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1860Y1 - 관절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관절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1860Y1
KR200441860Y1 KR2020070002911U KR20070002911U KR200441860Y1 KR 200441860 Y1 KR200441860 Y1 KR 200441860Y1 KR 2020070002911 U KR2020070002911 U KR 2020070002911U KR 20070002911 U KR20070002911 U KR 20070002911U KR 200441860 Y1 KR200441860 Y1 KR 2004418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joint
hinge
support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490U (ko
Inventor
오근용
Original Assignee
오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근용 filed Critical 오근용
Priority to KR2020070002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86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3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8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8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06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kne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34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two orthogonal piv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81Protectors for articul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절 부상을 치료하거나 교정하기 위한 경우에 관절을 굽히거나 펼때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인체에 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관절의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고 착용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절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절용 지지구는, 제1고정부재(22)와 제2고정부재(3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된 제1지지부재(21)와 제2지지부재(31)의 각 타단이 힌지 연동부(7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관절용 지지구에 있어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며, 중앙부의 힌지공(42c,42g), 상기 힌지공(42c,42g) 외측으로의 굴곡진 작동공(51a,51d), 일측 하단부의 제1연결공(55a,55d)이 각각 천공되고 서로 대향되어 위치하는 상,하판(50,60); 상기 제1고정부재(2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은 상기 상,하판(50,60)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함께 회동하는 제1지지부재(21); 상기 제2고정부재(3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의 일측에 힌지공(42e)이 천공되고, 상기 각 상,하판(50,60)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힌지공(42e)을 관통한 힌지축(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타단의 타측에 제2연결공(57a)이 천공된 제2지지부재(31); 상기 제1,2연결공(55a,55d,57a)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21,31)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작동공(51a,51d)에서 일정한 궤적으로 작동하는 제1,2연결링크(58,59);및 상기 상,하판(50,60)의 작동공(51a,51d)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된 다수개의 각도 조절공(52a,52d), 상기 제2지지부재(31)의 회동시 상기 각도 조절공(52a,52d)에 일치되도록 제2지지부재(31)의 각 타단부의 상,하부에 각각 천공된 각도 조절홈(48a,48b) 및 서로 일치하는 각도 조절공(52a,52d)과 각도 조절홈(48a,48b)을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힌지축(42) 상에 유연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각도 조절핀(45a,45b)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지지구에 의하면 힌지축의 양측 지지부재를 인체 관절부분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을 자연스럽게 이룰 수 있고, 덮개 부분을 개선하여 일정한 회전 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관절용 지지구, 지지대, 각도 조절부, 관절 보호.

Description

관절용 지지구{Articulation support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관절용 지지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관절용 지지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관절용 지지구의 힌지 연동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관절용 지지구의 힌지 연동부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 부재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절용 지지구 2 : 제1고정부재 3 : 제2고정부재
4 : 힌지축 5 : 제1지지부재 6 : 제2지지부재
7 : 각도 조절공 8 : 각도 조절핀 9 : 상판
10 : 하판 11 : 제1보호대 12 : 제2보호대
20 : 관절용 지지구 21 : 제1지지부재 22 : 제1고정부재
23 : 고정 브라켓 24 : 고정 걸림쇠 25 : 고정 밸트
26 : 제1보호대 27 : 제1체결공 31 : 제2지지부재
32 : 제2고정부재 33 : 고정 브라켓 34 : 고정 걸림쇠
35 : 고정밸트 36 : 제2보호대 37 : 제2체결공
38 : 엠보 39 : 쿠션부재 40 : 각도 조절부
42 : 힌지축 42a~42g : 힌지공 43 : 덮개
44 : 덮개홈 45 : 각도 조절핀 46 : 간격유지부재
47 : 돌기 48 : 각도 조절홈 50 : 상판
51a~51d : 작동공 52a~52d : 각도 조절공 55 : 제1연결축
55a~55d : 제1연결공 56 : 고정리벳 56a~56e : 고정공
57 : 제2연결축 57a~57c : 제2연결공 58 : 제1연결링크
59 : 제2연결링크 60 : 하판 61 : 링크연결축
70 : 힌지 연동부
본 고안은 관절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절 부상을 치료하거나 교정하기 위한 경우에 관절을 굽히거나 펼때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고 인체에 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관절의 회전을 원활히 할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하고 착용시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절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절용 지지구는 인체의 다리나 팔 등에 부상을 입거나, 수술 후 교정을 위한 지지용도로 사용된다. 이때 관절의 움직임을 일정 각도로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해당 관절부위에 지지대나 보호용구를 부착시켜 관절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절용 지지구를 착용했을 경우에는 거부감이 생기고, 거동이 부자연스럽게 된다. 또한, 관절의 회전 경로는 단순한 원호를 따르지 않고 인체 구조의 특성에 따른 궤적을 따르게 된다.
