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720Y1 -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 Google Patents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720Y1
KR200444720Y1 KR2020080014942U KR20080014942U KR200444720Y1 KR 200444720 Y1 KR200444720 Y1 KR 200444720Y1 KR 2020080014942 U KR2020080014942 U KR 2020080014942U KR 20080014942 U KR20080014942 U KR 20080014942U KR 200444720 Y1 KR200444720 Y1 KR 200444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transparent
greenhouse
transparent greenhous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욱
Original Assignee
정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욱 filed Critical 정경욱
Priority to KR2020080014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7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에 관한 것으로,에너지 소비가 높은 열풍발생기와 같은 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대신 선풍기와 같은 저에너지 건조수단을 채택해 유지비를 절감시켰으며, 채광율의 극대화를 위한 온실바닥에 빛반사용 은박지와 그 바닥에 시공한 축열석재는 탈튀효과와 원적외선선방사율이 좋은 토르말린석을 깔아 건조실내의 가온효과를 높였으며, 다단식 건조대에 거치한 채반을 사용하여 피건조물의 공기접촉도를 극대화시켜 건조기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실내에 일정습도 이상에서는 온습도센서에 의하여 흡기팬이 자동가동되게한 것으로, 시공설치비용이 저렴하고, 운전유지비용면에 있어서도 매우 경제적이도록 한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건조,투명온실,축열석재

