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378Y1 -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378Y1
KR200442378Y1 KR2020070003001U KR20070003001U KR200442378Y1 KR 200442378 Y1 KR200442378 Y1 KR 200442378Y1 KR 2020070003001 U KR2020070003001 U KR 2020070003001U KR 20070003001 U KR20070003001 U KR 20070003001U KR 200442378 Y1 KR200442378 Y1 KR 200442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hear
test
hole
shear 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0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3523U (en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김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성 filed Critical 김윤성
Priority to KR2020070003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378Y1/en
Publication of KR20080003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52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37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shearing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 E02D1/022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 E02D1/025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before construction work by investiga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oil combined with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4Earth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5Shea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력부; 전단력을 시험하기 위함 시험공 내에 삽입 배치되고 시험공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동력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프루브 가동부를 구비하는 프루브; 시험공내에 배치되는 상기 프루브를 지지하되, 상기 프루브와 시험공 내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전단 응력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 응력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루브의, 시험공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프루브 탄성부가 구비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unit; A probe having a probe movable portion inserted into the test hole for testing the shear force and movable with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abut against an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supporting the probe disposed in the test hole, 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enabling generation of a shear stress provided between the probe and the test hole inner surface, and having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est hole inner surface of the probe. Provided is an in-shear shear test apparatus hav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probe elastic portion.

Description

공내 전단 시험 장치{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In-Place Shear Test Device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홀 전단 시험 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a 내지 도 2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단 시험 장치에 의한 홀 내의 접촉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이다.2A to 2C are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s showing a contact state in a hole by a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단 시험 장치에 의한 수직 응력-전단 응력 시험 예상치 및 결과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선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vertical stress-shear stress test estimates and results by a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itu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루브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일실시예에 따른 프루브의 작동 상태에 다른 개략적인 부분 평단면도이다.6 and 7 are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according to the working state of the pro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루브 탄성부를 포함하는 프루브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8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robe including a probe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루브 탄성부와 시험공 내측면 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tween a probe elastic part and a test hole inn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공내 전단 시험 장치 100...프루브1.In-Hole Shear Test Device 100 ... Probe

110...프루브 가동부 120...프루브 탄성부110 ... Probe moving part 120 ... Probe elastic part

130...프루브 실린더 140...프루브 피스톤130 ... probe cylinder 140 ... probe piston

200...프루브 폴 300...지지부200 ... probe pole 300 ... support

400...전단 응력 생성부 500...동력부400 ... shear stress generating part 500 ... power part

본 고안은 시험 장치에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지반 상에 형성된 시험공 내 전단력/전단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s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st apparatus for measuring the shear force / shear stress in the test hole formed on the ground.

다양한 건축, 건설, 토목 공사를 위하여 필수적으로 토양 및 지질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지반 시험이 선행되는데, 지반 시험에는 실내에서 행해지는 실내 전단 시험과실제 토양 내지 지반에형성된 홀 내에서 실행되는 홀 전단 시험이 있다. 실내 전단 시험은 원하는 습윤 환경과지하수위에 의한 배압을 설정하여 시험 통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을가지나 보다 실제적인 데이터를 얻는 것이 어렵고 시험 유형이 상당히 국한되어 있다는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건축, 건설 및 토목 공사 등의 실질 공사가 벌어지는 경우 홀 전단 시험은 필수적으로 실행된다. Soil testing is essential for various constructio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works. The soil testing includes indoor shear tests conducted indoors and hole shears performed in actual soil or ground holes. There is a test. Indoor shear tes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test by setting the back pressure based on the desired wet environment and groundwater level, but with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more realistic data and the test types are quite limited. Therefore, the hole shear test is indispensable when substantial construction such as construction, construction, and civil works takes place.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홀 전단 시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홀(Ht)에 배치되는 프루브(10)의 프루브 바디(12)에는 홀(Ht)의 내측면과 접 촉하는 접촉부(13)가 구비되고, 프루브 바디(12)의 접촉부(13)는 공압 라인(51,52)를 통하여 전달되는 공압에 의하여 가동되며 이에 필요한 공압은 공압펌프(60)로부터 공급되고, 공압펌프(60)에서 인가되는 공압의 조절은 조절 장치(5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hol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robe body 12 of the probe 10 disposed in the hole Ht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13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and the contact portion 13 of the probe body 12 is a pneumatic line. It is operated by the pneumatic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51, 52) and the necessary pneumatic is supplied from the pneumatic pump 60, the adjustment of the pneumatic pressure applied from the pneumatic pump 60 is made through the adjusting device (50).

프루브 바디(12)의 상단에는 프루브 지지대(11)가 구비되고, 프루브 지지대(11)는 프루브 폴(20)과 연결되는데, 프루브 폴(20)은 워엄 기어(42, 43) 및 핸들기어(41) 들에 의하여 생성되는 회동력에 의하여 프루브 폴(20)의 축 Ⅰ-Ⅰ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홀(Ht)의 내측면과 접촉부(13) 간에 전단응력이 발생한다.Probe support 1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be body 12, and the probe support 11 is connected to the probe pole 20, and the probe pole 20 is a worm gear 42 and 43 and a handle gear 41. Shear stress is gener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and the contact portion 13 by vertical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s I-I of the probe pole 20 by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m.