도 1은 종래 관절용 지지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관절용 지지구(1)는 대퇴골이 위치하는 허벅지에 착용하는 제1고정부재(2)와 경골과 비골이 위치한 장단지에 착용하는 제2고정부재(3)와, 상기 제1,2고정부재(2,3)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부가 힌지축(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2지지부재(5,6)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관절용 지지구(1)는 상기 제1고정부재(2)를 허벅지에 착용하되, 상기 힌지축(4)이 관절 중앙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착용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3)를 장단지에 착용한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거나 펼치면서 보행을 하더라도 신체의 하중이 무릎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무릎을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관절용 지지구(1)는 상기 제1지지부재(5)와 제2지지부재(6)가 힌지축(4)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기 힌지축(4)의 양측의 제1,2지지부재(5,6)가 일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실제로 무릎의 회전시에 허벅지와 종아리의 위치와 불일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사람의 다리 구조에 있어서 허벅지 부분과 종아리 부분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관절용 지지구(1)는 관절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각도 조절공(7)에 각도 조절핀(8)을 삽입함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핀(8)을 끼워둔 상 태에서 무릎의 회전운동을 할 때, 각도 조절핀(8)을 제대로 끼워진 상태로 고정시키는 장치가 없어서 각도 조절핀(8)이 쉽게 빠져 나가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관절용 지지구(1)를 인체에서 착탈하는 과정에서 제1,2고정부재(2,3)의 밸트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착탈시마다 밸트의 길이를 줄이고 늘려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2고정부재(2,3)를 인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는 피부와 닿는 부분에 압박이 가해져 고통을 주거나 혈액순환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관절용 지지구(1)는 착용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다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허벅지와 닿는 부분에 제1보호대(11), 정강이와 닿는 부분에 제2보호대(12)를 구비하고 있으나, 착용시 불편함을 주거나 자체 하중에 의해 관절용 지지구(1)가 밑으로 처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절의 굽힘과 펼침운동에 부합되는 운동이 이루어지며, 관절의 굽힘과 펼침 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관절용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관절용 지지구를 관절부위에 착용하고 동작함에 있어서 탈부착이 용이하고, 피부와 닿는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착용시 밀착성이 우수한 관절용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관절용 지지구는, 제1고정부재(22)와 제2고정부재(3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된 제1지지부재(21)와 제2지지부재(31)의 각 타단이 힌지 연동부(7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관절용 지지구에 있어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며, 중앙부의 힌지공(42c,42g), 상기 힌지공(42c,42g) 외측으로의 굴곡진 작동공(51a,51d), 일측 하단부의 제1연결공(55a,55d)이 각각 천공되고 서로 대향되어 위치하는 상,하판(50,60); 상기 제1고정부재(2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은 상기 상,하판(50,60)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함께 회동하는 제1지지부재(21); 상기 제2고정부재(3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의 일측에 힌지공(42e)이 천공되고, 상기 각 상,하판(50,60)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힌지공(42e)을 관통한 힌지축(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타단의 타측에 제2연결공(57a)이 천공된 제2지지부재(31); 상기 제1,2연결공(55a,55d,57a)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21,31)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작동공(51a,51d)에서 일정한 궤적으로 작동하는 제1,2연결링크(58,59);및 상기 상,하판(50,60)의 작동공(51a,51d)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된 다수개의 각도 조절공(52a,52d), 상기 제2지지부재(31)의 회동시 상기 각도 조절공(52a,52d)에 일치되도록 제2지지부재(31)의 각 타단부의 상,하부에 각각 천공된 각도 조절홈(48a,48b) 및 서로 일치하는 각도 조절공(52a,52d)과 각도 조절홈(48a,48b)을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힌지축(42) 상에 유연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각도 조절핀(45a,45b)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핀(45a,45b)의 상면으로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각도 