Description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the transparent greenhouse structure for agricultural drying}
본 고안은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너지 소비가 높은 열풍발생기와 같은 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은 대신 선풍기와 같은 저에너지 건조수단의 채택으로 유지비가 저렴하도록 하였고, 채광율 극대화를 위한 온실바닥구조와 더불어, 다단건조대에 의한 피건조물의 공기접촉도를 극대화시켜 건조기간을 단축시키도록 한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산물건조는 태양열에 의존하는 노상건조방법에 따랐으나, 농산물 수확절기의 기상여건에 따라 건조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최근 대기환경도 예전에 비해 좋지 않아 태양열에 의한 노상건조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의 유입율이 높은 실정이다.
농산물건조 관련 국내의 선원기술들에 따르면, 국내 특허공고번호 89-000550호' 농산물건조장치'에 따르면,외벽 내측에서 일정간격의 배기로를 두고 다공판 내벽으로 이중벽을 구성하고 마루판에는 중앙분사구를 구성하되, 분사구에서 분기되 는 소형분사구를 방사상으로 코너부분에 구성하고, 마루판 저면으로는 송풍기를 갖는 송풍관이 상기 중앙분사구와 연통된 농산물건조 저장고와, 다른 실시유형으로 건조저장고의 지붕을 비닐로 씌우고 지붕바닥에는 집열판을 구성 가열된 공기를 송풍구의 흡입구로 연통되게 결합한 건조저장고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자의 실시예에서는 송풍력으로 건조실내에 마련된 분사구를 통해 농산물을 건조하는 방식으로 효율이 좋지 않으며, 후자에 따른 방법으로는 투명지붕 비닐 아래에 마련된 집열판을 경유해 송풍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속도에 비해 열교환율이 좋지 않아 역시 효율성이 지적된다.
또, 국내 실용신안 공보 실1995-0009566호 '태양열 축열실이 형성된 농산물건조장치'에 따르면, 상부에 유리 또는 투명플라스틱 지붕이 복개된 집열실이 형성되고, 건조저장실 측면붕 열풍발생기를 설치해 가열공기를 저면통기실을 통해 송풍하는 구성과 상기 투명지붕아래 집열실의 바닥에는 흑색 흡열막과 축열석재를 마련하고, 집열실과 열풍발생기가 설치된 공기유입실사이를 개폐변이 형성된 T자형 닥트를 연결한 농산물건조장치와 같은 선원기술에서는 열풍발생기를 설치해야 하는 유지비와 또한, 집열실 바닥아래에 마련하는 축열석재층 마련과 건조저장실에 바닥에 마련한 저면 통기실과 통기망의 설치에 따른 시공비 부담이 예견된다.
다음으로 국내 공개번호 10-2005-0078851호 '농산물 다용도 이동식온실'에 따르면, 바닥내부는 보일러로부터 순환되는 온수관과 배수관의 설치 내지 열원부재로 전기열선이 구비되도록 하는 철근이 배근된 콘크리트중량체와, 콘크리트중량체상에 비닐,유리로 온실형상을 이루는 골격프레임이 형성된 이동식온실이 게시된바 있으나, 중장비에 의하여 이동식온실을 이동이 용이하다 하나 콘크리트중량체로 바닥열원을 온수순환내지 전기열원에 따랐으나, 건조효율은 떠나 시공비의 부담과 불편한 이동성이 예상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풍발생기와 같이 에너지 소비가 높은 건조수단을 배제하고, 유지비가 저렴한 선풍기와 흡기팬에 의해 유지비를 극소화시키고, 종전 투명 온실지붕아래에 시공한 집열판이나 축열수단의 시공에 따른 골조비의 부담을 덜게하며, 자연 채광에 의한 건조실내의 공기에 대한 최대의 가온효과와 시공비절감을 위한 온실바닥에 대한 경제적인 시공구조와 더불어, 피건조물의 공기접촉도 극대화를 위한 다단건조대에 의한 건조기간을 단축시키도록 한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에 의해 유지비가 저렴하고 건조기간을 단축시키도록 한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경량골조(11)로 A형 지붕과 벽체를 구성하고, 정면에 출입문(12)을, 후면과 좌우측면에 수개의 창호(13)로 이루어진 건조실(20)을 채광판넬(10)로 구축하는 공지의 투명온실(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의 바닥에는 장판(32)위에 일정두께의 축열석재(31)을 깔고 최상층에는 은박지(30)로 바닥을 마감하며,건조실내 천장중앙에는 통기공이 다수 첨공된 흡기관로(16)를 설치하고, 흡기관로 단부에는 자바라관(15)을 사이에 연결한 흡기팬(14)을 연결시켜 투명온실의 일상측 외방으로 설치하며, 건조실 바닥에는 120*40*60㎝, 120*40*50㎝, 120*40*40㎝, 120*40*30㎝ 규격의 직사각 골조로이루어진 각 건조대(18)를 투명온실 길이방향 좌우편에 높은 순으로 계단식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각 건조대에는 120*60*5㎝규격의 채반(19) 2개씩을 거치하고, 상기 투명온실내 측편 창호(13)에는 이동가능한 선풍기(17)를 좌우 최상위 건조대 높이로 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에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에너지 소비가 높은 열풍발생기와 같은 건조수단을 대신 선풍기와 같은 저에너지 건조수단의 채택으로 유지비가 저렴하도록 하였고, 채광율의 극대화를 위한 온실바닥에 빛반사용 은박지와 축열석재로 원적외선방사율이 좋고 탈취효과가좋은 토르말린석을 사용하였으며,다단건조대에 의한 피건조물의 공기접촉도를 극대화시켜 건조기간을 단축시킨 경제적인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의 실시에 따르면, 열풍건조장치와 같은 유지비가 높은 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은 대신 지붕과 벽체및 창호나 출입문등을 투과성이 좋은 채광판넬로 구성하여, 에너지 효율이 좋도록 하였다.
또한, 종전처럼 지붕 천장 바닥부에 집열판이나 축열석재 등을 시공하는데 따른 내구성 있는 골조보다는 건조실바닥에 축열석재 특히 탈취와 원적외선방사률 이 좋은 토르말린석을 깔고 그위에 빛 반사율이 좋은 은박지를 깔아서 건조실내에 일정높이에 다단식으로 구성한 건조대의 채반의 상하로 태양빛이 미치도록 하여 농산물 건조를 촉진하며,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취기를 저감하며, 원적외선 방사효율에 의하여 농산물 구석구석까지 건조되게 한 것으로 유지비가 저렴하면서도 건조효율도 우수한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건조실의 평균온도는 봄 가을철은 한낮을 기준으로 평균온도는 45∼50℃를 유지하며,여름철에는 70∼80℃를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자연건조에 따르면 6∼7일의 소요되며, 상품성이 저하되지만 본 고안에 따른 건조실에서는 통버섯의 경우 3일 내외, 표고버섯 절편의 경우 1일이내에 건조되며, 고추나 시래기 기타 농산물 내지 수산건어물의 건조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건조실 유지비가 저렴한 특징이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구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온실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온실의 측면도,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대 및 채반의 참고사시도로서,
경량골조(11)로 A형 지붕과 벽체를 구성하고, 정면에 출입문(12)을, 후면과 좌우측면에 수개의 창호(13)로 이루어진 건조실(20)을 채광판넬(10)로 구축하는 공지의 투명온실(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의 바닥에는 장판(32)위에 일정두께의 축열석재(31)을 깔고 최상층에는 은박지(30)로 바닥을 마감하며,건조실내 천장중앙에는 통기공이 다수 첨공된 흡기관로(16)를 설치하고,흡기관로 단부에는 자바라관(15)을 사이에 연결한 흡기팬(14)을 연결시켜 투명온실의 일상측 외방으로 설치하며, 건조실 바닥에는 120*40*60㎝, 120*40*50㎝, 120*40*40㎝, 120*40*30㎝ 규격의 직사각 골조로이루어진 각 건조대(18)를 투명온실 길이방향 좌우편에 높은 순으로 계단식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각 건조대에는 120*60*5㎝규격의 채반(19) 2개씩을 거치하고, 상기 투명온실내 측편 창호(13)에 이동가능한 선풍기(17)를 좌우 최상위 건조대 높이로 각 설치하여 된 것이다.
상기에서, 축열석재(31)는 토르말린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자갈,맥반석과 같은 축열석재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흡기팬(14)은 온습도센서(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하여 건조실내에 습도가 높을때는 감지하여 자동으로 동작되게 하였으나, 온오프스위칭에 의하여 도 흡기팬을 동작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작용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건조대는 120*40*60㎝, 120*40*50㎝, 120*40*40㎝, 120*40*30㎝ 규격의 직사각 골조로 이루어진 각각의 건조대(18)를 투명온실 길이방향 좌우편에 높은 순으로 계단식으로 다단 배치하고 거치한 채반에 건조시킬 농산물을 널어 투명온실내 측편 창호(13)에 이동가능한 선풍기(17)를 최상위 높이의 건조대에서 저단의 건조대쪽으로 송풍을 함으로서, 채반 상하로 기류가 흘러 건조효 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건조과정에서 발생한 습도가 60%가 상위하면 온습도센서(도시되지 않았음)에 의하여 자동감응하여 천장 중앙부위에 설치한 통기공이 다수 첨공된 흡기관로(16)를 통하여 외부로 습기를 배출시켜 건조실내의 적정습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투명온실내에 마련된 창호중 선풍기가 설치되는 쪽이나, 그 맞은편의 창호는 외부기후 여건에 따라 인위적으로 개방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온실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종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온실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대 및 채반의 참고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투명온실
10:채광판넬 11:경량골조
12:출입문 13:창호
14:흡기팬 15:자바라관
16:흡기관로 17:선풍기
18:건조대 19:채반
20:건조실 30:은박지
31:축열석재 32:장판

