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430Y1 - 일회용 의료밴드 - Google Patents

일회용 의료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430Y1
KR200444430Y1 KR2020070019744U KR20070019744U KR200444430Y1 KR 200444430 Y1 KR200444430 Y1 KR 200444430Y1 KR 2020070019744 U KR2020070019744 U KR 2020070019744U KR 20070019744 U KR20070019744 U KR 20070019744U KR 200444430 Y1 KR200444430 Y1 KR 200444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disposable medical
medical band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7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준
Original Assignee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버레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97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4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4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3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 A61F13/023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 A61F13/024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wound covering film layers without a fluid retention lay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handling support layer the application or handling support layer being remov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46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kin-adhering lay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의료밴드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회용 의료밴드는 얇은 필름재로 구비되며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상기 점착시트의 점착층이 부착되는 점착부를 형성하고 이 점착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부의 중간부분을 경계로 양쪽으로 분할 구비되는 한쌍의 이형 지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의 양측에 폭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는 길이재의 구멍으로서 환부 부착시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해당 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된 점착부가 경계를 중심으로 상기 점착시트로부터 박리가 시작되게 유도하는 박리 변형 유도홀을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회용 의료밴드는, 중앙부에 구비된 점착시트의 주위로 반원형의 박리 변형 유도홀을 형성하는 간소한 구조 변경을 통해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적으로 손을 대지 않고 점착시트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면서 형태 변형을 방지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의료밴드, 점착밴드, 시트, 이형지, 습윤드레싱

