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912Y1 - 등기구 구조 - Google Patents

등기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912Y1
KR200441912Y1 KR2020080003047U KR20080003047U KR200441912Y1 KR 200441912 Y1 KR200441912 Y1 KR 200441912Y1 KR 2020080003047 U KR2020080003047 U KR 2020080003047U KR 20080003047 U KR20080003047 U KR 20080003047U KR 200441912 Y1 KR200441912 Y1 KR 200441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ire
lamp
inner casing
power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현
Original Assignee
(주)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이엘에스
Priority to KR2020080003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9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 F21S8/022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of recess-mounted type, e.g. downlighters intended to be recessed in a floor or like ground surface, e.g. pavement or fals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4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changing light source, e.g. turr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9Outdoor lighting of gard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상에 설치되는 수목이나 조형물 등에 다양한 색과 밝기를 갖는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중에 매입설치되는 등기구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등기구와 또 다른 등기구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매입된 등기구의 수리 및 교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수개의 등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등기구 구조로서, 특정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 내부로 인입되는 제1전원선과, 상기 등기구와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 외부로 인출되는 제2전원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선을 등기구 내부로 인입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측에는 제1인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전원선을 등기구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의 타측에는 제1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판 저면부에는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을 독립적으로 고정지지하는 제1케이블그랜드 및 제2케이블그랜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의 상면부에는 제1전원선과 램프 그리고 램프와 제2전원선을 각각 독립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판은 내부케이싱 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를 제공한다.
외부케이싱, 내부케이싱, 램프, 케이블그랜드, 등기구

Description

등기구 구조 { STRUCTURE OF LIGHTENING INSTRUMENT }
본 고안은 지상에 설치되는 수목이나 조형물 등에 다양한 색과 밝기를 갖는 조명을 제공하는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중에 매입설치되는 등기구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등기구와 또 다른 등기구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간소화하는 동시에 매입된 등기구의 수리 및 교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기구는 할로겐 램프나 LED 램프와 같은 발광수단이 등기구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다양한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실내의 천정에 부착되어 실내를 밝히거나, 실외의 지중에 매설되어 수목이나 조형물 등을 밝히는 역할을 한다.
특히, 지중에 매입설치되는 등기구는 야간에 도심의 거리나 공원 등의 수목, 조형물 등에 다양한 색과 밝기를 갖는 조명을 제공함으로써, 수목이나 조형물 등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데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등기구 특히, 지중에 매입되는 등기구는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바꾸어 빛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먼저 일정 깊이로 땅을 파서 외부케이싱을 매설하고, 그 내측으로 램프 및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선이 연결된 내부케이싱을 삽입한 후 상기 내부케이싱의 최상단에 강화유리를 덮어줌에 의해 설치가 완료되며 전원공급에 의해 빛을 조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에는 이러한 종래 등기구(1)의 사용예가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등기구(1)는 지중에 매입되는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 내부에 위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내부케이싱 및 램프를 덮는 강화유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등기구(1)는 통상 해가 져 어두워진 저녁 무렵에 점등되고 다시 날이 밝으면 소등됨에 따라, 어둠으로 인하여 사물의 분간이 어려운 시간대에 수목이나 조형물 등에 집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것으로, 각종 수목이나 조형물 등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중의 임의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매입 설치되어, 조명 대상물에 직접 또는 간접조명을 제공함에 따라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여러 각도에서 다양한 심미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등기구(1)는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등기구(1) 내로 전원선(C)이 삽입 인출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케이블그랜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케이블그랜드를 통해 전원선이 입출입 됨에 따라 전원선이 묶이고 꼬이는 등 전원선이 흐트러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등기구(1)와 또 다른 등기구(1') 간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원선을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박스(2)를 별도로 구비한 후 이 조인트박스(2)를 통해 전원공급 전원선(C)이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일정 간격을 두고 매입설치된 각 등기구를 동시에 점등 되도록 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조형물을 밝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종래의 등기구(1)는 등기구(1)와 또 다른 등기구(1')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등기구(1, 1')에 맞는 조인트박스(2)가 필요하였으며, 상기 조인트박스(2)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비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등 원가가 상승되는 주요원인이 되어 왔다.
