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474Y1 -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 Google Patents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474Y1
KR200442474Y1 KR2020070010649U KR20070010649U KR200442474Y1 KR 200442474 Y1 KR200442474 Y1 KR 200442474Y1 KR 2020070010649 U KR2020070010649 U KR 2020070010649U KR 20070010649 U KR20070010649 U KR 20070010649U KR 200442474 Y1 KR200442474 Y1 KR 200442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hot water
sealing member
seal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자현
Original Assignee
이자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자현 filed Critical 이자현
Priority to KR2020070010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주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부 일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관; 연결관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열매체수가 충진된 온수관; 연결관의 후단부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고, 내부에 삽입된 와셔를 가압하여 온수관이 연결관에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캡너트; 연결관의 전방에서 관통공에 결합되되, 그 단부가 걸림턱에 닿도록 결합된 밀봉부재; 밀봉부재의 전방에 밀착되게 조립된 밀착지지부재; 온수관 내부를 경유하여 연결관의 관통공을 통해 밀봉부재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전열선; 전열선과 연결터미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 연결관의 선단부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연결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밀착지지부재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보호캡; 및 전원선이 관통되는 보호캡의 관통 부분을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열선, 전원선, 온수관, 밀봉부재, 보호캡

Description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ELECTRIC HEATING PIPE SEALING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온수관 12: 전열선
14: 전원선 100: 연결관
102, 104: 수나사부 110: 관통공
112: 걸림턱 120: 결합홈
200: 캡너트 202: 암나사부
210: 와셔 300: 밀봉부재
400: 밀착지지부재 410: 걸림턱
500: 연결터미널 600: 보호캡
602: 암나사부 610: 걸림단
700: 실링부재 W: 열매체수
본 고안은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열매체수의 온도 상승에 의해 온수관 내부에 압력 변화가 생기더라도 온수관 단부를 안전하게 밀폐시키는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매체 전기보일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배설되는 온수관(10)에 열매체(11)를 충진함과 동시에 전열선(12)을 온수관(10)내에 설치하고, 전열선(12)을 전원선(15)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에 의한 전열선(12)의 발열로서 온수관(10) 내의 물을 가열함에 따라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온수관(10)의 양 단부는 밀폐부재(13A)(13B)에 의하여 폐색되고, 전열선(12)은 콘트롤 패널(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열매체 전기보일러는 온수관 내부의 열매체가 가열되면 이 열매체의 팽창으로 온수관 내부에 압력이 상승하게 되므로 온수관의 단부를 완전히 밀폐시키 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에 따라 온수관 단부의 밀폐를 위하여 다양한 밀폐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517863호에는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는, 내부에 열매체가 충진되고 전열선이 내장되어 있는 온수관과; 양단부가 서로 연통되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온수관이 고정되며 타측에는 보호관이 고정되는 몸체와; 몸체의 관통공에 온수관이 끼워지는 방향으로 억지끼움되는 밀봉부재와; 몸체에 장착되는 온수관을 밀폐 고정하기 위한 캡너트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는 전열선과 전원선이 연결되는 부분에 보호캡이 씌워져 연결 부분을 보호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는 하지만, 보호캡이 씌워지기 위해 전원선이 보호캡의 외부로 관통되는 데, 그 관통 부분으로 침입수가 침투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어 전열선과 전원선의 연결 부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는 몸체에 결합되는 밀봉부재가 온수관 내부로 빨려들어가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림턱이 없기 때문에 열매체수가 냉각되면서 수축되면 그 압력 차이로 인하여 밀봉부재가 온수관 내부로 빨려들어가면서 유동이 발생되어 밀봉부재의 밀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원선과 전열선을 연결시키는 연결터미널 부분을 보호캡으로 보호하는 것과 아울러 보호캡을 관통하는 전원선의 관통 부분을 실링 처리하여 밀봉력을 향상시켰으며, 열매체수가 냉각되면서 수축될 때 그 압력 차이로 인하여 밀봉부재가 온수관 내부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 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는 온수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온수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에 있어서, 외주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부 일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관; 연결관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열매체수가 충진된 온수관; 연결관의 후단부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고, 내부에 삽입된 와셔를 가압하여 온수관이 