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539Y1 -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539Y1
KR200443539Y1 KR2020070015002U KR20070015002U KR200443539Y1 KR 200443539 Y1 KR200443539 Y1 KR 200443539Y1 KR 2020070015002 U KR2020070015002 U KR 2020070015002U KR 20070015002 U KR20070015002 U KR 20070015002U KR 200443539 Y1 KR200443539 Y1 KR 2004435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x
weaving
guide nozzle
consumable
consum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0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수
유영수
김남인
손영락
박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20200700150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5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5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5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5/00Slag welding, i.e. using a heated layer or mass of powder, slag, or the like in contact with the material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모성 가이드방식 일렉트로슬래그(Electroslag)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모성 가이드 노즐을 위빙하면서 플럭스 공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위빙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소모성 가이드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는 용접 와이어 스풀과 소모성 가이드 노즐을 분리시키고, 이들을 플랙시블 가이드로 연결하여 위빙할 때 움직이는 부분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한편 위빙장치의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위빙장치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을 위빙하면서 가이드 노즐이 개선 홈의 한쪽으로 이동하는 순간에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간헐적으로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있는데, 공급시 플럭스 공급량 조절 기능을 겸비한다.

Description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Electroslag welding device of consumable guide nozzle method}
본 고안은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을 위빙하면서 플럭스 공급 기능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렉트로슬래그 용접기법은 용융전도슬래그(molten conductive slag)를 통해 흐르는 용접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모재 및 용접와이어를 녹여 용접하는 기법으로 비소모성(Nonconsumable Type) 일렉트로슬래그 기법과 소모성(Consumable Type) 일렉트로슬래그 기법으로 나뉜다. 비소모성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장치는 위빙 기능과 플럭스 공급기능이 있는 경우가 있으나, 소모성 가이드방식인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에서는 그 장치의 구조상 위빙(weaving)이 어려우며, 와이어 스풀과 송급장치를 포함하는 가이드 노즐 부착용 헤드를 위빙하는 장치를 만들면 장치가 매우 커지고, 중량이 과대하여 이동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조선, 강교 등에 적용시에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커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기존의 소모성 가이드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비는 용접기 전원과 가이드 노즐 고정헤드로 구성되며, 위빙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래서 후판을 용접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노즐에서 발생한 열이 모재의 가장자리를 용해할 수 있도록 입열을 증대시켜야 했다. 이러한 입열의 과다는 강재의 인성을 저하시켜서 용접부의 품질 문제를 발생시켜, 조선분야에서 후판용접의 적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뿐만 아니라 소모성 가이드 노즐 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에서는 용접 도중에 용융지로 플럭스를 소량씩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작업자가 숟가락 등으로 조금씩 용융지로 퍼 넣었다. 이러한 공급 방식은 공급량의 조절이 어려우며 작업자의 집중이 요구된다. 또한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용접 공정에서 비연속적이며 비정량적인 플럭스의 공급은 균일한 용접 품질의 확보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
또 종래의 방법은 발열 부분의 위치가 가이드 노즐의 끝 부분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강재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강재의 두께방향으로 균일하게 열이 분포하지 않고 가장자리까지 용융되기 위해서는 입열을 높여야 한다(도 11참조). 이러한 과정에서 용접부의 기계적 물성이 나빠지고, 또한 용접 와이어의 이송 속도를 높이면 도 12와 같이 가이드 노즐 주변의 모재만 용융이 되고, 가장자리는 용융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한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모성 가이드 노즐 타입의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리모콘(8)은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고 아울러 와이어 송급장치의 와이어 공급속도를 조절하는데, 위빙의 조건을 조절하는 기능은 없다. 용접전원(2)에서 전기가 공급되면 용접 와이어의 송급이 이루어지며, 용접와이어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의 중공부를 통과하여 용융지로 향한다. 용융지는, 그 하부에 금속이 용융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용융된 슬래그가 그 위를 층을 이루어 덮고 있다. 와이어와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을 통해서 공급된 전기는 용융지에서 열을 생성하게 되며, 이 열에 의해서 모재와 와이어의 용융이 지속되며 용접이 이루어진다. 참조번호 10은 와이어 스풀을 나타낸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라 강재의 가장자리까지 용접한 경우, 즉 입열과다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참조번호 4는 모재를 나타낸 것이고, 참조번호 5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을, 참조부호 31은 입열에 의한 열영향부를 표기한 것이다.
