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74Y1 -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74Y1
KR200444074Y1 KR2020070012663U KR20070012663U KR200444074Y1 KR 200444074 Y1 KR200444074 Y1 KR 200444074Y1 KR 2020070012663 U KR2020070012663 U KR 2020070012663U KR 20070012663 U KR20070012663 U KR 20070012663U KR 200444074 Y1 KR200444074 Y1 KR 2004440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luetooth
terminal
speak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6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1130U (en
Inventor
김영춘
정유식
안희원
김두용
Original Assignee
(주)유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엔아이 filed Critical (주)유엔아이
Priority to KR2020070012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74Y1/en
Publication of KR200900011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113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7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단말기를 거치가능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하우징부(110);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며,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함께 스테레오 음향방식을 구현하는 제2스피커부(130); 및 상기 단말기의 거치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블루투스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외장형 스피커에 의해 고품질의 스테레오 음향재생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장형 스피커를 이용하는 중에 전원공급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100)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provided with an external speaker, the housing unit 110 for providing a support surface for mounting the terminal for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An amplifier uni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A first speaker unit 120 for expand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unit to the outside; A second speaker unit 130 which expand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to the outside and implements a stereo sound system together wit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a charging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6 of the terminal by mounting of the terminal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a battery built in the terminal. It can receive high quality stereo sound reproduction function by external speaker by receiving sound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while the Bluetooth terminal is mounted, and can be used to charge the Bluetooth terminal using the power supply cable while using the external speaker. The cradle 100 is provided with a speaker.

블루투스 크래들 외장스피커 이어셋 DAB DMB FM MP3 MP4 Bluetooth Cradle External Speaker Earset DAB DMB FM MP3 MP4

Description

블루투스 통신장치{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 블루투스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한 블루투스 통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단말기를 거치시킨 상태로 외장형 스피커 기능을 구현가능한 크래들과, 블루투스 기능을 수행하며 이어셋으로 스피커 기능을 구현가능한 블루투스 단말기와, 이들을 함께 구비하여 이어셋을 이용한 스피커 기능과 외장형 스피커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블루투스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adle with an external speaker, a Bluetooth terminal,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cradle capable of implementing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with a terminal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and performing a Bluetooth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uetooth terminal capable of implementing a speaker function with an earset,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selectively implementing a speaker function and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using the earset.

디지털 기술 및 이동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휴대폰, 노트북, MP3 플레이어와 같이 개인이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소지가 일반화되었으며, 이러한 휴대용 기기들은 음악 파일, 음성 등을 저장하고 재생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possession of portable devices that can be carried and used by individuals such as mobile phones, laptops, and MP3 players has become commonplace, and these portable devices have a basic function of storing and playing music files and voices. I'm doing it.

종래에 상기와 같은 휴대기기의 사용자는, 노트북 등을 이용해 음악이나 라디오를 청취하다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하기 위해서는 볼륨을 낮추도록 노트북 의 볼륨스위치를 조작한 후 휴대폰의 통화버튼을 누르고, 통화가 끝나면 다시 볼륨을 높이도록 노트북의 볼륨스위치를 조작하는 것과 같이, 다수의 휴대기기들을 함께 사용함에 있어서 휴대기기 각각의 작동상태를 개별적으로 직접 조작하였으나, 근래에는 케이블로 휴대기기들을 직접 연결시키지 않고도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상호 통합적으로 운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고 있다.Conventionally, a user of a mobile device as described above, while listening to music or radio using a laptop, manipulates the volume switch of the laptop to lower the volume to make a call using a mobile phone, and then presses the call button of the mobile phone. Like using the volume switch of a laptop to turn up the volume again, the operation state of each mobile device is directly manipulated individually when using a plurality of mobile devices together. This inconvenience is solved by using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that can be integrated and operated by communication.

블루투스 스피커는 블루투스 무선기술을 이용하여 음향신호나 음성신호를 전달하거나 재생시키는 장치로,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한 소형사이즈로 제작되어, 사용자는 휴대중에 이어셋을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며 노트북이나 어학기 등에서 재생중인 음악을 감상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고, 간단한 버튼 조작에 의해 다른 동작모드로의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Bluetooth speaker is a device that transmits or reproduces an audio signal or a voice signal using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and is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that is easy for a user to carry. It is possible to listen to music being played on the back or to listen to the radio, and to easily switch to another operation mode by simple button operation.