연결관에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캡너트; 연결관의 전방에서 관통공에 결합되되, 그 단부가 걸림턱에 닿도록 결합된 밀봉부재; 밀봉부재의 전방에 밀착되게 조립된 밀착지지부재; 온수관 내부를 경유하여 연결관의 관통공을 통해 밀봉부재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전열선; 전열선과 연결터미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 연결관의 선단부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연결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밀착지지부재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보호캡; 및 전원선이 관통되는 보호캡의 관통 부분을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는 보호캡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거나 보호캡의 내측면에 부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단과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걸림단에 걸려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보호캡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거나 보호캡의 내측면에 부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는 내부에 열매체수(W)가 충진된 온수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열매체수(W)가 새지 않게 온수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먼저 온수관(10)이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관(100)이 구비된다. 연결관(100)은 외주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수나사부(102)(104)가 형성 되고, 중앙에는 관통공(110)이 관통 형성되며, 관통공(110)의 내부 일부분에는 걸림턱(112)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연결관(100)의 후방 결합홈(120)에는 온수관(10)이 결합되는 데, 이 온수관(10)은 연결관(100)의 후단부 수나사부(104)에 나사체결되는 캡너트(200)를 통해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즉, 캡너트(200)는 내부에 암나사부(202)가 형성되어 연결관(100)의 후단부 수나사부(104)에 체결되고, 캡너트(200)의 내부에는 와셔(210)가 삽입되어 캡너트(200)가 나사체결될 때 와셔(210)가 온수관(10)을 가압하여 온수관(10)이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된다.
연결관(100)의 전방에는 밀봉부재(300)가 관통공(110)에 끼워져 결합되게 설치되어 열매체수(W)가 연결관(100)의 관통공을 통해 새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밀봉부재(300)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되고, 외주면 선단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후방부는 관통공(110)에 끼워져 그 단부가 관통공(110)에 형성된 걸림턱(112)에 닿아 걸리도록 결합된다. 물론, 밀봉부재(300)의 내부에는 전열선(12)이 관통할 수 있게 구성된다.
밀봉부재(300)의 전방에는 밀착지지부재(400)가 밀착되게 조립되고, 이 밀착지지부재(400)는 후술하는 보호캡(600)에 걸려 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다. 즉, 밀착지지부재(400)의 내부는 관통 형성되되, 밀봉부재(300)의 전방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밀봉부재(300)가 밀착 지지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 후단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걸림턱(410)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보호캡(600)의 걸림단(610)에 걸리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온수관(10) 내부를 경유하여 연결관(100)의 관통공(110)을 통해 밀봉부재(300)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전열선(12)의 단부와 전열선(12)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선(14)이 단부는 밀착지지부재(400)의 전방에서 콜드리드라고 불리는 연결터미널(50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이 연결터미널(500) 부분은 보호캡(600)에 의해 감싸져 보호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보호캡(600)은 연결관(100)의 선단부 수나사부(102)에 나사체결될 수 있게 내부 후단부에 암나사부(602)가 형성되고, 암나사부(602)가 형성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굴절되어 그 내측면에 걸림단(610)이 형성된다. 따라서 밀착지지부재(400)의 걸림턱(410)이 보호캡(600)의 걸림단(610)에 걸려 밀착지지부재(400)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게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터미널(500)은 도체와 반도체를 연결하는 중계 터미널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보호캡(600)의 전방에는 전원선(14)이 관통되게 구성되는 데, 이 관통 부분을 밀봉시키기 위해 실링부재(700)가 설치된다. 이때, 실링부재(7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600)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캡(600)의 내측면에 부착되게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연결관(100)의 관통공(110)을 밀봉시키는 밀봉부재(300)가 전방은 밀착지지부재(400)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지 않게 지지되고 후방은 연결관(100)의 걸림턱(112)에 걸려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밀봉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전열선(12)이 발열되면서 온수관(10) 내에 충진된 열매체수(W)를 가열시키게 되면 열매체수(W)가 팽창되면서 밀봉부재(300)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밀봉부재는 밀착지지부재(400)에 지지되어 전방으로 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선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팽창력이 강해질수록 밀착지지부재(400) 내에서 더 압축되면서 밀봉력이 향상되게 된다. 