Description

일회용 의료밴드{a disposable medical band}
본 고안은 환부에 도포된 약물을 유지되게하여 치유를 촉진하도록 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세균감염을 방지하는 일회용 의료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착시트를 환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부착과정에서의 점착시트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일회용 의료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의료밴드는 가정이나 병원에서 경미한 외상시 세균의 감염 방지와 환부 보호를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즉, 일회용 의료밴드는 상처 표면으로부터의 열의 증발과 수분의 손실을 감소시켜서 더 이상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결과적으로 상처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발육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일회용 의료밴드의 통상적인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점착밴드의 접착제가 도포된 일면에 거즈가 부착되며, 상기 거즈 및 접착제가 도포된 일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한 쌍의 이형지가 상기 점착밴드의 중앙부에서 겹쳐지도록 부착된다. 상기 구성의 일회용 의료밴드를 사용하는 과정은, 먼저 점착밴드로부터 한 쌍의 이형지를 차례로 떼어낸 후, 거즈가 환부에 놓여지는 상태로 점착밴드를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통상의 일회용 의료밴드는 점착밴드에 거즈를 부착하는 작업 내지는 점착밴드로부터 한 쌍의 이형지를 분리한 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하는 작업을 위해서 상기 점착밴드가 소정의 강성을 갖는 두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일회용 의료밴드는 소정 두께의 점착밴드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붙혀져 사용됨에 따라 피부에 생기는 주름이나 환부의 굴신운동 등으로 환부에서 쉽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일회용 의료밴드는 그 두께로 인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는 등 부착감이 좋치 못하였다.
상기한 이유로 본원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0342831호인 "1회용 의료밴드"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1회용 의료밴드의 구성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1회용 의료밴드의 점착테이프가 자체 강성을 갖지 않는 매우 얇은 두께의 필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름 타입인 점착테이프의 점착성을 갖는 일면에 거즈와 한 쌍의 이형지가 부착되고, 타면에 필름 타입의 점착테이프에 소정의 강성을 제공하기 위한 보호시트가 박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1회용 의료밴드를 사용하는 과정은, 먼저 필름 타입의 점착테이프로부터 한 쌍의 이형지를 차례로 떼어낸 후, 점착테이프 중앙의 거즈가 환 부에 놓여지는 상태로 보호시트와 점착테이프가 일체를 이루면서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점착테이프와 거즈를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한 다음 보호시트를 박리시켜 부착을 완료한다.
그러나, 상기의 1회용 의료밴드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점착테이프로부터 보호시트를 박리 시 주로 손톱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보호시트의 박리 동작 중에 점착테이프가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떼어지는 현상이 종종 발생되고, 이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서 떼어진 점착테이프의 양면 내지는 동일한 면의 다른 두 부분이 겹쳐지며 접착되는 현상에 의해서, 점착테이프의 일 부분이 접착력을 상실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점착테이프는 접착력을 상실한 일 부분을 시작으로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점차 떼어지는 현상이 야기되는 것으로써, 이는 점착테이프가 사용자의 피부에 긴밀하게 부착되지 못하면서 일회용 의료밴드의 피부에 대한 부착 상태가 양호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안 0412669 "1회용 의료밴드"를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의 1회용 의료밴드는 점착테이프가 얇은 방수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그 특성상 형태 변형이 쉽게 발생되는 단점으로 인해 사용자의 상처부위에 점착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상처부위에 손을 댄 상태에서 부착시켜야 하므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감염의 우려로 인해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불만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얇은 방수필름으로 되어 형태 변형이 쉽게 일어나는 점착시트의 부착시 사용자가 환부에 손을 대지 않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그 형태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일회용 의료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는, 얇은 필름재로 구비되며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 및 상기 점착시트의 점착층이 부착되는 점착부를 형성하고 이 점착부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부의 중간부분을 경계로 양쪽으로 분할 구비되는 한쌍의 이형 지지시트일회용 의료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의 양측에 폭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는 길이재의 구멍으로서 환부 부착시 손잡이부를 잡아당기면 해당 손잡이부와 일체로 연결된 점착부가 경계를 중심으로 상기 점착시트로부터 박리가 시작되게 유도하는 박리 변형 유도홀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박리 변형 유도홀은 반원형의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이형 지지시트일회용 의료밴드는 경계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삼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도록 각각 사선절개면이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는, 중앙부에 구비된 점착시트의 주위로 반원형의 박리 변형 유도홀을 형성하는 간소한 구조 변경을 통해 사용자의 환부에 직접적으로 손을 대지 않고 점착시트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면서 형태 변형을 방지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한 제품의 경쟁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회용 의료밴드(1)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점착시트(20)와, 상기 점착시트(20)의 점착층을 외부로부터 보호하여 안정된 점착 상태를 유지되게 하는 이형 지지시트(10,11)로 구성된다.
상기 점착시트(20)는 얇은 필름 소재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요소로서, 일면에는 점착물질이 도포되어 점착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점착시트(20)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 사용자가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부드럽고 유연한 얇은 필름 소재로 성형되며, 긴밀한 부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태는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장방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점착시트(20)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점착시트(20)는 얇은 필름 소재로 제공됨에 따라 그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으나, 이러한 점착시트(20)는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을 형성한 이형 지지시트(10,11)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환부) 부착 과정에서의 형태 변형이 방지된다.
이형 지지시트(10,11)는 좌·우로 분할된 한쌍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중앙부에는 상기 점착시트(20)의 점착층이 부착될 수 있도록 점착부(10s,11s)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점착부(10s,11s)는 상술한 점착시트(20)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형 지지시트(10,11)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점착부(10s,11s)에 부착된 점착시트(20) 즉, 점착층에 대한 손실을 일으키지 않으며, 상기 점착시트(20)에 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두께로 제조된다.
한편, 상기 이형 지지시트(10,11)는 상기 점착부(10s,11s)에서 일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10a,11a)가 형성되며, 특징적으로는 상기 점착부(10s,11s)의 양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위치에 폭방향을 따라 관통된 길이 구멍 즉,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은 상기 점착시트(20)의 양측 외곽 테두리를 따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일예로 상기 점착시트(20)가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은 반원형의 구멍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점착시트(20)가 다이아몬드형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은 ″〈,〉″형의 구멍 형태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이형 지지시트(10,11)는 상호 경계선(L)을 중심으로 상·하측에 삼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도록 각각 사선절개면(10b,11b)이 형성되며, 이러한 사선절개면(10b,11b)은 상기 이형 지지시트(10,11)와 점착시트(20)의 박리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의 바람직한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한쌍의 이형 지지시트(10,11) 중앙에 마련되는 점착부(10s,11s)에 점착시트(20)가 구비된 일회용 의료밴드(1)을 준비하고, 이를 사용자의 환부에 근접되게 위치시킨다.
이어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쌍의 이형 지지시트(10,11) 중 일측에 위치한 이형 지지시트(11)의 손잡이부(11a)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경계선(L)을 중심으로 점착부(11s)의 외측 부분 즉, 박리 변형 유도홀(11h)에 접하는 부분이 상향 위치 변형되면서 내측부분 즉, 경계선(L)에 접하는 부분은 하향위치 변형되는 것에 의해 점착시트(20)로부터 박리가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이형 지지시트(11)가 박리된 점착시트(20)의 일부를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이형 지지시트(10)의 손잡이부(10a)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경계선(L)을 중심으로 점착부(10s)의 외측 부분이 상향 위치 변위되고 내측 부분은 하향 위치 변형되는 것에 의해 점착시트(20)에 대한 박리가 완료되므로 상기 점착시트(20)의 나머지 부분을 사용자의 환부에 부착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일회용 의료밴드(1)는 한쌍의 이형 지지시트(10,11)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점착부(10s,11s)의 양측으로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을 형성하는 간소한 구조 변경을 통해 형태변형이 쉽게 일어나는 얇은 필름재로 된 점착시트(20)가 박리과정에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환부에 손을 대지 않고 점착시트(20)를 긴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 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의료밴드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일회용 의료밴드
10,11 : 이형 지지시트
10a,11a : 손잡이부
10h,11h : 박리 변형 유도홀
10s,11s : 점착부