또한, 지중에 매립되는 등기구(1)의 경우 상기 조인트박스(2)가 등기구(1)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등기구(1) 및 조인트박스(2)를 매설하기 위해 매입홀의 크기를 넓게 형성함으로서 설치하기가 번거로웠으며, 방수를 위해 상기 조인트박스(2)를 완전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수리 및 보수시에도 전원공급 전원선(C)을 상기 조인트박스(2)에 삽입하기가 매우 난해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조인트박스의 필요없이 다수개의 등기구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한편, 등기구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전원선이 묶이거나 꼬이는 등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전원선을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등기구를 지중에 매설시 쉽고 간편하게 매설할 수 있으며, 수리 보수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등기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과, 상기 외부케이싱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케이싱과, 상기 내부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수개의 등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등기구 구조로서, 지중에 매립설치되는 특정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 내부로 인입되는 제1전원선과, 상기 등기구와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 외부로 인출되는 제2전원선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선을 등기구 내부로 인입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의 일측에는 제1인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전원선을 등기구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의 타측에는 제1인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판 저면부에는 제1전원선과 제2전원선을 독립적으로 고정지지하는 제1케이블그랜드 및 제2케이블그랜드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의 상면부에는 제1전원선과 램프 그리고 램프와 제2전원선을 각각 독립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가 구비되되, 상기 램프의 수리 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램프를 지지하는 램프지지대가 나사결합되게 내부케이싱의 몸체 중반부에 결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의 수리 보수가 가능하도록 내부케이싱의 몸체와 내부케이싱의 바닥판은 나사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등기구 구조는 별도의 조인트박스의 필요없이 다수개의 등기구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상기 내부케이싱의 바닥판에 단자대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조인트박스가 필요치 않아 상기 조인트박스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전원선이 등기구 내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인입공 및 인출공을 각각 형성하고 이 인입공과 인출공에 각각 케이블그랜드를 구비하여 전원선이 묶이거나 꼬이는 등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등기구와 단자대가 일체형으로 규격에 맞추어 생산되므로 작업현장에서 설치 작업시 발생하는 자재 손실의 절감과 함께, 등기구 설치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므로 설치 인건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배선의 수리 보수시에도 종래의 등기구는 하부에 별도의 커넥트가 구비된 조인트박스를 매설하기 때문에 등기구와 조인트박스를 함께 인출함으로써, 수리 및 보수하기가 번거로웠으나, 본 고안은 전선과 전선을 연결할 하는 단자대를 내부케이싱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내부케이싱만 인출해 수리 및 보수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일반 가정의 실내 천정에 부착되어 실내를 밝히거나, 지중에 매설되어 수목이나 조형물에 빛을 밝혀 이를 지켜보는 사람들의 심미감을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등기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실내에 부착되는 등기구 및 실외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연결되어 빛을 조사하는 등기구 등 다양한 등기구에 사용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특히, 지중에 매설되는 매입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등기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에 매설되는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2 의 A-A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는 크게 외부케이싱(110), 내부케이싱(120), 강화유리(130), 램프(142)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142)와 연결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100) 내부로 인입되는 제1전원선(C1)과, 상기 등기구(100)와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100) 외부로 인출되는 제2전원선(C2)을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싱(110)은 원통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내부케이싱(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용공간이 형성된 형태로서, 상기 내부케이싱(120)을 고정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케이싱(120) 및 후술할 내부케이싱(120)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외부케이싱(110)은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케이싱(120), 강화유리(130), 램프(142) 등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외부케이싱(110)의 하부 일측에는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후술하는 램프(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선(C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인입공(11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인입된 제1전원선(C1)을 통해 램프(140)에 전달한 후 외부케이싱(110)의 외부로 제2전원선(C2)이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제1인출공(114)이 형성된다.
내부케이싱(120)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22)와 바닥판(1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케이싱(110)과 같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램프(142) 및 강화유리(130) 등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몸체(122)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강화유리(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122a)이 형성되고, 몸체(122)의 중반부에는 제1전원선(C1)에 의해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발광부(140)가 나사결합되게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턱이(122b) 마련된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싱(120)의 몸체(122)와 바닥판(124)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몸체(122)와 바닥판(124)을 분리할 수 있도록 다수의 나사(S), 바람직하게는 전후ㆍ좌우에 4개의 나사(S)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몸체(122)와 바닥판(124)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램프(142) 및 구성요소의 수리보수시 쉽고 간편하게 보수 및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케이싱(120)의 하부 바닥판(124) 일측에는 상기 제1전원 선(C1)이 인입될 수 있도록 제2인입공(124a)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인입공(124a)과 인접한 위치에 또 다른 등기구(200)에(도 5 참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전원선(C2)이 내부케이싱(120)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인출공(12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판(124)의 상면에는 상기 제2인입공(124a)을 통해 인입되는 제1전원선(C1)과 램프(142) 그리고 램프(142)와 제2전원선(C2)을 각각 독립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150)가 구비된다.