그러나, 사용자가 이어셋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외장형 스피커를 통해 고품질의 음향성능으로 음악을 감상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장형 스피커를 구비해야하므로 그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어셋을 이용한 청취를 주요하게 이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외장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 스피커의 무게나 사이즈로 인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listen to music or to listen to the radio with high quality sound performance through the external speaker without wearing the earset, the external speaker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size thereof becomes large and accordingly the user uses the earset. In the case of mainly using liste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feels inconvenience due to the weight or size of the Bluetooth speaker having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이어셋을 이용하여 음향신호의 전달이나 재생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소형 단말기의 거치가 이루어지면서 외장형 스피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크래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providing a cradle that can implement the external speaker function while the mounting of the small terminal that can implement the transmission or playback of the sound signal using the earset is made. It is done.

또한, 블루투스 방식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음향신호나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크래들에 안정되게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블루투스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uetooth terminal tha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cradle with a function of receiving a sound signal or data wirelessly in a variety of ways including a Bluetooth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단말기를 거치가능한 지지면을 제공하는 하우징부(110); 상기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며,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함께 스테레오 음향방식을 구현하는 제2스피커부(130); 및 상기 단말기의 거치에 의해 상기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단말기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100)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10 for providing a support surface for mounting the terminal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An amplifier unit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the terminal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A first speaker unit 120 for expand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unit to the outside; A second speaker unit 130 which expand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to the outside and implements a stereo sound system together wit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a charging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6 of the terminal by mounting of the terminal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terminal. Cradle 100 is a technical subject matter.

여기서, 상기 충전부(140)를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는 전원공급용 케이 블(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ower supply cable 150 for connecting the charging unit 140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그리고, 본 고안은,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모듈부; DAB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받는 DAB모듈부; DMB방식으로 음향 및 영상신호를 수신받는 DMB모듈부; DMB방식으로 수신받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FM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받는 FM모듈부; MP3 형식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3모듈부; MP4 형식의 음악 파일 내지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4모듈부; 및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및 재생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단말기(200)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luetooth module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signals; DAB module unit for receiving the sound signal in the DAB method; A DMB module unit receiving audio and video signals in a DMB method;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 video signal received by the DMB method; FM module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in the FM method; An MP3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an MP3 format music file; An MP4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of an MP4 format; And a battery unit that receives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charges and regenerates the battery 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gist.

여기서,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부, DAB부, DMB부, FM라디오부, MP3모듈부, MP4모듈부에서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발산하는 이어셋스피커부(221)와,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상기 블루투스모듈부로 전달하는 마이크부(222)가 구비된 이어셋(2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ear set speaker unit 221 which is worn on the user's ear and emits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module unit, DAB unit, DMB unit, FM radio unit, MP3 module unit, MP4 module unit in a stereo manner, Earphone 220 is provided with a microphone unit 222 for receiving the sound to be transmitted to the Bluetooth module unit; preferably comprises a further.

그리고, 상기 배터리부를 외부전원과 연결시키는 충전용 케이블(2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charging cable 250 for connecting the battery unit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또한, 본 고안은,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모듈부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부에서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발산하는 이어셋스피커부(221)가 구비된 블루투스 단말기(200); 및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로부터 음향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 시키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함께 스테레오 음향방식을 구현하는 제2스피커부(130),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거치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140)가 구비된 크래들(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odule unit hav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sound signal, and the ear set speaker unit 221 which is worn on the user's ear and radiate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module unit in a stereo manner. Is provided with a Bluetooth terminal 200; And an amplifier unit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first speaker unit 120 to amplify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unit to the outside. The second speaker 130 which implements the stereo sound system and the Bluetooth terminal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6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Bluetooth terminal 200.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cradle 10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14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nother technical gist.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는, DAB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신받아 음향 및/또는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DAB부, DMB신호를 수신받아 음향 및/또는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DMB부, FM신호를 수신받아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FM라디오부, MP3 형식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3모듈부, MP4 형식의 음악 파일 내지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4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luetooth terminal 200, DAB unit for receiving data in a DAB manner to generate sound and / or video signal, DMB unit for receiving DMB signal and receiving sound and / or video signal, receiving FM sig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FM radio unit for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an MP3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a music file of MP3 format, and an MP4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of MP4 format.

그리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이어셋스피커부(221)의 작동과 상기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의 제1스피커부(120) 및 제2스피커부(1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키는 전환스위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luetooth terminal 200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arpiece speaker unit 221 of the Bluetooth terminal by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second speaker unit 130 of the cradle provided with the external speaker.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switch unit 230 for selectively performing the operation.