도 12는 종래기술에 따라 용접 와이어의 이송속도를 증가한 경우, 즉 용입불량인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참조번호 32는 용입불량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33은 발열부 주위만 용입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강재의 두께가 두꺼운 후판에 소모성 가이드 노즐 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기법을 적용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용접 와이어 스풀과 소모성 가이드 노즐을 분리하여, 경량화를 통해서 설치 작업시 작업의 용이성과 안전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소모성 가이드 노즐 방식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을 실시할 경우, 가이드 노즐을 위빙하기 때문에 강재의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게 입열을 분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용접에 필요한 최소한의 열을 가하면서 용접이 가능하다. 이러한 최소 입열 용접에 의해서 용접부의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며, 와이어 송급 속도 증가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플럭스의 자동 공급으로 투입량을 정량적이며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균일하고 안정된 용접 품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는 용접전원(2)과, 리모콘(8), 와이어 송급장치(1), 위빙장치 고정부(11) 등으로 구성된다. 용접전원(2)은 용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리모콘(8)은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고 아울러 송급장치의 와이어 공급속도와 위빙 조건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용접전원(2)의 출력전원 단자 가운데 하나는 모재(4)에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는 와이어 송급장치(1)를 거쳐 플렉시블 용접와이어 가이드(6)를 지나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을 통해서 용접 와이어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은 모재(4)와 후판의 두께 방향으로 위빙, 더욱 구체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개선 홈을 따라 모재의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용접에 필요한 플럭스는 플럭스 호퍼(9)에서 용융지로 공급되어, 건전한 용접부를 얻도록 한다. 이러한 플럭스 공급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토록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빙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세도로서, 도 2a는 위빙장치에서 이동부를 탈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고정부 상에 이동부를 장착한 상태를 정면에서 바로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위빙장치의 측면도로, 플럭스 공급에 관련된 구성부재들을 배제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위빙장치의 측면도로, 도 3과 대응되게 도시된 것으로 용접와이어 공급에 관련된 구성부재들을 배제하고 도시한 도면이다. 와이어(14)는 와이어의 송급장치(1;도 1 참조)에서 플렉시블 와이어 가이드(6) 내부를 따라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의 중앙부를 통해 용융지로 안내된다.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의 위빙장치는 위빙 구동모터(12)의 구동을 수단으로 하여 위빙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져 있는바, 위빙 구동모터(12)의 회전방향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변환, 위빙의 속도와 진폭, 또한 위빙의 방향이 전환되는 양쪽 끝부분에서 체류하는 시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위빙장치는 위빙장치 고정부(11)와 LM슬라이드(13)를 따라 좌우왕복이동하는 이동부(110)로 이루어진다. 위빙 구동모터(12)는 고정부(11)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동부(110)는 그 전면에 플럭스 호퍼(9)를 구비하고 이동부(110)의 이동에 상응하게 좌우이동하면서 용용지로 플럭스를 원활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부(110)의 좌우이동을 매개로 하여, 이동부(110)에 장착된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가 선회이동하는데, 이러한 이동으로 정량의 플럭스를 용융지로 공급하는 과정은 도 5 내지 도 7를 참조로 하여 기술할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용접장치의 위빙장치가 간략적으로 도시되되, 특히 와이어 공급수단만을 별도로 도해되어져 있다(도 3). 위빙장치는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위빙장치 고정부(11)와 이동부(11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위빙장치의 고정부(11)와 이동부(110)는 고정부(11) 전면부에 구비된 LM슬라이드(13)와 이 LM슬라이드(13)에 따라 활주가능한 이동부(110)후면의 수용부(113)로 결합된다. 위빙장치 고정부(11) 후면에 장착된 위빙구동 모터(12)의 구동축(7)은 고정부(11)를 관통하여 이면 상으로 뻗고, 이동부(110)의 후면에 배열된 랙 기어부(117)의 톱니와 맞물려 진다(도 5 참조). 바람직하기로, 구동축(7)의 외주면은 랙 기어부(117)와 효과적으로 맞물리기 위해서 피니언 기어부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1)와 이동부(110)의 결합으로, 모터(12)의 구동으로 구동축(7)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맞물려진 랙 기어부(117)가 구동축(7)의 회전방향에 상응하여 좌우왕복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랙 기어부(117)를 구비한 이동부(110)가 왕복이동하는데, LM슬라이드(13)와 수용부(113)의 결속을 매개로 하여 이동부(110)가 고정부(11)에서 이탈 혹은 분리되지 않고 좌우왕복이동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110)의 이동으로 이동부 전면에 배치된 다수의 용접와이어 공급수단을 함께 이동시켜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의 위빙을 돕는다.