반대로, 전열선(12)의 온도가 낮아지면 팽창되었던 열매체수(W)는 원래의 상태로 수축되는데 이때 온수관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 차이로 인해 밀봉부재(300)가 온수관(10)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은 밀봉부재(300)가 연결관(100)의 걸림턱(112)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온수관 내로 빨져 들어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밀봉부재(300)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터미널(500)을 보호캡(600)이 감싸 보호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연결터미널(500)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선(14)이 관통되는 보호캡(600)의 관통 부분의 틈새를 실링부재(700)가 밀봉 처리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침입수 등이 침투하여 연결터미널(500)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개선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선과 전열선을 연결시키는 연결터미널 부분을 보호캡이 감싸 보호할 뿐만 아니라 보호캡을 관통하는 전원선의 관통 부분을 실링 처리하여 밀봉력을 향상시켰으며, 연결관의 관통공 내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열매체수가 냉각되면서 수축될 때 그 압력 차이로 인하여 밀봉부재가 온수관 내부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 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온수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온수관의 단부를 밀폐시키는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에 있어서,
    외주면 선단부와 후단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중앙에는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며, 관통공의 내부 일부분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연결관;
    상기 연결관의 결합홈에 결합되고, 내부에는 열매체수가 충진된 온수관;
    상기 연결관의 후단부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고, 내부에 삽입된 와셔를 가압하여 온수관이 연결관에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캡너트;
    상기 연결관의 전방에서 관통공에 결합되되, 그 단부가 걸림턱에 닿도록 결합된 밀봉부재;
    상기 밀봉부재의 전방에 밀착되게 조립된 밀착지지부재;
    상기 온수관 내부를 경유하여 연결관의 관통공을 통해 밀봉부재를 관통하도록 연장된 전열선;
    상기 전열선과 연결터미널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
    상기 연결관의 선단부 수나사부에 나사체결되어 연결터미널을 감싸 보호하고 밀착지지부재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보호캡; 및
    상기 전원선이 관통되는 보호캡의 관통 부분을 밀봉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보호캡의 내부에 매립되게 설치되거나 보호캡의 내측면에 부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캡의 내부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고, 상기 밀착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걸림단과 대응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걸림턱이 걸림단에 걸려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잡아주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KR2020070010649U 2007-06-28 2007-06-28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KR200442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49U KR200442474Y1 (ko) 2007-06-28 2007-06-28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649U KR200442474Y1 (ko) 2007-06-28 2007-06-28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474Y1 true KR200442474Y1 (ko) 2008-11-12

Family

ID=41647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649U KR200442474Y1 (ko) 2007-06-28 2007-06-28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4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052B1 (ko) 2013-07-24 2015-04-22 황명희 난방용 전열 온수관의 밀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052B1 (ko) 2013-07-24 2015-04-22 황명희 난방용 전열 온수관의 밀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30771A (ja) 加熱・保温チューブを有する装置
CN103597566B (zh) 温度开关
CN102883572B (zh) 具有保护壳体的开关和用于制造所述开关的方法
KR200442474Y1 (ko) 전열온수관 단부 밀폐구조
KR100815261B1 (ko) 전열선 삽입 온수관의 마감장치
KR20190123620A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KR100517863B1 (ko) 열매체 전기보일러의 온수관 단부 밀폐장치
KR101104852B1 (ko) 난방용 다중 밀폐 방열관
KR101502748B1 (ko) 난방용 전열관
KR101055401B1 (ko) 시즈 히터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저수식 스팀 보일러
KR100994254B1 (ko) 난방용 이중 밀폐 방열관
KR20100089628A (ko) 전열온수관의 열매체 누수방지장치
KR101077497B1 (ko) 열선 내장형 동파방지장치
KR101724414B1 (ko) 난방용 온수관
KR101185486B1 (ko) 온수관 밀폐장치
KR101004457B1 (ko) 온수관의 전열선 결합구조
KR101514052B1 (ko) 난방용 전열 온수관의 밀폐 장치
KR100839970B1 (ko) 배관라인 동결 방지용 히터
KR101198112B1 (ko) 전열선 내장형 온수관의 밀폐 및 압력조절장치
KR20160125081A (ko) 온수전열기의 과열방지장치
KR20130097478A (ko) 전열온수관
KR20000017772A (ko) 매설형 전열 장치
KR100985792B1 (ko) 전열 온수관의 단부 밀폐 구조 및 전열 온수관 시스템
KR102191713B1 (ko) 열 융착 장치
KR100875715B1 (ko) 발열선이 삽입된 관의 과열 방지용 밀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