발생된 전단응력은 프루브 폴(20)에 영향을 미치고, 프루브 폴(20)에 영향을미치는 전단응력에 상응하여 유압탱크(33)가 압축된다. 유압탱크(33)에서 발생되는 압축력은 압축탱크(33)와 연결된 압력계(54)에서 측정 가능하다. 즉, 압력계(54)를 통한 압력 측정을 통하여 홀(Ht) 내측면과 접촉부(13) 간의 전단응력을 측정한다. 프루브(10)의 프루브 바디(12) 내부에는 실린더-피스톤 구성(미도시)을 취하는데, 공압 펌프(60)및 조절장치(50)를 통하여 전달되는 공압에 의하여 실린더-피스톤 구성을 통해 접촉부(13)가 가동된다. 공압 펌프(60) 및 조절장치(50)는 공압 라인(51,52)을 통하여프루브(10)에 공압을 전단하는데, 전달되는 공압은 조절장치(50) 내의 압력계(53)를 통하여 측정된다. 피스톤의 일단은 커넥터 로드(14)와 연결되고 커넥터 로드(14)의 타단은 접촉부(13)와 연결된다. 접촉부(13)의 일면에는 톱니 형상이 구비되고 톱니 형상의 접촉부(13)가 홀(Ht)의 내측면과 접촉하 고 프루브 폴(20)이 축 Ⅰ-Ⅰ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이동되어 홀(Ht)의 내측면과 접촉부(13) 간의 전단 응력이 발생한다. 통상적인 종래 기술에 따른 전단응력 측정시 홀(Ht) 내측면에 인가되는 수직응력(수직압, Normal Stress)의 인가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확대도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에서 조절장치(50)를 통해 1㎏/㎠의 수직압(Normal Stress)을 인가하고, 이 상태에서 발생하는 전단력/전단응력을 측정한다. 그런 후,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단계 등의 반복적인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인가되는 수직압은 각각 2~5㎏/㎠ 범위의 값을 사용하여 점진 또는 계단식으로 증진되는 수직압을 인가하여 전단력/전단응력을 측정한다. 이때, 홀(Ht)의 내측면은 각각의 단계에 따라 수직압을 달리하는데 내측면의 접촉면은 압력단계에 따라 접촉면적(A0)이 달라져 커넥터 로드(14)를 통하여 전달되는 힘(F)이 일부 면적에 작용됨으로써 균일한 조건하에서의 전단응력/전단력 시험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부정확한 시험 결과가 얻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generated shear stress affects the probe pole 20, and the hydraulic tank 33 is compressed to correspond to the shear stress affecting the probe pole 20. The compression force generated in the hydraulic tank 33 can be measured by the pressure gauge 54 connected to the compression tank 33. That is, the shear stres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and the contact portion 13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pressure through the pressure gauge 54. The probe body 12 of the probe 10 has a cylinder-piston configuration (not shown), which is contacted via a cylinder-piston configuration by pneumatic pressure transmitted through the pneumatic pump 60 and the regulator 50. 13) is activated. Pneumatic pump 60 and regulator 50 shear pneumatics to probe 10 via pneumatic lines 51 and 52, the delivered pneumatic pressure being measured via pressure gauge 53 in regulator 50. One end of the piston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rod 14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rod 14 is connected to the contact portion 13. One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3 is provided with a sawtooth shape, the toothed contact portion 13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and the probe pole 20 is moved vertic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s I-I to the hole ( Shear stres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Ht) and the contact portion 13 occurs. 2A to 2C are schematic partial enlarged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vertical stress (normal stres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in the shear stress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shown in FIG. 2A, in the first step, a normal stress of 1 kg / cm 2 is applied through the adjusting device 50, and the shear force / shear stress occurring in this state is measured. Thereafter, as shown in FIG. 2B and FIG. 2C, an iterative process such as the second step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tep. At this time, the applied vertical pressure is to measure the shear force / shear stress by applying a vertical pressure which is gradually or stepwise enhanced using a value in the range of 2 ~ 5㎏ / ㎠.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is different in the vertical pressure according to each step,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surface (A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pressure step, the force (F) transmitted through the connector rod 14 is It is difficult to perform shear stress / shear test under uniform conditions by acting on a partial area, which results in an inaccurate test result.

도 3에는 홀(Ht)의 내측면에 가해지는 수직 응력-전단 응력의 선도가 도시되는데, 점선으로 표시된 선분은 모델링에 의한 예상치를 나타내는 예상 선분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선분은 시험 결과에 의하여 얻어진 결과치를 나타내는 결과 선분이다. FIG. 3 shows a plot of the vertical stress-shear stres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le Ht, where the segment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s the expected segment representing the estimate by modeling, and the segment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s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test results. Is the resulting line segment.

수직 응력과 전단 응력은 관계는 More-Coulomb 이론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l and shear stress can be expressed by the More-Coulomb theory as follows.