또한 이동부(110)의 전면에는, 와이어 송급장치로부터 뻗은 플렉시블 용접와이어 가이드(6)는 플렉시블 가이드 고정부(27)까지 길이연장되어 있고,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용접와이어(14)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의 중공부로 삽입된다.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은 소모성 가이드 노즐 고정부(28)로 고정된다.
플렉시블 가이드 고정부(27)에 고정된 플렉시블 용접와이어 가이드(6)에서 나온 용접와이어(14)는 일직선으로 정렬될 수 있게 플렉스블 가이드 고정부(27)와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의 가운데 형성된 구멍인 중공부 사이로 배열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용접장치의 위빙장치가 간략적으로 도시되되, 특히 플럭스 공급수단만을 별도로 도해되어져 있다(도 4). 위빙장치는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위빙장치 고정부(11)와 이동부(110)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에서 기술하였다.
이동부(100) 전면에는, 플럭스를 수용한 플럭스 호퍼(9)와, 플럭스 호퍼(9) 하단부에 구비된 플럭스 공급변(15), 이 플럭스 공급변(15) 아래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플럭스 배출변(17) 및, 이 플럭스 배출변(17)에서 용융지까지 정량의 플럭스를 안내하는 플럭스 안내관(18)을 구비한다. 한편, 한쪽 단부에 플럭스 이송홈(16)을 구비한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는 이동부(100)를 관통해 있다(도 5b 참조). 더욱 구체적으로, 플럭스 이송홈(16)은 이동부(100) 전면에 배치하고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는 이동부(100) 후면, 즉 이동부 후면과 고정부(11) 사이에 배치한다.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는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와의 접촉으로 선회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는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와 동일한 높이로 고정부(11) 전면에 배치된다.
플럭스 호퍼(9)에 담겨있는 플럭스는 이동부의 좌우이동을 통해 용이하게 플럭스 호퍼(9)에서 플럭스 이송홈(16)을 지나 플럭스 안내관(18)을 따라 용융지로 공급되되,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각운동은 플럭스 장입량 조절 손잡이(20)와 플럭스 투입량 조절 손잡이(21)를 이용하여 그 선회범위를 조절한다. 그 결과 플럭스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삭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가 작동 개시될 때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5a는 위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동부(100) 전면에 배치된 플럭스 호퍼(9)는 그 내부에 플럭스를 수용한다. 플럭스 호퍼(9)의 하단부에는 플럭스 공급변(15)을 구비하고, 그 플럭스 공급변(15) 아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플럭스 배출변(17)을 배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럭스 공급변(15)과 플럭스 배출변(17) 사이에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를 배치하는데, 이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에 형성된 플럭스 이송홈(16)이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각이동을 통해 플럭스 공급변(15)의 플럭스 배출구(25)와 플럭스 배출변(17)의 플럭스 배출구(26)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추가로,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는 힌지(참조부호 없음)로 고정되며, 이의 각운동은 약 30°~ 45°로 되어 있다.
플럭스 이송홈(16)의 이동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이루어진다.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는 스프링(30)으로 탄발력을 유지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플럭스 이송홈(16)이 플럭스 공급변(15)의 플럭스 배출구(25)와 일직선 상으로 혹은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배열되어 유체연통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플럭스 이송홈(16)과 플럭스 배출구(25)가 유체연통할 수 있게 배열되면, 플럭스 호퍼(9)에 수용되어 있던 플럭스는 플럭스 배출구(25)를 지나 플럭스 이송홈(16)에 일정량 수용된다. 이때, 플럭스 이송홈(16)과 플럭스 배출구(25)의 겹쳐지는 부분의 면적을 조절하여 플럭스 장입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장입량의 제어는,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플럭스 이송홈(16)이 형성된 우측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와 대향되는 측면에 플럭스 장입량 조절손잡이(20)를 구비하여, 조절된다. 플럭스 장입량 조절손잡이(20)의 길이조절로서 플럭스 이송홈(16)의 최초 정지위치를 달리하여 플럭스 이송홈(16)과 플럭스 배출구(25)의 겹쳐지는 부분의 면적을 달리할 수 있어 그 틈새로 플럭스의 장입량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동부(100)가 이동하면서 이동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가 위빙장치 고정부(11) 전면에 위치고정된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에 근접 및 접촉하게 된다.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가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로서 강제로 밀어부쳐지는 상황을 도 6에 도해하고 있다.