상기 단자대(150)는 전원을 공급받아 램프(142)로 전원을 연결하는 동시에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1전원선(C1)과 램프(142), 그리고 램프(142)와 제2전원선(C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 단자대본체(152)와, 상기 제1전원선(C1)과 램프(142) 그리고 제2전원선(C2)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단자대본체(152)의 상면에 일정한 등간격을 갖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구(154))와, 상기 단자대본체(152)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각 전원선(C1, C2)이 삽입 인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156a)이 형성된 덮개(1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싱(120)의 바닥판(124) 저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닥판(124)을 관통하는 제2인입공(124a)과 제2인출공(124b)에는 상기 단자대(1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원선(C1)과, 제2전원선(C2)을 고정시키고 이물질이 침투 하지 못하도록 하는 케이블그랜드(160)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케이블그랜드(160)는 각 전원선(C1, C2)이나 관종류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염수나 약산 등이 약산 등과 같은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전원선(C1, C2)을 고정시킨 부위를 완전 밀폐시키고 아울러 전원선(C1, C2)의 직경이 다소 크거나 작더라도 구애받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인입공(124a)에 고정설치되는 제1케이블그랜드(162)와, 상기 제2인출공(124b)에 고정설치되는 제2케이블그랜드(16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케이블그랜드(160)는 외부케이싱(110)의 제1인입공(112) 및 제 1 인출공(114)을 통해 내부케이싱(12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해 내부의 램프(140), 단자대(174) 등을 보호하여 부식 및 합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 전원선(C1, C2)을 견고히 지지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는 상기 내부케이싱(120) 내에 단자대(150)를 마련하고 이 단자대(150)에 독립되게 접속된 제1전원선(C1)과 제2전원선(C2)을 통해 다수의 등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전원선(C1)과 제2전원선(C2)이 내부케이싱(102)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제2인입공(124a)에 고정설치되는 제1케이블그랜 드(162)와, 제2인출공(124b)에 고정설치되는 제2케이블그랜드(164)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외부 이물질에 의해 등기구(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전원선(C1)과 제2전원선(C2)이 인입 또는 인출되는 인입공(112, 124a)과 인출공(114, 124b)을 각각 형성시켜 각 전원선(C1, C2)이 묶이거나 꼬이는 등 흐트러져 지져분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램프(142) 및 단자대(150)의 이상발생시 내부케이싱(120)의 몸체(122)와 바닥판(124)을 분리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수리 및 보수시에도 쉽고 간편하게 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싱(120)의 몸체(122) 상부에 결합되는 강화유리(13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원반형으로서, 상기 몸체(122) 상부에 형성된 안착턱(122a)에 안착되어 상기 내부케이싱(120) 내에 구성된 램프(142), 단자대(150), 케이블 그랜드(160) 등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130)의 하부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케이싱(120) 내의 중반부에는 상기 제1전원선(C1)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램프(142)와, 상기 내부케이싱(120) 몸체(122) 중반부에 형성된 결합턱(122b)에 나사결합되는 원형 판 형상의 램프지지대(144)와, 상기 램프지지대(144)의 상면 중앙에 위치되어 상기 램프(142)와 램프지지대(144)를 연결하는 소켓(146)이 포함된 발광부(140)가 위치된다.
상기 발광부(140)의 램프(142)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일반 백열전구와 같은 램프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나, 본원 고안에서는 전력소모가 적은 LED램프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130)와 램프(142) 사이에는 빛의 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조절구와(170), 상기 램프(142)를 감싸도록 위치되어 램프로(142)부터 하방으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방으로 진행토록 유도하는 반사갓(18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조절구(170)는 상면에 위치되는 강화유리(13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명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조절편(172)이 선회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갓(180)은 표면에 은필름 또는 알루미늄이 도장된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중앙부에 관통공(182)을 형성시켜 상기 램프(142)가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빛을 되살려 밝기를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향조절구(70) 및 반사갓(180)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의 구조 및 효과 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 제1전원선(C1)을 외부케이싱(110)의 하부 일측벽에 형성된 제1인입공(112)을 통해 인입한 후 제1케이블그랜드(162)가 고정 설치된 바닥판(124)의 제2인입공(172a)을 거쳐 내부케이싱(120) 내부에 설치된 단자대(174)와 연결한다.
이후, 제1전원선(C1)과 연결된 단자대(174)는 램프(142)로 전원을 전달하여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등기구(100)와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200)에 전원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2전원선(C2)과 연결한다.