Figure 112007015275225-utm00001
Figure 112007015275225-utm00001

여기서, τ는 전단 응력을, σ는 수직 응력을, C는 점착력을, 그리고 φ는 내부 마찰각을 나타내는데, 모델링에 의하여 얻어진 예상치는 C1과 φ1의 값을 가지고시험에 의한 결과치는 C2와 φ2의 값을 가진다. Where τ represents shear stress, σ represents vertical stress, C represents cohesion, and φ represents the internal friction angle, the estimated values obtained by modeling have values of C1 and φ1, and the test results show values of C2 and φ2. Has

C2는 C1의 값보다 훨씬 작은 값을 가지고, φ2는 φ1보다 큰 값을 가지는데, 이는 낮은 수직압력 단계에서는 힘이 충분하지 못하여(F1) 홀벽(Ht)에 완전히 밀착하지 못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에 대해서만 수직압을 가하지만, 좀더 높은 수직압력 단계에서는 점점 힘이 커져 점차 더 넓은 면적에 대하여 수직압이 가해지게 되어 실제보다 작은 전단 응력 값이 도출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전단응력/전단력 시험은 관찰이 불가능한 지하 시추공(홀)에서 행해진다는 시험 환경으로 인하여 접촉부와 홀 내측벽간의 접촉 정도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에 대힌 확인이 어려운 상태에서 진행되는 바 부정확한 시험결과가 초래될 수밖에 없었다.C2 has a much smaller value than C1, and φ2 has a value larger than φ1, which is relatively small in cross section because at low vertical pressure levels there is insufficient force (F1) and it does not fully adhere to the hole wall (Ht). Although only a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force increases gradually at a higher vertical pressure level, and a vertical pressure is applied to a larger area, resulting in a smaller shear stress value than the actual value. In addition, the shear stress / shear stress test is carried out in an unobservable underground borehole (hole),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whether the contact between the contact part and the inner wall of the hole is sufficiently made due to the test environment. Was inevitable.

따라서, 본 고안은 시험공의 내측면과 프루브의 접촉 상태를 향상시켜 보다 정확한 시험 결과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공내 시험 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itu test shearing device that can improve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nd the probe to obtain more accurate test result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동력부 전단력을 시험하기 위함 시 험공 내에 삽입 배치되고 시험공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동력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프루브 가동부를 구비하는 프루브 시험공내에 배치되는 상기 프루브를 지지하되, 상기 프루브와 시험공 내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전단 응력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 응력 생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루브의, 시험공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프루브 탄성부가 구비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obe test hole having a probe movable portion disposed in the test hole for testing the power section shear force and movable by the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abut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 probe supporting a probe disposed therein, the shear stress generating portion enabling generation of a shear stress provided between the prob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portion of the pro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n in-shear shear test apparatus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is provided.

상기 공내 전단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루브 탄성부는 경사진 측면을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프루부 가동부는 상기 프루브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프루브 탄성부는 복수 개의 절편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the probe elastic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side surface, the probe portion mov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robe, the probe elastic portion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pieces.

또한, 상기 프루브는 프루브 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프루브 바디는: 상기 프루브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프루브 실린더와, 상기 프루브 실린더 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루브 피스톤과, 상기 프루브 피스톤과 상기 프루브 가동부를 연결하는 프루브 커넥팅 로드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프루브는, 60㎜ 내지 73㎜의 최소 이격 거리와 76.2㎜ 내지 102㎜의 최대 이격 거리를 가질 수도 있다. The probe may include a probe body, wherein the probe body may include: a probe cylinder formed inside the probe body, a probe piston movably disposed in the probe cylinder, and connecting the probe piston to the probe movable part. The probe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connecting rod, and the probe may have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60 mm to 73 mm and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76.2 mm to 102 mm.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에 대하여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의 개략적인 개념도가 도시된다.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1)?는 프루브(100), 전단 응력 생성부(400) 및 동력부(600)를 포함한다. 프루 브(100)는 지면에 형성된 시험공(Ht) 내에 배치되고, 동력부(600)는 조절장치(500)를 거쳐 프루브(100)의 프루브 가동부(110)에 원하는 동력을 제공하여 프루브 가동부(110)가 시험공 내측면과 맞닿아 접촉 지지되도록 하고, 전단 응력 생성부(400)는 프루브(100)와 시험공(Ht)의 내측면간에 인가되는 전단 응력을 생성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에는 동력부(600)에서 생성되는 동력(공압)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50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는데, 이는 본 고안의 일예로서 동력부가 조절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본 고안은 설계 사양에 따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a shear test apparatus in a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of an in-situ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ongnae shear test devi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subject innovation? The probe 100 includes a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400 and a power unit 600. The probe 100 is disposed in a test hole Ht formed on the ground, and the power unit 600 provides a desired power to the probe movable unit 110 of the probe 100 via the adjusting device 500 to provide a probe movable unit ( 11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nd contact support, 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400 generates a shear stress appli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be 100 and the test hole (Ht). The in-hous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being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unit 500 for adjusting the power (pneumatic) generated in the power unit 600, which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tak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djusting unit integrally,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동력부(600) 및 조절부(500)는 프루브(100)의 하기되는 프루브 가동부(110)가 시험공(Ht)의 내측면과 접촉 배치되도록 하여 프루브(100)와 시험공(Ht)의 접촉면에 원하는 수직 응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동력부(600)는 프루브(100)에 제공되는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공압 펌프로 구현된다. The power unit 600 and the adjusting unit 500 are arranged so that the probe moving part 110 to be contacte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of the probe 10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probe 100 and the test hole Ht. To produce the desired vertical stress. The power unit 600 is implemented as a pneumatic pump for providing pneumatic pressure provided to the probe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루브(100)는 시험공(Ht)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시험공(Ht)은 직경이 76.2㎜ 규격으로 전단 응력을 시험하기 위한 시험 대상 지면에 형성되는 보어 홀(bore hole)로 구현되는데, 본 고안의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적절한 설계 사양의 변경을 통하여 76.2㎜ 직경의 보어 홀 뿐만 아니라 이보다 큰 89㎜ 규격에서도 시험이 가능하게 확장 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probe 100 is disposed inside the test hole Ht, and the test hole Ht has a bore hole formed in the ground to be tested for testing the shear stress with a diameter of 76.2 mm. bore hole), the in-house shear tes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to test not only 76.2mm diameter bore hole but also larger 89mm standard by changing the proper design specification.