Claims (3)

  1. 경량골조(11)로 A형 지붕과 벽체를 구성하고, 정면에 출입문(12)을, 후면과 좌우측면에 수개의 창호(13)로 이루어진 건조실(20)을 채광판넬(10)로 구축하는 공지의 투명온실(100)에 있어서,
    상기 건조실(20)의 바닥에는 장판(32)위에 일정두께의 축열석재(31)을 깔고 최상층에는 은박지(30)로 바닥을 마감하며,건조실내 천장중앙에는 통기공이 다수 첨공된 흡기관로(16)를 설치하고,흡기관로 단부에는 자바라관(15)을 사이에 연결한 흡기팬(14)을 연결시켜 투명온실의 일상측 외방으로 설치하며, 건조실 바닥에는 120*40*60㎝, 120*40*50㎝, 120*40*40㎝, 120*40*30㎝ 규격의 직사각 골조로 이루어진 각 건조대(18)를 투명온실 길이방향 좌우편에 높은 순으로 계단식으로 배치하고, 배치된 각 건조대에는 120*60*5㎝규격의 채반(19) 2개씩을 거치하고, 상기 투명온실내 측편 창호(13)에 이동가능한 선풍기(17)를 좌우 최상위 건조대 높이로 각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축열석재(31)는 토르말린석으로 적층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흡기팬(14)은 온습도센서가 채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KR2020080014942U 2008-11-10 2008-11-10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KR200444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42U KR200444720Y1 (ko) 2008-11-10 2008-11-10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942U KR200444720Y1 (ko) 2008-11-10 2008-11-10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720Y1 true KR200444720Y1 (ko) 2009-05-29

Family

ID=4164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942U KR200444720Y1 (ko) 2008-11-10 2008-11-10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7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26B1 (ko) 2009-08-21 2010-03-12 (주)가교테크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가 내장된 건조기
KR101171673B1 (ko) 2011-10-11 2012-08-10 박경화 양압식 환기를 하는 비닐하우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526B1 (ko) 2009-08-21 2010-03-12 (주)가교테크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가 내장된 건조기
KR101171673B1 (ko) 2011-10-11 2012-08-10 박경화 양압식 환기를 하는 비닐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2913B1 (ko) 스마트 버섯재배사
CN101705751B (zh) 太阳能集成房屋
CN102550332A (zh) 一种双层铝天沟温室
Ismail et al. Stack ventilation strategies in architectural context: a brief review of historical development, current trends and future possibilities
JP5827377B2 (ja) 乾燥システム
CN202374776U (zh) 双层铝天沟温室
JP2002267227A (ja) 給気装置
KR200444720Y1 (ko) 농산물건조용 투명온실구조
CN106152329A (zh) 太阳能保温窗及节能通风空调系统
CN202773720U (zh) 一种节能联体鸡舍
CN205531479U (zh) 一种适用于太阳房的降温通风系统
CN2901839Y (zh) 一种灵芝工业化栽培房
CN111472440A (zh) 自动调温保温房屋
CN101059279B (zh) 空气式太阳能集热换气系统
CN201474327U (zh) 生态住宅
CN202913549U (zh) 一种廊道式循环幕墙
JP4638831B2 (ja) 床暖房システム
CN108071240A (zh) 太阳能被动式环保生态乡村住宅
CN210067005U (zh) 一种节能建筑
CN103255930B (zh) 一种房、风、光三位一体能输出电力的低碳宜居建筑新技术
CN206547394U (zh) 一种新型太阳能钢结构食用菌菇房
CN1020121C (zh) 多层生态住宅
CN201567806U (zh) 太阳能集成房屋
CN201972428U (zh) 一种新型生态工厂
CN205922254U (zh) 一种基于溶洞空气的垂直农场调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