또한, 상기 크래들(100)은,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가 상기 크래들(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이탈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adle 100, the Bluetooth terminal 200 is mounted to the cradle 100, the lock portion for restraining the departure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블루투스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외장형 스피커에 의해 고품질의 스테레오 음향재생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장형 스피커를 이용하는 중에 전원공급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receiving the sound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in the state where the Bluetooth terminal is mounted can implement a high quality stereo sound reproduction function by the external speaker, the power supply cable while using the external speak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to charge the Bluetooth terminal.

또한, 블루투스 모듈을 포함하여 단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음향신호의 전달 뿐만 아니라, DAB, DMB, FM라디오, MP3플레이어, MP4플레이어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보다 광범위한 방법으로 음향신호나 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어셋 또는 외장형 스피커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어 사용용도 및 사용가능한 위치범위를 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luetooth module receives not only sound signal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but also DAB, DMB, FM radio, MP3 player, and MP4 player. Another benefit is that playback can be done via an earset or an external speaker, further extending the range of use and location available.

그리고, 전환스위치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이어셋이나 외장형 스피커 중에서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음향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잠금부에 의해 블루투스 단말기를 크래들에 견고하게 구속시킨 상태로 휴대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selectively select the earset or the external speaker to reproduce the sound signal by using the changeover switch, and the other effect that the lock is portable while the Bluetooth terminal is firmly constrained to the cradle. hav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을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에 블루투스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블루투스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adle with an external speaker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Bluetooth terminal is mounted,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erminal body of a Bluetooth terminal.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100)에 대해 설명하기 로 한다. First, the cradle 100 provided with an exter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100)은 크게 하우징(110), 앰프부, 제1스피커부(120), 제2스피커부(130), 충전부(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내장된 앰프부를 조작하여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제2스피커부(130)의 볼륨을 조정하고, 상기 충전부(140)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에 거치된 단말기(이하 블루투스 단말기(200)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를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Cradle 100 is equipped with an exter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housing 110, an amplifier unit, a first speaker unit 120, a second speaker unit 130, a charging unit 140, the housing ( 110 to adjust the volume of the first speaker 120 and the second speaker 130 by operating the built-in amplifier unit, and the terminal mounted on the housing 110 by the charging unit 14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will be used to connect the battery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본 고안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100)은, 음향신호를 발생시키거나 무선 내지 유선으로 전달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단말기(200)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200)와 접속되고,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제2스피커부(130)를 통해 스테레오 방식으로 재생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Cradle 100 equipped with an exter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signal from the terminal 200 in the state in which the terminal 200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generating a sound signal or can be transmitted by wireless or wire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so as to receive the, and is a device that functions to reproduce the received sound signal in a stereo manner throug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second speaker unit 130.

상기 하우징부(110)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상기 단말기(200)를 안정되게 거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200)의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지지면을 제공하면서도, 스테레오 재생기능을 구현가능하도록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제2스피커부(130)를 설치시킬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제공한다.The housing unit 110 provides a support surfac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200 to stably mount the terminal 200 generating an acoustic signal, and to implement a stereo playback function. It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second speaker unit 130.

상기 앰프부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구성요소로, 상기 앰프부의 신호증폭정도를 조정시킬 수 있는 볼륨조절버튼(113)이 상기 하우징부(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는 상기 볼륨조절버튼(113)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 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제2스피커부(130)의 출력볼륨을 조정시킬 수 있다.The amplifier unit is a componen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terminal 200, so that the volume control button 113 for adjusting the signal amplification degree of the amplifier uni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unit 110. Is provided, the user can adjust the output volume of the first speaker unit 120, the second speaker unit 130 to amplify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to the outside by operating the volume control button 113. have.

스테레오는 2개 이상의 스피커를 사용하여 입체감을 낼 수 있게 한 음향 방식으로,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제2스피커부(130)는 사용자가 크래들(10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부(110) 외부로 확성되는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음향방식에 의해 들을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좌, 우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tereo is an acoustic method that allows two or more speakers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effect.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second speaker unit 130 are provided in the housing unit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radle 100 by a user.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 signals to be expanded to the outside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so that the sound signals can be heard by the stereo sound system.