프루브(100)의 상단은 프루브 폴(200)과 연결되는데, 프루브 폴(200)이 지지대(300)의 상단에 배치되는 전단 응력 생성부(400)에 의하여 시험공(Ht)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됨으로써 프루브(100)가 시험공(Ht) 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된다.  The upper end of the probe 100 is connected to the probe pole 200, which i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st hole Ht by 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400 in which the probe pole 200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300. By being supported, the probe 100 is stably disposed in the test hole Ht.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루브(100)의 개략적인 정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6 및 도 7에는 프루브(100)의 작동 상태에 따른 개략적인 평단면도가 도시된다. 프루브(100)는 프루브바디(101)와 프루브 가동부(110)를 구비하는데, 프루브 바디(101)에는 내측에 프루브 실린더(130)와 프루브 피스톤(140)과 프루브 커넥터로드(141)가 구비된다. FIG. 5 is a schematic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ob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and 7 show a schematic plan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probe 100. The probe 100 includes a probe body 101 and a probe moving part 110. The probe body 101 is provided with a probe cylinder 130, a probe piston 140, and a probe connector rod 141 inside.

프루브 실린더(130)의 내부에는 프루브 피스톤(140)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프루브 바디(101)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압 라인(131,132)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데, 각각의 공압 라인(131,132)은 유동 라인(510,520)과 연결된다. 유동 라인(510,520)은 일단이 공압 펌프의 형태로 구현되는 동력부(600)를 거친 조절부(500)와 연결되고 프루브 폴(200)의 내부를 통하여 공압 라인(131,132)과 연결된다. 유동 라인(510)의 일측에는 압력계(530)가 구비되어 유동 라인(510)을 통하여 인가되는 공압을 측정 및/또는 조정할 수 있다. 조절장치(500)에 의하여 공압 펌프의 유동 라인을 선택함으로써 각각의 공압 라인(131,132)을 통하여 작동 유체로서의 공기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공압 라인(131,132)을 통한 작동 유체로서의 공기의 유동은 어느 하나의 공압 라인(131,132) 만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양자의 공압 라인(131,132)에 모두 유동이 발생하되 유동량 내지는 공압을 조절하여 하기되는 프루브 가동부(110)의 어느 일방향으로의 가동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The probe piston 140 is disposed in the probe cylinder 130 to be movab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pneumatic lines 131 and 132 formed inside the probe body 101, each pneumatic line 131, 132 is connected to the flow lines (510, 520). The flow lines 510 and 52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500 via the power unit 600, one end of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neumatic pump, and connected to the pneumatic lines 131 and 132 through the inside of the probe pole 200. A pressure gauge 53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low line 510 to measure and / or adjust the pneumatic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flow line 510. By selecting the flow line of the pneumatic pump by the regulator 500, the flow of air as the working fluid through each pneumatic line 131, 132 can occur. The flow of air as the working fluid through the pneumatic lines (131, 132) may be selectively made by only one of the pneumatic lines (131, 132), in some cases the flow occurs in both of the pneumatic lines (131, 132), but the flow rate or pneumatic It may be made to be gradually made to move in any one direction of the probe movable portion 110 to be adjusted by.

프루브 실린더(130)와 공압 라인(131,132)의 연결은 공압 포트(137,139)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각각의 공압 포트(137,139)는 프루브실린더(130)의 내부에배치되는 프루브 피스톤(140)에 의하여 분할되는 팽창 공간(133) 및 수축 공간(135)와 유체 소통을 이룬다. 따라서, 공압 펌프(600)로 구현되는 조절부(500)로부터 가해지는 작동 유체로서의 공기가 팽창 공간(133)과 수축 공간(135)에 적절하게 선택되어 전달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프루브 피스톤(140)의 팽창 공간(133)과 수축 공간(135)을 향한 일면 상에 가해지는 압력 차이에 의하여 프루브 피스톤(140)의 프루브 실린더(130) 내에서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 공압 포트(137,139)는 오리피스 타입으로 구성되고 팽창 공간(133)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공압 라인(131)은 한 개가, 그리고 수축 공간(135)과 유체 소통을 이루는 공압 라인(132)은 두 개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일예일뿐 본 고안의 공압 포트(137,139) 및 공압 라인(131,132)은 이와 같은 형상 및 개수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The connection between the probe cylinder 130 and the pneumatic lines 131, 132 is made through the pneumatic ports 137, 139, and each pneumatic port 137, 139 is divided by a probe piston 140 disposed inside the probe cylinder 130.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space 133 and the contraction space 135. Therefore, air as the working fluid applied from the adjusting unit 500 implemented by the pneumatic pump 600 can be properly selected and delivered to the expansion space 133 and the contraction space 135, whereby the probe piston 140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expansion space 133 and the contraction space 135 of the), it is possible to move the probe piston 140 in the probe cylinder 130. Meanwhile, in FIG. 6, the pneumatic ports 137 and 139 have an orifice type and one pneumatic line 131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space 133, and a pneumatic line 132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contraction space 135. It is shown that is provided with two, but this is only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neumatic port (137,139) and the pneumatic line (131,13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shape and number.

