가 덮힐 정도의 크기로 형성한다. 또한 흡착패드(20)를 연질성 실리콘 재질로 사용함으로써 부드러우면서 우수한 흡착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내피통(30)은 주로 금속재이고 외피통(10)과 외형상 유사한 컵형상으로 형성된다. 내피통(30)의 상부측 일부에는 확개부(24)를 형성하고 저면부 중심 일부에는 외피통(10) 및 흡착패드(20)의 통공(2,12)들과 유사한 크기의 통공(22)을 형성하되 본체(28) 내벽에 안착부(26)를 형성하여 내피통(30)의 본체(28)가 흡착패드(20)의 본체(18) 내벽에 밀착되면서 안착부(16)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외피통(10)과 흡착패드(20) 및 내피통(30)의 통공(2,12,22)들은 각각의 안착부(6,16,26) 중심부에 위치하여 나란히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볼트(40)의 길이방향 내부로 관통된 흡입공(32)을 형성하고, 볼트(40)의 머 리부(34) 상부에는 다수의 고정핀(36)을 고정형성한다. 볼트(40)의 머리부(34)에 고정형성된 고정핀(36)은 착탈식 구조로 형성해도 무방하나, 감(44)꼭지부가 계속적으로 착탈되므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핀(36)을 볼트(40)의 머리부(34) 상부에 형성하면 흡착패드(20)에 고정핀(36)을 형성하는 것 보다 고정핀(36)간의 간격이 좁게 형성되므로 감(44)의 심지부에 고정핀(36)을 꽂을 수 있어 감(44)의 안정된 고정과, 제피후 감(44)의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과일제피기 흡착장치(A)는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외피통(10)의 본체(8) 내부에 흡착패드(20)와 내피통(30)을 차례대로 끼움결합하고, 내피통(30)의 본체(28) 내부로 볼트(40)를 결합하면 볼트(40)의 나선부(38)가 내피통(30), 흡착패드(20) 및 외피통(10)의 통공(22,12,2)들에 차례대로 관통되어 외피통(10)의 안착부(6) 외부로 돌출되면서 볼트(40)의 머리부(34)가 내피통(30)의 안착부(26)에 걸림고정되고, 외피통(10) 외부로 돌출된 볼트(40)의 나선부(38)는 과일제피기 본체(46)에 설치된 흡입관(48)에 고정결합된다. 이때 외피통(10)과 흡입관(48)을 일체로 형성하여도 무방하고, 또한 외피통(10)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외피통(10)의 본체(8)와 내피통(30)의 본체(28)가 흡착패드(20)의 본체(18) 내,외부를 밀착지지해줌으로써 흡착패드(20)의 변형을 방지해주게 되므로 흡착패드(20)의 두께를 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착패드(20) 두께가 얇게 구성됨에 따라 흡착공간이 넓어지므로 감(44)꼭지부의 간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감(44)을 제피한 후 걸이구에 걸어 건조시키게 되는데 감(44)꼭지가 길면 걸이구에 보다 쉽게 걸수 있고, 걸림이 용이하도록 감(44)꼭지를 “T”자형으로 자르 더라도 흡착패드(20)의 흡착공간이 넓기 때문에 제피시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내피통(30)에 볼트(40)를 결합시 흡착패드(20)의 안착부(16) 주위에 스페이서(42)를 구비하면 볼트(40)에 머리부(34) 상부에 고정형성된 고정핀(36)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스페이서(42)로 와셔를 사용하였으나, 와셔 외에도 스페이서 역할이 가능한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와셔는 필요에 따라 다수 결합 가능하다. 고정핀(36)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모양이 일정치 않은 감(44)꼭지부의 흡착고정이 유리하게 된다. 고정핀(36)의 길이가 짧으면 감(44)의 고정이 어렵게 되고, 고정핀(36)이 길면 감(44)의 상처가 깊어져 제피후 세균침투 및 곰팡이 등으로 인한 감(44)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게 되므로 고정핀(36)의 길이는 도 5에서와 같이 흡착패드(20)의 흡착부(14)보다 조금 더 돌출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고정핀(36)의 길이는 출몰 조절용 스페이서(42)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과일제피기 흡착장치(A)는 도 7에서와 같이 과일제피기 본체(46)의 흡입관(48)에 고정결합되어 사용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고안은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사용 상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의 사시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결합상태 단면구성도,
도 6은 도 5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이 설치된 과일제피기 전체 측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2)(22)--통공 (4)(24)--확개부
(6)(16)(26)--안착부 (8)(18)(28)--본체
(10)--외피통 (14)--흡착부
(20)--흡착패드 (30)--내피통
(32)--흡입공 (34)--머리부
(36)--고정핀 (38)--나선부
(40)--볼트 (42)--스페이서
(44)--감 (46)--본체
(48)--흡입관