상기 충전부(140)는 상기 하우징부(110)에 거치된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배터리부를 외부전원과 연결시켜 상기 단말기(200) 배터리부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단말기(200)를 상기 하우징부(110)에 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200)의 배터리부에 형성된 접속단자(이하 충전단자(216)라 한다)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단말기(200) 배터리부와의 접속단자가 형성된다.The charging unit 140 is a component for charging the battery unit of the terminal 200 by connecting the battery unit provided in the terminal 200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10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housing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terminal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harging terminal 216) formed in the battery of the terminal 200 ( A connection terminal with the battery unit of the terminal 20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216.

상기 충전부(140)에는 일반적인 콘센트에 꽂을 수 있는 플러그단자와 상기 플러그단자를 통해 공급된 전력의 공급경로를 구비한 전원공급용 케이블(150)의 접속단부를 끼워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 및 연결시킬 수 있는 충전잭(141)이 구비되며, 상기 충전잭(141)에 상기 전원공급용 케이블(150)의 접속단부를 끼워 상기 단말기(200)를 충전시킨 후에는 상기 전원공급용 케이블(150)을 상기 충전잭(141)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단말기(200)와 하우징(110)을 다시 무선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by inserting a connection terminal of a power supply cable 150 having a plug terminal that can be plugged into a general outlet and a supply path of electric power supplied through the plug terminal. The charging jack 141 is provided, and after inserting the connection end of the power supply cable 150 to the charging jack 141 to charge the terminal 200, the power supply cable 150 By separating from the charging jack 141, the terminal 200 and the housing 110 can be used again in a wireless state.

상기 외장형 스피커 크래들(100)에 거치되는 단말기(200)는 상기 크래 들(100)에 거치된 상태로 음향신호를 전달할 수 있고,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시킬 수 있는 배터리부를 구비한다면 특정한 형태나 구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으로는 이러한 음향신호의 전달기능과 충전기능을 구비한 단말기(200) 중에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음향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크래들(100)과 함께 휴대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이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하는 블루투스 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terminal 200 mounted on the external speaker cradle 100 may transmit a sound signal while mounted on the cradle 100 and have a battery unit capable of charging and receiving power in a specific form or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s a structure that is portable with the cradle 100 by receiving an acoustic signa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mong the terminal 200 having such a sound signal transmission function and a charging function.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Bluetooth terminal 200 as another technical gist.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방식 뿐만 아니라, DAB방식, DMB방식, FM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도록 단말기 본체(210)에 블루투스모듈부, DAB모듈부, DMB모듈부, FM모듈부를 구비하며, MP3, MP4형식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3모듈부, MP4모듈부와, 무선상태에서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충전용 배터리부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The Bluetooth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luetooth module unit, a DAB module unit, a DMB module unit in the terminal body 210 to receive a sound signal in addition to the Bluetooth method, DAB method, DMB method, FM method, It has an FM module unit, MP3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music files of MP3, MP4 format, MP4 module unit, and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unit to enable continuous use in a wireless state.

상기 블루투스모듈부는 PC, PDA, 휴대폰과 같은 기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부여하며, 상기 DAB모듈부는 음성 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주파수 이상의 초음파 스펙트럼으로 디지털 데이터를 전달하는 전송 체제인 DAB(초음역 데이터, data above voice)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통신기능을 부여한다.The Bluetooth module unit provide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sound signal from a device such as a PC, PDA, or mobile phone, and the DAB module unit transmits digital data in an ultrasonic spectrum above a frequency used for transmitting a voice signal. DAB (Ultrasound Data, data above voice) method to receive and transmit the sound signal.

DMB(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휴대·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로, 상기 DMB모듈부는 상기 DMB방식으로 음향 및 영상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통신기능을 가지며, 수신된 영상신호 표시할 수 있는 LCD 디스플레 이창을 구비한다.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is a broadcasting service that provides various multimedia signals such as voice and video to a fixed, portable, and vehicle receiver digitally. The DMB module unit receives sound and video signals in the DMB method. It has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has an LCD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received video signal.

상기 FM모듈부는 FM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받는 통신기능을 부여하는 구성요소이며, 우리나라의 FM 방송 주파수 대역은 88~108MHz로, 진폭 변조(AM) 방식의 방송에 비해 잡음과 혼신이 매우 적고 음질이 우수하여, 하나의 프로그램을 좌측 신호와 우측 신호로 나누어 동시에 방송하는 스테레오 방송에 적합한 특징을 가지며, 상기 FM 스테레오 방식에서 수신자는 좌우 2개의 스피커를 사용함으로써 스테레오 방식으로 청취할 수 있다.The FM module part is a component that gives a communication function to receive an acoustic signal in the FM method, the FM broadcasting frequency band of Korea is 88 ~ 108MHz, compared to the amplitude modulation (AM) type broadcasting, the noise and interference is very low and sound quality It is excellent in that it has a characteristic suitable for stereo broadcasting in which one program is divided into a left signal and a right signal and simultaneously broadcasted. In the FM stereo system, a receiver can listen in a stereo manner by using two left and right speakers.