프루브 커넥터 로드(141)는 일단이 프루브 실린더(1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루브 피스톤(140)의 수축 공간(135)을 향한 일면과, 그리고 타단은 프루브(100), 구체적으로 프루브 바디(101)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프루브 가동부(110)와 연결된다. The probe connector rod 141 has one end facing the contraction space 135 of the probe piston 140 disposed inside the probe cylinder 13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probe 100, specifically, the probe body 101. It is connected to the probe movable part 11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루브 가동부(110)는 프루브 바디(110)의 일측에 배치되는데, 프루브 실린더(130)에 가해지는 공압에 따라 프루브 피스톤(140)이 프루브 실린더(130)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우 프루브 피스톤(140)에 발생하는 변위 및 작동력은 프루브 커넥팅 로드(141)를 통하여 프루브 커넥팅 로드(141)의 타단에 연결된 프루브 가동부(110)에 전달되고, 변위 및 작동력을 전달 받은 프루브 가동부(110)는 인가되는 공압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을 함으로써 시험공(Ht) 내에서 시험공(Ht)의 내측면과 맞닿음을 이루거나 접촉 해지를 이루고, 프루브 가동부(110)의 외측과 시험공(Ht)의 내측면 간에 맞닿음이 이루어지고 소정의수직력이 전달되는 경우 시험공(Ht)의 내측면에 수직 응력이 발생한다. 6 and 7, the probe moving part 110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probe body 110, and the probe piston 140 is connected to the probe cylinder 130 according to the pneumatic pressure applied to the probe cylinder 130. The displacement and actuation force generated in the probe piston 140 is transferred to the probe movable portion 11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probe connecting rod 141 through the probe connecting rod 141 when moving in the interior of the probe piston, and transmits the displacement and actuation force. The received probe moving part 110 contracts or expands by applying pneumatic pressure to mak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or terminat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probe moving part 110. When abutment is mad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and a predetermined vertical force is transmitted, a vertical stress is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전단 응력 생성부(400)는 시험공(Ht) 내에 배치되는 프루브(100)를 지지하고, 프루브(100)와 시험공(Ht) 내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전단 응력의 생성을 가능하게 한다. 즉, 전단 응력 생성부(400)는 시험공(Ht)의 외주 및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부(300)의 상단에 배치되는데, 하단에 프루브(100)가 배치되는 프루브 폴(200)의 외주에는 프루브 폴(200)의 수직 방향 이동 내지 수직 방향 힘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400 supports the probe 100 disposed in the test hole Ht, and enables the generation of the shear stress provided between the probe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That is, 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est hole (Ht)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30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the prob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be pole 200 is disposed at the bottom Threads are formed that enable vertical movement of the pole 200 to vertical force transfer.

전단 응력 생성부(400)는 전단 응력 핸들 기어(410)와 전단 응력 웜기어(420)를 구비하는데, 전단 응력 웜기어(420)는 지지부(30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웜기어 지지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작업자에 의하여 또는 외부 동력원에 의하여 전단 응력 웜기어(420)가 회전하는 경우 전단 응력 웜기어(420)의 회동력은 전단 응력 워엄 기어(430)를 통하여 프루브 폴(200)에 전달되어 프루브 폴(200)은 축 Ⅱ-Ⅱ의 축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 이동 가능하다. 전단 응력 웜기어(420)를 통하여 인가되는 회동력은 유압탱크(310)를 가압하고 유압탱크의 압력은 측정계(540)를 통하여 측정된다. 프루브 폴(200)이 축 Ⅱ-Ⅱ의 축방향을 따라 수직 방향 이동하는 경우, 동력부(600) 및 조절부(500)에 의하여 가해지는 공압에의하여 프루브 가동부(110)는 시험공(Ht) 내부에서 팽창하여 시험공(Ht)의 내측면과 맞닿아 시험공(Ht)의 내측면에 수직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의하여프루브(100)와 시험공(Ht)의 내측면 간에는 전단력/전단 응력이발생한다.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400 includes a shear stress handle gear 410 and a shear stress worm gear 420,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by a worm gear suppo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300. . When the shear stress worm gear 420 is rotated by an operator or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hear stress worm gear 420 is transmitted to the probe pole 200 through the shear stress worm gear 430 to provide the probe pole 200. The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axis II-II.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hrough the shear stress worm gear 420 pressurizes the hydraulic tank 310 and the pressure of the hydraulic tank is measured through the measuring system 540. When the probe pole 200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II-II, the probe movable part 110 is moved by the pneumatic pressure applied by the power unit 600 and the adjusting unit 500. In the case where vertical stress is gener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by expanding inward and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the shear force / shear between the probe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is thereby caused. Stress occurs.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프루브(100)의 시험공(Ht)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프루브 탄성부(120)가 구비된다. 프루브 탄성부(120)는 프루브 가동부(110)의 일면과 프루브 가동부(110)의 반대측으로 프루브바디(101)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프루브 고정부(111)의 일면 상에 각각 배치되고 프루브 가동부(110)의 작동에 의하여시험공(Ht)의 내측면과의 맞닿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힘/응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재료의 선택이 가능하다. 즉, 프루브 탄성부(120)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부타디엔 고무(BR), 클로로프렌 고무(CR), 니트릴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및 아크릴 고무(ACM), 에보나이트 등과 같은 합성 고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연질 중합체 내지는 경질 중합체의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probe elastic portion 120 is provided i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of the prob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e elastic part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obe moving part 110 and on one side of the probe fixing part 111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probe body 10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robe moving part 110. By the operation of 110, it is possible to select various materials within a rang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a force / stress generated by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That is, the probe elastic portion 120 is styrene-butadiene rubber (SBR), butadiene rubber (BR), chloroprene rubber (CR), nitrile rubber (NBR), ethylene-propylene rubber (EPDM) and acrylic rubber (ACM), ebonite Various choices are possible accor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such as a synthetic rubber such as the like, or a synthetic resin of a soft polymer or a hard polymer.