조절핀(45a,45b)의 각도 조절공(52a~52d)에의 삽입이 그 측면으로 형성된 덮개홈(44)의 통로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덮개(43)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고정부재(22,32)는 단단한 재질의 제1,2보호대(26,36), 상기 제1,2보호대(26,36)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3,33), 상기 고정 브라켓(23,33)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리부분에 걸림연결되어 탈착 가능한 고정 걸림쇠(24) 및 상기 고정 걸림쇠(24)에 연결되어 길이조절 가능한 고정밸트(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부재(21,31)의 내측면과 양측 하판(60)의 내측면 및 고정밸트(25,35)의 길이조절부(28,38)의 내측면으로 쿠션부재(39)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호대(36)의 중앙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엠보(3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관절용 지지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관절용 지지구(20)는 상하방향의 양끝단에 제1고정부재(22)와 제2고정부재(32)가 위치하여 관절용 지지구(20)를 착용시 관절의 상,하부를 고정시키게 된다. 제1,2고정부재(22,32)에는 각각 제1지지부재(21)와 제2지지부재(31)가 리벳으로 고정된다. 제1고정부재(22)는 허벅지 하측 둘레를 감싸 지지하게 되는 제1보호대(26)와 그 상방향으로 고정 브라켓(23)이 고정되어 고정 밸트(25)와 연결되는 고정 걸림쇠(24)를 상기 고정 브라켓(23)에 걸고 빼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2보호대(36)는 인체의 정강이 부분을 보호하고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제2보호대(36)에는 중앙부위에 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엠보(38)를 형성하여 정강이 부분에 위치한 삼각형 형상의 경골을 감싸도록 형성함으로써 관절용 지지대(20)의 착용시 밀착성을 향상시키고 처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지지부재(21)는 양쪽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제1고정부재(22)에 고정되고, 타단은 고정 리벳(56)으로 고정되어 상판(50)에 연결된다. 제2지지부재(31) 또한 양쪽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제2고정부재(32)에 고정되고, 타단은 힌지축(42)에 힌지 결합된다.
도 3은 본 고안 관절용 지지구의 힌지 연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힌지 연동부(70)는 관절용 지지구(20)의 착용시 관절의 양측에 위치하여 관절의 회전시 일정한 각도로 함께 회전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31)를 연결시키는 부분이다.
힌지 연동부(70)는 제1,2지지부재(21,31)의 외측방향으로는 상판(50)과 상판 받침대(50a), 각도 조절부(40)가 위치하고, 제1,2지지부재(21,31)의 내측방향으로 는 하판(60)과 하판 받침대(60a)가 위치한다.
상기 상판(50), 상판 받침대(50a)와 하판(60), 하판 받침대(60a)는 대향하는 위치에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상,하판 받침대(50a,60a)는 각각 상,하판(50,60)의 회전시 소음을 방지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판(5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판(50)은 그 일측단에 상하로 형성된 고정공(56a)과 제1지지부재(21)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공(56c)에 고정 리벳(56)을 통해 고정되어 일체로 된다.
상판(50)의 중앙에는 힌지공(42c)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42c)의 외측으로는 굴곡된 작동공(51a)이 천공되어 있다. 작동공(51a)은 힌지 연동부(70)의 회전운동시 상기 작동공(51a)의 경로를 따라 제1,2연결링크(58,59)가 이동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작동공(51a)의 양끝단은 힌지 연동부(70)가 회전할 수 있는 최대 각도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제1연결링크(58)는 그 끝단에 형성된 제1연결공(55c)에 관통되는 제1연결축(55)을 통해 힌지결합되고, 제2연결링크(59)의 일단은 상기 제1연결링크(58)의 타 끝단 양측의 링크결합공(61a,61b,61c)에 관통되는 링크결합축(61)에 힌지결합되고, 제2연결링크(59)의 타단은 제2연결공(57b,57c)과 제2지지부재(31)의 타단에 형성된 제2연결공(57a)에 제2연결축(57)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지지부재(31)가 회전할때 함께 연동된다.
상판(50)의 외측면으로는 힌지 연동부(70)의 회전각도를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40)가 구비된다. 회전각도의 조절은 각도 조절핀(45;45a,45b)을 다수의 각도 조절공(52a~52d) 중 일정 지점에 삽입함으로써, 삽입된 각도 조절핀(45a,45b)이 제2지지부재(31)의 타단 상하 끝단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각도 조절홈(48a,48b)에 걸림으로써 이루어진다.
각도 조절핀(45a,45b)이 각도 조절공(52a~52d)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중 이탈함을 방지하거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각도 조절핀(45a,45b)은 힌지축(42)상에 유연성 부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도 조절핀(45a,45b)은 각각 굽힘과 펼침의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각도 조절핀(45a,45b)이 회전 중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면으로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덮개(43)를 추가로 구비한다.