상기 MP3모듈부는 MP3 형식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로, MP3는 고음질 오디오 압축기술의 하나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layer 3의 약칭이며, 일반적으로 확장자가 '.mp3'로 끝나는 파일 형태로써 별도의 하드웨어 없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PC, MP3 플레이어, 휴대폰을 통해서 재생시킬 수 있다.The MP3 module unit is a componen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music files in the MP3 format. MP3 is an abbreviation of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layer 3 as one of high-quality audio compression technologies, and generally has an extension ending with '.mp3'. As a file, it can be played through PC, MP3 player and mobile phone through software without any hardware.

상기 MP4모듈부는 MP4 형식의 음악 파일 내지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로, MP4는 MP3와 비교해 동일한 음질의 음원을 음원손상 없이 보다 작은 용량을 가지면서, 양방향 멀티미디어와 화상통신을 위한 동영상 압축 기술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요소이다.The MP4 module unit is a componen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a music file or a video file in MP4 format, and compared to MP3, the MP4 has a smaller capacity than a sound source without damage to a sound source, and a video for two-way multimedia and video communication. It is a technical element that can implement compression technology.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200)는 블루투스 방식을 포함하여 DAB방식, DMB방식, FM방식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전달받으며, MP3, MP4플레이어의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요소를 구비한 상기 단말기 본체(210)와, 상기 단말기 본체(210)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스테레오 방식으로 재생시키는 이어셋(220) 을 구비한 구조를 가진다.The Bluetooth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ound signal in various ways such as a DAB method, a DMB method, an FM method, including a Bluetooth method, and the terminal having technical element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an MP3 and MP4 player. It has a structure having a main body 210, and the ear set 220 to receive a sound signal from the terminal main body 210 to reproduce in a stereo manner.

상기 이어셋(220)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부, DAB모듈부, DMB모듈부, FM모듈부, MP3모듈부, MP4모듈부에서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발산하는 이어셋스피커부(221)와, 외부의 음향을 입력받아 상기 블루투스모듈부로 전달하는 마이크부(222)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The ear set 220 is worn on the user's ear earset speaker unit for emitting a stere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luetooth module unit, DAB module unit, DMB module unit, FM module unit, MP3 module unit, MP4 module unit in a stereo manner ( 221 and a microphone unit 222 that receives external sound and transmits the external sound to the Bluetooth module unit.

상기 단말기 본체(210)에는 음향신호의 재생볼륨을 조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빨리감기, 반복재생, 전원 ON, OFF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셋(220)에 이러한 기능이 분산되거나 중복되어도 무방하다.The terminal body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that can not only adjust the playback volume of the sound signal, but also perform the fast forward, repeat playback, power ON, OFF function, the earset 220 Functions may be distributed or duplicated.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본체(210)에 상기 이어셋(220)의 접속단자를 끼우고 상기 이어셋스피커부(221)를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음악을 감상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하다가, 상기 단말기 본체(210)에 구비된 상기 블루투스모듈부를 이용해 통화모드로 전환시킨 후에는 상기 이어셋스피커부(221)와 마이크부(222)를 함께 사용하여 음성신호 송, 수신시킴으로써 핸즈프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A user inserts a connection terminal of the ear set 220 into the terminal body 210 and listens to music or listens to a radio while wearing the ear speaker speaker 221 in the ear, and is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210. After switching to the call mode using the Bluetooth module unit, the ear set speaker unit 221 and the microphone unit 222 may be used together by using the hands-free func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상기 단말기 본체(210)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크래들(10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이어셋스피커부(221)를 귀에 착용하지 않고도 음악을 감상하거나 라디오를 청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210)에 구비된 상기 블루투스모듈부를 조작하여 통화모드로 전환시키면 상기 크래들(100)과 상기 이어셋의 마이크부(222)를 함께 사용하여 음성신호를 송, 수신시킴으로써 핸즈프리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terminal body 210 is mounted on the cra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listen to music or listen to the radio without wearing the ear speaker 221 on the ear, and the terminal body 210. When the Bluetooth module unit is provided to switch to the call mode, the cradle 100 and the microphone unit 222 of the earset may be used together to transmit and receive a voice signal to be used as a hands-free function.