프루브 가동부(110)와 프루브고정부(111)의 각각의 일측면상에 배치되는 프루브 탄성부(120)는 복수 개의 절편으로 구비되는 구성을 취한다. 즉, 프루브 탄성부(120)는 프루브 가동부(110)와 프루브 고정부(111)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 안착부(112,113)에 각각이 배치되는 구성을 취하는데, 각각의 절편으로서의 프루브 탄성부(120)는 시험공(Ht)의 내측면과 맞닿는 탄성 접촉면(121)을 구비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프루브 탄성부(12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경사면을 구비함으로써 프루브 가동부(110)의 팽창 운동에 의하여 가해지는 프루브 탄성부(120)와 시험공(Ht)의 접촉면 간에 발생하는 수직 응력이 발생하는 경우 프루브 탄성부(120)가 프루브 가동부(110)와의 간섭없이 안정적인 변형을 이룰 수 있다. The probe elastic part 120 dispos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probe movable part 110 and the probe fixing part 111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pieces are provided. That is, the probe elastic part 12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of the plurality of elastic part seating parts 112 and 113 formed on the probe movable part 110 and the probe fixing part 111 is disposed, respectively, and the probe elasticity as the respective sections. The part 120 has an elastic contact surface 121 which abu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In addition, in some cases, at least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robe elastic part 120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robe elastic part 120 and the test hole Ht applied by the expansion motion of the probe movable part 110 is generated. When the vertical stress is generated, the probe elastic part 120 may achieve stable deformation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probe moving part 110.

탄성 접촉면(121)의 일면 상에는하나 이상의 탄성부 장착구(122)가 구비되는데, 프루브 탄성부(120)는 탄성부 장착구(122)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볼트와 같은 장착 부재(123)를 통하여 각각의 탄성부 안착부(112,113)에 고정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프루브 가동부(110)와 프루브 고정부(111)에 장착되는 프루브 탄성부(120)의 일부분이 마모 내지 훼손되는 경우 일부분만의 교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지 및 보수 관리 비용을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One or more elastic part mounting holes 122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elastic contact surface 121, and the probe elastic part 120 is provided through a mounting member 123 such as a bolt disposed through the elastic part mounting hole 122. It is fixedly mounted on each of the elastic seating portion (112, 113).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when a part of the probe elastic part 120 mounted on the probe movable part 110 and the probe fixing part 111 is worn or damaged, only a part of the probe can be repla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management cost. Can be reduced.

도 9에는 프루브 가동부가 팽창하여 시험공 내측면에 수직 응력을 가한 경우의 프루브 탄성부(120)의 변형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된다. 즉, 시험공(Ht)의 내측면(도면 부호 120의 오른쪽 영역)과 맞닿아 내측면에 수직 응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루브 가동부에 인가되는 수직압/수직응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프루브 탄성부(120)는 시험공(Ht)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순간부터 양자 간에 거의 균일한 접촉면적을 형성하기 때문에, 인가되는 수직 응력이 변화하더라도 변화되는 수직 응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접촉면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전단응력/전단력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인가되는 수직압이 과도하게 작용하더라도 프루브 탄성부(120)는 초기 상태로부터 체적 VE 부분이 프루브 가동부 측으로 이동하는 탄성 변형을 이루어 시험공(Ht)의 내측면과 새로운 접촉면(A1)을 형성한다. 이때, 프루브 탄성부(120)의 새로운 접촉면(A1)은 시험공(Ht)의 내측면에 대하여도 균일한 평면을 형성함으로써, 프루브 가동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수직압/수직응력에 의한 전단 응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FIG. 9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probe elastic portion 120 when the probe movable portion expands to apply a vertical stres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That is, when the vertical stress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the right region of reference numeral 120), the probe elastic portion (regardless of the magnitude of the vertical pressure / vertical stress applied to the probe moving portion) Since 120 forms an almost uniform contact area between the two surfaces from the moment of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even if the applied vertical stress changes, the contact surface is almost unaffected by the changed vertical stress. This allows for more accurate shear stress / shear test. In addition, even if the applied vertical pressure is excessively applied, the probe elastic part 120 forms an e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volume VE part moves toward the probe movable part from the initial state, thereby forming a new contact surface A1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do. At this time, the new contact surface (A1) of the probe elastic portion 120 forms a uniform plan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Ht), thereby shear stress due to the vertical pressure / vertical stress transmitted from the probe movable portion (110) This can be formed uniformly.

