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240Y1 - Battery Terminal - Google Patents

Battery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240Y1
KR200444240Y1 KR2020080009928U KR20080009928U KR200444240Y1 KR 200444240 Y1 KR200444240 Y1 KR 200444240Y1 KR 2020080009928 U KR2020080009928 U KR 2020080009928U KR 20080009928 U KR20080009928 U KR 20080009928U KR 200444240 Y1 KR200444240 Y1 KR 200444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nut
battery terminal
upper member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92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정선
Original Assignee
유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선 filed Critical 유정선
Priority to KR2020080009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24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2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은, 중앙부에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연결부(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의 한 쪽 끝 부분에 형성된 고정편(12)이 하부 부재(2)의 일부분을 감싸며 고정 볼트(7)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와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가 연결되는 부분에 스토퍼 면(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의 내부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4)와 결합되는 너트 스토퍼(5) 및 너트(6)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6)를 조임 볼트(4)에 조임으로써 상기 연결부(3)의 중앙에 형성된 간격이 작아지면서 상기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작아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n which a post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3, and is formed of an upper member 1 and a lower member 2, and the upper member ( A fixing piece 12 formed at one end of 1) surrounds a portion of the lower member 2 and has a fixing bolt 7 coupled thereto. The connecting portion 3 and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The stopper face 11 is formed at a portion to which the) is connected, and includes a nut stopper 5 and a nut 6 coupled with a fastening bolt 4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 By tightening (6) to the tightening bolt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3 is small while the hole in which the post terminal is inserted is small and firmly coupled.

배터리 터미널, 축전지, 포스트 단자, 조임 볼트, 스토퍼 Battery terminals, accumulators, post terminals, captive bolts, stoppers

Description

배터리 터미널{Battery Terminal}Battery Terminal {Battery Terminal}

본 고안은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terminal that can be firmly coupled to a post terminal of a storage battery.

일반적으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는 배터리 터미널이라는 부재가 연결된다. 이러한 배터리 터미널은 매우 다양한 형태가 알려져 있다. 최근에 주로 상용화된 배터리 터미널은 포스트 단자를 배터리 터미널의 삽입공에 삽입하고, 배터리 터미널에 볼트 등으로 조이는 힘을 가하여 배터리 터미널과 포스트 단자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해 주는 형태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member called a battery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Such battery terminals are known in a wide variety of forms. Recently, a commercially available battery terminal is most commonly used as a form for inserting a post terminal into an insertion hole of a battery terminal and tightening the battery terminal with a post terminal by applying a bolt or the like to the battery terminal.

그런데, 종래의 배터리 터미널은 조임 볼트를 그 한계점까지 조여 줄 경우, 볼트 또는 너트의 나사산이 마모되기 쉽거나, 조여놓았던 볼트와 너트가 시간이 지나면서 쉽게 풀리어 전기적 접촉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attery terminal, when the tightening bolt is tightened to its limit, the thread of the bolt or nut tends to be worn, or the bolt and nut that has been tightened easily lose the pulley electrical contact performance over time. Was exposed to.

이에 본 고안자는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 볼트 및 너트에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며, 아울러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를 연결하는 부위를 종래의 배터리 터미널에서보다 더 두껍게 설계함으로써, 고정볼트를 조여주거나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해 배터리 터미널에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터리 터미널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ors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 stopper on the tightening bolt and nut of the battery terminal, and also by tightening the fixing bolt by designing a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hicker than in the conventional battery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battery terminal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solve a problem in which a crack occurs in the battery terminal due to vibration or shock generated while driving a vehicle.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임 볼트와 너트에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터미널과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 사이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of a new structure that allows a tight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terminal and the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by forming a stopper on the tightening bolt and nut.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은, 중앙부에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연결부(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부재(1)의 한 쪽 끝 부분에 형성된 고정편(12)이 하부 부재(2)의 일부분을 감싸며 고정 볼트(7)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3)와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가 연결되는 부분에 스토퍼 면(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의 내부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4)와 결합되는 너트 스토퍼(5) 및 너트(6)를 포함하며, 상기 너트(6)를 조임 볼트(4)에 조임으로써 상기 연결부(3)의 중앙에 형성된 간격이 작아지면서 상기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작아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n which a post terminal is inserted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portion 3, and is formed of an upper member 1 and a lower member 2, and the upper member ( A fixing piece 12 formed at one end of 1) surrounds a portion of the lower member 2 and has a fixing bolt 7 coupled thereto. The connecting portion 3 and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The stopper face 11 is formed at a portion to which the) is connected, and includes a nut stopper 5 and a nut 6 coupled with a fastening bolt 4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 By tightening (6) to the tightening bolt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3 is small while the hole in which the post terminal is inserted is small and firmly coupled.