외장형 스피커를 이용한 음악감상만을 주요하게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이어셋(220) 없이 상기 단말기 본체(210)를 상기 크래들(100)에 거치시킨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mainly using music listening using an external speaker, the user may use the terminal body 210 mounted on the cradle 100 without the earset 220.

상기 이어셋(220)이 목에 걸어 착용할 수 있는 목걸이부를 구비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상기 단말기 본체(210)와 이어셋(220)을 상호 결속시키고 상기 이어셋(220)을 목에 걸어 착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본체(210)를 상기 크래들(100)에 거치시킨 상태로 상기 이어셋(220)에 결합시키면 사용자가 상기 이어셋(220)을 목에 걸어 휴대한 상태에서 외장형 스피커와 내장형 스피커 기능을 편의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earset 220 has a structure having a necklace part which can be worn on the neck, the user may be provided by binding the terminal body 210 and the earset 220 to each other and wearing the earset 220 on the neck. It can be easily carried, and coupled to the ear set 220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body 210 is mounted on the cradle 100, the user walks the ear set 220 around the neck and carries it with an external speaker. The built-in speaker function is available for your convenience.

내장형 스피커 기능과 외장형 스피커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단말기 본체(210)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이어셋스피커부(221)의 ON작동과 상기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의 제1스피커부(120) 및 제2스피커부(130)의 ON작동을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전환스위치부(230)를 구비하여, 상기 전환스위치부(230)의 기구적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간편하게 스피커 재생모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electively performing an internal speaker function and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the terminal body 210 has ON operation of the earset speaker unit 221 of the Bluetooth terminal and the first speaker unit 120 of the cradle provided with the external speaker. ) And a switching switch unit 230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switching ON operation of the second speaker unit 130 by a switch operation, the user can easily operate by mechanical operation of the switching switch unit 23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adjust the speaker playback mode.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210)와 크래들(100)을 함께 이어셋(220)에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크래들(100)과 블루투스 단말기(200)로 구성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를 무선연결상태로 자유롭게 활동하며 휴대가능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210)와 이어셋(220), 크래들(100)에는 상호 안정되게 접속되거나 거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걸림고리와 걸고리 내지 암나사와 수나사, 걸림돌기와 걸림턱과 같이 상호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속가능하면서 임의로 결속상태를 해제조정시킬 수 있는 결 속구조를 가지는 결속부 내지 잠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coupling the terminal body 210 and the cradle 100 to the ear set 220 together,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onsisting of the cradle 100 and the Bluetooth terminal 200 freely active in a wireless connection state In order to be portable, the terminal main body 210, the ear set 220, and the cradle 100 are s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is made, such that the hooks and hooks to the female threads and the male screws, such as the locking projections and the locking jaw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 binding portion or a locking portion having a binding structure capable of binding to prevent and arbitrarily release adjustment of the binding state is provided.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배터리부는 상기 크래들(100) 및 전원공급용 케이블(150)을 통하지 않고도 외부전원에 직접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충전단자(216)와는 별도로 구분되는 전원공급경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별도의 전원공급경로로써 형성된 잭(jack)에 충전용 케이블(250)을 접속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크래들(100)을 휴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외부전원과 상기 배터리부를 연결하여 충전시킬 수 있다.The battery unit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directly through the cradle 100 and the power supply cable 150 so that charging is performed separately from the charging terminal 216.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d by connecting the charging cable 250 to the jack (jack) formed as a separate power supply path, the user charges by connecting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battery unit even without carrying the cradle 100 You can.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100)은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를 상기 하우징부(110)에 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외장형 스피커 기능을 가지는 상기 제1스피커부(120), 제2스피커부(130)에 의해 고품질의 스테레오 음향재생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외장 스피커기능을 이용하는 중에 상기 전원공급용 케이블(150)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배터리부를 충전시킬 수 있다.The cradle 100 having an external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ound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200 in a state where the Bluetooth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housing unit 110 and has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second speaker unit 130 can implement a high quality stereo sound reproduction function, and the Bluetooth terminal 200 using the power supply cable 150 while using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 Can be charged.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200)는 상기 블루투스모듈부를 포함하여 단거리 무선통신을 통한 음향신호의 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DAB, DMB, FM기능을 수행하는 DAB모듈부, DMB모듈부, FM모듈부에 의해 보다 광범위한 방법으로 음향신호나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상기 통신방식들에 의해 수신받거나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MP3, MP4 파일 또한 MP3모듈부, MP4모듈부에 의해 재생시킬 수 있다.The Bluetooth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Bluetooth module unit to enab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ound signal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well as DAB module unit and DMB module unit performing DAB, DMB, and FM functions. In addition, the FM module unit can receive sound signals or data in a more extensive manner, and the MP3 and MP4 file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schemes or prestored in the memory can also be reproduced by the MP3 module unit and the MP4 module unit. .