덮개(43)의 일측에는 덮개홈(44)을 형성하여 각도 조절핀(45a,45b)의 탈부착시에는 상기 덮개홈(44)에 각도 조절핀(45a,45b)을 연결하는 유연성 부재 부분이 위치하도록 맞추어 탈부착시키고, 부착후에는 덮개(43)를 회전시킴으로써 각도 조절핀(45a,45b)이 빠지지 않도록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판(50)의 일측 상면과 덮개(43)의 하면 사이에는 간격유지부재(46)를 설치하고, 상기 간격유지부재(46)의 상면 양측에 돌기(47)를 형성하여 덮개홈(44)과 일치되는 부분이 걸리도록 하여 덮개(43)가 임의로 회전됨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축(42)은 순차로 덮개(43), 각도 조절핀(45), 상판(50), 상판 받침대(50a), 제2지지부재(31), 하판 받침대(60a), 하판(60)의 각 힌지공(42a~42g)을 관통하게 됨으로써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힌지 연동부(70)의 각 구성 부재들이 힌지 결합된다.
도 4는 본 고안 관절용 지지구의 힌지 연동부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4의 (a)는 힌지 연동부(70)가 최대로 접혔을 경우의 상태도, 도 4의 (b)는 힌지 연동부(70)가 일정 각도로 펴진 경우의 상태도, 도 4의 (c)는 힌지 연동부(70)가 최대로 펴진 경우의 상태도를 나타낸다.
힌지 연동부(70)가 최대로 접혔을 경우는 링크 결합축(61)이 작동공(51a~51d)의 일끝단에 걸려서 그 이상의 접혀짐을 제한하게 되며, 힌지 연동부(70)가 최대로 펴진 상태에서는 제2연결링크(59)의 제2연결공(57b,57c)에 삽입되는 제2연결축(57)이 작동공(51a~51d)의 타끝단에 걸려서 그 이상의 펼쳐침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재(21)의 제1체결공(27)들을 연결하는 중심선과 제2지지부재(31)의 제2체결공(37)들을 연결하는 중심선은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고 편심되어 구성된다.
상기 편심되어 구성되는 제1,2지지부재(21,31)와 힌지축(42)의 구조적 특징은 인체의 관절부위를 중심으로 하여 다리의 경우, 허벅지의 대퇴골과 종아리의 경골의 구조에 맞추어 자연스러운 관절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고정 부재의 구성도이다.
제1,2고정부재(22,32)는 고정 브라켓(23,33), 고정 걸림쇠(24,34), 고정 밸트(25,35), 제1,2보호대(26,36)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제1고정부재(22)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관절용 지지대(20)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밸트(25)의 길이조절부(28)를 통하여 일정길이를 정해둔 뒤에 고정밸트(25)에 연결되는 고정 걸림쇠(24)의 납짝한 부분이 고정 브라켓(23)의 고리부(23a)에 걸림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사용중에는 상기 고정 걸림쇠(24)가 회전되어 넓은 부분이 상기 고리부(23a)에걸림으로써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관절용 지지구(20)를 관절부위에 착용함에 있어서의 착용감을 높이고 피부와 닿는 부분에 압박을 가하여 상처를 입게 되거나, 혈액순환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2지지부재(21,31)의 내측면과 양측 하판(60)의 내측면 및 고정밸트(25)의 길이조절부(28)의 내측면으로 쿠션부재(39)를 부착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쿠션부재(39)는 필요한 경우 붙이고 뗄수 있는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고정용 지지대(20)는 다리 관절부위에 사용되는 경우를 일실시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팔 관절부위를 비롯하여 발목 관절부위 등에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관절용 지지구에 의하면 힌지축의 양측 지지부재를 인체 관절부분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관절의 굽힘과 펼침 동작을 자연스럽게 이룰 수 있고, 덮개 부분을 개선하여 일정한 회전 각도 내에서 회전되도록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절용 지지구의 탈부착이 용이해지고 피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쿠션부재를 부착시킴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정강이 부분의 보호대에 엠보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밀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제1고정부재(22)와 제2고정부재(3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된 제1지지부재(21)와 제2지지부재(31)의 각 타단이 힌지 연동부(70)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관절용 지지구에 있어서,
    상하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결합되며, 중앙부의 힌지공(42c,42g), 상기 힌지공(42c,42g) 외측으로의 굴곡진 작동공(51a,51d), 일측 하단부의 제1연결공(55a,55d)이 각각 천공되고 서로 대향되어 위치하는 상,하판(50,60);
    상기 제1고정부재(2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은 상기 상,하판(50,60) 사이에 고정 설치되어 함께 회동하는 제1지지부재(21);
    상기 제2고정부재(32)에 각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각 타단의 일측에 힌지공(42e)이 천공되고, 상기 각 상,하판(50,60) 사이에 설치된 상기 제1지지부재(21)와 대향되는 위치에 상기 힌지공(42e)을 관통한 힌지축(4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타단의 타측에 제2연결공(57a)이 천공된 제2지지부재(31);