도 7을 참조로 하면,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가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를 강제로 밀어부쳐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각운동을 수행한다.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가 밀쳐져,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가 각운동한 거리만큼 플럭스 이송홈(16)이 플럭스 배출변(17)에 형성된 플럭스 공급구(26)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플럭스 이송홈(16)과 플럭스 공급구(26)가 겹쳐질 경우, 플럭스 이송홈(16) 내에 장입된 플럭스가 플럭스 공급구(26)를 통해 플럭스 안내관(18)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이동부(100)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의 일 단부가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의 길이부와 떨어지면서 스프링(30;도 5b 참조)의 탄발력으로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도 원위치로 복귀하여 플럭스가 플럭스 이송홈(16)으로 공급된다.
선택가능하기로, 플럭스 안내관(18)은 도 5a에 도시되었듯이 이동부(100)의 이동을 수단으로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의 위빙 작동시 방해되지 않도록 강재의 외부에 배치시킨다. 이 경우에는 플럭스가 공급되지 않는다. 이와 반대로, 플럭스 안내관(18)은 도 7a에 도시되었듯이 이동부(100)의 이동을 수단으로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이 용접부로 투입되어,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이 일측 가장자리로 갔을 때에 플럭스를 용융지로 확실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한다.
삭제
삭제
도 8는 후판 강재의 I형 맞대기 이음시의 용접부를 나타낸다
도9는 본 고안에 따른 용접으로써, 위빙으로 적절한 용입을 확보한 것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접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으로, 와이어 송급장치와 플럭스 공급장치를 구비한다.
도 2은 본 고안의 용접장치에 따른 위빙장치의 상세도로서, 도 2a는 위빙장치에서 이동부를 제거한 도면이고 도 2b는 이동부를 구비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2b의 측면도로, 플럭스 공급부재들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4는 도 2b의 측면도로, 용접와이어 공급부재들을 제외하고 도시하였다.
도 5은 본 고안을 작동하기 시작할 때의 도면이다.
도 6은 도 5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연결되어 작동하는 도면이다.
도 8는 후판 강재의 I형 맞대기 이음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그림으로 위빙으로 적절한 용입을 확보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체적인 도면으로서, 와이어 스풀과 와이어 송급장치 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을 사용할 때, 소모성 가이드 노즐과 열영향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은 종래기술을 사용할 때, 와이어 송급속도를 증가할 때 생기는 불량을 보이는 것으로 소모성 가이도 노즐 주위만 용입되고 가장자리는 용입불량이 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삭제
1…와이어 송급장치, 2…용접전원,
3…플럭스 공급장치, 4…모재,
5…소모성 가이드 노즐, 6…플렉시블 용접 와이어 가이드,
7…위빙 구동부, 8…리모콘,
9…플럭스 호퍼, 10…와이어 스풀,
11…위빙장치 고정부, 12…위빙구동 모터,
13…LM슬라이드, 14…용접와이어,
15…플럭스 공급면, 16…플럭스 이송홈,
17…플럭스 배출변, 18…플럭스 안내관,
19…용융풀, 20…플럭스 장입량 조절손잡이,
21…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 22…장치고정용 암,
23…장치고정용 클램프, 24…플럭스 이송 슬라이드,
25…플럭스 배출구, 26…플럭스 공급구,
27…플렉시블 가이드 고정부, 28…소모성 가이드노즐 고정부,
30…스프링.