상기 조임 볼트(4)의 머리 부분에는 볼트 스토퍼(41)가 형성되어도 좋다.A bolt stopper 41 may be formed at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4.

본 고안의 배터리 터미널의 상부 부재(1), 하부 부재(2) 및 연결부(3)는 일 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여도 좋다. 또한, 상기 너트 스토퍼(5) 및 너트(6)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여도 좋다.The upper member 1, the lower member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3 of the battery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member formed in one piece. In addition, the nut stopper 5 and the nut 6 may be one member integrally formed.

상기 연결부(3)의 단면 두께는 상기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3 is preferably formed thicker than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본 고안에 따르면, 포스트 단자에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고, 차량 주행 중의 진동이나 기타 내외부의 충격에 의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robust coupling to the post terminal, and to provide a battery terminal that can prevent cracks caused by vibration or other internal and external shocks while driving the vehic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측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은 크게 상부 부재(1), 하부 부재(2) 및 연결부(3)를 기초로 하여 설계되어 있다.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upper member 1, the lower member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3.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부재(1)와 하부 부재(2)의 중앙 부분에는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부재(1), 하부 부재(2) 및 연결부(3)는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부재인 것이 좋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central portions of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are formed with holes for inserting the post terminals of the battery. Preferably, the upper member 1, the lower member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3 is preferably one integrally formed member.

상기 상부 부재(1)의 한 쪽 끝 부분, 즉 연결부(3)의 반대 쪽 부분에는 고정편(12)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편(12)을 구부려 하부 부재(2)와 결합시킨다. 이 때, 고정 볼트(7)가 함께 결합되는데, 이 고정 볼트(7)는 차량 내로 연결되는 또 다른 부속품에 연결된다. 이러한 고정 볼트(7)의 역할이나 구조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 fixing piece 1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member 1,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 and the fixing piece 12 is bent to engage the lower member 2. At this time, the fastening bolts 7 are joined together, which are connected to another accessory which is connected into the vehicle. The role or structure of the fixing bolt 7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조임 볼트(4)는 연결부(3)의 내부로 관통하여 너트 스토퍼(5) 및 너트(6)와 결합한다. 너트(6)가 조임 볼트(4)에 완전히 결합되면, 연결부(3)의 중앙부에 형성된 간격이 최소한도로 줄어들면서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견고하게 결합된다.The tightening bolt 4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 and engages with the nut stopper 5 and the nut 6. When the nut 6 is fully engaged with the fastening bolt 4, the gap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 is firmly coupled to the post terminal of the storage battery coupled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with a minimum reduction in the gap. .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의 연결부(3)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좌우측으로 돌출된 스토퍼 면(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면(11)은 너트 스토퍼(5)의 일측면과 맞닿게 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6)가 조여질 때, 너트 스토퍼(5)는 일정 수준 이상 조여지지 않도록 하며, 조여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느슨해지지 않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조임 볼트(4)의 머리 부분에 볼트 스토퍼(41)를 형성하여도 좋다.The stopper surface 11 protruding left and right is formed in the part where the connection part 3 of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starts. This stopper surface 11 is in contact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nut stopper 5. Therefore, when the nut 6 is tightened, the nut stopper 5 is not tightened more than a certain level, and the tightened state can be maintained firmly so as not to be loosened by external shocks or the like. Similarly, a bolt stopper 41 may be formed on the head of the tightening bolt 4.

도 2에서 상기 너트 스토퍼(5)와 너트(6)는 별도의 부재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일체로 된 부재로 제작하여도 좋다.In Fig. 2, the nut stopper 5 and the nut 6 are shown as separate members, but may be made of one integral member.

본 고안에서 상기 상부 부재(1), 하부 부재(2) 및 연결부(3)는 별도의 부재인 것처럼 설명되어 있으나, 꼭 그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세 개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ember 1, the lower member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3 are described as being separate members,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hree components may be one integrally formed member.

상기 연결부(3)는 조임 볼트(4) 및 너트(6)의 강한 결속력 때문에 스트레스(stress) 및 피로(fatigue)가 누적되어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의 단면 두께를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의 단면 두께보다도 더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on part 3 may accumulate stress and fatigue due to the strong binding force of the fastening bolt 4 and the nut 6, and cracks may occur.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connection part 3 thicker than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s shown in FIG.