또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의 프루브의 최소이격 거리는 60㎜ 내지 73㎜의 값을 가지고, 프루브의 최대 이격 거리는 76.2㎜ 내지 102㎜의 값을 가진다. 여기서, 프루브의 이격 거리는 시험 홀의 내측면과 접하는 프루브의 외측면 간의 거리로서, 프루브의 프루브 실린더-프루브 피스톤에 의하여 최대 전개되었을 때 갖는 외측면 간의 거리를 최대 이격 거리, 프루브 실린더-프루브 피스톤에 의하여 프루브 가동부가 프루브 바디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는 경우의 외측면 간의 거리를 최소 이격 거리라고 정의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of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lue of 60mm to 73mm,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has a value of 76.2mm to 102mm. Her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is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be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obe when it is fully developed by the probe cylinder-probe piston of the probe is determined by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the probe cylinder-probe piston.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s when the probe movable portion does not deviate outward from the probe body is defined as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통상적으로 시험공(Ht)의 76.2㎜ 직경의 보어 홀에서 실행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의 프루브는 60㎜ 내지 73㎜ 의 최소 이격 거리를 구비함으로써, 시험공(Ht) 내측벽과의 간섭없이 시험공(Ht) 내측으로의 프루브 진입을 원활한다. 여기서, 프루브의 최소 이격 거리가 60㎜ 보다 작은 경우 하기되는 프루브의 최대 이격 거리를 가능하게 하는 프루브 실린더-프루브 피스톤 구조를 취하기 어렵고, 최소 이격 거리가 73㎜보다 큰 경우 시험공(Ht) 내부로의 진입이 어렵거나 불가능해진다.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is typically performed in a bore hole of 76.2 mm diameter of the test hole (Ht), the probe of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60 mm to 73 mm, Ht) Smooth entry of probe into the test hole (Ht)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inner wall. Here, it is difficult to take a probe cylinder-probe piston structure that enables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to be described when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is smaller than 60 mm, and into the test hole Ht when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is larger than 73 mm. It is difficult or impossible to enter.

또한, 프루브는 76.2㎜ 내지 102㎜의 최대 이격 거리를 가짐으로써, 시험공 내측벽과의 원활한 접촉을 통한 전단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즉, 시험공(Ht)의 시추는 표토/풍화층을 거쳐 암반층까지 이루어지고, 시추 과정에서 통상적으로 시험공의 내측벽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험공(Ht)의 상단 표토/풍화층에 케이싱이 장착되는데, 케이싱의 장착을 위하여 시험공(Ht)에 대하여 설정된 내경보다 큰 내경으로의 굴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의 프루브는 76.2㎜ 내지 102㎜의 최대 이격 거리를 가짐으로써, 케이싱의 장착에 의하여 확대된 내경을 갖는 시험공의 내측벽 부위에서도 전단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프루브의 최대 이격 거리가 76.2㎜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 시험공 내측벽에 원활한 수직력을 제공하기 어렵고, 프루브의 최대 이격 거리가 102㎜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프루브 실린더-프루브 피스톤 구조의 프루브에 대한 최소 이격 거리가 시험공의 규격 내경(76.2㎜)보다 커지게 되어 시험공으로의 프루브 삽입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프루브는 60㎜ 내지 73㎜의 최소 이격 거리와, 76.2㎜ 내지 102㎜의 최대 이격 거리 값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규격에서도 보다 정확한 전단 응력 시험을 가능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probe has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76.2 mm to 102 mm, thereby enabling shear test through smooth contact with the test hole inner wall. That is, the drilling of the test hole (Ht) is made through the topsoil / weather layer to the rock layer, and in the drilling process, the casing is usually applied to the top surface / weather layer of the test hole (Ht)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inner wall of the test hole. In order to mount the casing, excavation to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et for the test hole Ht is performed. Therefore, the probe of the in-situ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76.2 mm to 102 mm, thereby enabling shear test even in the inner wall portion of the test hole having the inner diameter enlarged by the mounting of the casing.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has a value smaller than 76.2 mm,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smooth vertical force to the inner wall of the test hole, and when the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the probe has a value larger than 102 mm,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probe with the probe cylinder-probe piston structur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standard bore diameter (76.2 mm), making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insert the probe into the test hole. Therefore, the prob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60 mm to 73 mm and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value of 76.2 mm to 102 mm to enable more accurate shear stress testing in various standards.

상기 실시예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고안이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본 고안의 프루브 가동부 및 프루브 고정부에 배치되는 프루브 탄성부는 단일의 스트립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시험공의 내측면을 향한 일면 상에 다수의 돌기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프루브 탄성부를 구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above embodiments are exampl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obe elastic part disposed on the probe moving part and the probe fix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strip type, and in some cases, the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on one surface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test hol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range including the probe elastic por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갖는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다음과같은 효과를 갖는다. In-hous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시험공의 내측면과 맞닿는 부위에 프루브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프루브 가동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수직 응력 에 의하여 시험공에 작용되는 전단 응력이 시험공의 내측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안정적인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First,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probe elastic portion in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the shear stress acting on the test hole by the vertical stress transmitted through the probe movable portion is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situ shear test apparatus that can be formed uniformly with respect to a stable test.

둘째,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복수 개의 절편 타입으로 구성되는 프루브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마모 내지 파손된 부위만의 교체가 가능하여 프루브의 유지 보수 관리의 향상된 용이성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Second, in-situ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obe elastic por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pieces type can be replaced only the worn or damaged parts may provide improved ease and economics of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the probe. .

셋째,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적절한 설계 변경을 통하여 규격화된 76.2mm 규격의 시험공 뿐만 아니라 89mm 이상 규격의 시험공에 대하여도 시험 할 수도 있는 등 시험 환경에 따른 우수한 적용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Third, the in-house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xcellent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test environment, such as testing not only 76.2mm standardized test holes but also 89mm or larger standard test holes through appropriate design changes. You may.