Claims (4)

  1. 흡착패드로 흡입압착하여 감을 고정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있어서,
    저면 통공(12)을 갖는 본체(18)와 본체(18) 상부에 빙둘러 형성된 흡착부(14)를 갖는 연질성 흡착패드(20)의 본체(18)내 안착부(16)에 저면 통공(22)을 갖는 내피통(30)을 삽입 구성하고, 내피통(30)에 머리부(34)상에 고정핀(36)들이 형성되며 흡입공(32)을 갖는 볼트(40)를 안착 관통시켜 흡입관(48)에 체결구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착패드(20)의 본체(18)가 외피통(10)에 삽입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흡착패드 본체(18)의 내피통(30)에는 고정핀(36) 출몰 조절용 스페이서(42)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40)를 체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4. 흡착패드로 흡입압착하여 감을 고정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에 있어서,
    저면 통공(12)을 갖는 본체(18)와 본체(18) 상부에 빙둘러 형성된 흡착부(14)를 갖는 흡착패드(20)의 본체(18)내 안착부(16)에 머리부(34)상에 고정핀(36)들이 형성되며 흡입공(32)을 갖는 볼트(40)를 안착 관통시켜 흡입관(48)에 체결구성되게 하되, 흡착패드 본체(18)의 안착부(16)에는 고정핀(36) 출몰 조절용 스페이서(42)를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40)를 체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KR2020070016835U 2007-10-17 2007-10-17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KR200444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35U KR200444724Y1 (ko) 2007-10-17 2007-10-17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35U KR200444724Y1 (ko) 2007-10-17 2007-10-17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39U KR20090003739U (ko) 2009-04-22
KR200444724Y1 true KR200444724Y1 (ko) 2009-06-01

Family

ID=4128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35U KR200444724Y1 (ko) 2007-10-17 2007-10-17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7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775B1 (ko) * 2009-09-01 2009-12-21 한국뉴매틱(주) 진공컵 어셈블리
NL2022320B1 (en) * 2018-12-28 2020-07-23 Bollegraaf Patents And Brands B V Suction head for a waste sorting system
CN109526383B (zh) * 2018-12-28 2021-09-21 黄红伟 一种甘蔗剥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39U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724Y1 (ko) 과일제피기 흡착장치
KR101988483B1 (ko) 키친 타올 행어 유니트
USD425781S (en) Double hook device for supporting golf towels
JP3928144B2 (ja) 排水栓の目皿の取付構造
CN208988147U (zh) 球状吊椅
JP6450099B2 (ja) 浴槽枕と浴槽枕付きの浴槽
US20020151829A1 (en) Combination massaging pad
CN219680568U (zh) 用于清洗机的碗篮组件及清洗机
KR200262176Y1 (ko) 흡착식 샤워기 걸이구
CN213850753U (zh) 一种医护人员可拆卸医用听诊器
CN216702209U (zh) 一种防烫茶碗
CN217565226U (zh) 按摩清洁刷
KR200455872Y1 (ko) 양변기의 급수관 연결 구조체
CN217014655U (zh) 多功能按摩器
CN209898976U (zh) 带手机固定夹的懒人追剧果盒
CN212285203U (zh) 血浆袋清洗装置
KR200284208Y1 (ko) 이중의 지지력을 갖는 대나무 베개
USD440054S1 (en) Clothes hanger
KR920003821Y1 (ko) 목욕용 때밀이
JP3061861U (ja) 表面積比5%以上10%以下且つ直径10mm以上の円形灰汁孔を付けた食品煮込み用木製落し蓋
KR20026529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걸림턱을 가진 낚시찌
JPH0222296U (ko)
JP3201218U (ja) 掛止リング
JPH0236346U (ko)
USD453207S1 (en) Whirlpool bath tu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