Claims (3)

  1. 와이어 송급장치(1)로부터 플렉시블 용접와이어 가이드(6)를 따라 공급된 용접와이어(14)와 소모성 가이드 노즐(5)를 용융지로 공급하여 모재를 용접하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 슬래그 용접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LM슬라이드(13)와 위빙구동 모터(12)를 구비하고, 상기 위빙구동 모터(12)의 구동축(7)을 전면 상으로 배열하여 상기 모재(4) 위에 고정된 위빙장치 고정부(11)와;
    상기 LM슬라이드(13)에 활주가능하게 고정하는 수용부(113)와 상기 구동축(7)의 회전으로 좌우이동하는 랙 기어부(117)를 후면에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14)와 소모성 가이드노즐(5)을 전면에 배치하여, 상기 고정부(11)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어 상기 고정부(11)에서 좌우이동하는 이동부(110)로;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110)가 상기 고정부(11)에 대해 좌우이동함으로써 상기 소모성 가이드 노즐(5)을 위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10)는 그 전면에 플럭스를 저장하는 플럭스 호퍼(9)와, 상기 플럭스 호퍼(9) 하단부에 위치된 플럭스 배출구(25)를 갖춘 플럭스 공급변(15), 상기 플럭스 공급변(15) 아래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플럭스 공급구(26)를 갖춘 플럭스 배출변(17) 및, 상기 플럭스 공급구(26)에서 용융지까지 플럭스를 안내하는 플럭스 안내관(18)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부(110)의 왕복이동을 매개로 한 플럭스 이송홈(16)을 갖춘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각운동이 상기 플럭스 공급변(15)의 플럭스 배출구(25)와 플럭스 배출변(17)의 플럭스 공급부(26) 사이로 상기 플럭스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는 그 전면에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부(110)는 상기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 측면에 플럭스 장입량 조절손잡이(20)를 구비하며, 상기 플럭스 투입량 조절손잡이(21)가 상기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길이부를 밀어부쳐 상기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각이동을 돕고, 상기 플럭스 장입량 조절손잡이(20)는 상기 플럭스 이송 슬라이드(24)의 확장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KR2020070015002U 2007-09-07 2007-09-07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KR2004435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002U KR200443539Y1 (ko) 2007-09-07 2007-09-07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002U KR200443539Y1 (ko) 2007-09-07 2007-09-07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539Y1 true KR200443539Y1 (ko) 2009-02-20

Family

ID=4134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002U KR200443539Y1 (ko) 2007-09-07 2007-09-07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5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256B1 (ko) * 2015-05-15 2018-04-2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방법 및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256B1 (ko) * 2015-05-15 2018-04-25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방법 및 일렉트로슬래그 용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7601A (en) Adjustable welding torch mounting
US7335854B2 (en) Method and system of determining wire feed speed
NO340440B1 (no) Konfigurerbart dobbelprosess-sveisehode, og tilhørende fremgangsmåte
EP2991796B1 (en) Method of and wire feeder for automated control of welding systems including a spool gun
CN110769962A (zh) 提供预热电压反馈损失保护的系统、方法和装置
KR101614257B1 (ko) 파이프 맞대기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장치
KR200443539Y1 (ko) 소모성 가이드 노즐방식의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장치
KR101868053B1 (ko) 듀얼 용접 와이어 공급 장치
US20020011474A1 (en) Welding machine manipulated by automated equipment
KR101971334B1 (ko) 횡향 또는 입향 가능한 자동 일렉트로가스 용접 장치
US20040050832A1 (en) Method for soldering work pieces
KR20140002938U (ko) 후판 라운드부 자동 용접장치
CN1093960A (zh) 金属表面大面积堆焊方法
KR100343858B1 (ko) 협개선 잠호용접용 자동스윙 토치
KR100899759B1 (ko) 용접기의 필러 와이어 공급 장치
CN115091002A (zh) 一种有效熔化焊道坡口钝边的焊接工艺及管道焊接机器人
KR19990054797A (ko) 맞대기 조인트 용접용 캐리지
KR101867685B1 (ko) 용접용 토치
KR100438265B1 (ko) 파이프용접방법
CN112404657A (zh) 谐波金属制造焊丝往复
KR101607975B1 (ko) 위빙 서브머지드 용접 장치
KR20120111433A (ko) 가스 아크 용접 장치 및 가스 아크 용접 방법
KR102518162B1 (ko) 연장 와이어 피더 및 이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EP0930950B1 (en) Method of welding pipe
TWI746129B (zh) 多模式控制型焊接加工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