그리고, 상기 전환스위치부(23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상기 이 어셋(220)을 이용한 내장형 스피커 기능과 상기 크래들(100)을 이용한 외장형 스피커 기능 중에서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음향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으며, 내장형 스피커 기능을 주요하게 사용할 때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210)만을 상기 이어셋(220)에 접속시켜 보다 가볍고 소형인 상태로 휴대하다가, 외장형 스피커 기능을 주요하게 사용함에 있어서는 상기 잠금부에 의해 상기 단말기 본체(210)와 상기 크래들(100)을 상호 견고하게 결속시킨 상태로도 휴대가능하다.In addition, by using the changeover switch 230, a user may selectively select an internal speaker function using the asset 220 and an external speaker function using the cradle 100 to reproduce an audio signal for convenience. When the built-in speaker function is mainly used, only the terminal body 210 of the Bluetooth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ear set 220 to carry the lighter and more compact state, and in the lock part, the external speaker function is mainly used. As a result, the terminal body 210 and the cradle 100 are portable even in a state where they are firmly bound to each other.

도 1 -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 블럭도1-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블루투스 통신장치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2-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에 블루투스 단말기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luetooth terminal mounted on a cradle provided with an external speaker;

도 4 - 블루투스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4-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body of a Bluetooth terminal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0 : 크래들 110 : 하우징부100 cradle 110 housing part