아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균등 범위의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Modifications or changes 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ll such modifications or change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일부를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rt of 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a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a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부호에 대한 명칭 ** Name of reference number *

1: 상부 부재 2: 하부 부재1: upper member 2: lower member

3: 연결부 4: 조임 볼트3: connection part 4: tightening bolt

5: 너트 스토퍼 6: 너트5: nut stopper 6: nut

7: 고정 볼트 11: 스토퍼 면7: fixing bolt 11: stopper face

12: 고정편 41: 볼트 스토퍼12: fixed piece 41: bolt stopper

Claims (5)

중앙부에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상부 부재(1);An upper member 1 having a hole in which a post terminal is insert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상기 상부 부재의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된 하부 부재(1); 및A lower member (1) having a hole in which the post terminal is inserted in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upper member; And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를 연결하고 있는 연결부(3);A connecting portion 3 connecting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3)의 단면 두께는 상기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It is made of,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3 is formed thicker than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상기 상부 부재(1)의 한 쪽 끝 부분에 형성된 고정편(12)이 하부 부재(2)의 일부분을 감싸며 고정 볼트(7)가 결합되어 있으며,A fixing piece 12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member 1 surrounds a portion of the lower member 2 and has a fixing bolt 7 coupled thereto. 상기 연결부(3)와 상부 부재(1) 및 하부 부재(2)가 연결되는 부분에 스토퍼 면(11)이 형성되어 있고,A stopper face 11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3 and the upper member 1 and the lower member 2 are connected. 상기 연결부(3)의 내부를 관통하는 조임 볼트(4)와 결합되는 너트 스토퍼(5) 및 너트(6)를 포함하며,And a nut stopper 5 and a nut 6 engaged with the tightening bolt 4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3, 상기 너트(6)를 조임 볼트(4)에 조임으로써 상기 연결부(3)의 중앙에 형성된 간격이 작아지면서 상기 포스트 단자가 삽입되는 구멍이 작아져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Battery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y tightening the nut (6) to the tightening bolts (4) is small and the gap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3) is small while the hole into which the post terminals are inserted is firmly 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볼트(4)의 머리 부분에는 볼스 스토퍼(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all stopper (41) is formed in the head of the fastening bolt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재(1), 하부 부재(2) 및 연결부(3)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member (1), the lower member (2) and the connecting portion (3) are one member formed integr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스토퍼(5) 및 너트(6)는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터미널.The battery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t stopper (5) and the nut (6) are one member integrally formed. 삭제delete
KR2020080009928U 2008-07-25 2008-07-25 Battery Terminal KR2004442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928U KR200444240Y1 (en) 2008-07-25 2008-07-25 Battery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928U KR200444240Y1 (en) 2008-07-25 2008-07-25 Battery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240Y1 true KR200444240Y1 (en) 2009-04-22

Family

ID=41348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928U KR200444240Y1 (en) 2008-07-25 2008-07-25 Battery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240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549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JP6118206B2 (en) Nut press-fit holding structure
KR100736696B1 (en) Frame connector
KR200282855Y1 (en) A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JP5809793B2 (en) Battery terminal with current sensor
WO2013191376A1 (en) Anti-loosening nut
KR200444240Y1 (en) Battery Terminal
KR20090038628A (en) Double flange insert structure for mechanical fastening of sandwich panels
JP4283136B2 (en) Fixed structure, protector and electrical junction box
KR100620081B1 (en) Terminals of a storage battery
KR200428018Y1 (en) earth terminal
KR20090004347U (en) Centering washer
KR100986424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ing assembly
KR200392716Y1 (en) Sprinkler reducer mounting apparatus
KR101206325B1 (en) Secede prevention dvice of Taper Manhole Cover
KR101155234B1 (en) Lamp cover connecting structure
KR200385159Y1 (en) Structure of flange nut
KR200459463Y1 (en)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KR20060064770A (en) Battery terminal attachment structure
KR101214856B1 (en) Battery terminal for configuration restoration
WO2014194502A1 (en) Pin-locking type mooring anchor chain balancing weight
JP6231953B2 (en) Terminal cover
KR200421045Y1 (en) Case combination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KR200329716Y1 (en) bolt nut safety locking board
KR20080003960U (en) Assembly comprising receptacle terminal and tab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