    상기 제1,2연결공(55a,55d,57a)에 양단이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2지지부재(21,31)를 연동시키도록 상기 작동공(51a,51d)에서 일정한 궤적으로 작동하는 제1,2연결링크(58,59);및
    상기 상,하판(50,60)의 작동공(51a,51d)의 외측 둘레를 따라 상호 간격을 유지하여 천공된 다수개의 각도 조절공(52a,52d), 상기 제2지지부재(31)의 회동시 상기 각도 조절공(52a,52d)에 일치되도록 제2지지부재(31)의 각 타단부의 상,하부에 각각 천공된 각도 조절홈(48a,48b) 및 서로 일치하는 각도 조절공(52a,52d)과 각도 조절홈(48a,48b)을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힌지축(42) 상에 유연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각도 조절핀(45a,45b)으로 이루어지는 각도 조절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핀(45a,45b)의 상면으로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각도 조절핀(45a,45b)의 각도 조절공(52a~52d)에의 삽입이 그 측면으로 형성된 덮개홈(44)의 통로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덮개(43)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지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부재(22,32)는 단단한 재질의 제1,2보호대(26,36), 상기 제1,2보호대(26,36)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23,33), 상기 고정 브라켓(23,33)의 일측으로 형성된 고리부분에 걸림연결되어 탈착 가능한 고정 걸림쇠(24,34) 및 상기 고정 걸림쇠(24, 34)에 연결되며 길이조절부(28)에 의해 길이조절 가능한 고정밸트(2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지지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지부재(21,31)의 내측면과 양측 하판(60)의 내측면 및 길이조절부(28)의 내측면으로 쿠션부재(39)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지지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호대(36)의 중앙부에는 내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엠보(38)를 추가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용 지지구.
KR2020070002911U 2007-02-20 2007-02-20 관절용 지지구 KR2004418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911U KR200441860Y1 (ko) 2007-02-20 2007-02-20 관절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911U KR200441860Y1 (ko) 2007-02-20 2007-02-20 관절용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90U KR20080003490U (ko) 2008-08-25
KR200441860Y1 true KR200441860Y1 (ko) 2008-09-11

Family

ID=41491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911U KR200441860Y1 (ko) 2007-02-20 2007-02-20 관절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8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65569B (zh) * 2013-10-14 2016-02-24 天津科技大学 拳击骨折复位-固定器
CN108464880B (zh) * 2018-04-25 2020-02-0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o型腿校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490U (ko) 200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6264A (en) Knee brace
US3786804A (en) Hinged knee brace having torque pads for producing inward support pressure
USRE37297E1 (en) Dynamic orthopedic knee brace assembly
RU2752599C1 (ru) Ортез конечностей, в частности коленный ортез
US5658244A (en) Knee orthosis with improved suspension strap
JPH06285102A (ja) 弾性支持部材を有するヒンジ式整形外科用装具
KR101626907B1 (ko) 무릎관절 보조기구
US20090131844A1 (en) Tension Strap for Migration Prevention and Patellar Stabilization for Use With Knee Braces
WO1997020527A9 (en) Knee orthosis with improved suspension strap
CA2558491A1 (en) Patella femoral brace
US8852133B2 (en) Hyperextension brace assembly and methods of use
KR102061489B1 (ko) 슬개골 탈구 방지 보호대
KR200441860Y1 (ko) 관절용 지지구
JP6172717B2 (ja) 膝関節用装具
JP6534321B2 (ja) 膝用サポータ
KR101815274B1 (ko) 무릎보조기
JPH06502319A (ja) 膝蓋―大腿骨の矯正装置
JP6238740B2 (ja) 関節用装具
KR101309712B1 (ko) 기능성 무릎 보호대
US20190091055A1 (en) Knee brac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90046369A (ko) 관절 보조장치
JP2005500130A (ja) 膝装具皮膚挟み防止ガード
KR20220054064A (ko) 무릎 보호대
EP3216429B1 (en) An orthopedic orthosis or brace designed for rehabilitation of joints of the human body
US20160250058A1 (en) Orthopedic knee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