Claims (3)

  1. 얇은 필름재로 구비되며 일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점착시트(20) 및
    상기 점착시트(20)의 점착층이 부착되는 점착부(10s,11s)를 형성하고 이 점착부(10s,11s)에서 각각 일측으로 연장되어 손잡이부(10a,11a)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점착부(10s,11s)의 중간부분을 경계로 양쪽으로 분할 구비되는 한쌍의 이형 지지시트(10,11)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10s,11s)의 양측에 폭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 형성되는 길이재의 구멍으로서 환부 부착시 손잡이부(10a,11a)를 잡아당기면 해당 손잡이부(10a,11a)와 일체로 연결된 점착부(10s,11s)가 경계선을 중심으로 상기 점착시트(20)로 부터 박리가 시작되게 유도하는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의료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변형 유도홀(10h,11h)은 반원형의 구멍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의료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지지시트(10,11)는 경계를 중심으로 상·하측에 삼각형상의 홈을 형성하도록 각각 사선절개면(10b,11b)이 형성되고, 각각의 이형 지지시트(10,11)는 일면에 경계선을 중심으로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박리 방향을 안내하는 화살표가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의료밴드.
KR2020070019744U 2007-12-07 2007-12-07 일회용 의료밴드 KR200444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744U KR200444430Y1 (ko) 2007-12-07 2007-12-07 일회용 의료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744U KR200444430Y1 (ko) 2007-12-07 2007-12-07 일회용 의료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430Y1 true KR200444430Y1 (ko) 2009-06-09

Family

ID=41349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744U KR200444430Y1 (ko) 2007-12-07 2007-12-07 일회용 의료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4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38252A1 (en) Tr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therefor
US7135606B1 (en) Wound dressing
US20060235347A1 (en) Deformable and conformable wound protecting apparatus and its method of application
ES2774526T3 (es) Apósito médico
WO1995014451A1 (en) Dressing
KR200472060Y1 (ko) 길이조절 일회용 반창고
EP0941726A1 (en) A dressing
KR20170000168A (ko) 롤형 의료밴드
US9468561B2 (en) Medical dres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150257939A1 (en) Toe/finger bandage
KR20090066415A (ko) 흉터 방지용 탄력 밴드
JP5918777B2 (ja) カテーテル固定用貼付材
KR200404263Y1 (ko) 일회용 의료밴드
KR200439156Y1 (ko) 일회용 의료밴드
KR200444430Y1 (ko) 일회용 의료밴드
KR20160002587U (ko) 반창고
KR20160003188U (ko) 고투명 초박형 반창고
KR200492944Y1 (ko) 분리가 용이한 밴드 구조체
KR200381983Y1 (ko) 접착이 간편한 일회용 의료밴드
KR20200000706U (ko) 반창고 세트
KR200390977Y1 (ko) 일회용밴드
KR200412669Y1 (ko) 일회용 의료밴드
KR102409621B1 (ko) 드레싱 밴드
KR200349098Y1 (ko) 손가락용 반창고
KR101136933B1 (ko) 한 손으로 쉽게 부착가능한 일회용 반창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