넷째, 본 고안에 따른 공내 전단 시험 장치는, 경사진 측면을 구비하는 프루브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수직 응력에 의한 가압 전단 이동시 탄성 변형에 따른 다른 구성요소와의 인근지층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도 있다. Fourth, in-situ shear te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probe elastic portion having an inclined side surface may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adjacent strata with other components due to elastic deformation during the pressure shear movement by the vertical stress.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들을 참고로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attached.

Claims (5)

동력부;Power unit; 전단력을 시험하기 위함 시험공 내에 삽입 배치되고 시험공의 내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동력부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프루브 가동부를 구비하는 프루브;A probe having a probe movable portion inserted into the test hole for testing the shear force and movable with power from the power unit to abut against an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시험공 내에 배치되는 상기 프루브를 지지하되, 상기 프루브와 시험공 내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전단 응력 생성을 가능하게 하는 전단 응력 생성부;를 구비하고,And a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supporting the probe disposed in the test hole, the shear stress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shear stress provided between the probe and the test hole inner surface. 상기 프루브의, 시험공 내측면과 맞닿는 부분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프루브 탄성부가 구비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An in-shear shear test apparatus of the probe, which is provided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probe elastic portion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st hol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루브 탄성부는 경사진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The probe elastic portion of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inclined side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루브 탄성부는 복수 개의 절편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The probe elastic portion of the in-hole shear tes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ec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프루브는 프루브 바디를 구비하되,The probe has a probe body, 상기 프루브 바디는: The probe body is: 상기 프루브 바디의 내부에 형성되는 프루브 실린더와, A probe cylinder formed inside the probe body; 상기 프루브 실린더 내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프루브 피스톤과,A probe piston movably disposed in the probe cylinder, 상기 프루브 피스톤과 상기 프루브 가동부를 연결하는 프루브 커넥팅 로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And a probe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he probe piston and the probe movable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루브는, 60㎜ 내지 73㎜의 최소 이격 거리와 76.2㎜ 내지 102㎜의 최대 이격 거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내 전단 시험 장치.The probe has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of 60 mm to 73 mm and a maximum separation distance of 76.2 mm to 102 mm.
KR2020070003001U 2007-02-21 2007-02-21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KR20044237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01U KR200442378Y1 (en) 2007-02-21 2007-02-21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001U KR200442378Y1 (en) 2007-02-21 2007-02-21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23U KR20080003523U (en) 2008-08-26
KR200442378Y1 true KR200442378Y1 (en) 2008-11-05

Family

ID=41491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001U KR200442378Y1 (en) 2007-02-21 2007-02-21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37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5721A (en) * 2018-05-16 2018-10-12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Hydraulic engineering rock-boring original position shearing test guide device and test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2484B (en) * 2013-07-15 2015-08-05 西南交通大学 The foundation coefficient K of high-speed railway subgrade coarse-grained soil filler 30value evaluation method
KR101471791B1 (en) * 2013-12-09 2014-12-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Soil testing device and method
CN105067435A (en) * 2015-08-07 2015-11-18 西南交通大学 Soil in-suit boring shearing testing device
KR101966190B1 (en) * 2018-11-15 2019-04-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Borehole Shear Test having Cleaner of Shear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5721A (en) * 2018-05-16 2018-10-12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Hydraulic engineering rock-boring original position shearing test guide device and tes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523U (en)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yrne et al. Monotonic laterally loaded pile testing in a stiff glacial clay till at Cowden
KR200442378Y1 (en) Apparatus for testing shear stress in test bore hole
CN103499268B (en) The space relative deformation measurement mechanism of dish and lower wall in a kind of in-situ rock joint plane
Lam Ground movements due to excavation in clay: physical and analytical models
CN100535585C (en) Sleeve bore multidot tensiometer
KR101745153B1 (en) Earth pressure balance TBM test apparatus for TBM design and research
KR100782105B1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shear strength on the sides of a test borehole
Lam et al. Understanding ground deformation mechanisms for multi-propped excavation in soft clay
RU2446251C1 (en) Method and device to test soils with static and dynamic load
Lam et al. A new apparatus for modelling excavations
US20210324704A1 (en) Designing a Wellbore Cement Sheath in Compacting or Subsiding Formations
Standing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unnelling on existing tunnels
CN108612107B (en) Simulation method for excavation process of cantilever type retaining structure foundation pit
Al-Abri et al. Analytical model for stick–slip phenomenon in solid tubular expansion
CN111691879B (en) Stratum whipability evaluation method
CN100535584C (en) Sleeved multi-point drilling extender
Castelli et al. Monitoring of full scale diaphragm wall for a deep excavation
CN205712219U (en) A kind of waterproof foundation pit support device of scalable based on excavation of foundation pit model test
CN105735377A (en) Adjustable waterproof foundation pit supporting device based on foundation pit excavation model test
CN113417573B (en) Experimental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stratum adaptability of static pushing type rotary guiding rib
CN108560616B (en) Simulation method for excavation process of single-support structure foundation pit
de Lillis et al. Numerical modelling strategy to accurately assess lining stresses in mechanized tunneling
Coop et al. The axial capacity of driven piles in clay
CN209858346U (en) In-situ experiment device for rock-soil body in rock-soil drilling
JP4864580B2 (en) Ground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