113 : 볼륨조절버튼 120 : 제1스피커부 113: volume control button 120: first speaker

130 : 제2스피커부 140 : 충전부 130: second speaker 140: charging unit

141 : 충전잭 150 : 전원공급용 케이블141: charging jack 150: power supply cable

200 : (블루투스) 단말기 210 : 단말기 본체 200: (Bluetooth) terminal 210: terminal body

216 : 충전단자 220 : 이어셋 216: charging terminal 220: ear set

221 : 이어셋스피커부 222 : 마이크부 221: ear set speaker unit 222: microphone unit

230 : 전환스위치부 250 : 충전용 케이블230: switching switch 250: charging cable

Claims (9)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모듈부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및 재생하는 배터리부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부에서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발산하는 이어셋스피커부(221)가 구비된 블루투스 단말기(200); 및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로부터 음향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함께 스테레오 음향방식을 구현하는 제2스피커부(130),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거치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140)가 구비된 크래들(1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에 있어서,A Bluetooth module unit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signals, a battery unit charged and regen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module unit worn on the user's ear Bluetooth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n ear set speaker unit 221 to emit; And an amplifier unit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first speaker unit 120 for amplify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unit to the outside. The second speaker 130 which implements the stereo sound system and the Bluetooth terminal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6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Bluetooth terminal 200. I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radle 10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는,The Bluetooth terminal 200, DAB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통신기능을 가지는 DAB모듈부와, DMB방식으로 음향 및 영상신호를 수신받는 통신기능을 가지며 DMB방식으로 수신받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DMB모듈부와, FM방식으로 음향신호를 수신받는 통신기능을 가지는 FM모듈부와, MP3 형식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3모듈부와, MP4 형식의 음악 파일 내지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을 가지는 MP4모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DAB module unit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signals in the DAB method, DMB module unit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sound and video signals in the DMB method, and displaying a video signal received in the DMB method, and FM method And an FM module unit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an MP3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MP3 format music files, and an MP4 module unit having a function of playing MP4 format music files or video files.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모듈부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및 재생하는 배터리부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부에서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발산하는 이어셋스피커부(221)가 구비된 블루투스 단말기(200); 및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로부터 음향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함께 스테레오 음향방식을 구현하는 제2스피커부(130),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거치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140)가 구비된 크래들(1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에 있어서,A Bluetooth module unit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signals, a battery unit charged and regen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module unit worn on the user's ear Bluetooth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n ear set speaker unit 221 to emit; And an amplifier unit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first speaker unit 120 for amplify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unit to the outside. The second speaker 130 which implements the stereo sound system and the Bluetooth terminal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6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Bluetooth terminal 200. I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radle 10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는,The Bluetooth terminal 200,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이어셋스피커부(221)의 작동과 상기 외장형 스피커가 구비된 크래들의 제1스피커부(120) 및 제2스피커부(13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시키는 전환스위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A switch for selectivel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e earpiece speaker unit 221 of the Bluetooth terminal and the operation of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second speaker unit 130 of the cradle provided with the external speaker by operating the switch.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230. 음향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블루투스모듈부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 및 재생하는 배터리부와, 사용자의 귀에 착용되어 상기 블루투스모듈부에서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스테레오 방식으로 발산하는 이어셋스피커부(221)가 구비된 블루투스 단말기(200); 및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로부터 음향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시키는 앰프부, 상기 앰프부로부터 전달받은 음향신호를 외부로 확성시키는 제1스피커부(120), 상기 제1스피커부(120)와 함께 스테레오 음향방식을 구현하는 제2스피커부(130),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거치에 의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충전단자(2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부(140)가 구비된 크래들(1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에 있어서,A Bluetooth module unit hav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sound signals, a battery unit charged and regen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Bluetooth module unit worn on the user's ear Bluetooth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n ear set speaker unit 221 to emit; And an amplifier unit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from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gether with the first speaker unit 120 and the first speaker unit 120 for amplifying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amplifier unit to the outside. The second speaker 130 which implements the stereo sound system and the Bluetooth terminal 2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6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to charge the battery built in the Bluetooth terminal 200. In the Bluetooth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cradle 100 is provided with a charging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크래들(100)은,The cradle 100,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가 상기 크래들(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200)의 이탈을 구속하는 잠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통신장치.Bluetoot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 for restraining the departure of the Bluetooth terminal 200 in the state that the Bluetooth terminal 200 is mounted on the cradle (100).
KR2020070012663U 2007-07-27 2007-07-27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44407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663U KR200444074Y1 (en) 2007-07-27 2007-07-27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663U KR200444074Y1 (en) 2007-07-27 2007-07-27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30U KR20090001130U (en) 2009-02-02
KR200444074Y1 true KR200444074Y1 (en) 2009-04-10

Family

ID=4129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663U KR200444074Y1 (en) 2007-07-27 2007-07-27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74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20B1 (en) * 2013-11-29 2015-05-12 주식회사 하이소닉 Cradle of portable device controled by mo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669B1 (en) * 2016-12-26 201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sound equipment
KR20220009666A (en) 2020-07-16 2022-01-25 최민준 Multi-function radio charge device
KR20220034530A (en) * 2020-09-11 2022-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outputing sound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820B1 (en) * 2013-11-29 2015-05-12 주식회사 하이소닉 Cradle of portable device controled by mo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1130U (en)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8770B (en) Multimode audio reproduction device
KR100735428B1 (en) Selection type stereo head set apparatus
US7616760B2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KR100659506B1 (en) Speaker system of portable electric equipment and wireless receiving pack for the same
US8867748B2 (en) Wireless personal listening system and method
JP2005506782A (en) Modular headset for mobile phones or MP3 players
JP2008219809A (en) Repeater
KR20060110063A (en) Cable connection type stereo head set
JP2009049971A (en) Bluetooth (r) stereo phone headset
US20080227426A1 (en) Structure of a car multimedi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CN109714671A (en) A kind of wireless K song sound system
KR200444074Y1 (en) Bluetooth communication apparatus
USRE43872E1 (en) Headset for use with a communication and/or multimedia device
KR200397845Y1 (en) Wireless audio signal transferring apparatus
WO2001084727A1 (en) Head-mounted transmitter/receiver
JP2004201195A (en) Headphone device
KR200412452Y1 (en) Portable FM transmitter
KR101808253B1 (en) Wireless headphone and sound ampl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JP3173995U (en) Digital wireless transceiver
KR20030096650A (en) Fm transmitter for linking audio
CN201571185U (en) Bluetooth amplifying earphone
KR100777976B1 (en) Portable FM transmitter
KR20030066578A (en) MP3 Player With Transmitter Interface Include Memory Chip And Cigar Plug
KR100655102B1 (en) A wireless f.m. stereo transmitter for a cellular phone
JP3130227U (en) Digital cordless 3D surround music transmi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