이후, 제2전원선은 제2케이블그랜드가 고정설치된 제2인출공을 통해 인출한후 외부케이싱을 거쳐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와 연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는 내부케이싱(120) 내에 다수의 등기구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단자대(150)를 구비함으로써, 기존 다수의 등기구를 연결하기 위해 필요하였던 조인트박스가 필요하지 않으며, 각 전원선(C1, C2)이 내부케이싱(120)으로 인입 인출되는 제2인입공(124a)과 제2인출공(124b)을 각각 형성한 후 이 제2인입공(124a)과 제2인출공(124b)을 밀폐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는 제1케이블그랜드(162)와 제2케이블그랜드(164)를 구비함으로써, 각 전원 선(C1, C2)이 묶이거나 꼬이이는 등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선정리 깔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별도의 조인트박스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등기구를 지중에 매설 및 보수작업시 쉽고 간편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지중매입등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등기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에 매설되는 등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도 2 의 A-A선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 및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 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200 : 등기구 110 : 외부케이싱
112 : 제1인입공 114 : 제1인출공
120 : 내부케이싱 122 : 몸체
122a : 안착턱 122b : 결합턱
124 : 바닥판 124a : 제2인입공
124b : 제2인출공 130 : 강화유리
140 : 발광부 142 : 램프
144 : 램프지지대 146 : 소켓
150 : 단자대 152 : 단자대본체
154 : 연결구 156 : 덮개
156a : 통공 160 : 케이블그랜드
162 : 제1케이블그랜드 164 : 제2케이블그랜드
170 : 방향조절구 172 : 조절편
180 : 반사갓 182 : 관통공
C1 : 제1전원선 C2 : 제2전원선
S : 나사

Claims (2)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외부케이싱(110)과, 상기 외부케이싱(110)의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내부케이싱(120)과, 상기 내부케이싱(120) 내부에 설치되며 전원 공급에 따라 빛을 발산하는 램프(142)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수개의 등기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등기구 구조로서,
    지중에 매립설치되는 특정 등기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100) 내부로 인입되는 제1전원선(C1)과, 상기 등기구(100)와 인접한 또 다른 등기구(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등기구(100) 외부로 인출되는 제2전원선(C2)이 구비되고, 상기 제1전원선(C1)을 등기구(100) 내부로 인입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110)의 일측에는 제1인입공(112)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전원선(C2)을 등기구(10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 상기 외부케이싱(110)의 타측에는 제1인출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120)의 바닥판(124) 저면부에는 제1전원선(C1)과 제2전원선(C2)을 독립적으로 고정지지하는 제1케이블그랜드(162) 및 제2케이블그랜드(164)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바닥판(124)의 상면부에는 제1전원선(C1)과 램프(142) 그리고 램프(142)와 제2전원선(C2)을 각각 독립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대(150)가 구비되되, 상기 램프(142)의 수리 보수가 가능하도록 상기 램프(142)를 지지하는 램프지지대(144)가 나사결합되게 내부케이싱의 몸체(122) 중반부에 결합턱(122b)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단자대(150)의 수리 보수가 가능하도록 내부케이싱(120)의 몸체(122)와 내부케이싱(120)의 바닥판(124)은 나사(S)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기구 구조.
  2. 삭제
KR2020080003047U 2008-03-07 2008-03-07 등기구 구조 KR200441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047U KR200441912Y1 (ko) 2008-03-07 2008-03-07 등기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047U KR200441912Y1 (ko) 2008-03-07 2008-03-07 등기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912Y1 true KR200441912Y1 (ko) 2008-09-18

Family

ID=4162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047U KR200441912Y1 (ko) 2008-03-07 2008-03-07 등기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9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780B2 (en) Directional accent luminaire with junction box
KR100948820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및 조명시스템
CN104976573A (zh) 装饰性照明设备
KR100936942B1 (ko) 조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0992555B1 (ko) 조명기구의 조사각도 조절장치
US7329023B2 (en) Low-power illumination apparatus
EP1460333A1 (en) A projector for swimming pools emitting selectively variable coloured light
CN204437792U (zh) 一种人体红外线感应led灯
KR200437241Y1 (ko) 조명등 구조
KR200441912Y1 (ko) 등기구 구조
KR20210101475A (ko) 비대칭 지중등
US20080259597A1 (en) Lighting Fixture Adapter
JP2008140651A (ja) 地中埋込照明器具
KR101221363B1 (ko) 엘이디램프 등기구용 바디 프레임
KR200322848Y1 (ko) 엘이디모듈을 이용한 등기구
JP4750049B2 (ja) 配線ボックス、及び照明器具設置装置
KR200455694Y1 (ko) 경관용 조명장치
US20140215707A1 (en) Water basin with illuminated edge stones
CN205299201U (zh) 一种变色灯串
CN201344428Y (zh) 一种洗墙灯
CN205664298U (zh) 一种配光元件及照明装置
KR200448262Y1 (ko) 조명기구
US20070109771A1 (en) Recessed pool/spa lighting
CN217710476U (zh) 基于亚克力棒的装饰照明栏杆
KR100927482B1 (ko) 장식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